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인의 인식과 꿈풀이에 나타난 동물 상징의 상관관계 연구

        박현지(Park Hyun-Jee)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3

        시대와 성별을 막론하고 인간은 꿈을 꾸며, 꿈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인간은 꿈을 아주 오랫동안 신기한 것으로 여겼으며, 꿈풀이 역시 신비하고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일종의 예언적 도구로 여겨졌던 꿈은 심리학이라는 학문적 바탕에 근거하여 연구되기 시작한다. 이것은 인간의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문제를 꿈 언어를 통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 사실들은 언어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언어학적 관점에서 학자들은 꿈이라는 상징을 언어로 표현했을 때 꿈풀이가 항상 민족적, 문화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꿈에 나타난 동물의 상징성은 통시적 관점에서 그 의미나 상징의 변화가 적고 문화 함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 언어학에서 꿈에 대한 연구는 아주 미미한 수준이며, 그 근거 또한 충분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 러시아인들의 일반적 인식과 꿈풀이 상징성의 비교를 통해 꿈풀이 텍스트에 나타난 동물의 상징성 연구를 문화언어학적 측면에서 새롭게 적용시켜 그 의미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을 위해 러시아 민속학과 문학에서 널리 제시되고, 러시아 세계상이 잘 반영되어 있는 14가지 동물의 꿈풀이가 사용되었으며, 꿈풀이 상징성의 평가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였다: 긍정 - 비둘기, 제비, 암소, 긍정과 부정 - 독수리, 수소, 돼지, 집토끼, 암탉, 개, 수탉, 부정- 쥐, 여우, 늑대, 까마귀. 꿈풀이 상징성에서 긍정적인 부분만을 나타내는 동물들의 경우, 일반적 상징성에서도 월등히 긍정적인 상징성만을 나타내며, 이것은 전반적인 평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꿈은 좋지 않은 일들을 예견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상징성(26) 보다는 부정적인 상징성(30)이 더 많이 관찰된다. 그리고 일반적 인식과 꿈풀이의 공통된 상징성의 경우, 긍정적 평가가 16개, 부정적 평가가 20개이다. 이것은 꿈풀이 상징성과 일반적 상징성과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준다. 또 꿈풀이 상징성과 일반적 인식 사이의 공통적 상징성들 중 많은 부분이 미신이나 징조, 비교사전, 상징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상징들이며, 이것은 꿈풀이 상징성들이 여러세데에서 나타난 문화를 함축적으로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지석묘의 축조배경과 상징성

        윤호필 한국청동기학회 2017 한국청동기학보 Vol.21 No.-

        지석묘는‘거석문화(巨石文化)’의 한 종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묘제 중 하나이 다. 지석묘의 가장 큰 특징은 분묘축조에‘거석(巨石)’을 채택한 것으로, 분묘의 외형적 형태와 외·내부구 조, 축조방식 등이 신석기시대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이는 지석묘가 단순히 시신만을 매장하는 구조물이 아니라 분묘자체가 하나의 상징적 의미를 가진 기념물이 되는 것이다. 즉, 분묘의 기능이 ‘단순매장’에서 ‘상징적 기념물’로 확대되는 것이다. 또한 그에 따른 축조과정이나 장송의례 과정도 ‘가족단위’에서 ‘취락단위’의 중요한 행사(축제)로 확대된다. 이러한 분묘양상의 변화는 청동기시대의 중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며 그 배경은 크게 농경발달로 인한 생계경제의 변화와 대규모취락의 등장, 취락간 네트워크형성, 계층화의 진전 등 사회구조적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상징성은 지석묘의 상징성과 부장품의 상징성으로 구분된다. 지석묘의 상징성은 지석묘를 ‘거석(석재)의 채용’과 ‘기념물적 분묘의 등장’이라는 관점에서 형태, 규모, 배치, 입지, 구조 등을 검토하였다. 기본적으로 주재료인 ‘돌(石)’의 견고성과 영원성을 바탕으로 ‘거석사상’과 ‘애니미즘사상’이 지석묘 상징성의 바탕이 된다. 이와 더불어 ‘상석’과‘ 묘역’은 형태, 구조, 규모를 통해 묘표석, 제단, 교통로 표지석, 농경사회의 기념물, 취락의 경계, 가매장시설 등의 다양한 상징성을 표현한다. 부장품의 상징성은 ‘내세관 및 장송의례’의 관점에서 부장품과 의례품의 관계, 부장품 종류에 따른 상징성 등을 검토하였다. 부장품은 내세를 위한 것이며, 의례품은 분묘축조나 피 장자를 떠나보내는 장송의례 과정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성격에 따라 사용되는 시점이나 기능, 용도, 형태 등이 차이가 난다. 부장품은 대부분 완형으로 피장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시신과 함께 매납된다. 의례 품은 분묘축조 과정의 안전과 피장자를 떠나보내는 슬픔, 부정방지와 정화의 의미에서 행해지며 대부분이 편으로 확인된다. 부장품의 종류는 무기류(비파형동검, 동촉, 동모, 석검, 석촉), 용기류(적색마연토기, 가지 문토기), 장신구(옥)가 중심을 이룬다. 전자는 내세에서의 안전과 안녕을 기원하는 것으로 후자는 이를 보조하는 역할로 생각된다. 또한 부장품의 종류나 재료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위계화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계층화의 진전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된다. Dolmen is a type of‘megalithic culture’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burial systems in the Bronze Age.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dolmen is adopting a megalith to build a tomb, and the method and structure of building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ew Stone Age. It means that dolmen is not a mere structure to bury the body but the tomb itself forms a monument equipped with symbolic meaning. Therefore, the function of a tomb is extended from‘simple burial’to‘a symbolic monument’. Moreover, the processes of construction or funeral rites are also extended to a crucial festival of from ‘the family unit’to‘the settlement unit’. This alteration of tomb aspects is genuinely found from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In the background, socio-structural changes, for instance, the alteration of living and economy resulted from agricultural development, emergence of a large settlement, formation of a network among settlements, and progress of stratification, did play important roles. Symbolicity is distinguished from dolmen’s symbolicity and burial goods’symbolicity. In the symbolicity of dolmen,‘the idea of a megalith’and‘the idea of animism’grounded on the main component, stone’s solidity and perpetuity form the main part. Through their forms, structures, and scales,‘the capstone’and‘tomb area’express a variety of symbolicities such as myopyoseok, altars, sign stones on traffic routes, agrarian society’s monuments, borders of settlements, and temporary burial facilities. Burial goods’symbolicity is differentiated from burial goods and ritual goods. Burial goods are mostly gradual and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uried person and are buried with the body. Ritual goods are found mostly as pieces, and they were used as a meaning of getting rid of sadness, misfortune, or any dirtiness to wish for safety and say good-bye to the buried person in the process of building and managing the tomb. The types of burial goods are mainly weapons, bowls, and accessories, and some of the tools or farming tools are also found. The former is to wish for safety and well-being in next life, and the latter seems to have played auxiliary roles. A lso, t he t ypes o r m aterials o f burial goods show difference as they reflect the difference of classes and progress of stratification.

      • KCI등재

        『몽골비사』에 나타난 숫자의 상징성

        장장식(Jang Jang-Sik),D.Ulziibat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숫자는 수를 가리키는 기호이며 기본적으로 수량을 지시한다. 그러나 숫자는 문화적으로 여러 가지 상징의미로 확장되어 쓰인다. 이 글은 몽골 최초의 문헌기록인 『몽골비사(蒙古秘史)』에 나타나는 숫자 3과 9의 용례를 통해 몽골인의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숫자 1은 협력과 강화라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홀로, 멸망, 약화’ 등의 부정적 의미로도 쓰인다. 숫자 4는 공간적, 위치적 상징성을 가리키는 데 쓰이며, 충성과 신뢰의 의미를 담고 있다. 숫자 7 역시 공간적, 시간적 상징성을 가리키는 데 쓰이며, 설화에서는 ‘악화, 낙후, 빈곤’의 부정적 의미를 갖는다. 숫자 13은 샤머니즘의 전통과 관련된 숫자이며, 최고의 신성성을 담는 민속적 상징으로 현재하고 있다. 『몽골비사(蒙古秘史)』에 나타나는 숫자 3과 9의 용례를 통해 역사적으로 3과 9에 어떤 상징성을 담았는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숫자 3은 ‘아주 멀리’라는 공간적 의미와 함께 시간적인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3일로 시간을 정하고, 3일을 두고 약속을 하는 용례들은 3이 지닌 완전성을 바탕으로 특정의 사건을 기술하는 관용적 표현으로 자리잡고 있다. 둘째, 숫자 9의 쓰임은 역사적으로 B.C. 3세기의 흉노(匈奴, Huns) 유물에서 찾을 수 있듯이 고대의 관념과 연결되어 있고, 신앙적으로는 샤머니즘적 사유를 기반으로 한다. 숫자 9는 ‘하늘, 천신, 황제’의 상징성을 담고 있으며, ‘최고의 수, 최상의 수, 하늘의 수’로 확대하여 우주적 상징성을 함의한다. 이 글의 주된 대상인 『몽골비사』 외의 민속자료를 들어 숫자 관념 및 상징성을 살핀다면 더욱 풍성한 숫자 상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숫자 3은 몽골인의 일상과 민속현장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길수(吉數)이고, 3의 3배수인 9는 ‘하늘의 수’ 또는 ‘인간에게 있는 하늘 힘의 최대치’를 상징하여 ‘가장 큰 수’, ‘완전한 수’로 간주한다. 몽골의 겨울추위를 설명할 때, ‘첫 9일’에서 ‘아홉번째 9일’까지 계산하는 셈법(9×9=81)도 이런 상징의 표현이다. 브랴트(Buryat) 족 무당이 행하는 굿 차나르(chanar) 제장(祭場)에서는 81그루의 자작나무를 세우는 것이나 9명의 보조무(yesunchin)를 쓰는 것도 이런 상징성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민속현장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숫자 상징이다. 99천신의 경우, 9×9가 아닌 99로 읽어야 하며, ‘최대, 최고, 최상의’ 의미를 상징한다. The number is indicating the sign which fundamentally represented the quantity. However, the number culturally is used to expand for the symbol meaning of various culture. This article have focused on the mongolian symbolism through its literature records of the first Mongolia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as shown the numbers on the 3 and 9. The number 1 is used a cooperation and reinforcement on the positive aspects. Also it is used in the negative meaning such as ‘alone, destroy, weaken’. The number 4 is used in a spatial and geographic symbolism that has some meanings such as the loyalty and trust. The number 7 is used a spatial and temporal symbolism as well. The tale has the negative meaning of ‘worse, backwardness, poverty’. The number 13 is associated with the tradition of shamanism that it is the best divine nature with the ethnic symbol. Through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as shown the examples of the numbers on the 3 and 9, the numbers on the 3 and 9 historically discussed what they mean to include for meaning of symbolism. Firstly, the number 3 is ‘very far’ with a spatial meaning which is containing the symbol of time. Especially, the time decide for 3 days which is usual the examples of promise what kind of event description with expression. Secondly, the number 9 is historically related to ancient notion that it can be found the relics from the Huns in the 3rd century B.C. The reason of shamanistic term is based on faith. The number 9 is putting in the symbol of ‘Heaven, God, Emperor’ which includes the meaning of ‘the best number, the top number, the number of sky’. The main theme of this article is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ia」. However, if other folk references go over ideas,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abundant about the symbolism of numbers. For example, the number 3 can easily find the daily routine of Mongolian and the field of folklore. Again, 9 is multiples of 3 which completes the symbol of ‘the number of heaven’ or ‘the maximum force of heaven for human’ about ‘a considerable number’, ‘a complete number’. When the weather of Mongolia explain for the cold winter, those symbols represent to count the calculation(9×9=81) from ‘the first 9 days’ to ‘ninth on 9 days’. To exorcise shaman of the Buryat family for Chanar, the chief priest is used to set up 81 birch trees and Yesunchin of 9 people which is based on symbolism. Those cases can be easily found in the field about the number symbol.

      • KCI등재

        상징성의 형태와 표현에 관한 연구

        고재성(Koh, Jae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논리적 가설에 의한 상징성의 정도를 이해함과 동시에 상징적 형태가 갖는 의미와 소통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준거를 탐구함으로서 디자인 비평을 위한 보편적 상징체계를 이해함에 있다. 형태는 직선으로 구성된 형태와 곡선으로 구성된 형태 그리고 직선과 곡선으로 구성된 형태로 구분된다. 표현된 형태는 상징성을 갖는다. 상징성은 형태적 측면과 표현적 측면에서 분석된다. 형태적 분석은 소통과 의미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준거이고, 표현적 분석은 논리적 가설에 의한 상징성의 정도를 이해하는 방법이다. 형태적 분석은 감각과 지각에 관한 과학적 이해가 요구되고, 표현적 분석은 라캉의 이론, 변증법적 논리, 게임이론, 베이스 정리, 정보이론, 게슈탈트 등의 이해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요구되는 부분을 이해하고, 올림픽 엠블럼을 대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확률적 상태에 있는 표현의 논리적 결합관계를 분석하면 상징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징성의 정도는 의미적 잡음이 발생할 확률과 관계한다. 즉 상징성의 정도가 높다는 것은 의미적 잡음이 발생할 확률이 낮다는 것이다. 즉 수신자가 해석할 정보가 없거나 적다는 것이다. 즉 형태에 특이점이 없거나 적다는 것이다. 상징성의 정도가 높은 형태의 표현적 속성은 은유이다. 은유에 의해 상징화된 형태는 의미보다 소통의 가치를 추구한 것이다. 상징성의 정도가 낮다는 것은 의미적 잡음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즉 수신자가 해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3석할 정보가 많다는 것이다. 즉 형태에 특이점이 많다는 것이다. 상징성의 정도가 낮은 형태의 표현적 속성은 환유이다. 환유에 의해 상징화된 형태는 소통보다 의미의 가치를 추구한 것이다. 가치판단의 척도는 특이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niversal symbol system for design criticism by understanding the degree of symbolism by logical hypothesis and exploring the criteria that can judge the meaning of symbolic form 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 The form is divided into a form composed of straight lines, a form composed of curves, and a form composed of straight lines and curves. The represented form has symbolism. Symbolism is analyzed in terms of morphological and expressive aspects. Morphological analysis i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value of communication and meaning, and expressive analysis is a way of understanding the degree of symbolism by logical hypothesis. Morphological analysis requires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senses and perception. Expressive analysis requires understanding of Lacan"s theory, dialectical logic, game theory, Bayes"s theorem, information theory, and Gestalt.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of understanding the required parts through the literature and analyzing the Olympic emblem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By analyzing the logical conjunction of expressions in probabilistic states, the degree of symbolism can be grasped. The degree of symbolicity is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emantic noise.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symbolism,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emantic noise. That is, the recipient has little or no information to interpret. That is, there is no singularity in shape or it is small. The expressive attribute of a form with a high degree of symbolism is metaphor. The form symbolized by metaphor pursues the value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meaning. The low level of symbolism means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emantic noise is high. That is, the recipient has a lot of information to interpret. That is, there are many singularities in the form. The expressive attribute of the form with low degree of symbolism is metonymy. The form symbolized by metonymy seeks the value of meaning rather than communication. The measure of value judgment is singularity.

      • KCI등재

        브랜드 로고타입 디자인을 위한 타이포그래피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코바코(COBACO) 리뉴얼 사례를 중심으로 -

        신재욱,송영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3

        오늘날엔 제품의 속성이나 기능보다는 브랜드가 미치는 영향력이 과거보다 훨씬 더 크다. 강력한 브랜드의 구축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형성된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의 기술력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브랜드에 대한 정보의 커뮤니케이션 접근 방식이 과거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신규 브랜드가 생겼을 때 어떤 업체인지 파악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기억되기 어렵다. 현대에는 브랜드의 영역에서 타이포그래피가 문자속성을 넘어서서 상징적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다. 기존에는 타이포그래피와 상징성의 관계가 심볼과 로고타입으로 분리되어서 생각되어져 왔다. 최근에는 타이포그래피 자체가 심볼과 로고타입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은 물론 기업자체의 아이덴티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시대에 맞는 소비자들의 감성 및 심리적 지각체계에 입각한 독창적 상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쉽고 빠른 의미전달을 위한 타이포그래피와 상징성에 관계를 연구하며, 사례분석으로 소비자들의 기억 속에 독창성과 주목성을 더 강하게 부각시키는 요인을 알아보며 문헌 연구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시각적 상징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제안 대상으로는 소상공인진흥원 프랜차이즈 시스템 개발 지원과제인 일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코바코의 리뉴얼 사례이다. 실제 리뉴얼 개발한 사례를 토대로 타이포그래피의 독창적인 상징성에 관한 연구의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소비자들은 브랜드 발전에 있어 지속적인 개발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둘째, 브랜드를 인식하는데 있어 응답자 수의 절반 이상이 브랜드 로고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심볼과 타이포가 결합된 이미지 형태의 상징적인 브랜드 로고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리뉴얼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브랜드 로고를 상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징성, 신뢰성, 독창성의 3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개발 후 리뉴얼 전․후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조사 결과 리뉴얼 후의 디자인이 3가지 요소(상징성, 신뢰성, 독창성)를 모두 충족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 상징성을 가진 타이포그래피는 독창성과 유희성을 형성하고 있고 이로 인해서 소비자들에게 오랜 기억으로 남을 수 있다. 따라서 빠르고 효과적인 의미전달을 위해 타이포그래피와 상징성에 관계성과 구성요소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징성을 가진 타이포그래피는 시각의미전달이라는 일차원적 목적이외에도 브랜드의 부가적 의미를 형성하게 된다. 시각 의미 전달성을 지닌 브랜드 로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주목성과 차별성을 부여하여 신속히 받아들여지고 오래 기억되며, 그로 인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아이덴티티를 형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impact of brands, rather than the attributes or functions of products, have become more significant. A strong brand will be established through various media. A method of approaching to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on brands shows different aspects from the past method because a technical power of multimedia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their types have been diversified. In the modern time, typography is expressed as a symbolic image beyond letter attribute in the area of brands. The ultimate objective of a brand is to imprint a positive identity in the memory of consumers. Prev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typography and symbolism has been considered, separating a symbol and a logo type. However, recently, typography itself performs the functions of a symbol and a logo type at the same time, and shows a trend specifying the identity of a company itself. Therefor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creative symbolism based on the emotional and mental cognition system of consumers suitable to the era. Typography with symbolism forms creativity and entertainment, and thus can be deeply memorized by consumer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ypography and symbolism and the components for rapid andeffective conveyance of meanings. Typography with symbolism can form additional meanings of a brand in addition to the primary purpose of conveyance of visual meanings. In other words, typography having conveyance of visual meanings can be rapidly accepted and memorized for a long time through the provision of attractiveness and differentiation, which ultimately leads to consumers’formation of a positive ident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ography and symbolism for more rapid and easier conveyance of meanings, and also researched the factor thathighlights creativity and attractiveness in the memories of consumer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a systematic development process for visual symbol, based on the literature studies and cases studies. Finally, this study verified the usefulness of visual symbol assessment tools by simulating the part of visual symbol assessment.

      • KCI등재

        영화 분장 캐릭터의 녹색 상징성 연구

        채송화(Chai, Song Wha),신세영(Shin, Sae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녹색이미지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3편(헐크, 마스크, 그린치)을 선정하여 녹색의 색채 상징성을 통해 영화 속 특수 분장 캐릭터의 특성 및 이미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정확한 의도와 캐릭터의 효과적 해석을 위해서 캐릭터이미지의 색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인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영상매체인 영화 속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난 색채 상징성을 선행 논문을 통하여 고찰하여 캐릭터분장에 대한 접근 방법을 체계화 하여 제시하였다. 녹색이미지의 색채상징성을 변형성, 타자성, 악마성, 기괴성으로 분류하였고, 캐릭터 분류기준을 제시한 연구로 정은영(2013), 윤고운(2013), 장미숙(2004)의 연구를 토대로 특수 분장 캐릭터의 녹색이미지의 색채 상징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헐크’는 청색이 가미된 녹색을 사용하여 낯선 이미지를 표현하였으며, 캐릭터의 상징성과 색채이미지는 자유, 성장, 생동감, 불안, 공포, 두려움, 경계 대상 등이었다. 녹색캐릭터 헐크 분장의 연상에는 괴물, 외계인, 돌연변이, 거인 등으로 나타났다. 헐크의 녹색이미지는 극도의 흥분상태에서 괴물과 같은 이미지로 변하는 변형성과 불안한 감정이 폭발하여 이질적인 캐릭터로 바뀌어 타자성이 강조되며, 난폭하고 통제가 불가능한 파괴적 캐릭터의 전형인 악마성이 나타나고 녹색피부와 비정상적으로 확장된 거대한 크기는 기괴성을 느끼게 하고 있었다. 둘째, 영화 ‘마스크’는 코믹한 이미지 표현을 위해 노란기미가 가미된 고명도, 고채도의 녹색을 사용하였으며, 캐릭터의 상징성과 색채이미지는 자유, 젊음, 생동감, 범죄, 경계대상, 공포, 두려움, 기이함 등이었고, 녹색 캐릭터 마스크 분장의 연상으로는 가면, 외계인, 마술, 변신 등으로 나타났다. 마스크의 녹색이미지는 몸과 얼굴이 자유자재로 바뀌게 되는 변형성을 보여주며 마스크를 쓰고 나면 새로운 캐릭터로 바뀌게 되는 타자성을 느끼게 한다. 또한 초인적인 힘을 가진 불사신 같은 존재로 바뀌게 되어 악마성이 나타나며 상상만 할 수 있었던 행동을 과감하게 하는 기괴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셋째, 영화 ‘그린치’는 회색기미가 많은 칙칙한 녹색을 사용하여 비 호감 이미지를 표현하였으며, 녹색캐릭터의 상징성과 색채이미지는 미성숙, 풋내기, 비 호감, 혐오대상, 공포, 두려움, 불안함, 기이함 등이었고, 녹색 캐릭터 그린치 분장의 연상으로는 괴물, 악마, 짐승, 원시인 등으로 나타났다. 그린치 녹색이미지에는 그린치의 성격적 결함과 미성숙함이 변형된 이미지로 나타나고 혼자만 이기적으로 살아가는 타자성도 보여준다. 또 질투와 이기적인 마음이 복수심으로 나타난 악마성과 함께 인간과 동물의 경계적 불확실성으로 기괴함이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영화 속 캐릭터 특수 분장의 녹색이미지 색채 상징성을 분석하여 체계화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색채상징을 통한 특수 분장 캐릭터이미지가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므로 영화 캐릭터의 색채 상징성에 대한 분장 전문가들의 이해와 분석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t role and effects that a movie character’s color play in conveying the film’s inten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ain character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the characters’ make-up in films according to color symbolism, focusing on the color green in three films (‘The Hulk’,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 and ‘The Mask’), all of which have green-colored protagonists. This study presents how to approach the characters’ make-up systematized through looking at prior thesis written on color symbolism, which is effectively conveyed through films –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visual media – , and studying it in depth. Color symbolism of green colored image is categorized as transmutability, otherness, Satanism, and weirdness, and color symbolism of the characters’ green colored make-up i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studies of Jeong Eun Young(2013), Yoon Go Woon(2013), Jang Mi Sook(2004) that suggested the categorization standard of characters. We will discus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 the movie ‘The Hulk’ expresses an unfamiliar image by using green mixed with blue, symbolizing freedom, growth, liveliness, anxiety, horror, fear, and a cause for alarm. Images associated with The Hulk’s green of make-up turn out to be those of a monster, alien, mutant, and giant. The green image of The Hulk emphasizes transmutability, that is, the character transforms into a monster-like image when experiencing extreme excitement, and otherness when the character’s unstable emotions explode and he becomes a disparate character. Also, he suggests Satanism by his aggressive and uncontrollable characteristics and his huge green body, which is abnormally transformed and makes people feel his weirdness. Second, the movie ‘The Mask’ used a highly bright and saturated green color with a yellow tint to convey a comical image. The character’s symbolism and image suggest freedom, youth, liveliness, crime, a cause for alarm, horror, fear, and weirdness. And, the images associated with the green mask suggest a mask, an alien, magic, and transformation. The green color of the mask makes people feel transmutability, in that his body and face can freely transform their shapes, and otherness in that he becomes a totally different character after putting on the mask. In addition, he shows a satanic character by becoming an invincible character with supernatural power, and demonstrates weird behaviors, that could be only imagined in his head, without hesitation. Third, the movie ‘The Grinch’ used green with lots of grey to depict an unlikable character. The character’s symbolism and color suggest immaturity, being a novice and unlikable, a target of hate, horror, fear, anxiety, and weirdness. The associated images of the green character’s, the Grinch’s, make-up turn out to be a monster, demon, animal, and primitive man. The Grinch’s green color image illustrates the Grinch’s character flaw and immaturity, and depicts his otherness, for he lives selfishly and alone. Moreover, jealousy and an egoistic mind that turned into a feeling of vengeance demonstrate his satanic character. His weirdness comes from his uncertain species, between human and animal.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systematizing the color symbolism of the green colored images from the characters’ make-up in film by analyzing it. Since the image of the character’s make-up, analyzed by applying color symbolism,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film, this study demands a make-up artists’ understanding and an analysis of the color symbolism of certain movie characters.

      • KCI등재후보

        강원도의‘상징성’ : 지역 차별화를 위한 Peirce의 삼부이론을 통한 Visual System Design에 관하여

        전기순(Joun Gi-Soon),박승조(Park Seoung-Jo) 한국상품학회 2007 商品學硏究 Vol.25 No.3

        ‘문화의 콘텐츠화 시대’를 맞이하여 각 지역 문화의 독특한 원형을 발견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노력은 기존의 전통문화를 복원하거나 또는 그에 따른 상징적 이미지를 구현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는 마케팅에서 주장하는 차별화를 통한 브랜드의 우위점 확보와 지역문화경쟁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전략과는 무관한 문화 보존적인 차원으로만 접근을 하고 있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경쟁력을 제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의 경쟁력을 위해 타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가운데 강원도 고유의 시지각적 상징성의 원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퍼스(Peirce)의 삼부이론을 통하여 상징성을 재해석하였으며 기호사변형을 통하여 강원도상징성의 의미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호논리의 자의성(arbitrary)을 최대한 벗어나기 위해 실험조사를 통한 통계처치를 하였다. 결과적으로 강원도의 시지각적인 상징성의 원형은 다양한 조형요소가운데 ‘수평선’으로 대표되며 이는 제시된 이미지를 통하여 ‘문화적인 차원’의 상징성보다 ‘자연적인 차원’의 상징성이 보다 강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또한 선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의미가운데 ‘평화’적인 의미가 강조된 상징성임을 확인하였다. In the advent of "a cultural contents age", each local government makes strenuous efforts to find out a unique prototype of its own culture. But their efforts have been made so far only to recover the existing traditional culture or to embody a traditional symbolic images accordingly. It pursues only a cultural preservation which is entirely unrelated to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securing a local culture competition system, which fails to provide them with a competitiveness for revitalizing local econom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reanalyzed the symbolism based on Peirce"s "the model of triangle" and identified a perceptive structure of symbolism of the province of Kangwondo through a symbol quadrilateral. And this study took statistical measures through conducting an experimental survey to minimize the arbitrariness of symbolism.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visual and perceptive symbolic prototype of Kangwondo Province was represented by a "sea horizon" among various formative factors, which tells that through the image presented, the symbolism on the "natural level" is stronger than that on the "cultural level"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symbolism that emphasized the "peace" among various meanings that the goodness cherishes.

      • KCI등재

        2002 FIFA 월드컵을 통한 태극기의 상징성 변화: 문화적 일상화 및 정치적 탈권위화

        권순용 ( Sun Yong Kwon ),고은하 ( Eun Ha Koh ),임번장 ( Burn Jang Lim ),김경식 ( Kyong Sik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3 체육과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2 FIFA 월드컵을 통한 태극기의 상징성 변화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참여관찰, 면접, 내용분석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2 FIFA 월드컵은 태극기의 문화적 상징성인 심미적 표출과 감상 문화의 상징성에 영향을 주었다. 월드컵 이전 국경일, 사회행사, 그리고 스포츠 행사 등 공식적인 행사의 의식 상징(ritual symbol)에서 월드컵 이후 일상생활 속에서의 예술적, 심미적, 표출적 상징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2002 FIFA 월드컵은 태극기의 문화적 상징성인 평가적 규범 문화의 상징성에 영향을 주었다. 월드컵 이전 태극기에 대한 전통적ㆍ규범벅 예절ㆍ의식 준수에서 월드컵 이후 태극기에 대한 전통적ㆍ규범적 구속력의 약화로 나타났다. 셋째, 2002 FIFA 월드컵은 태극기의 정치적 상징성에 영향을 주었다. 월드컵 이전 태극기의 사용 규제에서 월드컵 이후 태극기의 사용 규제 완화로 나타났다. 월드컵 이전 엄숙, 존엄, 권위 등 차별의 상징에서 월드컵 이후 친숙, 자유와 열정, 자긍심 등 친화의 상징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symbolism of national flag, specially cultural and political symbolism, through the 2002 World Cup.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First, was there any change in the cultural symbolism of national flag through the World Cup? If so, how was it changed? Second, was there any change in the political symbolism of national flag through the World Cup? If so, how was it changed?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Based on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2002 FIFA World Cup influenced the aesthetic expression and symbolism of the appreciative culture in terms of the cultural symbolism of national flag. It was changed from ritual symbol of official ceremony in national holiday, social event, and sport event before the World Cup to artistic, aesthetic, and expressive symbol in ordinary occasions after the World Cup. In other words, the ways of using national flag had been found in the uniform and special events before the World Cup. After the World Cup, however, it was changed into various, fashionable, and artistic forms in fashion, concert, movie, music, architecture, and living goods. Second, the 2002 FIFA World Cup influenced the evaluative norm of the cultural symbolism of the national flag. It was changed from the keeping of traditional and normative propriety toward the national flag before the World Cup to the weakening of those restrictions after. Because standard to keep moral value and propriety was changed after the World Cup, People tend to be physically and mentally free when coping with the national flag. Third, the 2002 FIFA World Cup influenced the political symbolism of the national flag. It appeared that the laws regarding the use of national flag was legislated after the World Cup. Symbols of national flag were changed from dignity and authority before the World Cup to freedom, passion, and pride after. The non-political images of national flag are being portrayed while people perceive it as an intimate and lovely object. The dignity and authority of national flag is politically disempowered.

      • KCI등재

        블랙의 상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신은진 ( Eun Jin Shin ),최현숙 ( Hyon Sook Choi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1

        현대에 접어들면서 블랙컬러는 이미지 면에서 모던한, 세련된 패션 컬러로 부각되면서 문화의 여러 장르에서 매우 애호되고 있어, 현대 패션을 이해하기 위해 블랙패션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은 필수적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블랙패션의 특성과 이미지에 대해 문헌을 통해 사적으로 고찰한 후, 현대 블랙 패션에 나타난 긍정적 이미지 중에서 여섯 가지 중심 상징성을 추출하였다. 긍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여성복 디자인 개발을 시도 하고 이를 상품으로 제작함으로써, 디자인 이론과 실제의 통합 사례를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실증적 연구, 작품제작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블랙패션이 복식사에 나타난 이미지에 대해 사적으로 고찰한 후, 현대 블랙 패션에 나타난 긍정적 이미지들 중에서 파워풀한 여성성, 부의 상징성, 화려성, 전문성, 세련성, 대중성의 주요한 여섯 가지 중심 상징성으로 범주화 하였다. 실증적 연구로 현대 블랙 패션에 나타난 상징성을 2005-2007년 해외컬렉션 발표작품을 중심으로 작품사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범주화된 중심 상징성들을 디자인요소와 소재를 활용하여 구체화 하였다. 각 상징성마다 3가지 아이템으로 구성된 총 6착장, 18가지 아이템이 디자인 개발, 상품화 하였다. 파워풀한 여성성은, 활동적이면서도 사회적으로 지위나 자존감, 당당함 등을 개성 있게 잘 표현 할 수 있는 가죽재킷의 디테일을 이용하여 여전사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부의 상징성은, 숭고미의 수직적이고 확대되어 보이는 면적의 강조의 디테일을 사용하여 무게감이 느껴지는 여성의 부와 권위와 품위를 표현하는데 디자인의 중점을 두었다. 화려성은 블랙소재의 원단의 요철감이 빛의 방향에 따라 화려하게 나타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전문성은 흑백의 대비와 남성복 테일러드 재킷의 디테일로 이용하여 전문성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세련성은 최소한의 디테일을 사용하여 심플하고 세련되어 보이는데 디자인에 중점을 두었다. 대중성은 편안하고 실용적이며 무난한 이미지를 잘 표현할 수 있는 트렌치코트의 디테일을 이용하여 기본적 아이템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어 상품을 개발하였다. 앞으로도 블랙패션이 많은 디자이너에게 창작되고 상품으로 개발되어 블랙패션의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As we enter the modern age, black has come to be highlighted as a fashion color that has a sophisticated image in terms of color image. As the color black is widely used in various genres of modern culture, a thorough inquiry into this color has become indispensable to the understanding of modern fashion.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the color black, and extracted six main themes from positive images in modern black fash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xamples of integration between design theory and practic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inquiry into the definition of the color black, its characteristics, and image in terms of color tone through literature review. Research on vicissitudes within black fashion throughout fashion history covers from antiquity to the 20th century. The positive images black fashion has in women`s fashion of late should be noted, and six significant image types have been extracted; powerful femininity, symbolization of affluence, glamour, professionalism, sophistication, and popularity. Three items for each of these six themes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positive images black fashion has in women`s fashion of late should be noted, and six significant image types have been extracted; powerful femininity, symbolization of affluence, glamour, professionalism, sophistication, and popularity. Three items for each of these six themes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current trends.

      • 조선시대 가체머리의 상징성 연구

        김현미(HyunMi Kim),김진숙(JinSook Kim),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14 뷰티산업연구 Vol.8 No.2

        머리모양은 시대에 따라 그 사회의 문화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머리모양으로 사람의 신분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은 머리모양의 구분이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기도 한 조선시대 가체머리의 상징적 연구 이다. 연구의 체제는 선행논문을 비롯한 고문헌, 고미술 등을 통해 혼인의 상징성, 신분의 상징성, 부의 상징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조선시대는 가체머리가 주를 이루면서 가체머리로 인한 상징성은 혼인유무, 신분의 차이를 구분하였으며 조선중기에는 병자호란과 임진왜란을 거치 는 동안 신분의 질서가 문란해지면서 ‘부(富)’에 따른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혼인 여부에 따라서는 처녀의 댕기머리에서 혼례를 올리면서 쪽머리로 바뀌었고, 머리숱에 따라 가체를 덧넣어 쪽을 지었다. 혼례를 올린 후에는 평소 얹은머리 모양을 하고 있었다. 신분에 따라 사대부와 궁에서는 본 두발에 가채를 땋아 얹는 얹은머리 형태인 어여 머리, 거두미, 첩지머리를 하였으며 일반 서민은 본 머리카락에 가체를 덧넣어 땋은 얹은 머리와 쪽머리를 하였으며, 특수 계층인 기녀와 관기는 가체머리를 크고 높게 올렸다. 조선중기에는 가채를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이 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므로, 부를 나타내기 위해 성중에서는 가체머리를 크고 높게 올리기 시작하며 사치풍조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가체머리는 미적 의식은 물론 신분에 따른 상징적 의미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Hair style is represented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age. In the Joseon Dynasty were also separate identity of the person with hair style. This paper is about the study of symbolic distinction also indicate the social status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recoverable paper. The review of the research system is divided into the preceding paper, including old documents, the symbolism of marriage, identity through the antiques, the symbolism of wealth. Results of the study were divided on whether or not the marriage, symbolic status differences due to the main gache hair style is the Joseon Dynasty. and the symbolic meanings also appear under the rich identity in order to As the disorderly. Depending on whether the marriage turned into a around chignon up a wedding while the hair was usually topped after marriage.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So you can see the head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aesthetic consciousness, as well as take up much of the symbolic meaning according to The Status. Capability to purchase gache hair style is differed depending on the economic. At that time gache hair style start and raise a large increase was found that the trend is to start a luxury. So you can see the head of the Joseon Dynasty gache hair style aesthetic consciousness, as well as take up much of the symbolic meaning according to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