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딸기 ‘매향’의 사이토키닌 처리방법과 농도에 따른 생육과 런너 생산

        김영진(Young Jin Kim),김혜민(Hye Min Kim),김현민(Hyun Min Kim),황승재(Seung Jae Hw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시설딸기 ‘매향’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처리방법과 농도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를 2016년 2월 22일에 상업용 혼합상토(토실이)를 이용하여 딸기 재배 포트(64×27×18㎝)에 정식하였다. 생장조절제인 6-benzylaminopurine을 이용하여, 정식 후 3주째에 농도를 900, 1,200, 1,500㎎·L<SUP>-1</SUP>로 제조하여 식물체당 50mL씩 각각 엽면살포와 배지관주하였다. 양액의 공급은 EC 수준을 0.65dS·m<SUP>-1</SUP>로 맞추어뿌리 활착을 위해 충분히 공급하였다. 뿌리 활착 후에는 배양액의 1회 공급량을 딸기 재배 포트 당 450mL로 하루 2회(10분)씩 공급하였다. ‘매향’ 딸기 모주의 초장과 크라운 직경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근장, 1차 근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과 같은 다른 생육 특성은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그리고, 딸기의 SPAD 값은 900㎎·L<SUP>-1</SUP>의 배지관주에서 44.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면살포 처리는 배지관주 처리보다 런너 생산에 효과적이었으며, 900과 1,500㎎·L<SUP>-1</SUP> 처리에서 런너 수가 가장 많았다. 반면에, 자묘 수는 엽면살포보다 배지관주에서 효과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시설딸기 ‘매향’의 생육과 런너 수는 900㎎·L<SUP>-1</SUP>의 농도로 엽면살포한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 (PGR) on the growth and runner production of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cv. Maehyang) in a velno-type greenhouse. The seedlings of strawberry were transplanted in pot (64 × 27 × 18 ㎝) filled with commercial mixed medium (Tosilee) on February 22nd, 2016. The 6-benzylaminopurine (6-BAP) was applied with foliar spray or drench, respectively as 900, 1,200 or 1,500 ㎎·L<SUP>-1</SUP> (50 mL per plant) at 3 weeks after transplanting. Nutrient solution was sufficiently supplied by the drip irrigation as EC 0.65 dS·m<SUP>-1</SUP> for rooting during 7 days. After rooting, the 450 mL nutrient solution supplied per pot twice a day (10 min). Plant height and crown diameter of ‘Maehyang’ mother plant appear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other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root length, number of primary roots,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or root, were significantly the greatest in the control. And, the SPAD value of strawberry was the highest as 44.2 in the drench with 900 ㎎·L<SUP>-1</SUP>. The foiler spray was more effective in runner production than drench, and the number of runners appeared high values at the 900 and 1,500 ㎎·L<SUP>-1</SUP>. Whereas, the number of strawberry plantlets was effective in the drench.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growth and the number of runners of strawberry plant were the best achieved by foliar spray application at the 900 ㎎·L<SUP>-1</SUP>.

      • KCI등재

        Affecting Asparagus officinalis Shoot and Root Growth Characteristics with CPPU Foliar Sprays and Soil Drench

        Yang-Gyu Ku(구양규),David J. Woolley(데이빗 울리),Sung-Ju Ahn(안성주),Jeong-Hyun Lee(이정현)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2

        CPPU 엽면 살포와 토양관주 처리에 따른 아스파라거스의 shoot(fern) 개수, fern 신장, 액아 타파, 뿌리의 수와 버드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PPU 토양관주 처리는 fern생산을 촉진하였는데, 그러나CPPU 엽면살포(≥ 10 ㎎?L<SUP>-1</SUP>)처리에서는 ‘Jersey Giant’의 fern 개수를 감소시켰다. CPPU호르몬은 식물 체내에서 이동성이 느려 지상부 shoot 생산에 이동되는 억제물질을 감소시켜 아스파라거스fern 생산을 촉진할 것으로 제안된다. 대조적으로 CPPU호르몬을 직접 crown 버드에 토양관주를 처리하면 사이토키닌 호르몬의 전형처럼 버드 생성을 활발히 촉진한다. CPPU호르몬을 엽면시비와 토양관주를 처리하면 초기의 fern 신장은 촉진되지만, CPPU 호르몬 처리 이후의 자라는 fern 신장은 오히려 감소된다. 모든 CPPU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액아 타파를 촉진하였다. CPPU 호르몬을 토양관주 처리하면 fern 생산에 효율적일지라도 뿌리의 수나 crown 버드 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effect of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applications of N1-(2-chloro-4-pyridyl)-N3-phenylurea (CPPU) on shoot (fern) numbers, fern height, axillary bud break, root number and bud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A soil drench with CPPU stimulated fern production, but applying CPPU (≥ 10 ㎎?L<SUP>-1</SUP>) to foliage of ‘Jersey Giant’ seedlings reduced the numbers of ferns. Since CPPU is poorly transpor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PPU may be stimulating the production in the fern of a mobile inhibitor of shoot production. In contrast, CPPU applied directly to the crown buds using a soil drench could act directly in stimulating bud outgrowth, as is typical of cytokinin-like substances. CPPU as a foliar spray or soil drench stimulated the height of initial ferns, but decreased the height of subsequent ferns. All CPPU treatments significantly enhanced axillary bud break of the fern compared to the control. Although CPPU, applied as a soil drench, was effective in promoting fern production, it did not influence root and crown bud numbers.

      • KCI등재

        회화나무 캘러스 배양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 및 광질의 영향

        임현정,정다슬,이우진,김경미,송수현,김대욱,양종철,정재철,Jae Sun Yi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basic conditions for the mass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the industrially promisingplant, Styphnolobium japonicum (L.) Schott. Hypocotyl were cultured on media containing NAA 2.0 mg·L-1 + TDZ 0.1 mg·L-1 a milkywhite soft callus was formed, resulting in the most effective with a callus induction rate of 100±0.0%, a duration of 7.1±0.03 daysfor callus formation, and a callus weight of 249.8±12.73 mg. Callus from hypocotyl was formed a large amount of light yellow hardon media containing IBA 1.0 mg·L-1 + TDZ 0.1 mg·L-1 under fluorescent light conditions, and resulting in the most effective witha highest fresh weight of callus (186±5.4 mg) and exellent size of callus (40.6±1.6 mm2). The yield of callus extract was investigated59% (50% ethanol extraction), 55% (water ext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aackiain was detected 1.68 mg·g-1 in callus extr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 vitro mass propagation and enhancing for secondary metabolite productionof Styphnolobium japonicum (L.) Schott for expected for specie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본 연구는 산업화 유망 식물인 회화나무의 이차대사산물 대량생산용 캘러스 확보에 필요한 기초조건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기내 배양한회화나무 하배축을 2.0 mg·L-1 NAA + 0.1 mg·L-1 TDZ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유백색의 부드러운 캘러스가 형성되었고, 캘러스 형성률 100±0.0%,캘러스 형성에 걸리는 기간 7.1±0.03일, 캘러스 무게 249.8±12.73 mg으로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배축에서 유도한 캘러스는 백색광조건의 1.0 mg·L-1 IBA + 0.1 mg·L-1 TDZ 처리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연노란색의 단단한 캘러스가 다량으로 형성되었고, 캘러스 생체중186±5.4 mg, 면적 40.6±1.6 mm2으로 가장 무겁고, 크기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내 배양한 캘러스 소재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50% 에탄올추출 시 59%, 물 추출 시 54%로 확인하였고, 추출물 내 유효성분으로 마키아인 함량은 1.68 mg·g-1으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업화식물로써 유망있는 수종인 회화나무의 기내 대량증식과 이차대사산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6-Benzylaminopurine 처리가 미니 팔레놉시스와 도리테놉시스의 개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안혜련,이수영,박부희,박필만,윤도이 한국화훼학회 2017 화훼연구 Vol.2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time of the cytokinin 6-benzylaminopurine (BA) for the flowering of miniature Phalaenopsis ‘Jiaho’s Pink Girl’ and Doritaenopsis ‘ Coffee. Plants were transferred to a cooling greenhouse for flower induction and sprayed (50 mL per plant) with BA at 0 (control), 100, 200, and 400 mg·L-1.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BA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more inflorescences in both cultivars. Plants treated with BA at 400 mg·L-1 had approximately twice as many inflorescences as the control; however, abnormal inflorescences were also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to 400 mg·L-1. Inflorescence length, the number of flowers, and the flower diameter of D. ‘Coffe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BA concentration, whereas the flower number of P. ‘Jiaho’s Pink Girl’ significantly increased at high concentr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plants received a foliar spray of BA at 100 mg·L-1 at different times of transfer to a cooling greenhouse (7, 0, +7, or +14 d). In P. ‘Jiaho’s Pink Girl’, inflorescence and flower number significantly increased and visible inflorescence emerged 8 d earlier in plants treated with BA at 7 d after the transfer than in control. However, the number of flowered inflorescence of D. ‘Coffee’ was lower in plants applied with BA than in the control, except for plants applied with BA at 14 d after the transfer.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BA at 100 mg·L-1 after 7 d of cooling treatment could enhance the flower quality in miniature P. ‘Jiaho’s Pink Girl’ but not in D. ‘Coffee.’ Thus, BA application could promote inflorescence emergence, but this depends on the conditions and is not effective for all cultivars. 본 연구에서는 6-benzylaminopurin(BA)처리가 미니 P. ‘Jiaho’s Pink Girl’와 D. ‘Coffe’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화 품질 향상을 위한 BA적정농도와 처리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1차 실험은 BA적정농도를 구명하고자 농도100, 200, 400mg·L-1로 50mL씩 엽면 살포하여 처리하였다. 두 품종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출현화경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400mg·L-1에서 무처리보다 2배 증가하였다. 그러나BA처리구 중 P. ‘Jiaho’s Pink Girl’ 품종은 농도 400mg·L-1, D. ‘Coffee’는 농도 200과 400mg·L-1에서 출현화경 중 개화하지 못하는 화경이 증가하였다. D. ‘Coffee’의 경우 BA농도가증가함에 따라 화경길이, 화수, 꽃크기가 감소하였으나, P. ‘Jiaho’s Pink Girl’은 BA처리시 화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차 실험은 적정 BA처리시기를 구명하고자 무처리(BA 0mg·L-1)를 제외하고 농도 100mg·L-1 를 50mL씩 저온처리일을 기준으로 4시점에 처리(-7, 0, +7, +14일)하였다. P. ‘Jiaho’s Pink Girl’은 저온 7일 후 BA처리시 출현화경수와 화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화경출현소요일수는 8일 촉진되었다. 반면에 D. ‘Coffee’는 출현화경수와 화수에서 처리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저온 14일 후 처리를 제외하고 BA처리 실험구에서 개화화경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P. ‘Jiaho’s Pink Girl’ 품종의 경우 저온 7일 후 BA농도100mg·L-1 처리가 품질향상에 효과적인 반면, D. ‘Coffee’ 품종은 더 많은 화경출현이 오히려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가져왔다. 즉 BA처리가 미니 팔레놉시스와 도리테놉시스의화경출현을 촉진시켜 화경수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지만 품종과 환경에 따라 반응이 상이하여 BA사용시 부작용 여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화 화색 돌연변이 품종 ‘ARTI-purple’ 및 ‘ARTI-queen’ 꽃잎 조직의 재분화와 신초형성에 미치는 식물생장호르몬의 영향

        이유미(Yu-Mi Lee),강은정(Eun Jeong Kang),성상엽(Sang Yeop Sung),김상훈(Sang Hoon Kim),하보근(Bo-Keun Ha),김동섭(Dong Sub Kim),김진백(Jin-Baek Kim),강시용(Si-Yong Kang)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3

        국화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적인 화훼류 중의 하나로써, 최근 새로운 국화 품종들이 돌연변이육종을 통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하나의 국화 원품종에서 유래한 돌연변이 품종들 간의 조직배양 조건 차이에 대한 보고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개의 국화 화색 돌연변이 품종 ‘ARTI-purple’과 ‘ARTI-queen’의 효율적인 재분화 조건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로 꽃봉오리 시기와 통상화 개화 이전 시기의 꽃잎을 이용하였고, 꽃의 조직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통상화 및 설상화를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국화 재분화를 위한 식물생장호르몬의 적정 조합을 찾기 위해 3% sucrose, 0.3% gelrite를 포함한 MS 배지에 BA, NAA, IAA 중 2가지 호르몬을 조합별로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절편체는 일장 16시간, 온도 25 ± 1°C 조건으로 배양하였으며, 재분화율 조사는 배양 후 4주 및 8주차에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장 높은 재분화율은 두 품종 모두 최적 NAA와 BA의 호르몬 조합에서 꽃봉오리 시기의 통상화를 사용할 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재분화를 위한 식물생장호르몬의 최적 조합은 ‘ARTI-purple’의 경우 NAA 1.0mg·L<SUP>-1</SUP>와 BA 0.5mg·L<SUP>-1</SUP>로 47.9%의 재분화 효율을 보였으며, ‘ARTI-queen’의 경우 NAA 2.0mg·L<SUP>-1</SUP>와 BA 1.0mg·L<SUP>-1</SUP>로 25.6%의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재분화된 지상부는 1/2 MS배지에서 발근시켰으며, 기내 소식물체는 유리온실에서 성공적으로 순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감마선을 사용한 돌연변이육종법에 의해 개발된 다양한 국화품종의 효율적인 재분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Chrysanthemum is one of the most popular ornamental plants worldwide. Recently, lots of new and novel chrysanthemum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using mutagenesis. However, there was no study for comparison of tissue culture condition among the mutant varieties derived from one original variety, until no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icient regeneration condition of the two chrysanthemum mutant varieties, ‘ARTI-purple’ and ‘ARTI-queen’. Two different flower parts (disk and ray florets) at the unopened and early blooming stages were used for comparison of regeneration condition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combinations of three growth regulators (BA, NAA, and IAA). The highest regeneration rate was identified on the NAA and BA combination when the disk florets at unopened blooming stage are used. The best optimum combinations of growth regulators were identified as NAA 1.0 mg·L<SUP>-1</SUP> and BA 0.5 mg·L<SUP>-1</SUP> at ‘ARTI-purple’, which displayed 47.9% regeneration. However, regeneration of ‘ARTI-queen’ was the highest as 25.6% at NAA 2.0 mg·L<SUP>-1</SUP> and BA 1.0 mg·L<SUP>-1</SUP>. Ther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difference for the optimum regeneration condition between the mutant varieties derived from one original variety.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construction of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of diverse chrysanthemum mutants developed by mutation breeding.

      • KCI등재

        ‘청수’ 포도에 있어서 식물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과실 품질 및 휘발성 향기 특성

        장은하(Eun Ha Chang),정성민(Sung Min Jung),허윤영(Youn Young Hur),남종철(Jong Chol Nam),최인명(In Myung Choi) 한국원예학회 2018 원예과학기술지 Vol.36 No.3

        ‘청수’ 포도는 양조적성이 큰 품종으로 양조용 포도의 특징은 유핵이며 껍질이 두껍고, 과립크기가 작으며 향기가 진한 것이 특징이다.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서 포도의 무핵, 과립비대 및 탈립방지 목적으로 처리하는 생장조절제(PGR)처리가 청수포도의 향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방법은 GA₃ 100ppm + Thidiazuron(TDZ) 1% 5ppm, GA₃ 100ppm + Forchlorfenuron (FCF) 0.1% 5ppm, 그리고 GA3 100ppm를 만개 후 14일에 처리하여 최종 수확시기에 무처리구와 포도의 향기 성분을 비교하였다. 과실 특성에 있어서 과립 무게는 무처리 포도가 가장 적었고(4.49g), GA₃ 100ppm + TDZ 5ppm과 GA₃ 100ppm + FCF 5ppm 처리 시 가장 컸다(6.30-6.48g). 당도와 산함량은 무처리 포도가 PGR 처리 포도보다 각각 1°Brix 높은 16.6 ± 0.55°Brix와 0.1% 높은 0.67 ± 0.04%(w/v)이었다. 과실 향기 성분에 있어서는 무처리 포도에서 향기에 관여하는 휘발성 물질이 다양하게 발달하였고 포도에 과일향을 나타내는 성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PGR 처리 포도에서는 과일향에 관여하는 향기성분의 함량이 낮고, 그린 및 풀향을 나타내는 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GA₃ 100ppm + TDZ 5ppm을 처리한 포도는 향기 성분이 가장 적게 검출되었다. 과피의 n-alkanes 함량은 무처리 포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GA₃ 100ppm + TDZ 5ppm 처리 시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PGR 처리에 따라 n-alkanes 성분 및 함량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향기 생성 전구체인 지방산의 생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결국 포도 향기 생성에 관여하는 지방산 함량이 적거나 또는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무처리 포도에 비해 휘발성 향기 성분이나 함량이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Wine grape is characterized by small berry-type fruits, which contain seeds and juicy pulp enclosed in thick skin. ‘Cheongsoo’, a Korean grape cultivar selected in 1995, is rich in flavor and used as both a wine and a table grape.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 treatments including GA₃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idiazuron (TDZ) or forchlorfenuron (FCF) have been studied in different Korean grape cultivars to select for traits such as seedless and firm fruits and to prevent berry shatter. However, growth regulators such as cytokines have been shown to delay the growth of grapes. Here, we assessed the effect of three growth regulators on ‘Cheongsoo’ grape through investigation of grap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Three treatments of growth regulators, specifically 100ppm GA₃ + 5ppm 1% TDZ, 100ppm GA₃ + 5ppm 0.1% FCF and 100ppm GA₃ alone, were applied at 14 days after full bloom while untreated grapes were used as control. Fiv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soo’ grape were investigated including the sugar, fatty acid and n-alkane contents, acidity and the degree of volatile compound production. Treatment with growth regulators resulted in greater average fruit weight of 6.30–6.48g compared to the 4.49 g of untreated grapes. However, the sugar content of untreated grapes was 1°Brix higher (16.6 ± 0.55) than that of grapes treated with growth regulators. Similarly, the volatile compound and acid content of untreated grapes were elevated, with the latter being 0.67 ± 0.04% (w/v), which was 0.1% higher than grapes treated with growth regulators. The content of hexanal, (E)-2-hexenal, 4-hexen-1-ol, and (E)-2-hexen-1-ol derived from the C6 compounds and fatty acids were higher in grapes treated with growth regulators, also these compounds appeared abundant in immature fruits. The n-alkane content was more predominant in untreated grapes, mostly in the wax layers of grape skin, and it was degraded to fatty acids through various pathways. Collectively, treatment of Cheongsoo grape with growth regulators resulted in reduction of fruity volatile compounds that are essential for the production of good quality wine grapes.

      • SCIESCOPUSKCI등재

        BA와 GA₃가 게발선인장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Gee Young Lee),김윤희(Youn Hee Kim),정재홍(Jae Hong Jung),소호섭(Ho Seob Soh),이상덕(Sang Dug Lee) 한국원예학회 2020 원예과학기술지 Vol.38 No.4

        게발선인장(Schlumbergera truncata)은 꽃이 화려하고 화색이 다양하여 소비가 많은 다화성 선인장이다. 게발선인장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엽상경수를 많이 확보하고 엽상경 선단의 착화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Cytokinin류의 생장조절제는 선인장의 분지수 증가와 개화를 촉진하는 데 이용되어 왔다. 이 연구는 BA와 GA₃ 처리가 게발선인장 ‘오렌지캔들’, ‘핑크듀’, ‘레드로망’, ‘스노우퀸’ 4품종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엽상경이 3마디 정도 자랐을 때 BA와 GA₃를 100 ‑ 200mg·L<SUP>-1</SUP>의 농도로 단용 또는 혼용 살포한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엽상경수와 분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BA 단용처리가 BA+GA₃ 혼용처리보다 효과적이었다. 한편, BA 처리 시 엽상경이 짧아졌고, GA₃과의 혼용처리 시 엽상경이 길어지고 개화가 지연되거나 개화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BA 농도를 낮추어 재실험한 결과, BA 50 ‑ 75mg·L<SUP>-1</SUP>의 농도에서 엽상경 길이의 감소 없이 엽상경수가 19.0 ‑ 33.0% 증가하여 엽상경수와 분지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개화 품질을 높이기 위해 단일기간 중 BA 살포 시 ‘오렌지캔들’과 ‘레드로망’은 BA 100mg·L<SUP>-1</SUP>에서 착뢰수가 100 ‑ 190% 증가하였고 ‘핑크듀’와 ‘스노우퀸’은 BA 150 ‑ 200mg·L<SUP>-1</SUP>에서 33.0 ‑ 41.7% 증가하였다. BA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착뢰수가 증가하였고 개화소요일수는 단축된 반면 꽃의 길이는 짧아졌다. 따라서 게발선인장의 분지력 및 개화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영양생장기인 장일기간 중에 BA 50 ‑ 75mg·L<SUP>-1</SUP>의 농도로 살포하고, 개화 유도 시기인 단일기간에는 BA 100 ‑ 200mg·L<SUP>-1</SUP>의 농도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Having a variety of flower colors makes Schlumbergera truncata more valuable as an ornamental. S. truncata quality is mainly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phylloclades and flowering at the apical phylloclades. Cytokinins have been shown to promote branching and flowering in Cactacea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on the plant growth and flowering of four cultivars of S. truncata: ‘Orange Candle’, ‘Pink Dew’, ‘Red Roman’, and ‘Snow Queen’. Foliar treatments of benzylamino purine (BA) or both a mixture of BA and gibberellic acid (GA₃) were applied (100 - 200 mg·L<SUP>-1</SUP>) when plants reached the three-phylloclade stage under a long-day photoperiod. All plants treated with BA alone or the mixture of BA and GA₃ produced more phylloclades and branches than the control. Application of BA significantly produced more phylloclades and branches than BA in combination with GA3. However, BA application shortened the length of phylloclades, while adding GA₃ to BA promoted the elongation of phylloclades but delayed flowering. During the second trial, only BA was applied at 0 to 100 mg·L<SUP>-1</SUP> to the plants at the two-phylloclade stage under a long-day photoperiod. The number of phylloclades increased by 19.8 - 33.0% without shortening the length of phylloclades when BA was applied at 50 or 75 mg·L<SUP>-1</SUP> concentration. The number of flower buds increased by 100 to 190% under short days when BA at 100 mg·L<SUP>-1</SUP> was applied on ‘Orange Candle’ and ‘Red Roman’, while BA application at 150 - 200 mg·L<SUP>-1</SUP> increased only from 33.0 to 41.7% in ‘Pink Dew’ and ‘Snow Queen’. The number of flower buds increased with the higher concentration of BA, but the number of days to flower de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flowers shortened. In conclusion, Only BA application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phylloclades and flower buds in S. truncata.

      • KCI등재

        용토와 생장조절제 처리가 노빌계 덴드로비움의 삽목번식에 미치는 영향

        김한균,남유경,이종석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0 화훼연구 Vol.18 No.1

        본 실험은 Dendrobium nobile계 신품종인 ‘Candy’와 ‘Fizz’, ‘Princess’를 대상으로 줄기 삽목번식법을 확립하 고자 수행하였다. 매질실험에서 삽목 60일 후 측아발 생률은 ‘Fizz’가 perlite+vermiculite 혼용구에서 83.3%로 가장 높았고, 발근률은 ‘Candy’와 ‘Fizz’에서는 발근이 되지 않았으나 ‘Prince’의 경우 삽목 60일 후 perlite+ vermiculite 혼용구에서 10%의 발근률을 나타냈다. 오 옥신 종류 및 농도별 실험에서 측아발생률은 ‘Candy’를 제외하고는 삽목 60일 이후부터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 었으나 ‘Fizz’는 IBA 200ppm 처리의 86.7%를 제외 하고는 대조구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착엽수는 대 조구에 비해 ‘Candy’와 ‘Fizz’의 경우 IBA 200ppm 에서 높은 발생률을 나타냈다. 발근률은 ‘Prince’에서는 IBA 200과 NAA 50ppm에서 대조구보다 2배의 높은 발근률을 나타냈다. BA와 kinetin의 농도별 실험에서 ‘Candy’는 삽목 60일 후 BA 50ppm에서 20%의 측아발 생률을 나타냈다. ‘Fizz’ 품종은 전체적으로 측아발생률이 30일 이후부터 증가하여 60일 이후에는 대조구의 77%에 비해 BA 200ppm에서 100%이었다. 그러나 kinetin의 경우 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착 엽수도 Fizz와 Prince에서 측아발생률과 유사한 경향으로 서 BA 200ppm에서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모든 품종 에서 발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rooting media composition and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he mass production of new three cultivars in Dendrobium. Rooting medium experiments showed that shooting rate of ‘Fizz’ was the highest in perlite (Per) and vermiculite (V) mixture (1 : 1, v/v). Rooting rate of ‘Prince’ was 10% in the same treatment 60 days after cutting, while those of ‘Candy’ and ‘Fizz’ showed no shooting. With various kinds of auxin and different levels of concentrations, shooting rate in the other cultivars except ‘Candy’ increased highly at 60 days after cutting. Wherea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except that of ‘Fizz’ with 200 ppm of IBA treatments showing 86.7%. Rates of cutting with leaves of ‘Candy’ and ‘Fizz’ were fairly high with 200 ppm of IBA compared to the control. Rate of rooting of ‘Prince’ was twice with 200 ppm of IBA or 50 ppm of NAA compared to the control. With various kinds of cytokinin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shooting rate of ‘Candy’ was 20% with 50 ppm of BA at 60 days after cutting; however, that of ‘Fizz’ increased in all treatments in 30 days after cutting and reached 100% with 200 ppm of BA compared to the control which was 77% at 60 days after cutting. Kinetin treatment had little effect on shooting rate compared to control at all concentrations. Treatment with 200 ppm of BA had clear effect on the rate of cutting with leaves of ‘Fizz’ and ‘Prince’, which was similar to shooting rate. However, the same treatment of BA had no effect on the rooting rate in all cultivars.

      • KCI등재

        Gibberellic acid와 thidiazuron 처리에 의한 개량머루의 과실 특성

        권용희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4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3 No.2

        개량머루의 과립 크기와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한GA3와 TDZ 처리의 효과와 적정 처리 농도를 구명하기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GA3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서 모두 과립 비대 효과를 보였으며 100과 200mg·L−1처리구의 과립이 가장 컸다. 또한 GA3 처리구는 착립수가 증가하여 과방중이 크게 생산되었으나 당도 및 산도에 전혀 차이가 없었다. 200mg·L−1 처리구에서 과피 오염 및 탈립과 같은 약해가 발생되었다. GA3와 TDZ 혼용 처리에서는 GA3 혹은 TDZ의 농도가 높은 처리구의과립이 크기는 크지만 과실의 성숙이 지연되어 당도가낮고 산도가 높은 과실이 수확되었다. GA3와 TDZ를 처리했을 때 과피 조직은 세포층수에는 변화 없이 유관속조직까지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량머루의 GA3와 TDZ처리는 세포 분열에는 영향 없이 세포 크기가증가됨으로 인해 과립 크기가 증가하였다. 개량머루는착립이 결정되는 시기가 짧기 때문에 착립 직후 2~3회에 나누어 처리해야 착립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개량머루의 과립 비대와 착립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GA3100mg·L−1 이하의 단독 처리 혹은 GA3 50+TDZ1.25mg·L−1의 혼용 처리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고TDZ 처리에 의해 과실의 성숙이 지연되므로 성숙과를수확하도록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effect and a proper concentration for treatment withgibberellic acid (GA3) and thidiazuron (TDZ), resulting with increase berry size and yield in Gaeryangmeorugrapes. Berry size was increased by treatment with GA3, and the fruit clusters obtained for the groups treated withGA3 concentrations of 100 and 200 mg·L−1 were bigger. The berry number was also enhanced in GA3 treatedgroups, but the soluble solid content and acid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amage caused by GA3 treatment,such as peel pollination and berry shatter, was observed in the group with 200 mg·L−1. The berry size waslarger in group treat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GA3 and TDZ respectively than in those treated with low concentrationsin the treatment mixed GA3 and TDZ; however, fruit with low soluble solid content and high aciditywas harvested after GA3 and TDZ treatment due to delay of berry ripening. The pericarp tissue layers were notchanged, but the distance from the epidermis layer to vascular bundle tissue was increased as a result of GA3 andTDZ treatment. Therefore, GA3 and TDZ did not affect an cell division but not cell size, resulting in an enlargedberry size. It is necessary to treat plant growth regulators 2~3 times and immediately after berry set to enhanceberry set rate, because the period of berry set is shor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per concentration forenhancing berry size and set were up to 100 mg·L−1 GA3 or 50 mg·L−1 GA3 + 1.25 mg·L−1 TDZ, and it is necessaryto pay attention to harvest mature fruits because of the delay of ripening caused by the usage of TD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