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독구결에 나타난 시간 표현 문법 형태 연구

        하정수(Ha, Jeongsoo)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39

        본 논문은 “구역인왕경상(舊譯仁王經上)”에 기입된 석독구결을 판독하여 그 석독구결로 표상된 당시 언어 표현의 시간 표현 문법 형태를 분석하여 그 형태의 문법 기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자토석독구결 자료인 “구역인왕경”의 경문을 원측이 찬한 인왕경소 및 재조본 고려대장경에 수록된 구역인왕경의 경문과 교감하였다. 그 결과 “구역인왕경”의 경문은 고려대장경 판본보다는 원측의 인왕경소 경문에 더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에 따라 “구역인왕경”의 석독구결을 해독하는 데 있어 원측의 인왕경소을 활용하였다. 실제로 인왕경소의 내용을 참고하여 “구역인왕경”에 기입된 석독구결 해독에서 ‘方’과 ‘方’ 서로 다른 기능을 가졌음을 논증하였다. 또한 구결자 ‘’가 사동의 의미를 갖는 ‘’로 전사할 수 있었다. 둘째 “구역인왕경”에 기입된 석독구결에 나타난 시간 표현 문법 형태를 분석하여 이들을 ‘’, ‘’, ‘’, ‘’로 제시하였다. 이 문법 형태로 분석된 구결자는 그 문법 기능이 중세국어의 ‘-거-’, ‘--’, ‘-노-’로 표상되는 형태와 관련되어 있음을 그 통사 구조와 구문의 해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문법 형태 ‘’는 화자 또는 주어가 ‘미래’에 사건을 인식하는 것을 나타내 주는 시간 표현 기능을 나타냈다. 문법 형태 ‘’, ‘’, ‘’는 기본형, 이형태, 통합형의 형태가 표상된 구결자로 파악하고 이들은 공통적으로 화자 또는 주어가 ‘현재’의 사건을 인식하는 시간 표현의 기능을 나타냈다. This study aims to find and analysis to grammatical tense form in the Seokdokgugyol(釋讀口訣) written in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First It is to determine the type of letters used Seokdokgugyol(釋讀口訣) characters in this document. We use the Inwanggyeonso(仁王經疏, sutra-interpretation) to analyze the syntax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And this character letter was compared with the Tripitaka Koreana. As a result, it was assumed that the text of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was closer to the original text of Inwanggyeonso(仁王經疏, sutra-interpretation) rather than the Tripitaka Koreana version. Therefore In order to decrypt Seokdokgugyol(釋讀口訣) of the sutra tect in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I tried to use the Inwanggyeonso(仁王經疏). In fact, I refer to the contents of Inwanggyeonso(仁王經疏) to discu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ing of ‘方’(方s) and ‘方’(方?) in the decoding of the Seokdokgugyol(釋讀口訣) in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that the meanings of the two letters are different. In addition, it is proved that gugyol letter ‘’ can be transcribed as a causative form ‘’(hʌyyə). Second, it analyzed the form of time expressive grammatical expressions in the texts of the Seokdokgugyol(釋讀口訣) written in the Guyeokinwanggyeong(舊譯仁王經). Analyzed grammatical form from the sentences "", "", "" and "" And ‘--(-kə-)’ and ‘--(-nʌ-)’ respectively. And the function of this grammatical form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reading of the sentence. And the analysis of ‘--(-kə-)’ and ‘--(-nʌ-)’, ‘--(-nu-)’, ‘--(-no-)’ indicates that the speaker recognizes the events of ‘future’ and ‘present’.

      • KCI등재

        석독구결 및 그 자료의 개관

        장윤희(Jang Yoon-hee) 구결학회 2004 구결연구 Vol.12 No.-

        구결은 한자를 이용하여 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법의 하나로서 한문원문을 국어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결에는 音讀口訣과 釋讀口訣이 있는데, 이 가운데 석독구결은 한문 원문을 완전한 국어 문장에 가깝게 풀어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한문 원문을 풀어 읽은 석독구결문은 15세기 언해문과 유사한 점이 많을 뿐만 아니라, 15세기 언해문의 독특한 현상의 기원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그러나 석독구결법이 한문 원문을 완전한 한국어 문장에 가깝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한문과 한국어 문장의 차이를 완전히 극복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15세기 언해문과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석독구결 자료는 한글 창제 전 시기 국어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결정적인 자료이다. 또한 석독구결의 차자 방법이나 용법이 향찰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석독구결 자료는 향가의 정확한 해독을 가능하게 해 주기도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석독구결 자료로는 《釋華嚴敎分記》(10세기 중엽), 《大方廣佛華嚴經?》 권35(12세기 초), 《大方廣佛華嚴經》 권14(12세기 중반~말엽), 《合部金光明經》 권3(13세기 중엽 이후), 《舊譯仁王經》 권上(13세기 중엽 이후), 《瑜伽師地論》 권20(13세기 말) 등 6종이 알려져 있다. 이들 자료들은 표기의 정밀성 및 생략 표기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뿐, 구결법, 구결자 및 그 용법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Kugyol(口訣) is one of methods of writing Korean by the phonetic or meaning values of Chinese characters intended for understanding text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Kugyol(口訣), in its tum, is divided into Eumdokkugyol(音讀口訣) and Seokdokkugyol(釋讀口訣). Seokdokkugyol(釋讀口訣) is a writing system that was devised to understand classical Chinese texts by translating them into nearly perfect Korean sentences. The sentences that result from this translation process are nearly perfect Korean sentences. Therefore we can find many points common with sentences of 15th century materials written in Hangeul, and can also find the reason or origin of peculiar phenomena found in 15th century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The predicates and subjects of existential sentences, modifiers and their modificata, or predicates and their objects are often separated into two sentences, while they usually appear together in the same sentence. In this regard, we can't say that Seokdokkugyol(釋讀口訣) perfectly overcame the gap between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Seokdokkugyol(釋讀口訣) materials are valuable for investigating Old Korean. Furthermore, in that we can se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eokdokkugyol(釋讀口訣) and Hyangchal(鄕札), the formaer can help exact deciphement of Hyangga(鄕歌). Up to now, six volumes that have Seokdokkugyol(釋讀口訣) are known: i.e. 《Seok-hwaeomgyobungi(釋華嚴敎分記》(the mid-10th century),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大方廣佛華嚴經?)》 volume 35 (early parts of 12th century), 《Daebanggwangbulhwaeomgyeong(大方廣佛華嚴經)》 volume 14(the mid-12ht century~toward the end of 12th century), 《(Habbu) Geumgwangmyeonggyeong((合部)金光明經)》 volurre 3(after the mid-13th century), 《Guyeokinwanggyeong (舊譯仁王經)》 volume 1(after the mid-13th century), 《Yugasajiron (瑜伽師地論)》 volume 20(toward the end of 13th century). These materials show little difference in the kinds of characters or their use.

      • KCI등재

        신라 점토석독구결 시탐(試探)

        김성주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Kugyol, which has a different word order from Chinese by adding Korean endings to classical Chinese for reading easily, is a system for our ancestors who speak Korean. In Kugyol, there is not only a Kugyol with which we are familiar, but Seokdokkugyol which has been used before or from the Koyro Dynasty. Seokdokkugyol is a reading system in which we read Chinese sentence by changing the word order and do Chinese character not with sound but meaning, traditionally called Saegim[訓 or 釋]. Jatoseokdokkugyol has been known to us as Old Inwanggyeong found in 1973, and Jeomtoseokdokkugyol as Hwaeomgyeong and Yugasajiron was found in 2000. In Japan, there is a Okototen[ヲコト点] which is similar in system with Korean Jeomtoseokdokkugyol and has been studied for 100 years.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we can easily anticipate the Korean Jeomtoseokdokkugyol has an influence on the Japanese Okototen system. But we can not easily say the effects of Jeomtoseokdokkugyol on Okototen because Jeomtoseokdokkugyol data which are remained came from the period of Koryo dynasty and Okototen data was in Heian. However, we recently found two literatures that we can see both the characteritcs of Silla Jeomtoseokdokkugyol and Stylus-carved Character Kugyol. The former is Satobon Hwaeommunyuiyogyeolmundap[佐藤本 華嚴文義要决問答] and the latter Dodaji-collected Jubonhwaeomgyeong[周本華嚴經] vol. 12-20. This paper’s aim is to restructure Silla Jeomtoseokdokkugyol.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anticipate the Silla Jeomtoseokdokkugyol simply has nine equal parts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yo. We can place the kugyol letter into each position as follows: 11(·) : 占//yeo,tyeo, 12(·) : //a, 13(·) : 叱//s, 21(·) : /eul, 22(·) : /eun, 23(·) : //ro, 31(·) : /keum, 32(·) : 沙//sa, 33(·) : /ta 구결은 중국어와 다른 어순을 쓰는 우리의 선조들이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해 한문에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에 해당하는 말을 붙여 읽는 한문 독법 체계이다. 구결 가운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음독구결도 있지만 고려시대나 그 이전에 쓰였던 석독구결도 있다. 석독구결은 중국어의 어순으로 쓰인 한문을 우리말 어순으로 바꾸어 읽으면서 한자를 음(音)으로 읽지 않고 새김[訓 또는 釋]으로 읽는 경우도 있는 한문 독법 체계이다. 1973년에 구역인왕경이 발견되면서 자토석독구결이, 2000년에 화엄경과 유사사지론 자료가 발견되면서 점토석독구결이 우리에게 알려졌다. 일본에는 우리의 점토석독구결과 유사한 오코토점(ヲコト点)이 나라시대 말기 또는 헤이안시대 초기부터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 고대 한국과 일본의 문화 전파 양상을 고려하면 우리의 점토석독구결 시스템이 일본의 오코토점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측되지만 실제 남아 있는 자료는 한국의 경우 고려시대 자료이고, 일본의 경우 헤이안시대 또는 그 이전 자료이어서, 현전하는 자료로 볼 때 한국의 점토석독구결이 일본의 오코토점에 영향을 주었다고 말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최근 신라 점토석독구결의 편린을 엿볼 수 있는 자료와 신라의 각필문자구결을 볼 수 있는 자료가 발견되었다. 전자는 사토본 『화엄문의요결문답』이고, 후자는 동대사 소장 『화엄경」 권제12-20이다. 이 글은 이 두 자료와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 자료를 이용하여 신라의 점토석독구결의 점도를 재구를 시도해 본 것이다. 재구 결과 신라의 점토석독구결은 고려시대의 점토석독구결보다는 간단하여 고려의 점토석독구결이 한자를 25등분한데 비해 신라의 점토석독구결은 한자를 9등분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단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1(·) : 占/(뎌/여), 12(·) : /(아/긔), 13(·) : 叱/(ㅅ), 21(·) : (을), 22(·) : (은), 23(·) : /(로), 31(·) : (금), 32(·) : 沙/(사), 33(·) : (다)

      • KCI등재

        ≪화엄경≫ 점토석독구결 점도의 발달 과정에 대하여

        문현수 ( Moon Hyun-soo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이 글은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 사용된 점도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 자료는 크게 ≪유가사지론≫ 계통의 자료와 ≪화엄경≫ 계통의 자료로 나뉜다. 그리고 ≪화엄경≫ 계통의 자료는 주본 ≪화엄경≫ 자료와 진본 ≪화엄경≫ 자료로 다시 세분된다. 진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 자료는 학계에서 초조대장경보다 앞선 10세기 이전에 간행된 목판본이며 구결점의 기입 시기도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 자료의 구결점 기입 시기보다 앞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의 점도는 초기의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의 점도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의 점도와 진본 ≪화엄경≫의 점도, 주본 ≪화엄경≫의 점도를 비교해 보면, ≪화엄경≫ 점도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나아가 점도의 구성 방식의 분석을 통해 구결점을 달았던 당시의 한국인들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문법 요소에 대한 분석도 가능해져 고대 한국어의 연구에 진전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 진본 ≪화엄경≫, 주본 ≪화엄경≫의 점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점도의 발달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의 점도는 가장 단순한 조사와 어미만을 나타내었다. 진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는 구결점의 기입 위치와 형태를 늘림으로써 좀 더 복잡한 조사와 어미 및 단어의 형태를 표기하고자 하였다.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는 진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 비해 구결점의 위치 및 형태가 그 해독에 있어서 대칭성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대응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가 상당수 발견된다. 이는 구결점의 문법 형태소의 대응 관계를 점도에 체계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구결점 암기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석독구결자료인지 혹은 일본의 훈점자료인지 아직 학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佐藤本 ≪華嚴文義要決問答≫이 초기 형태의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의 점도를 반영하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 자료의 점도가 진본 및 주본 ≪화엄경≫의 점도와 매우 큰 유사성을 보인다는 점, 그리고 그 유사성은 이후의 점도 발달 단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적어도 이 자료는 고려시대 ≪화엄경≫ 점토석독구결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자료임은 틀림없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Jŏmto diagrams i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has been studied.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there are two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s in the Goryŏ dynasty: Jinben Huayanjing and Zhoube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The former is estimated to reflect the Korean language before the 10th century, and the latter after the 10th century. And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is estimated to reflect the initial form of Jŏmto diagram i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Therefore, comparing the Jŏmto diagrams of them, we can see how they have developed. The Jŏmto diagram of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represents the simplest case markers and endings. The Jŏmto diagram of Jinbe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has developed to represent more complex case markers and endings by increasing locations and types of Jŏmto. However, the increased numbers of Jŏmto would have increased the burden of memory. Accordingly, the need to systematically place the Jŏmto in Jŏmto diagram would have emerged. As a result, the Jŏmto diagram of Zhoube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showed a systematic correspondence between locations and types of Jŏmto and grammatical morphemes. This paper started from the assumption that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reflects the early form of Jŏmto diagram i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However, it is not sure that this material is Korean Jŏmto Sŏkdok Kugyŏl or Japanese Kunten Siryo. But the Jŏmto/okototen diagram of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shows similarities with Jinben and Zhoube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and the similarities help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Jŏmto diagrams in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If so, at least Satoben Huayanwenyiyaojuewenda must be a material related to Huayanjing Jŏmto Sŏkdok Kugyŏl in the Goryŏ dynasty.

      • KCI등재

        口訣 硏究의 現況과 課題

        高正儀(Ko Jung Eui) 구결학회 2004 구결연구 Vol.12 No.-

        한국에서는 매우 이른 시기부터 한자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법이 발달되었다. 이 중 구결은 한문을 국어식으로 읽는 독법을 보인 것으로 읽는 방법에 따라 順讀口訣과 釋讀口訣로 구분되었다. 순독구결은 한문을 원문대로 읽으면서 그 구두에 해당하는 곳에 吐를 넣어 읽는 것으로 고려조와 조선조를 거쳐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釋讀口訣은 이와 반대로 한문을 한국어의 어순으로 조정하여 읽는 것으로 1975년 발견된 舊譯仁王經을 비롯한 5종의 자료가 발굴되었고, 이들의 문자체계와 음운론적ㆍ문법론적 특징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언어사실들이 상당히 있다. 그런데 2000년 7월 초순에 새로운 유형의 석독구결인 角筆 點吐釋讀口訣,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대체로 11세기의 국어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현재 4종 12권이 발견되었고 이들 자료 중 일부는 연구자료로 공개되었다. 그 동안 각필구결에 나타난 점토와 부호의 종류와 기능이 밝혀지고, 이들의 한자상의 위치와 그에 따른 點圖의 재구, 그리고 점토구결과 일본의 훈점과의 관계 등이 논의되었다. 본고는 이와 같이 70년대 이후 이루어진 구결 연구 성과를 字吐釋讀口訣과 點吐釋讀口訣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구결 연구를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더듬어 보았다. From a long time ago in Korea the loan-word transcription system(借字表記法) has been developed. Among those, Kugyol is usually classified into Sundok-kugyol(順讀口訣) and Seokdog-kugyol(釋讀口訣) according to its reading method. Sundok-kugyol is a method of reading Chinese texts in accordance to the original text by putting the grammatical particle(吐) in place of the phrase. It is presumed to be originated around the 12th century, but the Sundok-kugyol itself introduced by the documents of the 13th century and they are still used today. On the contrary Seokdog-kygyol is a method of reading Chinese texts by rearranging them according to the Korean word order. It was first introduced with the discover of the Kuyok-inwang-kyung(舊譯仁王經) in 1975, and now 5 types of materials show its existence. A lot of studies were made concerning the character system and the phonemics or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materials but there are still a lot of mysteries of the language not solved yet. On early July 2000, a new type of Seokdog-kugyol was discovered. It is written in Kakpil(角筆) and this is called Jeomto-seokdog-kugyol(點吐釋讀口訣). These materials show us the ancient Korean language of the 11th century, at present we have 12 books showing it. The Jeomto-kugyol(點吐口訣) usually indicates its sound and form by marking dot or line, etc., but its standard is the singlepoint. According some studies of the materials it was possible to make out a report classifying the matrix of single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However there is still a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and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esearcher.

      • KCI등재

        點吐釋讀口訣 資料의 否定法

        李勇(Lee Yong) 구결학회 2010 구결연구 Vol.24 No.-

        본고에서는 자토석독구결의 부정법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점토석독구결의 부정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토구결에서 보이는 동사문 부정의 단형부정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빼고는 대체로 자토와 점토의 부정문 실현 방식이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잘못 보았던 것에 대해 반성하고 석독구결의 부정법을 새로이 인식하는 기회를 가졌다. 첫째, 능력부정의 예로서는 예외적으로 받아들여졌던 ‘-? 不?’의 경우에는 ‘-?’로 적혀야 할 것이 ‘-?’으로 적혔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화엄경 계통 자료에 나타나는 능력부정에 대해 다른 파악의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용(2003가)에서는 ‘不能??’로 파악하였으나 본고에서는 22(-)를 고려하여 ‘不<?>能??’로 파악하였다. 셋째, 이용(2003가)에서 예외적인 것으로 보고 언급만 했던 ‘동사+-?? 不?’의 구성에서 ‘-?’이 명사 화소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grammatical negation in jeomto seokdok kugyol 點吐釋讀口訣 texts, based on results of research on jato seokdok kugyol 字吐釋讀口訣. A comparison of the two reveals that the negative forms in jeomto seokdok kugyol texts are essentially the same as those in jato seokdok kugyol.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study, the opportunity has arisen to correct previous errors and propose new interpretations of grammatical negation in seokdok kugyol texts. First, in the case of the sequence ‘-? 不?’, which is the single exception in seokdok kugyol, the possibility of an error in transcription is raised. Second, another possible interpretation of the ability negation form in the Huayanjing 華嚴經 lineage texts is proposed. Lee Yong (2003) understood this form to be ‘不能??’, but in this paper it is interpreted as ‘不〈?〉能??’ because of the marking in the position 22(-) in jeomto seokdok kugyol texts. Third, ‘?’ in the ‘verb + -??不?’ construction was regarded as exceptional in Lee Yong (2003), but in this paper it is explained as a possible nominalizer.

      • KCI등재

        韓日의 漢文讀法에 나타나는 「乃至」에 대해서

        尹幸舜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4 No.-

        韓國의 口訣資料에 있어 「乃至」의 讀法은 여러 發展段階를 보이고 있다. 角筆點吐釋讀口訣資料와 墨書字吐釋讀口訣資料에서 「乃至」의 讀法은 모두 釋讀하고 있으며, 이러한 釋讀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즉----에 이르기까지」의 意味를 나타내는 「乃? ----至?」와「乃??? ----至?」같은 分離形이며, 다른 하나는 角筆點吐釋讀口訣에 나타나는 「乃至?」와 墨書字吐釋讀口訣에 나타나는 「乃???至?」와「乃?至?와 같은 統合形이다. 그러나 후세의 墨書字吐音讀口訣에 있어서 「乃至」의 讀法은 音讀하게 된다. 즉 韓國의 口訣資料에서 「乃至」의 讀法의 발전 段階는 「乃?----至?ㆍ乃至?」에서「乃???----至?」와「乃? ----至?ㆍ乃?至?」를 거쳐서「乃至」의 音讀으로 定着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日本의 訓點資料에 있어「乃至」는 同一資料 안에서도 釋讀과 音讀이 함께 사용되고 있어 韓國의 釋讀口訣資料에 있어서 「乃至」의 讀法과는 다르다. 그 釋讀의 形態는 「乃チ----ニ至ルマデニ(----에 이르기까지)」의 分離形과 「乃至(ナイシ)----マデニ(----까지)」의 音讀과 釋讀이 混合된 分離形과 「----マデ(까지)」가 첨가되지 않은 「乃(スナワチㆍイマシ)----至ル」의 分離形이 사용되고 있다. 「乃チ----ニ至ルマデニ」와 「乃至(ナイシ)----マデニ」의 分離形 중에서 오래된 資料에 있어서는 前者의 釋讀의 分離形이 많이 常用되고 있다. 또한「----マデ」가 나타나지 않는 「乃(スナワチㆍイマシ)----ニ至ル(----에 이르다)」의 形態는 九世紀 資料에는 나타나지 않고, 그 以後의 資料에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의 「乃至(ナイシ)」의 音讀은 九世紀 資料에서도 常用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의 訓點資料에서는 釋讀보다 音讀이 一般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韓國의 口訣

        鄭在永(Chung Jae-young)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7 No.-

        韓半島에서는 오래 전부터 古代 東아시아의 公用文語인 漢文의 사용은 물론, 漢字를 이용하여 韓國語를 表記하는 노력도 있었다. 韓國의 借字表記法은 固有名詞 表記法서 출발하여, 漢文을 自國語로 解釋하고 나아가 漢字를 이용하여 自國語의 文章을 表現하는 수단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것은 다른 文字를 이용하여 自國語를 표현하거나 다른 나라 말을 자국의 文字를 가지고 표현하려고 한 많은 나라들에서 나타나는 普遍的인 현상이다. 文章 表現의 初期 段階에서는 漢文의 語順과 韓國語의 語順이 다른 점을 인식하고 漢字를 韓國語의 語順으로 바꾸는 것만으로 우리말을 표현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되고, 점차 助詞나 語尾까지도 表記에 반영하여 吐를 記入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韓國의 口訣은 漢文을 우리말로 飜譯하거나 解釋하면서 읽는 방식으로, 韓國의 漢文 讀法 방법으로 개발된 것이다. 韓國의 口訣은 新羅 義相(625年-702年) 時代부터 발달된 것으로 보인다. 口訣은 符號口訣과 釋讀口訣, 音讀口訣 등 크게 세 가지 정도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이 편리하다. 물론 符號口訣은 釋讀口訣이나 音讀口訣과는 그 分類 基準이 같지는 않다. 그러나 口訣文字를 사용한 釋讀口訣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前부터 漢文을 訓讀할 때 사용되는 등, 漢文讀法史에서 중요한 意味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 點吐나 符號를 사용하는 後代의 符號口訣 중에는 音讀口訣的인 성격을 띠는 자료도 있다. 이 글에서는 韓國에서의 口訣의 發生과 口訣의 種類 등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검토한 다음, 符號口訣과 釋讀口訣, 音讀口訣 등으로 순서로 各各의 性格과 그 특징도 밝혔다. 그리고 口訣文字의 文字論的인 意義와 성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口訣文에 사용되는 口訣文字는 借字表記의 전통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문자이다. 즉, 漢字의 略體字나 필획이 단순한 草書體 등에 의거하여 만든 우리의 독창적인 음절문자이다. 口訣文字는 우리가 많이 사용해 왔던 漢字에서 특히. 借字表記에서 많이 써 왔던 글자를 바탕으로 하여 만든 문자로, 音節文字의 성격을 띤다. 口訣文字는 기본적으로 모두 다 音假字이거나 訓假字이다. 한국의 借字表記去에서 독창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末音添記法은 다른 漢字文化圈에서 발생한 음절이나 單位音을 표시하는 방법과도 다른 것인데, 釋讀口訣이나 符號口訣에서도 末音添記法을 쓰고 있다. 日本의 假名도 口訣文字와 같은 범주에 속하는 문자이다. 실제로 한국의 口訣文字와 일본의 假名은 여러 면에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文字發達史에서 구체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 口訣文字와 假名은 文語인 漢文을 各自의 言語로 解釋하고 飜譯하는 과정에서 漸進的으로 발생하여 발전한 것이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 兩國은 漢字를 借用하여 自國語를 표기한 借字表記法에서도 공통적인 발전 단계를 보인다. Classical Chinese writing has been read and understood on the Korean peninsula for a long time. Likewise, efforts to write Korean language using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practices of writing in classical Chinese, the common textual medium of East Asia, date to ancient times. Techniques of using Chinese characters to write Korean are known as 'loan character transcription systems' (借字表記法, Chaja pyogibeop). Loan character transcription systems in Korea started with the transcribing of proper names. The next step involved the practice of interpreting or read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vernacular; finally, methods were developed for writing sentences in the vernacular using Chinese characters. These practices represent a universal phenomena, found in many nations and periods of history, whereby a foreign writing system is used to transcribe an indigenous language, or an indigenous writing system is used to transcribe a foreign language. In Korea, the initial stage of sentence-unit transcriptions involved simply transposing Chinese character texts from Chinese word order into Korean; this evolved to a stage where grammatical particles and endings, so-called to (吐) in Korean transcription tradition, were inserted into the text Kugyol(口訣) developed as a method of facilitating the translation or interpretation of Chinese texts in Korean as they are read. Kugyol appears to date from the time of the Shilla monk Uisang(義湘, 625-702). Kugyol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asic types: Symbol-kugyol(符號口訣, Buho-kugyol), Seokdok-kugyol(釋讀口訣, translation kugyol), and Eumdok-kugyol(音讀口訣, transliteration kugyol). Of course, the criteria for defining symbol-kugyol are not the same as those used for defining seokdok-kugyol and eumdok-kugyol. But, I classify kugyol into three types because symbol-kugyol had come into general use before seokdok-kugyol was in common use. Early symbol-kugyol materials have the same peculiarities as seokdok-kugyol, but after the 14th century, symbol-kugyol materials mostly have the same peculiarities as eumdok-kugyol, Symbol-kugyol materials can be subclassified depending upon the tool used to record the text. Thus Gakpil(角筆, stylus) symbol-kugyol uses a wooden stylus to make small perforations in the paper as reading marks, so-called Jeomto(點吐) in Korea, while ink symbol kugyol(墨書符號口訣) uses black, vermilion, or white ink to enter the reading marks. Symbol-kugyol visualizes the space demarcated by a Chinese character as a rectangle. The reading marks used in symbol-kugyol are made up of dots and lines or combinations of these basic marks. A single dot is the basic reading mark in symbol-kugyol, In this article I describe the origins of kugyol and its subtypes, and then explai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ymbol, seokdok, and eumdok kugyol, I als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kugyol characters from the standpoint of writing system theory. Kugyol characters have been derived from traditional loan character transcription systems in Korea. They are syllabic characters, created from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by omitting certain strokes, or by using cursive forms. Kugyol characters are basically either 'eumgaja'(音假字) or 'hungaja'(訓假字). Japanese kana are the same kind of characters as kugyol characters. Actually, kugyol characters and kana have a lot of cornmon features, and besides kana is closely connected with kugyol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written characters.

      • KCI등재

        ‘爲’에 懸吐되는 口訣字와 機能

        金星周(Kim Seong-Ju) 구결학회 2005 구결연구 Vol.15 No.-

        高麗時代 國語의 文法을 論議하기 위해서는 字吐釋讀口訣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字吐釋讀口訣을 연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겠지만 原文에서 다양한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고 또 이것이 구결에 잘 반영되어 있는 단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도 釋讀口訣의 문법적 특징을 밝히는데 유용한 방법이 된다. ‘爲’는 字吐釋讀口訣에서 多樣하게 懸吐 된다. ‘爲’에 다양한 구결이 현토되었다는 사실은 口訣 懸吐者가 ‘爲’를 다양하게 해석했다는 증거가 된다. 字吐釋讀口訣에 나오는 ‘爲’는 크게 ‘위하다, 삼다, -고자/려고 하다, 하다, 되다’로 해석된다. 각각의 의미에 대한 ‘爲’자의 현토 방식은 다음과 같다. ‘위하다’에는 ‘(NP?) {爲}三/?(??)’, ‘삼다’에는 ‘NP1?/[NP + 以]/[S ] ? (?/?) NP2 {爲}?’, ‘-고자/려고 하다’에는 ‘동사 어간+{爲}?’, ‘하다’에는 ‘(NP)+{爲}??/??-’, 피동을 포함하는 ‘되다’에는 [화엄경]과 [화엄경소]에서는 ‘NP??{爲}????-’로 [유가사지론]과 [합부금광명경]에서는 ‘{爲}NP??????-’와 ‘NP? 爲?-’ 등이다. To study the grammar of Classical Korean in Goryeo Dynasty, we must investigate Jato-Seokdok-Kugyeol(字吐釋讀口訣)(henceforth, JSK). Its because we has no data excepting the JSK We can not study the old Korean grammar leaving out the JSK. We can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old Korean in Goryeo Dynasty by investigating into JSK.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Kugyol(口訣) and its function anno-tated at the letter of wei(爲) or wei(爲). The letter wei(爲) or wei(爲) has various meaning and it was reflected in JSK. But unfortunately, there was no marking for tone(聲調) in JSK and I can not help writing wei (爲) for wei(爲) or wei(爲). The letter wei(爲) was annotated by 9 Kugyol(口訣), which are 三,?/?(??), ?, ?, ??, ??, ??, and ?. The meaning of wei(爲) or wei(爲) is classified into 5 types. They are as follows; The first one is ‘for the purpose of or in order to’, in this case wei (爲) is annotated like {爲}三/?(??). The second one is ‘to make or to regard as’, in this case wei(爲) is noted like ‘NP₁? NP₂{爲}三/?(??)’. The first NP, i.e. NP₁? is some-times substituted for the clause introducing y?(以) or gugyeolja -?, -??, and -??. The third one is ‘to intend to’, in this case wei(爲) is annotated like ‘Verb stem +{爲}?’. The forth one is ‘to do’, in this case wei(爲) is annotated like ‘爲??/??-’. But in this case, again, wei(爲) is more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is the case for representing the concrete meaning of ‘to do’ i.e. ‘to make’ and the other for representing the abstract meaning of ‘to do’ itself. The last one is ‘to be or to become’, in this case wei(爲) is differ-ently annotated according to its source. In Tafangkuangfohuayenchingsu (大方廣佛華嚴經疏) vol. 35. and Buddh?vata?saka-mah?vaipulya-s?tra(大方廣佛華嚴經疏) vol. 14., the wei(爲) meaning ‘to be or to become’ is annotated like NP??/VP????{爲}????-. The difference between VP?? and NP???? is that the NP is original noun or not. In Yogac?ra b??mi(瑜伽師地論) vol. 20. and Hopuchinkuangmingching(合部金光明經) vol. 3., the wei(爲) meaning ‘to be or to become’ is annotated like NP??/VP???? {爲}????- and the wei(爲) functioning passive marker is annotated like NP? 爲?-. The former represents the general verb ‘to become’ and the other has relation to the passive meaning of it.

      • KCI등재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所’구문과 ‘者’구문의 현토 양상에 대하여 -한문 원문의 ‘所+VP’구성과 ‘VP+者’구성을 중심으로-

        김경혜 구결학회 2022 구결연구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marking forms of grammatical word '所' and '者' in Jatoseokdokkugyol of the Goryeo period.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the marking forms of '所+VP' construction and 'VP+者' construction, which form an relative clause in combination with the verb phrase in the Source Text. '所' and '者' are grammatical elements that share the function of forming a relative clause in combination with verb phrase. But '所+VP' construction was consistently revealed only as the construction of noun phrase('VP-/ 所') that were externally exposed in the Seokdokgugyeol, whereas the 'VP+者' construction was revealed as a noun phrase('VP-', 'VP-()') or the adnomial composition('VP-/() 者') depending on the context. The reason why '所' and '者' that share the same function as a sign of relative clause, differ in the marking forms was to be explain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in typological differences of the relative clause and the speed of grammaticalization. A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所' and '者' differ in the timing of grammaticalization, so '所' was completed relatively later than '者'. Accordingly, in this paper, it was estimated that the 'VP+者' construction was revealed in various configurations rather than the '所+VP' construc- tion as a result of the "syntactic equivalence" and the Seokdokgugyeol's marking formers oriented to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rather than the '所+VP' construction. 본고는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한문에 사용된 허사(虛辭)들 가운데 관계문 표지로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所’와 ‘者’가 석독구결에서 어떻게 현토되었는지 그 양상을 비교·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한문에서 동사구와 결합해 관계절을 형성하는 ‘所’관계절(‘所+VP’구성)과 ‘者’관계절(‘VP+者’구성)의 현토 양상에 초점을 둔다. 한문의 허사 ‘所’와 ‘者’는 동사구와 결합해 관계절을 형성하는 기능을 공유하고 있는 문법 요소이다. 하지만 한문 원문의 ‘所’관계절과 ‘者’관계절은 석독구결에서 현토되는 양상에 차이를 보인다. 즉 ‘所+VP’구성은 석독구결에서 ‘所’가 외형적으로 노출된 명사구 구성(‘VP-/ 所’)으로만 일관되게 현토되는 데 반해, ‘VP+者’구성은 문맥에 따라 명사구 구성(‘VP-’, ‘VP-()’) 또는 관형 구성(‘VP-/() 者’)으로 현토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관계문 표지로서 같은 기능을 공유하는 ‘所’와 ‘者’가 석독구결에서 현토 양상에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관계절의 유형론적 차이와 허사의 문법화의 진행 속도에 따른 차이에 주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所’와 ‘者’는 문법화의 시기에 차이가 있어 ‘所’가 ‘者’보다 상대적으로 늦게 문법화가 완성되었다. 석독구결의 한문 원문을 살펴보면, ‘所’는 문법화를 경험한 관계사 표지로서의 허사 ‘所’와 문법화 이전의 용법을 가진 명사 ‘所’가 병존(竝存)하지만, ‘者’는 관계사 표지 이외에 관계사에서 문법화가 더 진행된 허사 ‘者’의 용법 역시 확인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허사 ‘所’의 경우 통사적 등가를 중시한 현토를 지향하고, ‘者’의 경우에는 석독구결 현토자들이 통사적 등가보다 문맥의 이해에 따른 현토를 지향한 결과 ‘VP+者’구성이 ‘所+VP’구성보다 다양한 구성으로 현토된 것으로 추측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고에서는 한국어 관계절이 외부 관계절(External Relative Clause)을 형성하는 데 반해 ‘所’관계절은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을 형성하는 유형론적 차이가 있어, 석독구결에서 ‘所’가 외형적으로 노출되어 현토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