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란계에 대한 점등 광원 및 파장 차이에 따른 산란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민지(Min Ji Kim),최희철(Hee Chul Choi),서옥석(Ok Suk Suh),채현석(Hyun Suk Chae),나재천(Jae Cheon Na),방한태(Han Tae Bang),김동욱(Dong Wook Kim),강환구(Hwan Ku Kang),박성복(Sung Bok Park)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The chicken eye can discriminate light color, and different light wavelengths may affect reproduction abil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effect of monochromatic light using light emitting diode (LED) in laying hens. Chickens were exposed to white light (WL), blue light (BL), yellow light (YL), green light (GL) and red light (RL) made by using LED as well as incandescent light (IL) (control). All light sources were equalized to a light intensity of 20 lux.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ge of first egg laying and 50 % egg laying in laying hens treated under RL is significantly younger than under other lights (P<0.05). And the ovary weight of laying hens reared under RL is significantly heavier than under other at from 16 to 20 wks (P<0.05). The largest number of eggs production was produced in a group with treated with RL by 59 wks of age compared with any other group. The egg weight of YL was great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from 26 to 45 wks (P<0.05). The egg shell from hens treated with RL was the strongest and thickest at 20 wk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gg quality of laying hens reared in different spectrum of LED can be different and RL may enhance the laying performance. 닭의 눈은 빛의 색깔을 구별할 수 있고, 빛의 다른 파장은 닭의 번식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발광소자(LED)를 이용한 단색광이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닭들은 발광소자(LED)를 이용하여 제작된 백색, 청색, 황색, 청색, 적색 전구와 대조구로써 백열전구의 점등 광원에 노출되었다. 모든 점등 광원은 빛의 세기를 20 lux로 고정하였다. 시험 결과, 산란 개시 일령과 산란 50% 도달 시기는 적색 점등 시에 다른 처리군과 비교하여 빨리 일어남이 확인되었으며, 난소 중량 또한 16주령에서 20주령까지 적색 점등 시에 다른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무거웠다. 또한, 59주령 기준 적색 LED 점등 광원에서 사육된 산란계의 헨하우스 산란수가 다른 처리군과 비교하여 가장 높음이 확인되었다. 황색 LED 점등 시 26주에서 45주령의 산란계에서 생산된 계란 무게는 다른 처리 점등 조건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적색 LED 점등 시 20주의 산란계에서 생산된 계란의 난각 강도는 다른 처리 점등 조건에 비해 높았다. 비슷하게 적색 LED 점등 시 20주의 산란계에서 생산된 20주의 산란계에서 생산된 계란의 난각 두께는 다른 처리 점등 조건에 비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적색 LED 점등 환경에서 사육된 산란계들은 산란 능력이 향상되고, LED를 이용한 다양한 파장의 점등은 계란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혼합 또는 단일 생균제가 산란계와 육계의 생산성,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김찬호(Chan Ho Kim),우경천(Kyung Chun Woo),김근배(Geun-Bae Kim),박용하(Yong Ha Park),백인기(In Kee Paik)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혼합 생균제의 첨가가 산란계와 육계의 생산성과 소장내 미생물,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 하였다. 시험 1은 800수의 82주령 산란계(Hy-Line Brown<SUP>?</SUP>)를 5처리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각각의 처리는 대조구, 항생제구(avilamycin 6 ppm), 생균제 PB-M(Micro-ferm<SUP>?</SUP>) 0.2%구, PB-L (Lactto-sacc<SUP>?</SUP>) 0.1%구, PB-Y(Y University probiotics) 0.2%구로 구성하여, 8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자유 섭식케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 일조 + 조명= 16 h)를 실시하였다. 시험 2에서는 육계(Ross<SUP>?</SUP>) 1,000수를 공시하여 시험 1과 같은 처리로 구성하여 35일간 전기(0~3주), 후기(4~5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처리당 4반복을 두어 반복당 50수씩 나누어 배치하였다. 시험 1에서는 계란 생산지수들 즉 일계 산란율과 생산지수, 난중, 연파란율,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강도와 난각 두께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항생제구와 생균제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PB-Y구는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색, 난황색, Haugh unit에서 가장 높았는데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못했다. 시험 2에서는 전기간(0~5주) 증체량 및 폐사율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0~3주 기간동안 PB-Y의 증체량이 대조구와 항생제구와 비교하여 낮게 나왔다. 전기간(0~5주)에서 항생제구의 사료 섭취량, 생산지수는 가장 높았고,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보다 낮게 나왔다. 생균제 처리구들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시험 1에서 백혈구 수치 즉,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 스트레스지수는 산란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항생제구와 생균제구는 모든 수치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 2에서는 오직 스트레스지수에서만 항생제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 1에서 IgG 농도는 PB-M과 PB-L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E. coli 수는 항생제구, PB-L구, 그리고 PB-Y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시험 2에서 조지방 이용률이 생균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에서는 생균제의 처리구들에서 난각 두께와 강도가 증가하였고, 육계에서는 생산 지수는 증가하고, 사료 요구율은 감소하였다. 백혈구 지수는 산란계에서 항생제와 생균제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E. coli는 산란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육계에서는 생균제 처리구들이 조지방 이용률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지수와 소장내 미생물은 육계보다 산란계에서 더 예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ltiple probiotics on the performance,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and broilers. In Exp.1, a total of 800, 82 wk old Hy-line Brown<SUP>?</SUP> laying hen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five dietary treatment; Control, Antibiotics (avilamycin 6 ppm), Probiotics; PB-M (Micro-ferm<SUP>?</SUP> 0.2%), PB-L (Lacto-sacc<SUP>?</SUP> 0.1%), PB-Y (Y University probiotics 0.2%).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eight times with 20 birds in each replicate and two birds were housed in each cage. Twenty birds units were arranged according to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Feeding trial lasted 6 wk under 16 h lighting regimen. The Exp. 2,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000 broilers chicks (Ross?). They were divided into five treatments, same as those of Exp. 1. Birds were fed starter (0~3 wk) and grower (4~5 wk) diets.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four times with 50 birds per pen comprising of deep litter. In Exp. 1, egg production parameters, such as hen-day and hen-house egg production, egg weight, broken and soft shell egg productio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strength and thickness of eggshell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the probiotics, PB-Y showed the highest strength and thickness of eggshell. Eggshell color, egg yolk color and Haugh unit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In Exp. 2, overall weight gain (0~5 wk) and mort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weight gain of birds from PB-Y treatment during starter (0~3 wk)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birds from Control and Antibiotic treatment. During the whole period (0~5 wk), birds from Antibiotics treatment had higher feed intake and Production Index (PI) and lower feed conversion than birds from Control treatment. Probiotics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o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In Exp.1, there were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leukocytes parameters, such as white blood cell (WBC), hetrophil (HE), lymphocytes (LY), monocyte (MO), eosinophil (EO) and stress index (SI; HE/LY) in the blood of layers. Birds from Antibiotics and probiotics treatments tended to increase these parameters. In Exp. 2, however, only SI was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Antibiotics treatments. Concentration of serum immunoglobulin (IgG) were higher (P<0.05) in PB-M and PB-Y treatments when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in Exp. 1. The population of E. coli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birds from Antibiotics, PB-L and PB-Y treatments when compared with birds from Control treatment in Exp. 1. Metalbolizability of crude fat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birds from probiotic treatments in Exp. 2. It was concluded that the response of probiotics on the productivity of layers and broilers were different. Probiotics increased strength and thickness of eggshell in layers, and decreased feed conversion and increased PI in broilers. Leukocytes and IgG tended to increase by supplementation of antibiotics and probiotics in layers. Intestinal E. coli tended to decrease in layers. Digestibility of crude fat of diet decreased in probiotics treatments broilers. Parameters of blood and microbial were more sensitive in layers than broilers.

      • Effects of supplementary magnesium in diets on eggshell quality in laying hens

        Chan Ho Kim 한국가금학회 2013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3 No.11

        Magnesium (Mg) 을 산란계 사료에 급이시 생산성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2개의 서로 다른 연령의 산란계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은 Mg의 수준별 급여가 46주령 산란계에서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800수의 Hy-Line Brown을 5처리로 구성하여 4반복 (반복당 40수)으로 임의 배치하여 총 6주간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대조구 사료 (1.7 g/kg Mg)를 기본으로 하여 대조구 사료에 MgO(600g/kg Mg)를 각각 0, 1, 2, 3, 4 g을 첨가하여 사료내 마그네슘 함량이 1.7, 2.3, 3.0, 3.5 그리고 4.0 g/kg이 되게 하였다. 실험 결과 산란율, 난중, 연파란율,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난각두께, 난황색, Haugh unit은 사료내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았다. 하지만 난각강도 (quadratic, P<0.05) 및 난각두께(linear, P<0.05) 는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난각내 Mg 함량은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linear and quadratic, P<0.05). 난각의 hunter a* value는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다 (linear, P<0.01). 결론적으로 사료내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난각강도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하지만 사료내 마그네슘 함량은 산란계의 생산성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Mg의 수준별 급여가 72주령 산란계에서 생산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640수의 Hy-Line Brown을 4처리로 구성하여 4반복(반복당 40수)으로 임의 배치하여 총 5주간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대조구 사료 (1.6 g/kg Mg)를 기본으로 하여 대조구 사료에 MgO (600g/kg Mg)를 각각 0, 1, 1.5, 2 g 을 첨가하여 사료내 마그네슘 함량이 1.6, 2.3, 2.6 그리고 3.0 g/kg 이 되게 하였다. 실험 결과 사료내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각내 Mg 함량은 증가하였다 (linear, P<0.01). 사료내 Mg 함량이 증가할수록 연파란율은 감소하였고 (linear and quadratic, P<0.01), 난각강도는 증가하였다 (linear, P<0.05). 사료 섭취량은 사료내 Mg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linear, P<0.01), 산란율, 난중, 사료 요구율, Haugh unit은 사료내 Mg 함량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색 Hunter L<SUP>*</SUP>, a<SUP>*</SUP> value는 사료 내 Mg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linear, P<0.05). 결론적으로 사료 내 마그네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난각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산란율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실험 1, 2에서 산란계 사료 내 Mg 함량이 증가할수록 난각 품질이 향상 되었다. 최적의 난각강도를 위한 사료 내 Mg 수준은 46주령 산란계에서 2.3 g/kg, 72주령 산란계에서 3.0 g/kg 임을 알 수 있었다. Two experiments (Experiment 1 and 2)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of laying hens fed diets containing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magnesium. In Experiment 1, the effects of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dietary magnesium(Mg)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of laying hens. A total of 800 Hy-Line Brown laying hens(46-week-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5 dietary treatments with 4 replicates per treatment. A commercial-type basal diet (1.7 g/kg Mg) was prepared and 4 addition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2.3, 3.0, 3.5 or 4.2 g/kg Mg in diets by adding 1, 2, 3, or 4 g of MgO (600 g/kg Mg) to the basal diet. The diets were fed to hens ad libitum basis for 6 weeks.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Mg in diets increased Mg concentrations in eggshells (linear and quadratic, P<0.05).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Mg in diets increased eggshell strength (quadratic, P<0.05) and eggshell thickness (linear, P<0.05) but decreased Hunter a* values for eggshell (linear, P<0.01). Hen-day egg produc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egg weight and haugh unit were not affected by Mg concentrations in diets.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dietary Mg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of aged laying hens were evaluated. A total of 640 Hy-Line Brown laying hens of 72 weeks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4 dietary treatments with 4 replicates per treatment. A commercial-type basal diet containing 1.6 g/kg Mg was prepared, and 3 additional diets were prepared to contain 2.3, 2.6, or 3.0 g/kg Mg in diets by adding 1, 1.5 or 2 g of MgO to the basal diet. The diets were fed to hens ad libitum for 5 weeks. Result indicated that Mg concentrations in eggshells were increased (linear, P<0.01)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Mg in diets.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Mg in diets decreased (linear and quadratic, P<0.01) broken and shellless egg production, but improved (linear, P<0.05) eggshell strength. Feed intake was decreased (linear, P<0.01) with the concentrations of Mg in diets, but hen-day egg production, egg weight, feed conversion ratio, and haugh unit were not affect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Mg in diets. Hunter L<SUP>*</SUP> and a<SUP>*</SUP> values of eggshell were decreased (linear, P<0.05) as the concentrations of Mg in diets increased. In conclusion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Mg in diets improve eggshell strength of laying hens. The optimal Mg levels in diets for eggshell strength are likely 2.3 g/kg for 46-week-old laynig hens and 3.0 g/kg for 72-week-old laying hens.

      • KCI등재

        한반도 연안해역에서 인공위성 산란계(MetOp-A/B ASCAT) 해상풍 검증

        곽병대,박경애,우혜진,김희영,홍성은,손은하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5

        Sea-surface wind is an important variable in ocean-atmosphere interactions, leading to the changes in ocean surface currents and circulation, mixed layers, and heat flux. With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technology, sea-surface winds data retrieved from scatterometer observation data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a complex marine environment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coast, scatterometer-observed sea-surface wind is an important factor for analyzing ocean and atmospheric phenomena. Therefore, the validation results of wind accuracy can be used for diverse applications. In this study, the sea-surface winds derived from ASCAT (Advanced SCATterometer) mounted on MetOp-A/ B (METeorological Operational Satellite-A/B) were validated compared to in-situ wind measurements at 16 marine buoy sta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January to December 2020. The buoy winds measured at a height of 4-5 m from the sea surface were converted to 10-m neutral winds using the LKB (Liu-Katsaros-Businger) model. The matchup procedure produced 5,544 and 10,051 collocation points for MetOp-A and MetOp-B, respectively. The root mean square errors (RMSE) were 1.36 and 1.28 m s−1 , and bias errors amounted to 0.44 and 0.65 m s−1 for MetOp-A and MetOp-B, respectively. The wind directions of both scatterometers exhibited negative biases of -8.03 o and -6.97 o and RMSE values of 32.46 o and 36.06 o for MetOp-A and MetOp-B, respectively. These errors were likely associated with the stratification and dynamics of the marine-atmospheric boundary layer. In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sea-surface winds of the ASCAT tended to be more overestimated than the in-situ wind speeds, particularly at weak wind speeds. In addition, the closer the distance from the coast, the more the amplification of error. The present result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as improved input data and the understanding of air-sea interaction and impact of typhoons in the coastal reg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해상풍은 해양의 표층 해류 및 순환, 혼합층, 열속의 변화를 주도하며 해양-대기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인공위성의 발달에 따라 산란계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산출한 해상풍은 여러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한반도 연안과 같은 복잡한 해양 환경에서 산란계 관측 해상풍은 해양 및 대기 현상 이해에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위성 해상풍의 정확도 검증 결과가 다양한 활용을 위하여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산란계인 MetOp-A/B (METeorological OPerational satellite-A/B)에 탑재된 ASCAT (Advanced SCATterometer) 해상풍 자료를 한반도 주변의 16개 지점에서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실측된 해양기상부이 해상풍 자료와 비교하여 해상풍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해수면으로부터 4-5 m 고도에서 관측된 부이 바람은 LKB (Liu-Katsaros-Businger) 모델을활용하여 10 m의 중립 바람으로 변환하였다. 일치점 생산 과정 결과 MetOp-A와 MetOp-B에 대하여 5,544개와 10,051 개의 일치점을 만들었다. 각 위성 해상풍 풍속의 평균제곱근오차는 1.36 m s−1와 1.28 m s−1, 편차는 0.44 m s−1와0.65 m s−1로 나타났다. 산란계의 풍향은 MetOp-A와 MetOp-B에서 각각 –8.03 o와 –6.97 o의 음의 편차와 32.46 o와 36.06 o 의 평균제곱근오차를 보였다. 이러한 오차들은 해양-대기 경계층 내의 성층과 역학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주변 해역에서 산란계 해상풍은 특히 풍속이 약한 구간에서 실측 풍속보다 과대추정되었다. 또한 연안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오차가 증폭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산란계 해상풍 자료를 이용하는 해양-대기 상호작용 및 태풍 연구와 같은 한반도 연안 해역의 예측 모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고온환경에서 이온수의 급수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임천익(Chun Ik Lim),레이나마수드(Md Masud Rana),리홍룡(Hong Long Li),조태현(Tae Hyun Cho),류경선(Kyeong Seon Ryu) 한국가금학회 2020 韓國家禽學會誌 Vol.47 No.3

        본 연구는 고온환경에서 이온수의 급수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24주령 산란계 180수를 3개 처리구 5반복으로 배치하여 4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처리구는 수돗물(tap water; TW)과 냉수(cold water; CW)를 급수하고, 이온수 급수구(ion water; IW)와 비교하였다. 산란계의 생산성은 산란율과 난중을 매일 조사하여 계산하였고, 계란 품질과 혈액성상은 사양실험 종료 후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고온환경에서 이온수 급수로 일반 수돗물에 비해 산란율, 난중 및 사료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고(P<0.01), 계란의 난백 높이와 호우유닛 및 난각 두께도 증가하였다(P<0.05). 혈액성상에서 칼슘과 인은 이온수 급수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10), HDL 콜레스테롤과 알부민은 이온수 급수구에서 수돗물에 비해 통계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본 실험 결과 이온수 급수로 여름철 산란계의 고온스트레스를 완화되었다. 특히 이러한 이온수가 혹서기에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은 냉수를 급수한 결과와 유사하였으므로 냉수 급수법과 함께 산란계에 활용될 수 있는 여름철 음용수 관리법으로 가능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inking ion water on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serum biochemical properties of laying hens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 total of 180 laying hens with equal egg production rat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s with five replicates. Treatments were applied from 24 to 27 weeks of age and included the supply of ion water (IW), tap water (TW), and cold water (C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gg production rate, egg weight, and feed intake of hens were significantly (P<0.01) improved in the IW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TW group but did not differ from those in the CW group. Egg quality parameters such as albumen height, Haugh unit, and eggshell thicknes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IW than in the TW group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omparison with the CW group. Serum Ca and P concentrations tended to increase (P<0.10) in the IW group, and serum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albumin levels were greater (P<0.05) in response to IW than those to TW.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supply of IW can relieve the high-temperature stress during the summer. In particular, because the improved effects of the IW were confirmed to be similar to those of CW, it shows potential as a method to manage the drinking water of hens in the summer season along with the supply of CW.

      • KCI등재

        사료내 비태인과 단백질 수준이 산란계의 생산 능력, 혈액의 조성, 복강지방 및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박재홍,박수영,류경선,Park J. H.,Park S. Y.,Ryu K. S.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3

        산란계 사료내 비태인의 첨가가 사료내 조단백질 수준에 따라 산란계의 생산성, 난 품질, 혈액 성상, 복강 지방 및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산란계 18주령 ISA-Brown산란계 432수를 이용하여 2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조단백질(14.5, $16.5\%$)과 비태인(0, 600ppm)을 각각 다른 수준으로 급여하여 $2\times2$ 요인분석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사료는 대사 에너지 수준이 2,800kcal/kg, methionine과 lysine, cysteine의 수준은 단백질 수준에 비례하도록 배합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조사하였고, 사료 섭취 량과 계란 품질은 4주마다 측정하였다. 시험 종료시 복강지방과 간을 채취하였으며, 혈액중의 총단백질과 알부민, 요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단백질 $16.5\%$ 처리구가 $14.5\%$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비태인 급여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중은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산란량 또한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사료요구율도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난각강도, 난각 두께, 호유닛은 비태인 첨가로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혈청의 total protein과 albumin 함량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uric acid는 사료내 단백질 수준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비태인 급여 수준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복강지방 함량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5). 간의 아미노산 함량은 높은 단백질 수준$(16.5\%)$ 또는 비태인(600ppm) 첨가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단백질 함량이 낮은 $14.5\%$ 처리구에서는 비태인을 첨가함으로써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본 시험 결과, 비태인은 산란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며, 복강 지방을 감소시키고, 저단백질 사료에서 간의 아미노산 함량 증가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betaine and protein levels on performance, internal e99 Qualify, blood composition, abdominal fat and liver amino acid concentration in laying hens. A total of 432 ISA-Brown laying hens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treatments with six replications for twenty few weeks. Treatments were factorially designed with two levels of crude protein(14.5 and $16.5\%$) and two levels of betaine(0 and 600ppm). The egg production was increased by feeding $16.5\%$ protein-fed group compared to that of $14.5\%$ protein-fed groups(P<0.05), but was different from betaine supplementation. Increasing protein and betaine supplementation to diets improved egg weight, egg mass and fred conversion(P<0.05). Eggshell breaking strength, thickness and Haugh unit were not influenced by either dietary betaine or protein levels. Dietary betaine did not affect serum total protein, albumin and uric acid concentration, whereas uric acid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16.5\%$ protein-fed groups(P<0.05). The deposition of abdominal fat was lower in 600ppm betaine groups compared to those fed on 0ppm betaine groups(P<0.05). Concentration of the most hepatic amino acids were affected by dietary protein levels and betaine supplementation. There were synergistic effect between dietary protein and betain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ietary betaine can improve the egg weight, mass, feed conversion and decrease the abdominal fat, but increase the hepatic amino acid contents.

      • KCI등재

        산란계에서 Coenzyme Q10 급여가 혈액 및 간 조직의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문양수,장인석 한국가금학회 2022 韓國家禽學會誌 Vol.49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oenzyme Q10 (CoQ10) sources on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the blood and liver of laying hens. Thirty-six 40-wk old Lohmann Brown hen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based on body weight, with four cages with three layers each.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one of the following groups: control (CON), powdered CoQ10 (PCoQ, 100 mg/kg diet), and emulsified CoQ10 (ECoQ, 100 mg/kg diet). All hens were fed a control diet or a control diet supplemented with powdered or emulsified CoQ10 ad libitum for five week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 weight gain, and organ weights among the treatment groups, including the liver and spleen. The blood total antioxidant power (TAP) in the ECoQ group increased (P<0.05) by approximately 2-fold compared to that in the CO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TAP levels between the PCoQ and ECoQ groups, although a decreasing trend (P<0.13) was observed for levels of TAP in the ECoQ group. The mRNA expression and specific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in the liver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CoQ10 or type of CoQ10. However,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the ECoQ group was lower (P<0.05) than in the CON group. In conclusion, emulsified CoQ10 increased blood TAP and decreas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without affecting antioxidant enzymes, suggesting that emulsified CoQ10 might be more applicable as an active antioxidant supplement than powdered type in laying hens. Coenzyme Q10(CQ10)은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의 산화적 인산화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최근 항산화제로서 가능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산란 스트레스로서 지방간 현상이 다발하는 산란계(40주령)를 이용하여 대조군(CON), 분말 CoQ10 급여군(PCoQ, 100 mg/kg 사료) 및 유화 CoQ10 급여군(ECoQ, 100 mg/kg 사료) 등 3 처리군으로 설정하고 항산화 관련 지표를 조사하였다. 5주간의 시험 결과 분말 및 유화 CoQ10 급여는 산란계의 체중, 증체, 간 및 비장의 무게에는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CoQ10 급여 후 혈액의 전체 항산화력(total antioxidant power)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 시 ECoQ군에서 약 2배 정도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PCoQ군에서 수치상 약 1.5배의 TAP가 증가하였으나 대조군과 비교 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산란계의 간 조직에서 SOD, GPX 및 CAT 등 항산화 효소의 mRNA 발현은 분말 또는 유화 CoQ10 급여에 따른 유의적 효과가 없었다. 이들 항산화 효소들의 특이적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역시 분말 또는 유화 CoQ10 급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지표는 대조군과 비교 시 ECoQ에서 유의하게(P<0.0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유화형 COQ10 급여는 산란계에서 혈액의 전체 항산화력(TAP)을 증가시키고 간 조직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지질과산화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Q10 급여는 과도한 산란 스트레스로부터 건강한 산란계를 사육할 수 있는 항산화 사료첨가제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단위가축영양 : 고령토(천연목질점토)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성적과 계란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진수 ( Jin Soo Kim ),조종관 ( Jong Kwan Jo ),윤세영 ( Se Young Yoon ),윤구 ( Ku Yun ),권일경 ( Il Kyung Kwon ),채병조 ( Byung Jo Chae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토(Kaolin)의 수준별 급여(실험 1)와 주령이 서로 다른 산란계의 수준별 급여(실험 2)가 산란계의 성적, 난품질 및 난각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58주령 산란계 총 64수를 이용하여 고령토 0.0, 0.2, 0.4 및 0.6% 급여구로 구분하였다. 실험 2에서는 두 가지 주령(30과 58주령)의 산란계와 세 가지 수준(0.0, 0.2 및 0.4%)의 고령토를 2×3 요인분석법으로 설계하였다. 두 실험의 결과, 고령토를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하면 사료섭취량이 적어지고 사료요구율과 산란율이 개선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난품질과 난각의 품질에는 고령토 첨가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질고령토의 첨가는 사료효율을 개선하고 산란율을 높여주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첨가수준은 30주령에서는 0.2%, 58주령에서는 0.2, 0,4%가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different levels of kaolin(Exp. 1) and effects of age of layers and levels of kaolin(Exp. 2) on the performance, egg and shell quality parameters of laying hens. In Exp.1, 64 laying hens of 58 wks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of 16 hens in each. Dietary treatments wer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0, 0.2, 0.4 and 0.6% kaolin. In Exp. 2 96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6 groups of 16 hens each in a 2×3 factorial arrangement(two different ages, 30 and 58 wk and three levels of kaolin, 0.0, 0.2 and 0.4%). In both the experiment there were linear decreases in feed intake(P<0.001), improvement in FCR(P<0.05), and egg production(P<0.05), with increasing dietary kolin level. Supplementation of kaolin had no effect on the egg and shell quality parameters in both experiments. Thus, it is concluded that kaolin may improve performance, and 0.2% level showed the best laying performance.

      • KCI등재

        국내 산란계의 주요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혈청학적 모니터링 결과 및 분석 (pp.361-372)

        이혜림(Hae Rim Lee),김종만(Jong Man Kim),김진형(Jin Hyung Kim),김창문(Chang Moon Kim),소현희(Hyun Hee So),이동우(Dong Woo Lee),하봉도(Bong Do Ha),홍성철(Song Chol Hong),모인필(In Pil M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충북대학교 조류질병학실험실에 2009년 한 해동안 의뢰된 산란계의 혈청 검사 결과에 대해 분석하여, 산란계의 주요 질병에 대한 국내 산란계의 면역 상태 및 질병 감염 실태를 파악하였다. 검사 대상 질병은 AI, ND, IB, aMPV, EDS'76, IBD, CIA이었으며, 산란계의 성장 단계에 따라 주령 구간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AI, ND, IB는 모체이행항체가 감소한 후 산란 기간에 걸쳐 혈청 역가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AI는 모든 주령 구간에 걸쳐 음성인 계군이 존재하는 반면, ND는 3~10주령 구간의 한 음성 계군을 제외하고 전 주령에 걸쳐 100%의 계군 양성률을 보이고, ND의 평균 GMT가 AI의 평균 GMT보다 높았는데, 이는 두 질병의 백신 정책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IB의 산란기의 안정적인 역가는 백신 역가에 산란기 전반에 걸친 야외 감염 개체의 존재로 인한 야외감염 역가가 더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aMPV는 2009년에 백신을 실시하지 않았던 질병이므로, 양성 역가를 통해 aMPV의 야외 감염을 추적할 수 있었으며, GMT 변화 및 계군 내양성 개체율의 증가 경향을 통해 일령이 증가할수록 야외감염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EDS'76은 산란 기간에 걸쳐 높은 양성률과 낮은 변이계수를 보여 야외감염이 아닌 백신에 의한 역가 형성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IBD의 모체이행항체는 높은 수준으로 이행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IA는 백신을 적용하지 않은 계군에서 양성과 음성 계군이 모두 존재하였으며, 그 차이는 차단 방역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산란계에서의 혈청 역가 분포를 파악하는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향후 지속적인 야외 계군의 혈청학적 모니터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erological evaluation for the poultry is important for various reasons, such as designing and assessing the vaccination program and diagnosing diseases and for this reason, serologic tests for the layer flocks have been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Moreover, the nationwide serological survey and analysis are essential to understand the epidemiological status of national poultry industry. In this sen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mune status of the layer flocks with the sera submitted to Avian Disease Laborato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09, and several important viral disease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including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 Newcastle disease (ND), infectious bronchitis (IB) and avian metapneumovirus (aMPV). For LPAI and ND, the age-related patterns of geometric mean titer (GMT) changes were simila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lock positive rate and the level of GMT due to the different vaccination policy. In the case of IB, the values of GMT showed that the field infection was more prevalent than expected. For aMPV, positive birds in a flock increased as the layers got older, which reflected the course of field infection because vaccination against aMPV was not allowed in 2009. From this study, the immune status for the main viral diseases in layers became more clarified but this information was limited because of only one year study. Therefore, serological survey needs to be conducted on a yearly basis and furthermore include broilers and breeder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ealth status in the national poultry industry.

      • KCI등재

        사료내 타우린 첨가가 산란계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박강희 한국가금학회 2002 韓國家禽學會誌 Vol.29 No.2

        타우린이 산란계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두 번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에 있어서 19주령 산란계를 사료에 타우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0.4%,0.8%그리고 1.2%를 첨가한 4가지 시험구에 균일하게 분포시켜 10주 동안 사양하였다. 1.2%타우린 첨가시 산란계의 복강지방 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29.2% 낮았다. 혈청 중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처리구간 타이가 없었으나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1.2% 타우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22.4%높았다. 간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0.8%그리고 1.2%타우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26.1%와 26.4% 그리고 28.2%와 26.4% 낮았고,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도 1.2%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33.9%낮았다. 시험 2에서는 81주령 산란계를 사료에 타우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1%그리고2%첨가한3가지 시험구에 균일하게 분포시켜 6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1% 타우린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복강지방량이 25%감소하였으나, 혈청 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 타우린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혈청 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각각 44%와 19.8% 낮았으며,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75% 높았다. 그리고 간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의 경우, 1%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6.8%와 23%낮았으나, 2%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78.4%와 70% 높았다. 또한 간의 HDL-cholesterol 농도의 경우, 1%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2% 첨가구는 62.8%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란계에 타우린의 급여는 복강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며, 이는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대사의 변화를 수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역할을 한다. 소풍의 적절한 활용은 시각적 요소 및 비언어적 전달요소에 의한 정보전달을 중심으로 주목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그에 뒤따르는 소구과정의 단계를 증폭시키고 가속화시킨다. 또한 소품의 사용은 광고물의 분위기나 가치, 신념 등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좀더 많은 새로운 모험과 실험이 많아질수록 광고의 미래전망이 밝아질 것으로 예측된다.t and t-test were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each parame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AU $C_{0-}$30hr/, $C_{max}$ and $T_{max}$ between two were ~5.66, 1.74 and 0.00%, respectively. Minimum detectable differences ($\Delta$) at $\alpha$=0.05 were less than$\pm$ 20% except $T_{max}$ (8.44, 18.36, and 33.86%,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all parameters were within $\pm$20% (-10.60~ -0.72, -9.00~12.49 and -19.81~19.81%,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formulations are bioequivalent for both the extent and the rate of absorption after single dose administration.ation.ion.ion.ation.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urine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in laying hens. In experiment 1, 19-wk-old laying hens were given one of four taurine supplemented diets (0 (control), 0.4, 0.8, and 1.2% taurine) fur 10 weeks. Abdominal fat weight was lower in the 1.2% diet by 29.2% compared to the control. Serum concentrations of triacylglycerol and HDL-cholesterol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seam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was higher by 22.4% in the 1.2% diet compared to the control. Concentration of triacylglycerol or total cholesterol in the liver were decreased by 26.1% or 26.4% and 28.2% or 26.4%, respectively in the 0.8% and 1.2% diet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HDL-cholesterol in liver was also lower by 33.9% in the 1.2% diet compared to the control. In experiment 2, 81-wk-old laying hens were allocated to one of three taurine supplemented diets (0 (control), 1 and 2% taurine) fur 6 weeks. Abdominal fat weight was lower by 25% in 1% taurine supplemen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Serum concentrations of triacylglycerol,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of hens fed with 1% diet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group. However, sew concentrations of triacylglycerol and total cholesterol were lower by 44.0% and 19.8%, respectively in the 2% diet compared to the control. Furthermore, serum concentration of HDL -cholesterol in the 2% diet was higher by 75% compared to the control. Concentrations of triacylglycerol and total cholesterol in the liver in the 2% diet were decreased in the 1% diet by 36.8 and 23%, respectively, but increased by 78.4% and 70%,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HDL-cholesterol in the liver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1% diet and the control, but higher by 62.8% in the 2% diet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aurine supplementation decreased the fat storage in abdominal cavity, which was accompanied by the changes in triacylglycerol and cholesterol metabolisms of laying h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