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의 의사결정체계 개편 방향 탐색

        안재영(Jae-Yeong Ahn),김인엽(In-Yeop Kim),김지영(Ji-Young K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5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는 고용노동부의 일학습병행을 특성화고에 적용한 것으로 고용노동부와 교육부의 협력 제도이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운영과 관리는 고용노동부와 산하 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도제허브사업단 그리고 교육부, 시・도교육청과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등에서 주관하고 있다. 이러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는 학생의 만족도, 학습기업의 유지율 등에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여러 기관에서 도제학교의 운영과 관리를 나누어 담당하여 업무 내용이 즉시 공유되지 않고 의사결정이 지연될 때가 있어 도제학교 담당자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의 의사결정체계를 ‘운영・관리 체계’, ‘의사결정 절차’와 ‘관련 법과 규정’으로 구분해 문헌분석과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운영과 관리를 위한 관계 기관들의 업무가 학생과 교사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보다 이해관계에 따라 다소 복잡하게 분절되어 소통과 협력이 어려운 구조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고용노동부와 교육부를 비롯한 다양한 관계 기관들 사이에 합의와 의사결정을 위한 절차가 공식화되고 체계화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셋째, 일학습병행법에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운영 전반을 고용노동부 장관과 산하 기관에서 주관하도록 되어 있으나, 정부조직법에서는 학교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부 장관이 관장하도록 되어 있어 상응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해 각 조직의 일부 기능 조정, 의사결정 절차의 보완과 일학습병행법의 일부 개정 등이 검토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s a system applying the apprenticeship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to vocational high schoo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th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is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MOE and the MOEL. In the operation of th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system, many institutions are participating such as the MOEL and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lik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and Apprenticeship Hub Project Group of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the MO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However, the discussion and decision-making are not sufficiently performed between the MOE and the MOEL, which is pointed out as a problem with th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system.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decision-making system and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f th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system,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personnel related to th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ct on Apprenticeship is prescribing that all the operation matters of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except for designation and cancellation are supervised by the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and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decision-making system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and also to reflect the participation of government agencies that need to cooperate for the operation of apprenticeship school such as the MOE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review the partial revision of the Act on Apprenticeship.

      • KCI등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컨설팅 요구 분석 연구

        안재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2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lting demand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 high schools participating the apprenticeship system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9 sections of consulting that teachers in charge of apprenticeship program in VET high schools demanded. Especially, the demands for the consulting that related with ‘student evaluation’, ‘apprenticeship program development and organization·planning of schools’ curriculum’, ‘selection and management of enterprises’, ‘organization of apprentices classes and student management’,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and textbook development’ were relatively high.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demands of consulting by VET high schools’ current management status. By the type of organization, demands for consulting of both ‘training center in main school’ of organization and ‘training center in common’ of organization were higher than ‘independent school’ of organization generally. By the type of apprenticeship program hours, demands for consulting of both ‘above 1400 hours’ and ‘1200 ~ 1400 hours’ were higher than ‘less than 1200 hours’ generally. By the type of OJT operation, demands for consulting of ‘a type of OJT that is operated in long term(more than 2 weeks)’ were higher than ‘a type of OJT that is operated weekly’ generally. As a result from above, there are some pre-requisites for the stable operations of VET high schools. 1) The apprenticeship program shall be developed not to interrupt school’s regular curriculum. 2) For the smooth management between apprenticeship program and school curriculum, the academic calender has to be established so as the type of OJT operation. 3) The cooperation among the participating schools in part of the organization is unavoidable. 이 연구의 목적은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컨설팅 요구를 분석하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안정적인 운영에 요구되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 2차 학교 총 60개교의 도제사업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컨설팅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담당 교원들은 컨설팅 9개 영역 전반에 걸쳐서 컨설팅 요구가 있었으며 ‘학생 평가 및 신직업자격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 수립’, ‘기업 선정 및 관리’, ‘도제반 편성 및 학생 관리’, ‘교수·학습 활동 및 교재 개발‘에 대한 컨설팅 요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도제학교 운영 현황별로 컨설팅 요구의 차이가 있었다. 사업단 유형별로는 거점학교와 공동실습소형이 단일학교형보다 대체로 컨설팅 요구가 높았다. 도제 프로그램시간별로는 ‘1400시간 이상’과 ‘1200~1400시간’이 ‘1200시간 이하’인 경우보다 대체로컨설팅 요구가 높았다. OJT 운영 방식별로는 구간정시제가 주간정시제보다 대체로 컨설팅 요구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운영을 고려하여 도제 프로그램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개발할 필요가있고 도제 프로그램과 학교 교육과정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사전에 학사일정을수립하고 OJT 운영 방식을 설정해야 한다. 또한 사업단 내 참여학교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학교, 기업 관계자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정책에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중심으로

        이수정,김민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by analyzing the interest in the relevant policy, targeting the interested parties of school and corporation as the two main subjects operating th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Using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used for understanding the interested parties' interest in the adoption of a certain new changing. In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currently, the operating subjects of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showed the similar interest with the pattern of nonusers. In other words, currently, based on the curiosity about the relevant policy, they are interested in which roles they should perform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Second, when dividing the operating subjects of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into school parties and corporate partie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interest of each subject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ages except for the Stage 0(indifference), the interest of school parti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one of corporate parties. It might be because the school's role is bigger in the operation of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contrary to the advanced countries. In other words, in case of school parties, the overall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policy is premised, so that their interest of each stage is higher than the one of corporate parties. Especially, the Stage 5(cooperative interest)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s. As the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is the success factor of the relevant policy, it would be necessary to implant the concrete measures for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n school parties, and also to implant the importance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n corporate parties. Next, both operating subjects showed the lowest intensity in the Stage 4(consequential interest). It means that the operating subjects' interest in the evaluation of apprenticeship students is relatively low. 본 연구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운영하는 두 주체인 학교, 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정책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하여, 향후 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새로운 변화 도입에 대한 관련자의 관심도를 파악하는 데 활용되고 있는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이하 CBAM)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와 기업 관계자의 해당 정책에 대한관심도를 살펴보기 위해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두 중심 주체(학교, 기업 관계자) 139명(학교 관계자 84명, 기업 관계자 55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현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주체의 해당 정책에 대한 관심도는 비사용자 패턴과 유사하였다. 즉 현재 이들은 해당 정책에 대해 궁금해 하고,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 스스로 수행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정도의수준으로 정책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다. 둘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주체를 학교 관계자와 기업 관계자로 구분하였을 때, 각 주체별 관심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0단계(무관심)를 제외하고 학교 관계자의 관심도가 기업 관계자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5단계(협력적 관심)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는데, 산과 학의협동이 해당 정책의 성공 요인이므로 두 주체가 협력하여 해당 정책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학교 관계자에게는 산학 협동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기업 관계자에게는 산학 협동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운영 주체 모두 4단계(결과적 관심)에서 가장 낮은 강도가 나타났다. 이는 운영 주체의 해당 정책 및 도제학생 평가 측면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뜻한다. 하지만 정책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서는 정책에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도제학생에게 평가는 자격취득과 연관되므로 향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주체에게 평가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에 대한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안재영,Ahn, Jae Yeong 대한공업교육학회 201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2 No.2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운영 내용에 대한 교원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조사하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효과적인 운영 지원 항목을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영역 및 항목을 도출하여 설문 조사지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담당 부장 교사와 관리자급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21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교원들은 도제학교의 모든 운영 영역이 중요하지만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도제학교 운영 영역 중에서 기업 홍보 선정 및 관리, 도제 학생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계획 수립의 교육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교원들은 도제학교 운영 영역의 모든 세부 항목에 대해서 대체로 중요하지만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도제 사업단 구성 기준 완화, 지방자치단체 중심형 도제 사업 운영, 도제학교-기업 정보 시스템 구축, 유관기관의 지원 방식 개선, 도제 담당교원의 인센티브 강화, 기업 OJT 전담 지원기관, 지역 중소기업 연합 도제교육센터운영, 도제학생 전담 근로 감독 실시, 산학협력지원교사 육성, NCS기반자격의 법제화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supportive measure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apprenticeship schools) and make policy suggestions by analyzing the need analysis and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and the difficulty of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ose school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by deriving the areas and items for the operation of apprenticeship schools, and analyzed 121 completed questionnaires of head and senior teachers who manage the apprenticeship programs across the nation after conducting a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of apprenticeship schools found all the operation areas of the schools are important but difficult. Out of the operation areas, teachers had relatively high needs for 'promotion, selection and management of enterprises', 'student management', 'development of apprenticeship programs, formation of the curriculum, and establishment of operation plans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s found all the detailed items of the operation areas of apprenticeship schools are important but difficult gener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required to relax the criteria for forming apprenticeship organizations; operate the local government-oriented apprenticeship system; establish information systems between schools and enterprises; improve the support methods of relevant agencies; and increase incentives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apprenticeship programs. It is also necessary to operate exclusive agencies supporting for OJT; operate apprenticeship education centers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associations; provide exclusive supervision of students; cultivate teachers who support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nd legislate on the NCS-based qualifications.

      • KCI등재

        도제교육의 성과와 투자 및 자격에 대한 기업의 인식 연구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고교단계 일학습병행)를 중심으로 -

        안재영(Jae-Yeong Ahn)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4

        이 연구는 도제교육의 성과와 투자 및 자격에 관한 기업의 인식을 조사하여 도제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기업의 도제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116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 도제교육에 참여한 가장 큰 동기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사전 확보’였으며 기업의 도제학교 졸업자 채용 기준은 기업의 직무수행능력, 인성 등 직업소양, 기업 조직 이해 및 적응 능력 등이었다. 그리고 기업이 도제교육을 알게 된 주된 경로는 도제학교 교원이었다. 둘째, 기업이 인식하는 도제교육 제도 만족도, 도제학교 졸업자 만족도, 도제교육 효과는 5점 만점에 3.65~3.76으로 다소 높았으나 기업 규모와의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도제교육에 대한 기업의 준비와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업은 도제학교 졸업자의 장기 재직과 후학습을 지원할 의향이 있으며 동일 직종의 타 기업에서 도제교육을 이수한 자를 채용할 의향이 있었다. 그리고 일학습병행자격이 기존 자격에 비해 산업체 요구에 부합하고 현장성이 높고 기업의 숙련수요를 반영한다고 인식하였으나 그 차이는 적은 편이었다. 정책 제언으로는 도제교육 포털시스템 운영, 기업의 도제교육 운영 역량 향상, 도제교육 참여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일학습병행자격의 질 관리, 도제교육 내에 기업특화단위 비율 향상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ompany for performance, investment, and qualification in apprenticeship education.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on-the-job trainer in companies, 1,11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biggest motivation for companies to participate in apprenticeship education was to secure the talents that companies need in advance. The main criteria for recruiting apprenticeship high school graduates were the company s job performance ability, vocational literacy such as personality,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dapt to the organization of the company. And the main path for companies to know about apprenticeship education was the teachers of apprenticeship high schools. Second,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pprenticeship education system, satisfaction with apprenticeship high school graduates, and apprenticeship education effects were not related to the size of the company. Third, companies are willing to support apprenticeship high school graduates long-term employment and post-learning, and they will hire those who have completed apprenticeship education at other companies in the same occupation. And companies recognized that the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meets the needs of the industry, has high the level of field, and reflects the company s skill demand than the existing qualifications. However, the difference was sm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apprenticeship education portal system, improve the company s apprenticeship operation capability, strengthen incentives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apprenticeship education, manage the quality of apprenticeship qualification, and increase the ratio of company-specific units in company’s on-the-job training.

      • KCI등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도제프로그램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연구

        안재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3 No.2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curriculum in which the apprenticeship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VET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is included to present suggestions for organizing and evaluating the apprenticeship curriculum. For this, data on the status of curricula of 141 courses (75.8%) in 116 VET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time assigned for the apprenticeship program was 1,054.2 hours and the apprenticeship program was organized in 12.4 courses in the school curriculum. The degree of evaluation per NCS competency unit of courses was found to be 95.4% for evaluation per competency unit and 5.6% for evaluation regardless of competency unit. Second, the average number of courses including apprenticeship programs in time assigned for the courses in school curriculum (when appropriate) was 11.5 (93.1%) and the average number of courses including apprenticeship programs in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courses (when appropriate) was 10.6 (85.5%). Third, it was found that courses organized only for ‘common competency units’ were 8.5 (68.5%) and the number of courses in which ‘student option competency units’ were included was found to be 3.9 (31.5%). In addition to these study results, policy suggestions such as applying suspension on the approval period for change of curriculum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spection on curriculum and enhanced consulting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providing plans to evaluate ‘student option competency units’, newly establishing ‘subjects specialized for companies’ or ‘student option subjects’ in national level curriculum are proposed.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프로그램이 NCS 기반 교육과정에 어떻게 편성되었는지를 분석하여 도제학교의 도제프로그램 개발과 도제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59개 학교 186개 과정의 도제 부장교사에게 조사지를 송부하였으며, 116개 학교의 141개 과정(75.8%)에 대한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제프로그램 편성시간은 평균 1054.2시간(62.0단위)이고, 도제프로그램은 학교교육과정에서 12.4개 과목으로 편성되었는데 그 중에서 실무과목은 9.6개(77.5%)였다. 과목의 NCS 능력단위별 평가 정도는 ‘교과 내용 전체를 능력단위별 평가’(80.1%), ‘교과 내용 일부를 능력단위별 평가’(14.4%), ‘능력단위와 무관하게 평가’(5.6%)의 순이었다. 둘째, 학교교육과정 교과목의 편성 시간이 도제프로그램 능력단위의 편성 시간보다 많거나 같은 과목(바람직한 경우)은 평균 11.5개(93.1%), 그렇지 않은 과목은 평균 0.9개(6.9%)였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 교과목의 편성 내용이 도제프로그램 능력단위의 내용을 포함하는 과목(바람직한 경우)은 평균 10.6개(85.8%), 그렇지 않은 과목은 평균 1.8개(14.2%)였다. 셋째, 과목의 공통능력단위/학생선택능력단위 편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통능력단위만으로 편성된 과목은 8.5개(68.5%), 학생선택능력단위가 편성된 과목은 3.9개(31.5%)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터하여 도제프로그램 개발과 도제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으로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변경 승인 기간 유예 적용,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점검 및 컨설팅 강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기업특화과목(가칭) 또는 학생선택과목(가칭) 신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기업현장교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이수정,김민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5

        As a part of reinforcement of field-centered vocational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introduced th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system through which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ould learn theories and practical work by coming back and forth between school and company. Currently, in 2017,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expanded qualitatively/quantitatively, the competencies of corporate field teachers in charge of core roles in the cultivation of manpower are very important. Thus, this study compared/analyzed the educational demands and perception of competencies of corporate field teachers, targeting personnels in charge of school and company. The competencies of corporate field teachers could be viewed through five areas such as perception of apprenticeship education, establishment of apprenticeship education plan, practice of apprenticeship education, evaluation of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cooperation with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al demands and perception between operating subjects of apprenticeship education for each competency of corporate field teachers, this study used Independent Sampling t-Test, Borich Needs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Model through SPSS. In the results, regardless of operating subjects like school personnels and corporate personnels, the current level of competencies of corporate field teachers was lower than the importance, which shows the high demand for the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ompetencies of corporate field teachers. Especial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demands in each competency of corporate field teachers, the demands of school personnels and corporate personnels were very similar. In other words, both school personnels and corporate personnels showed high ‘perception of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high educational demands for ‘cooperation of relevant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In case of corporate personnels, they showed relatively higher educational demands for ‘evaluation of apprenticeship education’ compared to school personnels.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는 현장중심 직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이 학교와 기업을 오가며 이론과 현장실무를 배우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와 같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는 우리나라의 학교 중심 직업교육과 선진 외국의 산업현장 중심 도제교육의 강점을 접목한 새로운 중등단계 직업교육 모델로서, 학생은 졸업 후 구직 기간을 단축하고, 취업 후 직무 만족도 및 현장 적응력을 높이고, 기업은 우수한 기술・기능 인력을 조기 확보하여 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국가 전체적으로는 핵심 분야 산업인력을 확충하고, 청년 고용률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7년 현재 양적·질적으로 확대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제교육 과정에서 인력 양성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업현장교사의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현장교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를 학교 및 기업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기업현장교사의 역량은 5가지로 살펴볼 수 있는데 도제교육 인식, 도제교육 계획 수립, 도제교육 실행, 도제교육 평가, 직업교육기관과의 협업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현장교사의 역량별 도제교육 운영 주체 간 인식 및 교육요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를 통한 독립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학교담당자와 기업담당자의 운영 주체에 따른 구분과 상관없이 기업현장교사 역량의 현재 수준은 그 중요도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업현장교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기업현장교사 역량별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학교와 기업담당자의 요구도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교 및 기업담당자 모두 ‘도제교육 인식’과 ‘관련 직업교육기관의 협업’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으며, 기업담당자의 경우 학교담당자와 비교하였을 때 ‘도제교육 평가’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스위스 직업교육훈련 체제의 이해: 도제훈련을 중심으로

        조형훈(Hyung Hoon Cho),전주성(Ju Sung Jun)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 직업교육훈련 체제 중 도제훈련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스위스의 직업교육훈련 체제의 운영방식과 현황을 조사했다. 스위스의 직업교육훈련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VET(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는 일 기반 학습의 이원화 방식으로 직업학교와 현장에서 체계적인 교육이 진행된다. 기업 중심의 운영 및 도제훈련의 운영 주체인 연방, 주, 전문기관이 명확한 역할 구분과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우수 교사의 양성과 철저한 질, 사회적 전통과 신뢰를 기반으로 도제훈련을 운영해왔다. 스위스 직업교육제도인 VET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일학습병행제 중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법적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에 있어서 기업 역할의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교육 과정 개발과 운영에 있어 유연성과 민첩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담당 교사에 대한 적합한 교사 양성 과정 및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에 대한 인식전환과 사회적 신뢰를 형성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Switzerland, specially apprenticeship training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operations and statu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n Switzerland. VET(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is the majority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Switzerland, is a systematic education in vocational schools and on the spot, as a dualization of work-based learning. The federal, state, and specialized agencies, which are the operators of the apprenticeship training, were establishing clear division of roles and cooperation system. Switzerland has conducted apprenticeship training based on the training of outstanding teachers, excellent quality, social tradition and trust. The Swis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industry-academic 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operation system of related institutes. Second, specific and clear legal amendments are necessary for its oper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role of the corporation. Fourth, flexibility and agility are needed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per teacher training and management system. Finally, recognition transition and social trust of industry-academic 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should be formed.

      • KCI등재

        도제학생의 도제교육 주요 현황 및 성과와 직업 진로 결정과의 관계 분석 연구

        안재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apprenticeship education factors(the statu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the students of Korean apprenticeship high school), and to analyze relation between the career decision for employment and apprenticeship factors of students from Korean apprenticeship high scho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reaso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pprenticeship education was usually because they want the earlie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The students considered the feasibility in growth of individual, wage, employment stability, working environment, career development,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factors to choose companies. In most cases, OJT involved trainers in passing on knowledge and skills to trainees while helping them perform their assigned tasks. The biggest challenge in apprenticeship was difficulties in learning owing to the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OJT and Off-JT. Second,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pprenticeship activities and trainers, job skill improvement, and participation and positive changes in class and school activities were generally rated high. Of all trainees, 68.7% decided to find employment in the training companies. Third, the trainees who decided to find employment in the training companies had gained company information with greater accuracy before the training than those who did not. The former also showed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apprenticeship activities, OJT programs and trainers, job skills improvement, and changes in their participation in class and school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참여 학생의 주요 현황과 도제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성과를 분석하고 도제학생의 취업 진로 결정 여부에 따른 도제교육 관련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제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제학생의 도제교육 주요 현황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도제학생의 도제교육 참여 동기는 ‘고교 졸업 후 빠른 취업 및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많았고, 기업 선택의 주요 요소로는 전공 분야의 기술 향상 가능성, 임금・고용안정성・근무환경, 졸업 후 경력 개발 및 후학습으로 나타났다. 기업 내 교육(OJT)의 주된 진행방식은 ‘기업현장교사가 도제학생과 같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지식・스킬을 전수하는 방식’이 가장 많았고, 기업 내 교육(OJT) 과정에서의 가장 큰 애로사항과 학교 내 교육(Off-JT) 과정에서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모두 ‘OJT와 Off-JT 내용이 서로 연결되지 않아서 학습에 어려움 있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제학생의 도제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성과는 다음과 같다. 도제교육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0으로 나타났고, 기업현장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76으로 나타났다. 도제교육을 통한 직무역량 향상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81로 나타났고, 도제교육을 통한 수업과 학교생활의 적극성 및 긍정적 변화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76으로 나타났다. 현재 도제교육을 받고 있는 기업으로 취업 결정한 학생의 비율이 68.7%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계주도형이 학교주도형보다 도제학생의 만족도와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도제학생의 취업 진로 결정 여부에 따른 도제교육 관련 변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 결정 학생은 미취업 결정 학생보다 기업의 사전 정보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고, 도제교육 활동의 만족도와 OJT 및 기업현장교사 만족도, 그리고 직무역량 향상 정도 및 수업・학교생활 변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학생의 교육만족도와 학교수업 및 기업현장수업 변인들의 관계

        정양훈,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in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and the variables of school-based instruction and industry-based instruction. The population was 7,259 students from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as of February 2021, and 450 were selected by stratification according to operation type and location, and 37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insincere responses and outlier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for Windows 23.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5%. The main research conclusion is that first, students generally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apprenticeship education, but one out of ten students may not be satisfied. Female, service majors, students who want to work in companie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 in industry-led type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students generally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variables of school-based instruction and corporate-based instruction, and show similar levels regardless of the place except for the variables of class engagement. However, the level of class engagement variables is relatively low and may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ubject and place. Thir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 group of school-based instruction and corporate-based instruction for educational satisfaction is high and shows similar. Among the school-based instruction variables, the appropriateness of school-based instruction had the greatest quantita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general subject class eng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Additionally, class engagement and usefulness of classes in schoo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main conclusion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Apprenticeship School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학교수업 및 기업현장수업 변인들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었다. 모집단은 도제학교 학생으로 2021년 2월 기준 184개 과정 7,259명이고, 표본은 운영유형과 소재지에 따라 층화표집하여 450명을 선정하였으며,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외하고 373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론은 첫째, 학생들은 대체로 도제교육 경험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으나, 10명 중 1명은 만족하지 않을 수 있고, 여학생, 서비스 전공분야, 도제기업 취업희망 학생, 산업계주도 유형 참여 학생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수업 및 기업현장수업 변인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며, 수업몰입 변인들을 제외하고 장소에 관계없이 유사한 수준을 보인다. 다만, 수업몰입 변인들의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교과와 장소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셋째, 교육만족도에 대한 학교수업 및 기업현장수업 변인군의 설명력은 높은 수준이고 서로 비슷한 크기를 보인다. 또한, 학교수업 변인군 중 학교수업 적절성이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양적 영향을 미치고, 보통교과 수업몰입은 부적 영향을 미치며, 기업현장수업 변인군 중 기업현장수업에서의 학교수업 유용성이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양적 영향을 미친다. 이 밖에도 학교와 기업에서의 수업몰입과 수업유용성이 공통으로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주요 결론을 바탕으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학생들의 교육만족도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