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철학에 있어서 이념의 규제적 사용의 가능성

        박중목(Joong Mok Park) 철학연구회 2002 哲學硏究 Vol.59 No.-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의 선험적 변증론 부문에서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주제인 영혼, 세계 및 신의 인식 가능성에 대하여 비판하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물론 칸트는 변증론을 통해 이 이념들의 인식 가능성을 비판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변증론의 일면만을 강조한 것이다. 왜냐하면 칸트는 이념의 인식 가능성을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이념의 규제적 사용을 정당화하고 또한 강조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칸트가 어떠한 근거에서 이념의 규제적 사용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면서 동시에 어떤 근거에서 이념의 인식 가능성을 비판하고 있는지를 논한다. 이 논의의 핵심은 순수이성에 피할 수 없는 그리고 자연스러운 선험적 가상의 의미를 명확하게 파악하는데 있다고 필자는 본다. 따라서 필자는 선험적 가상의 의미 분석을 통해 한편으로는 어떻게 이념의 규제적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어떻게 이념의 인식이 불가능한가를 밝힌다. 이를 통해 우리는 왜 칸트가 선험적 변증론을 선험적 가상의 논리학이라고 칭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함의된 "초월성"의 교육학적 시사점: 칸트의 "선험적 이념"을 중심으로

        홍윤경 ( Yun Kyung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의 ``선험적 이념``에 비추어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들어있는 ``초월성``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에 있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감각경험을 초월한 순수사고를 통하여 파악되는 인식대상이라는 점에서 ``초월성``을 띤다. 칸트의 ``선험적 이념``은 감각경험을 초월한 이성의 개념으로서, 상이한 지식들 간의 체계적 일관성을 요구하는``조건들의 총체성``의 이념이다. ``선험적 이념``은 ``직관``과 ``지성``의 결합물로서의 지식이 우연적 집합체가 아닌 ``조건들의 총체``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조건들에 관한 지속적인 탐구를 가능케 하는 ``규제적 원리``로 활용된다. 이 의미의 선험적 이념은 감각경험을 초월한 것이면서도 탐구의 원리로서 지식의 획득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적 조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선험적 이념의 초월성에 비추어 보면, 플라톤의 이데아도 이 의미의 규제적 원리로 해석될 수 있다. 대화편「유티프론」에 나타나듯이 ``경신의 이데아``는 경신에 부합하는 행위나 사건 등을 참된 의미의 ``경신``으로 만들어 주는 조건들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도록 하는 ``규제적 원리``로 작용한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초감각성을 띠지만, 이것은 경험과 무관한 추상적이고 허구적인 관념이 아니라, 탐구를 지속시키는 인식주체 안의 ``규제적 원리``로 해석될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cendental" implied in Plato``s theory of Ideas. Idea, in the Platonic sense, is on the one hand, the supreme knowledge acquired through the process of education for "Philosopher-King".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Transcendental" in it, which is grasped not by sensory experience but by pure thought. "The transcendental Idea" in the Kantian sense, is the concept of "reason" as the knowing faculty which goes beyond the limits of sensory experience. "The transcendental Idea" has the regulative rule which urges us to complete "the totality of conditions" by proceeding from one condition to another. It is necessary as the principle of enquiry for conceiving the Idea of "the Unconditiond" as the "totolity of of conditions". In the light of "transcendental" implied in the "Transcendental Ideas", Platonic sense of Idea is to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regulative use. In one of Plato``s dialogues, "Eutyphro", "Idea of holiness" is used as the regulative principle which makes us inquire "the condition" of individual act or event. The character of Platonic Idea transcending the sense world, is not the abstract or fictional concept but regulative principle in the knowing subject.

      • KCI등재

        칸트의 오류추리와 실천이성의 요청

        박종식 대동철학회 2001 大同哲學 Vol.15 No.-

        우리 인간의 능력 중에서 감성과 오성과는 달리, 이성은 경험의 한계를 넘어서까지 오성범주를 사용하려고 한다. 이성은 끊임없이 오성의 한계를 넘어서까지 인식을 확장할 수 있다는 환상에 빠져 있다. 이성은 직관의 대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절대적으로 통일하고자 시도한다. 칸트는 이런 이성추리를 통해서 생겨난 선험적 이념은 우리의 인식을 확장시킬 수 없다고 폭로한다. 칸트는 이성의 통일은 단지 사고상의 이념적인 최고의 통일만을 추구한다. 이러한 이성의 이념은 영혼불멸, 자유, 신이다. 칸트는 전통 형이상학에서 이성의 이념인 영혼불멸을 추리하는 방식이 오류라고 한다. 대전제와 소전제에서 사용되는 매개념이 각각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에, ‘매개념 다의의 오류’ 또는 ‘4개 개념의 오류’를 범했다는 것이다. 선험적 주관은 인식의 대상이 아니라, 모든 인식의 전제임에도, 속성을 지닌 실재적, 경험적 주어라고 착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류추리를 통해서는 영혼의 불멸을 증명할 수 없다. 그렇다고 마음의 인격성과 불멸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우리는 영혼의 불멸과 인격성을 ‘이성의 사실’로서 받아들인다. 여기에서 영혼불멸의 문제는 이제 이론적 증명의 문제가 아니라, 실천이성의 요청의 문제로 이행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인식할 수는 없지만, 실천적 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사변이성과 실천이성의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선험적 이념이다. 인식의 한계를 인정하되, 그것을 넘어서는 또 다른 영역을 마련해 놓은 것이다. 이 두 영역은 구분되지만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영혼불멸은 도덕의 가능성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며, 만약 영혼불멸이 요청되지 않으면 도덕은 불가능하다. 영혼불멸은 인간의 실천적, 도덕적 삶에서 반드시 전제되어야 함을 「오류추리」에서 보여준다. 이성의 사변적 사용이 거부한 이념을 이성의 실천적 사용을 통해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Es handelt sich in dieser Arbeit um die transzendentale Ideen und ihre praktische Bedeutung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In der transzendentalen Dialektik zeigt Kant, daß die Versuche der reinen Vernunft, eine Welt jenseits der Erscheinungen als das wahrhaft Seiende zu erkennen, notwendig mißlingen. Alles Bemüen der bisherigen Philosophie, auf dem Gebiet der Metaphysik Erkenntnisse zu gewinnen, sind grundsäzlich zum Scheitern verurteilt. Die Vernunft kann weder beweisen, daß die Seele unsterblich und der Wille frei ist, noch daß es Gott gibt. Die Argumentationen der traditionellen Metaphysik fü den Beweis der Seele, Freiheit und des Gott sind eine transzendentale Täschung. Die Metaphysik grüdet im Interesse der Vernunft, zum Bedingten das Unbedingte aufzusuchen. Die Vernunft sucht die begriffliche Erkenntnis zur höhsten Einheit zu bringen. Die höhste Einheit ist erst mit einer Bedingung erreicht, die selbst nicht mehr bedingt ist; das ist das Unbedingte, d.h. die transzendentale Idee. Die Suche nach dem Unbedingte liegt im natülichen Interesse der Vernunft. Aber die Vernunft zwar denken das Unbedingte, aber nicht erkennen kann. Also entpuppt sich die Erkenntnis des Unbedingten als vermeintliche, aber nicht wahre Erkenntnis; sie ist nichts anderes als transzendentaler Schein. In diesen Paralogismen findet die Vernunft die transzendentale Idee des Unbedingte als die absolute Einheit des denkenden Subjekt. Der dialektische Schein der Paralogismen beruht auf einer Hypostasierung. Er wird unbestimmte Begriff eines denkenden Wesens zu einem wirklichen Gegenstand außerhalb des denkenden Subjekte gemacht. Erst die transzendentale Vernunftkritik bietet die Mölichkeit, die Doppeldeutigkeit im Mittelbegriff der rationalen Psychologie zu durchschauen und ihre Erkenntnisansprühe als puren Schein zu entlarven. Deshalb leistet die transzendentale Dialektik mehr als bloß eine Destruktion der Metaphysik. Kant verwirft nicht die transzendentale Ideen, sondern gibt ihnen einen neuen methodischen Sinn. Sie haben zwar keine konstruktive Fuktion fü die Erkenntnis, doch haben sie eine regulative Bedeutung. Das Dialektikkapitel hat nicht nur eine theoretische und negative, sondern auch eine praktische und positive Bedeutung. Nach der praktischen Metaphysik sind die Ideen von Gott, Freiheit und Unsterblichkeit keine Erkenntnisse der theoretischen, sondern Postulate der praktischen Vernunft: “Ich mußte also das Wissen aufheben, um zum Glauben Platz zu bekommen" Also muß die transzendentale Dialektik der Brüke zwischen spekulativer und praktischer Vernunft sein.

      • KCI등재

        칸트의 정언명법에 대한 명제적 해석

        맹주만,김형주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9 철학탐구 Vol.25 No.-

        이 글은 칸트의 정언명법에 대한 명제적 해석을 시도한다. 이는 정언명법에 대한 종래의 해석을 칸트의 본래의 의도에 따라서 좀 더 명확히 하려는 것이다. 칸트는 만일 어떤 학문이 그에 적합한 자격과 칭호를 부여받으려면, 그에 해당하는 지식들은 단순한 논리적 필연성만이 아닌 현실 세계에 대해서도 보편타당성과 필연성을 갖는 선험적 종합명제들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도덕형이상학을 수학과 자연과학 이상으로 학문의 반열에 올려놓으려했던 칸트에게 정언명법은 그 같은 야심찬 기획의 성공 여부를 가늠할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칸트는 이 정언명법이 선험적 종합명제임을 보일 수 있다면 그 같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만일 정언명법이 선험적 종합명제라면 그것은 그 명제적 특성상 주어와 술어의 결합이 보편타당성과 필연성을 가져야 한다. 칸트가 제시한 정언명법의 정식들은 그것들이 선험적 종합명제라는 것을 보이려는 실험의 산물이다. 또한 칸트는 이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선험적 종합의 원리를 자유의 이념을 전제로 한 의지의 자율성에서 발견한다. 필자는 유한한 ‘인간의 선의지’에는 의지의 자율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칸트는 이런 종합의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우리의 일상적 도덕 의식에서 발견되는 도덕성의 원리로서의 선의지에 대한 학적 인식을 명료히 하려 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의지의 자율성과 선의지 모두를 고려한 종합을 통해서만 주어와 술어의 필연적 결합을 보이려는 칸트의 증명(연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도달할 수 있으며, 또 이것이야말로 진정으로 칸트의 의도에 합당한 해석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같은 해석에도 불구하고 칸트의 증명은 내재적 정당화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도덕판단의 객관성과 필연성에 대한 검증 가능성을 현실 세계에서는 허용하지 않으며, 또한 하나의 선험적 종합명제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해석을 허용할 소지도 있다. 역으로 이 같은 추론은 우리가 칸트의 도덕이론을 다른 시각에서 또 다른 가능성을 갖고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줄 수 있는데, 만일 그 가능성에 대한 해명이 칸트의 도덕철학의 근간을 해치지 않고서 성공할 수 있다면, 그것은 칸트식의 의무론자들이 자신들에 가해지는 비판들에 대응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Das Hauptthema der vorliegenden Studie ist eine Interpretation von kategorischen Imperativ als einen synthetischen Satz a priori bei Kant. Kant schreibt daß Kategorische Imperativ dadurch möglich ist, daß die Idee der Freiheit mich zu einem Glied einer intelligibelen Welt macht, wodurch, wenn ich solches allein wäre, alle meine Handlungen der Autonomie des Willens jederzeit gemäß sein würden, da ich mich aber zugleich als Glied der Sinnenwelt anschaue, gemäß sein sollen, welches kategorische Sollen einen synthetischen Satz a priori vorstellt, dadurch, daß über meinen durch sinnliche Begierden affizierten Willen noch die Idee ebendesselben, aber zur Verstandeswelt gehörigen, reinen, für sich selbst praktischen Willens hinzukommt, welcher die oberste Bedingung des ersten nach der Vernunft enthält; ohnegefähr so, wie zu den Anschauungen der Sinnenwelt Begriffe des Verstandes, die für sich selbst nichts als gesetzliche Form überhaupt bedeuten, hinzu kommen, und dadurch synthetische Sätze a priori, auf welchen alle Erkenntnis einer Natur beruht, möglich machen. Nach Kant ist der kategorische Imperativ ein synthetischer Satz a priori, sein Prinzip der a priori Synthesis die Autonomie des Willens als oberstes Prinzip der Sittlichkeit und die Gesetzt des Pflicht. Nun folgt hieraus notwendig, daß dieses Prinzip der Synthesis enthält den Begriff des guten Wille, dadurch mithin alle kategorische Imperative die Formel des guten Wille sind. Aberdie Autonomie des Willens setzt den Idee der Freiheit voraus. Also wir könnten seine Realität und objektive Notwendigkeit nicht für sich beweisen. Trotzdem wenn wir setzen die Freiheit des Wille voraus, Wir können sagen, daß die Autonomie des Willens und ein guter Wille sind das Prinzip der Synthesis, denn das den kategorischen Imperativ als einem synthetischem Satz a priori möglich macht. Das moralische Sollen ist also eigenes notwendiges Wollen als Gliedes einer intelligibelen Welt und das Subjekt des guten Wille, und ein synthetischer Satz a priori.

      • KCI등재

        빌헬름 폰 훔볼트의 역사이념설과 이해이론

        崔豪根(Choi Ho-Keun) 역사교육연구회 2005 역사교육 Vol.93 No.-

        In this article are two aspects of Wilhelm von Humboldt"s historical thought of particular interest; his theory of historical ideas(historische Ideenlehre) by which he seeks to find a metaphysical foundation for his doctrine of individuality and discover meaning and a common basis of existence in a pluralistic world: his theory of understanding(Verstehen) through which he attempts to do justice to the irrational nature of history. Humboldt develops his own theory of historical ideas in his famous essay "On the Task of the Writer of History(1822)". His theory of ideas involves the recognition of the basically irrational character of human history. At first glance it seems to point at a hopeless chaos of values. In fact, however, Humboldt reflects his faith that there is meaning in the midst of flux. For him the world history is inconceivable without a cosmic plan governing it. Although it is impossible for man to understand the plans of cosmic government(Weltregierung), he can intuitively gain glimpses of it through the ideas. Thus Humboldt preserves his faith that in a higher sense history is a meaningful drama. Humboldt"s theory of historical understanding presupposes that in approaching history the historian is dealing with living, not with dead matter. He stresses that to comprehend a living matter, we must see it as a totality and understand its inner essence. In means that we must understand the historical events in a larger context. The highest task of historian is to approach to the ideas which expresses themselves in concrete reality by intuitive understanding as well as rational comprehension.

      • KCI등재

        이호철의 『남녘 사람 북녁 사람』론: ‘한살림 통일론’의 소설적 재현

        공종구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7

        The literature by Lee, Ho-chul is shaped like a band of Mobius connecting to the axis of division. From beginning to end, as a writer who mobilizes the division as an original experience, Lee Ho-cheol also presented considerable concerns and insights on the realistic methodology for unification. In this context, 「The Unification of One Household」 and Southerners and Northerners are very important texts. This is because the writing that summarizes Lee Ho-chul's worries or insights on the realistic methodology of unification is 「The Unification of One Household」 and a series of novels that reproduced such a theory of unification in a novel way is Southerners and Northerners . In Southerners and Northerners , which is a novel reproduction of ‘The Unification of One Household’, it mobilizes the placement of characters in a clear dichotomous schematic in order to effectively present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of one household. Regarding unification, the prototype of Lee Ho-chul's typification as the most negative object to be wary of is such type of Park Cheon-ok or Choi Sang-ho. The two were of the type that was easily found in North Korean society during the socialist construction period, and they are characters who repeat prior ideologies or conventional ideas like automatic dolls. On the other hand, the person who is focused on a positive object by a favorable narrative perspective is a type of person who can find its original form in Jeon Sang-dong, a senior student who defected to South Korea just before the Korean War. This is because the senior, Jeon Sang-dong has a personality and free will that maintains his clear center but does not mechanically adhere to it. Consistently, the Unification of One Household emphasizing unconditional meeting and segregation, is so simple and loose that even the minimum system or density required as a discourse seems to be insufficient. However, it has an unescapable power of paradox in that it has the weight and depth coming from "directness of experience". 이호철의 문학은 분단을 축으로 연결되는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형국을 이루고 있다. 시종일관 분단을 원체험으로 동원하는 작가답게 이호철은 통일에 대한 현실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도 적지 않은 고민이나 통찰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살림 통일론」과 남녘 사람 북녁 사람 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텍스트이다. 통일에 대한 현실적인 방법론에 대한 이호철의 고민이나 통찰을 집약한 글이 「한살림 통일론」이고 그러한 통일론을 소설적으로 재현한 연작 소설집이 바로 남녘 사람 북녁 사람 이기 때문이다. 이호철의 통일론을 집약하고 있는 「한살림 통일론」의 핵심은 민족 동질성을 확인하는 작업이 시급한 과제라는 점이다. ‘한살림 통일론’의 소설적 재현인 남녘 사람 북녁 사람 에서는 한살림 통일론의 문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선명한 이분법적 도식의 인물 배치를 동원하고 있다. 통일과 관련하여 이호철이 가장 경계해야 할 부정적인 대상으로 타자화하는 인물의 원형은 박천옥이나 최상호 선생과 같은 유형이다. 그 두 사람은 사회주의 체제 건설기의 북한 사회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었던 유형으로 선험적인 이념이나 상투적인 관념을 자동인형처럼 반복하는 인물들이다. 그 반면, 호의적인 서술 시각에 의해 긍정적인 대상으로 초점화되는 인물은 한국전쟁 직전에 월남한 전상동 선배에게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는 유형이다. 전상동 선배는 자신의 분명한 중심은 확고하게 유지하면서도 그것에 기계적으로 집착하지 않는 개성과 자유의지의 소유자이기 때문이다. 시종일관 조건 없는 만남과 정분을 강조하는 한살림 통일론은 너무나도 소박 단순하며 느슨하여 하나의 담론으로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체계나 밀도조차도 부족해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경험의 직접성’에서 우러나오는 무게와 깊이를 지닌 것이라는 점에서 무시할 수 없는 역설의 힘을 지닌다.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의 두 가지 규제적 원리 - 이성의 원리와 판단력의 원리 -

        홍우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철학논집 Vol.72 No.-

        Kant’s arguments for the regulative principle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seem inconsistent in two aspects. On the one hand, the inconsistency appears between the two appendices of the Dialectic, as each presents different kinds of principles as regulative principles of reason. On the other hand, it is observed betwee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because the same regulative principles are ascribed to reason in the first Critique, but to the power of judgment in the third Critique. In this paper we argue that this problem of inconsistency is only superficial and does not pose a serious problem to Kant's position on the regulative principle, either internally or externally,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o this end, we first briefly outline the problem we are dealing with, and then, in Chapter II, we gener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 reason, and the power of judgment. Here, we claim that reason, together with the understanding, constitutes the higher cognitive faculties which is ‘the capacity(Vermögen) to judge’, and if understood in a broad sense, this 'capacity to judge' encompasses the power of judgment which is the power(Kraft) to actualize it. In chapter III, we examine the logical function of reason and the origin of transcendental ideas, and confirm how reason, understood as 'the capacity to judge' in a broad sense, encompasses the function of the power of judgment. Through this, we first argue that the regulative principles, not only of the second appendix, but also of the first appendix, can be legitimately attributed to reason insofar as it is broadly understood as such a capacity to judge. Furthermore, we show that what led Kant to ascribe the regulative principles of the first appendix to the power of judgment in the third Critique was not a fundamental change or revision of his position, but rather a focal change of his discussion of the regulative principles. Finally, Chapter IV concludes by briefly confirming that the two kinds of regulative principles presented in the two appendices of the Dialectic are mutually dependent as principles belonging together to reason. 『순수이성비판』에서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의 주장은 이중적인 측면에서 비일관적인 것처럼 보인다. 우선 변증론의 두 부록들이 각각 다른 종류의 원리들을 이성의 규제적 원리들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두 부록들 사이의 비일관성이 나타난다. 또한 동일한 규제적 원리들이 『순수이성비판』에서는 이성의 원리로 규정되는 데에 반해서 『판단력비판』에서는 판단력의 원리로 규정된다는 점에서, 『순수이성비판』과 『판단력비판』 사이의 비일관성이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런 비일관성의 문제가 단지 표면적일 뿐이며, 『순수이성비판』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의 입장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고 논증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선 우리가 다룰 문제를 간략히 개관한 다음, II장에서 지성과 이성 그리고 판단력의 관계를 일반적으로 규명한다. 여기서 우리는 지성과 더불어 이성은 ‘판단하는 능력(Vermögen)’인 상위의 인식 능력을 구성하며, 넓은 의미로 이해될 경우 이 ‘판단하는 능력’은 판단을 실행하는 힘(Kraft)인 판단력을 포괄한다고 주장한다. 이어지는 III장은 이성의 논리적 기능과 선험적 이념들의 유래를 검토하고, 넓은 의미의 ‘판단하는 능력’으로 이해되는 이성이 어떻게 판단력의 기능을 포괄하는지 확인한다. 이를 통해 우선 우리는 둘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 뿐만 아니라 첫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도 넓은 의미의 ‘판단하는 능력’인 이성의 원리들로 정당하게 규정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나아가 우리는 첫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을 『판단력비판』에서 판단력의 원리들로 규정한 것은 근본적인 칸트 입장의 변화나 수정에서 비롯한 것이 아닌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 논의의 초점 변화에서 비롯한 것임을 보인다. 마지막 IV장은 변증론의 두 부록들에서 제시된 두 종류의 규제적 원리들이 모두 이성에 속하는 원리로서 상호 의존적임을 간략히 확인한다.

      • KCI등재

        칸트철학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과 의미

        박종식(Jongsik Par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이 논문에서는 칸트철학, 특히 『순수이성비판』에서 사물자체(Ding an sich) 개념의 운동과 의미를 탐구할 것이다. 사물자체 개념은 칸트철학에서 핵심 개념이다. 사물자체 개념은 자연과학의 정당화와 도덕철학의 기초를 위해 필수적인 개념이다. 사물자체 개념이 없다면, 지식의 제한과 실천이성의 요청(대전제)이 결합되는 일은 칸트 『순수이성비판』에서 불가능한 임무가 될 것이다. 사물자체 개념은 이론 이성에 대한 실천 이성의 우위, 자유에 근거한 도덕철학을 가능하게 한다. 칸트의 사물자체 개념은 경험적 실재론과 선험적 관념론의 기초를 놓는다. 자연 형이상학과 도덕 형이상학의 가능성은 사물자체 개념에 근거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선험적 감성론, 분석론, 변증론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다의성을 탐구하기 위해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을 추적할 것이다. 선험적 관념론은 우리가 오직 현상의 인식만을 지닐 뿐 사물자체의 인식은 지니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험적 감성론에서 우리의 마음은 선험적 객체들, 즉 사물자체들에 의해서 촉발된다. 객체들은 감성에 의해서 우리에게 주어진다. 우리의 마음에 의해서 촉발되는 사물자체 개념은 칸트의 비판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물 자체에 의한 촉발을 전제하지 않는다면, 선험적 관념론과 자유에 기초한 도덕철학은 성립될 수 없다. 선험적 분석론에서 사물자체 개념은 지식 또는 인식을 제한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선험적 변증론에서 사물자체 개념은 자유를 통해서 도덕철학을 정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식으로 사물자체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되는데, 사물자체 개념은 『순수이성비판』에서 논의가 전개되는 각 단계를 통해서 그 의미가 변화한다. 사물자체 개념은 하나의 고정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선험적 감성론과 선험적 분석론, 선험적 변증론의 각 단계마다 사물자체가 스스로의 운동을 통해서 다양한 의미들을 지니게 된다. 의미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사물자체 개념은 인식과 도덕 사이의 단절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물자체 개념은 인식과 도덕 사이를 연결하는 홍예석이다.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movement of the concept Ding an sich (thing itself) in Kant's philosophy, especially in Critique of pure reason. The concept Ding an sich is the key concept in Kants philosophy. Ding an sich is the necessary concept for justification of natural science and foundation of moral philosophy. Without the concept Ding an sich, the combination of the restriction in knowledge with the postulat of practical reason is an impossible task i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The concept Ding an sich makes the superiority of practical reason over theoretical reason and the foundation stone of freedom, morality possible. Kant's concept Ding an sich lays the foundation stone of empirical realism and transcendental idealism. The possibility of metaphysics of nature and morality is based on the concept Ding an sich. So in this paper I will take up the concept of the Ding an sich, and investigate on the movement of the concept Ding an sich to explore the equivocality of the concept Ding an sich in transcendental aesthetic, transcendental analytic, and transcendental dialectic. Transcendental idealism means that we have cognition only of appearances, not of Dinge an sich. Our mind is affected by the transcendental objects, Ding an sich in transcendental aesthetic. Objects are given to us by means of sensibility. The concept Ding an sich which is affected by our mind is the most important motif in Kants critical philosophy. Without presupposing the affection by Ding an sich, transcendental idealism and the moral philosophy under freedom could not be established. In transcendental analytic, Ding an sich is the limiting concept (Grenzbegriff) of knowledge or cognition. But in transcendental dialectic, the concept Ding an sich plays the role of the foundation stone of moral philosophy by the means of freedom. In this way the concept Ding an sich has various meanings which possess through three phases at discussions in Critique of pure reason. Therefore The concept Ding an sich has not a fixed meaning, but various meanig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cept Ding an sich at three phases at discussion in transcendental aesthetic, and transcendental analytic, transcendental dialectic. Therefore the concept Ding an sich makes us the bridge between cognition and mor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cept Ding an sich is the arch stone of linking between knowledge and morality.

      • KCI등재

        이성개념과 선험적 가상의 문제

        김희봉(Hee-Bong Kim) 한국현상학회 201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4 No.-

        이 글에서는 칸트연구에서 대체로 드물게 다뤄지는 선험적 가상의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칸트에 대해서는 선험적 논리에 의해 비로소 인간이성의 능력, 인식범위와 한계를 밝힌다는 측면에서 후대에 획기적인 철학사적 성과와 업적을 제공한 연구자로 평가되고 있다. 칸트는 인식조건의 정당화 문제 또는 더 확장해 경험대상의 가능조건의 문제를 『순수이성비판』의 분석론을 통해 다루게 된다. 그러나 그의 분석목적은 선천적 종합판단에 적합한 사례인 특정대상을 찾는 것도 아니고 그러한 판단에 대한 우리의 심리적 확신의 상태를 기술하는 것에도 있지 않다. 칸트는 인식의 가능근거를 심리적 차원에서가 아니라 선험적 의미에서 논리적 성격과 관련해 정당화하고자 한다. 그러나 칸트철학의 숨겨진 가치와 의미는 ‘현상’의 존재를 구제하기 위한 선험적 논리만이 아니라, 오히려 가상의 가치를 새롭게 조망하려는 선험적 변증론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 칸트의 선험적 통각과 자아

        김덕수(Kim Duk-Soo)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9 동서사상 Vol.7 No.-

        이 글은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의 중요한 주제인 ‘자아’에 관한 것이다. 칸트의 자아개념을 논의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그가 독단적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자아 개념이다. 그는 『선험적 분석론』의 ‘오류추리론’에서 데카르트로 대변되는 ‘이성적 심리학’이 범하고 있는 자아에 대한 잘못된 추리 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과정을 집중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비판의 근거인 인식일반에 대한 가능성으로서의 ‘선험적 통각’을 살펴볼 것이며, 다음으로 ‘순수이성의 오류추리론’을 중심으로 칸트가 기존의 ‘이성적 심리학’을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아에 대한 인식불가능성을 주장하는 칸트의 일관된 입장이 새로운 형이상학의 구축과 필연적 관계가 있음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런 비판적 작업이 실천적 차원에서 자아에 접근하고자 하는 그의 입장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살펴 본 후 자아에 대한 실체론적이고 독단적인 종래의 형이상학적 태도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그리고 인간 이성에 대한 비판을 통해 인식의 기원과 한계를 어떻게 규정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self’,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In dealing with the conception of Kant's self, what is to be considered important is the concept of self as the base of the negation of the dogmatical metaphysics, the ground of which can be found in the paralogism of the transcendental dialectic. Here in order to analyze how the wrong process of inference about the self of rational psychology represented by Descartes is refuted by Kant, I, first, have tease out the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s the possibility of the cognition in general which is the ground of critique. Then, centered on ‘the paralogism of pure reason’ I have seen how Kant criticizes the existing rational psychology. Last, I suggested that Kant's consistent position that asserts the impossibility of cognition of the self is related to his new construction of metaphysics, and tried to figure out how this kind of his critical work is related to his effort to approach to the self in practical dimension. The conclusions of my research are as follows; The highest object of Kant's epistemology is to criticize the contents of dogmatical thinking and the dogmatical ability of inference. Therefore, the achievement of this end is possible through a new understanding about self or reason. As a result of my study of Kant's concept of the self mostly in the paralogism of transcendental dialectic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 have found out that his concept of self that was based of explanation of our universal and objective cognition. Also, the complete realization of the transcendental self, and transcendental liberty or freedom is possible in the world of God. In fact, Kant tried to establish in the practical dimension the substantiality of self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hich had been tried to be established in the rational psychology. Thus, he limited the intellectual to grant the belief because the world of idea is not filled with theoretical contents, but with practical and ethical contents. Therefore, by way of putting the practical reason over the pure reason, Kant tried to secure objectively the actuality of the self in the practical faith, then tried to restore the existing two extremes of dogmatical metaphysician and skep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