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권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다양한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사이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토론효과인식,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동료)학습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으로 구분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기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성과 변인과의 상관에 있어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에 비해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 모두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조금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에 대해서는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토론효과 인식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Therefore, social presence, perception of discussion effect, and overall perceived learning were surveyed among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onstruct of social presence was divided into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separately. Research results show that, first,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learners' year (grade) in school. That is, higher grade students perceived social presence highly.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all of the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e relationships of teacher social presence with other outcome variable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learner social presence. Third,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ceived effect of discussion, but the effect of teacher social presence was only slightly stronger than that of learner social presence. Fourth, teacher social presenc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erceived learning overall but learner social presence was not. Similarily, only teacher social presence accounted for some of the variability of satisfaction, while learner social presence did not account for the var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the online teacher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1) 학생의 학기차, 같은 수업에서 알고 있는 동료의 수, 토론 그룹의 크기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2) 사회적 실재감(하위요인)이 지각된 온라인 토론의 정서적,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3) 토론 그룹의 크기, 학기차, 알고 있는 동료의 수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과 지각된 토론효과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온라인토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실재감 촉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격대학원에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및 지각된 토론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그룹별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얼굴과 이름을 아는 동료의 수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 요인은 인지적, 정서적 토론효과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 가운데 상호집중 및 지원과 개방적 의사소통이 토론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정서적 유대감은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넷째, 학습자 특성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회적 실재감 인식이 낮은 저학년 학생 그룹과 동료 학습자의 얼굴과 이름을 잘 알지 못하는 그룹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효과 향상을 위한 사회적 실재감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and to gain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facilitate online discu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1)the differences of social presence(and sub factors) by students’ year of online class, number of acquaintance in the class, and size of online discussion, (2)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and sub factors) on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3) and the differences of effects of social presence by year of online class, number of acquaintance in the class, and size of online discussion. For this study, the students taking an online course in cyber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online discussion two times during a semester. After a semester, students participated the survey about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number of acquaintance in this course. The more students know the peers, the higher they perceived the social presence. Second,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correl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outcomes of discussion significantly. Third, social presence was influential on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especially, more influential on emotional effects than cognitive effects.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mutual attention and support’, ‘open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on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however, emotional connectedness was not. Fourth, the effects of social presence were more powerful in a group of students who was lower grade and knew few or no acquaintance in the course. These group were perceived lower social presence than others compara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of facilitating social presence to enhance the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쇼핑몰의 의인화 전략 : 사회적 실재감을 중심으로

        박주식 대한경영정보학회 2012 경영과 정보연구 Vol.31 No.2

        기업과 소비자간 전자 상거래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나 많은 전문가들은 아직 도 그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이유로 온라인 쇼 핑환경이 지니는 인간적·사회적 요소의 부재를 들고 있다. 온라인 쇼핑은 전통적인 면 대면 상거래에 비해 보다 비인적이며 익명성이 강해 인간적인 온정과 사회성이 부족하 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상거래에 비해 온라인 쇼핑이 가지는 태생적 한계인 면대면 사회적 상호작용을 대신할 수 있는 개념으로 사회적 실재감을 도입하여 사회적 실재감 의 선·후행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주제와 관련 있는 마케팅, 심리학, 커뮤 니케이션 연구분야의 연구결과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제시 하였다.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다. 본 설문의 응답자들은 최소 5회 이상 인터넷 구매를 경험한 소비자들로 구성 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실재감에 대한 지각은 인터넷 쇼핑몰과의 잦은 접촉이 있어야만 생길 수 있는 지각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쇼핑몰의 맞춤화 노력은 지각된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쇼핑몰의 반응성 역시 지각된 사회적 실 재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쇼핑몰은 고객의 요구에 다양한 방법으로 신속하고 성실하게 반응함으로써 사회적 실재감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지각된 게시판 활동성은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몰 운영자는 자 사 게시판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여 소비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사회적 실재감은 쇼핑몰 신뢰와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몰 신 뢰와 즐거움은 쇼핑몰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온라인 쇼핑에 관한 연구의 중심이 되고 있는 쇼핑몰 충성도와 신뢰 형성에 사회 적 실재감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쇼핑몰 신뢰와 충성도를 위한 새로 운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은미 ( Eun Mi Cho ),한안나 ( Ahn Na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효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학습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2009학년도 2학기 A사이버대학에서 개설된 `인적자원개발론`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효과 변인인 성취도와 참여도, 만족도를 측정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이며(ß= .791),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요인에서는 상호지원 및 집중(ß= .477)과 개방적 커뮤니케이션(ß= .259)요인 만이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둘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성취도(ß= .435), 참여도(ß= .337), 만족도(ß= .764)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셋째,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학습몰입을 통해서 학습효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나 학습몰입의 효과를 증진 시키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기 보다는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다.본 연구는 사회적 실재감과 몰입의 관계,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와의 관계, 몰입과 학습효과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flow, learning effects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flow o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Data from 150 students who are tak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bject in the 2nd semester of 2009 at A cyber universit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se variables were measured by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 date was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variable predicting learning flow proved to be significant(ß= .791), and out of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only mutual support and empathy(ß= .477)and open communication(ß= .259)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learning flow. Second, the resul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variable predicting learner`s achievement(ß= .435), participation(ß= .337) and satisfaction(ß= .764) prove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proved that learning flow acted as a mediating variable. That is learning effects appeared to affect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Therefore, learning effects could be evident when learner`s learning flow is high.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learner`s social presence has an effect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rather than suggesting methods of stimulating the learner`s socia lpresence, inducing learning flow.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and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are investigated on the whole.

      • KCI등재

        온라인 수업의 조별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사회적 실재감의 양상: 메시지 분석을 중심으로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조별 게시판 활동에서 나타난 온라인 상호작용의 내용을 사회적 실재감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 성과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성공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원격으로 수업을 듣고 있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동안 조별 게시판 활동을 하도록 하고 학기가 종료되는 시점에 사회적 실재감, 만족도, 토론효과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게시된 메시지의 내용을 사회적 실재감 범주화 규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Rourke, Anderson, Garrison, & Archer, 2001). 연구결과, 사회적 실재감은 토론효과 인식,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게시글의 수는 어떠한 변수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사회적 실재감 점수가 높은 조가 사회적 실재감을 나타내는 내용의 메시지를 게시판에 더 많이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적 실재감이 높은 조는 정서적 메시지와 상호작용적 메시지가 월등히 높게 나타난 반면, 사회적 실재감이 낮은 조는 정서적 메시지가 적고 화합/응집하는 메시지, 특히친교적 메시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진행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메시지의 변화는 초기에 정서적 메시지가 가장 많고 화합/응집하는 메시지가 그 다음 순이었으나 토론이 진행되는 시기에는 상호작용적인 메시지가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정서적 메시지는 학기 후반으로 갈수록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나 화합하는 메시지는 학기말로 가면서 다소 증가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향은 조별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수업설계 운영 전략을 각 요소(정서적 교류, 상호작용적 의견 교환, 응집성과 공동체 의식 강화)별로 제안하였으며 수업 운영 중 교수자의 지속적인 촉진활동과 실재감의 유지가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an qualitative analysis of social presence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of social presence with other learning outcomes to gain implications for successful online learning. For this study,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group online interaction through the group bulletin board during a semester then they responded the survey about social presence, effects of discussion and satisfaction which they had experienced in online class. I addition to thi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s of message in a group bulletin board based on the social presence protocol by Rourke et al(2001). As a research results, social presence correlated with perceived effects of discussion and satisfaction, but number of message didn`t have an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The group bulletin board which marked a higher score on social presence survey presented more message related with social presence. The group had highest score in social presence indicated more emotional and interactive message than other groups, lower score groups presented less message in emotional and interactive category, but they indicated more cohesive message, especially, phatics and salutions. A change in social presence message over time, at early stage, the most frequent message was emotional one, the next was cohesive message, the least was interactive one. But during the period of discussion, the interactive messages increased sharply. As the time went to the end of semester, emotional message decreased gradually, whereas cohesive message increase a little. The tendency of change in social presence message was also similar in every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and the implication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were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대학에서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 및 이들의 관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의길 ( Eui Kil Lee ),김윤정 ( Yun J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의 성인 학습자들이 지각한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이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며, 이것이 궁극적으로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학습자 변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4학년도 2학기 국내 한 온라인대학 재학생 119명으로부터 수집된 인구학적 정보, 상호작용,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및 과목전반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학업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은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 자유게시판 활동에 참여한 집단에서 높았다. 둘째,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나, 자유게시판 활동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개입이 없이도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이 높았다. 셋째,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학습만 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과목 전반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에서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소극적인 학습자들에게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by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the effects of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Data including subjects`` demographic information, interactions,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social presence of the cours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collected from 119 adult learners in an online university in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as higher in the higher-aged group or active group on intranet message board than the lower-aged group or inactive group on the board. Second,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increased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However, the active group on the board has shown the highest level of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ithout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Thir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and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hile the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and social presence of the cours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s be provided systematically for those who are not active in social interaction to enhance their learning satisfaction.

      • KCI등재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지은(Lim, Jieun),이민혜(Lee, Minhye)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가 지각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로 대표되는 능동적 동기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능동적 동기요인이 실재감과 학습성과 사이에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학년도 1학기 전면 온라인 강의를 수강 중인 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자기조절효능감, 주도적참여, 인지된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실재감은 성취도와 만족도를 예측하였으나 사회적 실재감은 지각된 성취도만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수실재감 중 설계와 조직의 학습성과에 대한 직접효과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사회적 실재감 하위구인 중에는 정서적 표현만이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모두 매개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재감과 학습효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주도적 참여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온라인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효과적인 학습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수업과 같이 학습자의 학습자율권과 통제권이 강화된 상황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의 학습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 능동적 동기요인으로서 중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능동적 동기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습성과를 높이는 잠재적 동기기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온라인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운영 전략 활용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We aimed to investigate how online learners perception of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re associated with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We also explored the extent to which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gentic engagement, arguably the most important agency motivation in online learning,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A total of 204 college students taking online courses due to the COVID-19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o online survey items asking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gentic engagement,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Two path models were analyzed: one with mean scores of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and the other one with subdimensions of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positively predicted both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hile social presence positively predicted only achievement. More precisely, the direct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design & organization on both learning outcomes were remarkable and the direct effect of social presence: affective expression on achievement was significant.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also positively predicted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gentic engagement.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both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were found, but none of agentic engagement was found. The current findings replicated the importance of presence in online learning settings, where learners autonomy and controllability is maximized. For this reason, online learners agentic motivational belief that they can control and regulate their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plays a critical role. Our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learners perceived presence can enhance students agency motivation, which in turn boosts their effective learning.

      • KCI등재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이채민(Chae Min Lee),유순화(Soon Hwa Yoo)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와 사회적 실재감의 관계에서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 사회적 실재감, 이모티콘 사용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이모티콘 사용을 경유하여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는 B시와 G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503명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욕구, 사회적 실재감, 이모티콘 사용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설문조사에서 극단의 이상치 또는 이상치 응답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는 22부를 제외한 총 481부의 자료를 SPSS 27.0과 AMO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모형으로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이모티콘 사용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기표현 욕구, 사회적 실재감, 이모티콘 사용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표현 욕구는 사회적 실재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표현 욕구와 사회적 실재감 사이에서 이모티콘 사용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및 청소년의 사회적 실재감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con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for self-expression in adolescents' SNS and social presence.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desire for self-expression on SNS, social presence, and using emotion? second, does adolescent’ desire for self-expression on SNS affect social presence through the use of emoticon? In this study, 503 middle and high schools in cities B and G were surveyed to measure self-expression desire, social presence and emoticon use. Among them, a total of 481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AMOS 28.0, excluding 22 copies judged to have shown extreme outliers or outliers in the survey. The mediating model was established as a research model that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on SNS would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social presence and at the same time indirectly through the use of emotic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o be suit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social presence and emoticon us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nse of social presence.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con use between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and social presence was ver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presence of adolescents were discuss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블렌디드러닝 환경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학습 몰입의 구조적 관계

        전중원,이승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gital literacy, social and cognitive presence, learning flow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35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o verify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s of digital literacy, social and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flow were confirmed to be suitable. Second, digital liter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other variables. Social pres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cognitive presence, but not with learning flow. On the other hand, cognitive pres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flow, a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d cognitive presence i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flow. The main points of discuss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operation and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overall system of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Second, it is to suggest a learning strategy for improving the cognitive presence. Third, unlike adult learners, it is necessary to discuss social realit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a discussion on teacher feedback or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is required to improve coexistence, influence, and cohesion among learner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require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a multifaceted review on the sense of pres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meaningful data for discussing the necessity of digital literacy and examin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learners' sense of pres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러닝 환경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디지털 리터러시,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학습 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의 359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학습 몰입의 구조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변인간 개별 경로 추정치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는 다른 변인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적 실재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학습 몰입과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인지적 실재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 몰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며,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 몰입의 관계에서 직렬 다중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러닝 환경의 체제설계 및 교수학습설계 전반에서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운영과 성취수준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인지적 실재감 향상을 위한 학습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성인 학습자와는 달리, 초등학생과 사회적 실재감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즉, 학습자 간의 공존감, 영향력, 응집력의 향상을 위한 교사 피드백이나 협동학습 전략에 관한 논의가 요구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초등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개발 및 실험연구와 실재감에 관한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학습자의 실재감에 관한 교수학습전략을 살피는데 의미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 수준의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성별과 상호작용 방식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비교 연구

        모수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This study seeks ways to promote S-S interaction by exploring students’ social presence in a college-level online learning commun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7 undergraduate students who attended a 15-week general English course, and they were divided into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interaction groups. This study adopted a mixed-method approach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zed quantitativ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adapting the social presence items in the Community of Inquiry Survey Instrument. A categorization by open coding was performed on the open-ended items of the questionnaire and a written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presence by gend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presence when gender exchanged its effect with interaction means. Social presence by interaction mea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two, the group with frequent and good-quality interaction perceived higher social presence. The findings indicate social presence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means. The formation of a sense of bond and intimacy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was crucial in developing their social presence. The students’ perception of participation was closely related to S-S inter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concludes with a suggestion for instructors to facilitate students’ social presence and promote S-S inter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준의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탐구하여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15주간 교양영어 교과목을 수강한317명의 학부생으로, 이들은 비동기식 상호작용 집단과 동기식 상호작용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는자료의 수집과 분석에 혼합연구방법(mixed-method approach)을 채택하였다. 탐구공동체(Community of Inquiry, CoI) 설문조사 도구의 사회적 실재감 문항을 반영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하여 이원배치분산분석(Two-way ANOVA)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의개방형 질문과 표본집단 서면 인터뷰는 개방 코딩방식의 범주화 작업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따르면, 첫째, 성별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은 상호작용 방식과함께 작용할 때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호작용 방식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은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상호작용이 자주 일어나고 양질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집단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이 더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호작용 방식의 맥락에서 사회적실재감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의 유대감과 친밀감 형성은사회적 실재감을 발달하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였으며, 학습 참여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학습공동체내의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촉진하고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도모하기 위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