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초 경당 장흥효 가문의 제사 관행

        우인수(禹仁秀)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본 논문은 장흥효가 남긴 일기를 통해 17세기 초 안동지역 유학자 가문의 제사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7세기 초는 주자가례에 입각한 제례가 완전히 정착하기 직전 시기이기 때문에 과도기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가 큰 시기이다. 먼저 기제사의 경우 4대 봉사를 하고 있었다. 장흥효는 고조부모와 증조부모의 기제사를 재종제와 분할하여 봉사하고 있었다. 그는 고조모와 증조부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고, 재종제는 고조부와 증조모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다. 조부모와 부모의 제사는 장흥효가 대부분 전담하고 있는 가운데 윤회봉사의 흔적이 약간 남아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자봉사가 아직까지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았던 과도기의 모습이다. 장흥효는 부계 친족 외에도 외가와 처가의 제사를 주관하여 지내거나 또는 그 제사에 참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관심의 크기는 부계 친족에 비교될 정도가 아닐 정도로 약하였다. 부계 중심으로 점차 굳어져가고 있던 상황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라고 하겠다. 다음으로 사시제四時祭는 춘하추동의 중간달인 2?5?8?11월에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사시제의 설행 여부는 주자가례의 정착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하나의 잣대이다. 경당일기에는 사시제를 지낸 흔적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은 아니고, 처음에는 11월에 한차례 지낸 듯하다.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으로 분명하게 확인되는 것은 1622년부터였다. 일년에 한번 지내던 사시제를 네 번으로 늘려서 완전하게 지내게 되는 과도기의 모습을 경당일기에서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었다. 명절 제사도 절사節祀 또는 속절례俗節禮라고 표현하면서 당연히 지냈다. 특기할 점은 매번 4대 명절에 즈음하여 조상 묘소를 찾는 성묘를 행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명절날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묘제는 우리 민족의 오랜 습속이었다. 장흥효 집안에서도 4대 명절의 성묘를 거의 행하면서 주자가례에 입각한 가묘에서의 제사도 행하는 절충적인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 점에서도 과도기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분할봉사와 윤회봉사의 관행이 점차 주자가례의 정착에 따라 조선후기의 장자 봉사로 변화해가는 큰 흐름 속에서 볼 때, 장흥효 집안의 제사 방식은 바로 그 과도기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이고도 명확한 사례인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grasp the aspects of ancestral rites of Confucian clan in Andong a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through the diary that Jang Heung-hyo had left. Since the early 17th century was the time just before ancestral rites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been completely established, it was a very significant perio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aspects. First, in case of Gijesa(忌祭祀), it had been performed for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Jang Heung-hyo had shared the Gijesa of great great grandparents and great grandparents with his younger male second cousin. He had been a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eat great grandmother and great grandfath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remained some traces of Yunhoe-Bongsa(輪回奉祀) while Jang Heung-hyo had been al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andparents and parents. Those were the transitional aspects of period that Jangja-Bongsa(the rite by the eldest son) had not been completely established. Jang Heung-hyo had hosted or attended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other than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Howeve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had become weakened not much to compare with that in the rites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It should be a specific example showing the circumstance of gradual establishment around the paternal line. Next, Sije(四時祭) are the rites held at shrine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Whether to hold the rites or not is one of the major standards measuring the settlement degree of Zhu Xi"s Family Rituals. Traces of having held Sije are evident everywhere in the Gyeong-Dang Diary. However, from the beginning, Sije had not been held four times a year, but at first they seem to have been held once in November. It was not clearly identified until 1622 that the seasonal rites had been held four times a year. The transitional aspects that Sije having been held once a year was extended to four times a year could be confirmed in the Gyeong-Dang Diary. Myungjeol-Jesa(rites for the traditional holidays) had also been expressed as seasonal rites(節祀) or common seasonal ceremonies(俗節禮), and naturally performed. A noteworthy feature was that on the every occasion of four traditional seasons, the visit to the ancestral graves had been conducted. On the traditional holidays, Myojae, which is an ancestral rite held before the grave, was our nation’s old custom. Also in the Jang Heung-hyo’s family, Sungmyo of four traditional seasons had been almost held and ancestral rites at ancestral hall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appeared in the eclectic form. The transitional aspects can be confirmed from these points. In view of big trend of transition from Bunhal-Bongsa(分割奉祀) and Yunhoe-Bongs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o Jangja-Bongsa(長子奉祀) by gradual establish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Jesa style of Jang Heung-hyo’s family was a specific and clear example illustrating those transitional aspects.

      • KCI등재후보

        春秋戰國時代 齊國과 琅邪地域의 政治的 推移

        南英珠(Nam, Young-Joo) 동아인문학회 2012 동아인문학 Vol.22 No.-

        산동반도 동남단에 위치한 琅邪는 춘추전국시대 각 국가들이 각축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행정조직의 변동을 겪었다. 춘추시대 ?國의 封域에 속했던 琅邪는 춘추시대 마지막 覇主인 越王 句踐이 이곳으로 都邑을 정했다. 이후 ?國이 楚國에 의해 망한 후에는 齊國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琅邪가 남쪽에 위치한 越ㆍ楚國과 같은 강대국들 이 경쟁하는 상황에서 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기 때문이었다. 이에 춘추전국시대 琅邪의 행정조직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 지역의 특성과 위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먼저 본 연구는 琅邪地域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였다. 秦漢시기 琅邪에서는 齊 지역의 고유한 祭儀인 四時祭가 국가제의로 통합되어 皇帝들의 巡幸 때마다 거행되었다. 또한 漢代에는 琅邪郡을 중심으로 家學과 經學世家의 전통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은 위진남북조시기 문벌귀족이 형성될 수 있었던 기반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적 전통을 포함하는 지역범위로 琅邪地域을 설정하였는데, 秦漢시기 琅邪郡(國)의 영역이다. 춘추시대 말에 이르러 ?國에 속했던 낭야지역은 越國과 吳國이 북상하여 齊國을 침공할 때 공격 대상이 되었다. 이 때 山東半島 東南端에 위치한 작은 邑이었던 琅邪는 齊國의 군사적 요충지였다. 이후 越國이 남쪽으로 물러난 후 낭야지역은 齊國에 속하였는데, 이때에는 齊國의 정권을 탈취한 田常의 封邑에 속하였다. 田常이 정권을 탈취할 수 있었던 것은 우월한 경제적 조건이 기반이 되었기 때문인데, 낭야지역은 齊國의 동남 무역의 중심지로서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이러한 사실은 齊 지역에서 출토된 貨幣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낭야지역은 田齊 정권하에서 종교적으로 주목할 만했다. 琅邪가 齊國에 속한 후 齊 지역의 고유한 祭儀인 八神祭가 완성되었다. 八神祭는 齊國 각 지역의 제사를 국가의 祭儀로 통합한 것이다. 琅邪에서 행해진 四時祭는 팔신제의 마지막 제사로서 齊國의 영토가 완성된 것을 기념하고 齊人들의 民意를 통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四時祭는 한 해의 시작과 풍요를 내포하고 있었기에,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제사이기도 했다. 위와 같이 낭야지역은 齊國에 포함된 후 田齊 정권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經濟ㆍ精神的으로 중요한 의의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낭야지역의 특성은 이후 ‘琅邪文化’를 형성하는 토대가 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초기 왕릉제사의 정비와 운영

        한형주(Han, Hyung-Ju)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3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가 풍수?지리학과 미술사 등에 편중된 현상에서 벗어나 국가의례의 관점에서 조선초기 왕릉제사의 제도적 마련과 의식 정비, 종묘와의 차별성, 그리고 능행의 정치사적 의미 등을 천착함으로써 왕릉의 역사적 위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왕릉 제사는 태조 즉위년 추존 4대왕(비)과 신의왕후의 제릉이 조성된 후 陵直과 守護軍이 설정되고, 四孟月?朔望 節 등의 제사가 정해지면서 시작되었다. 능제는 태종 초반 신의왕후 한씨의 제릉에 친제가 거행되면서 정리되기 시작했다. 특히 동왕 8년 태조의 사망으로 健元陵이 조성되어 흉례가 시행되고, 2년 후 3년상이 끝나면서 본격적으로 제사의 시행 및 의식의 정비가 모색되었다. 왕릉 주변의 禁止설정, 능제의 재정 확보, 健元陵親祭儀와 攝行儀의 제정 등이 그 실례이다. 이후 세종즉위년에 정종, 동왕 2년에 태종비 원경왕후, 동왕 4년 태종이 잇달아 사망함으로써 후릉과 헌릉이 각각 조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흉례와 관련된 제반 의식들이 재검토되었고, 제사와 관련된 여러 세부사항들과 拜陵儀가 수정?보완되었다. 그 내용은 이후 부분적 수정을 거쳐 국조오례의」의 길례조와 흉례조에 수록되었다. 왕릉에서 시행된 제시는 사맹월의 시제와 삭망, 속절(정조, 한식, 단오, 추석, 동지, 납일) 등 다양한데, 당시 종묘 및 원묘인 문소전에서 시행된 것과 동일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고려 이래의 전통으로 四時祭가 능제에서 배제된 중국사의 경험과 달랐다. 그런데 조선의 능제는 국가 祀典에 大祀로 편입된 고려시대와 달리 俗祭라는 별도의 체계속에 포함시킴으로써 국가의 대사인 종묘와 구분되었다. 아울러 능제를 흉례의 체계에 附加시킨 중국과 달리 왕릉 관련 의식을 흉례와 길례로 각각 구분하여 편입시키는 독자성을 보였다. 왕릉의 제사 시기가 종묘 및 원묘와 동일하다는 사실은 왕의 친행이 종묘보다는 왕릉에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태조~성종의 102년간 종묘의 국왕친제가 41회에 불과한 반면 왕릉에는 170회에 걸쳐 이루어졌고, 문소전에서는 85년간 99회의 친제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원묘인 문소전의 폐지 및 왕릉에서의 사시제 폐지를 주장하는 여론은 조선전기 내내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결국 임진왜란 과정에서 원묘인 문소전은 파괴되었지만 복구되지 못하였고, 왕릉의 사시제는 인조대에 이르러 폐지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왕릉제사는 속절제(납일 제외)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조선시대 제사에 왕이 참여한 사례는 예상외로 많지 않다. 대표적인 제사대상인 종묘의 경우에도 대략 2~3년에 한번씩 왕의 친행이 이루어졌을 뿐이었다. 반면에 왕릉의 친제는 매년 수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누대의 선왕이 모여 있는 혼전(종묘)보다는 육신이 안치된 개별 능에 인간적인 친근감을 느끼고, 능행중에 원찰에의 행행이 쉬웠으며, 능제가 속제이기 때문에 제사과정이 간략하디는 이유 등이 결합되어 나타난 것이다. 장엄한 의장을 갖추어 진행된 능행은 일반 민에게 우리의 ‘왕’을 알리는 동시에 그들의 생활상을 왕이 직접 관찰하여 통치의 기반으로 삼았던 중요한 정치적 행위였다. 아울러 초기의 국왕들은 능행의 과정에서 講武, 大閱, 陣法등 군사훈련을 상시적으로 시행함으로써 그들의 군사통수권을 과시하는 정치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ocess of rites about sacrificial rites related Royal Mausoleums in early Joseon Dynasty, and to conclude, to review the position of Royal Mausoleums in the whole National Rites System. The sacrificial rites related Royal Mausoleums stared from building Royal Mausoleums of 8 persons-ancestors since King T"aejo"s great-great-grandparents, in 1392, founding Joseon Dynasty. In 1408, King T"aejo had died and his K?nw?nn?ng(建元陵) was builted in Yangju, Gyeonggi-do. Since then, after kings of many generations died, each of Royal Mausoleums was builted solemnlly. In the process of this, sacrificial rituals modified and supplemented,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1418~1450). After all, the sacrificial rites related Royal Mausoleums was settled in KukchoOrye?i(國朝五禮儀, Five State Rites)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S?ngjong. In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sacrificial rituals, the argument between king and vassals about four-seasons" ancestral rites was properly or not was occurred. That was because the memorial times of Royal Mausoleums overlaped Chongmyo"s and more important Chongmyo"s ancestral rites was neglected. But four-seasons" ancestral rites of Royal Mausoleums was continued until 17th century. Sacrificial rites related Royal Mausoleums as royal personal rites had simple processes compared to sacrificial rites of Chongmyo, upper-graded formal ancestral rites, under National Rites system. Justifying to served his parents with devotion, the kings in early Joseon Dynasty went to Royal Mausoleums 2-3 times annually. During coming and going, the show off his presence as king in power to his subjects through magnificent guard of honor. On the one hand, he met his subjects directly and acceded to various petition. Above all things, The king in early Joseon Dynasty emphasized his military power through military training, namely, hunting, disposition of troops, and so on.

      • KCI등재

        조선조 士大夫 祭禮의 원류와 실상

        권오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6 No.-

        This treatise seeks to evaluate the memorial rites of the literati(sadaebu: 士大夫) against the background of Korea’s long historical tradition, and find out how memorial rites imported from Song China was accommodated and became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late Goryeo, in addition to how memorial traditions native to Korea were preserved and maintained thereafter. Yi Song-gye, the founder of Joseon dynasty, declared that the new dynasty would institute Confucian rituals in coming-of-age ceremonies, marriages, funerals, and memorial services. Promulgating Confucian rituals on a national basis became a top priority. Rituals observed by many literati, including memorial rites for ancestors and parents, remained Buddhist up until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Buddhist rites such as the suryukjae (rites to appease lost and hungry souls on land and sea) and chucheonjae (rites held to pray for peace in the world beyond) were still the norm in literati households. It is established fact that Family Rituals of Zhuxi(朱子家禮, ‘Family Rituals’ hereafter) were disseminated to both the literati and commoner classes, and practi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f establishment of family temples(家廟) and holding rites there is any indication. Also, the “four generation rule”(四代奉祀), or holding memorial rites for ancestors up to one’s great-great- grandfather, was actually practiced in every household by the late Joseon. However, memorial rites as prescribed by the Family Rites were not observed with the utmost strictness during Joseon Dynasty. Though ancestral rites based on rules of primogeniture were decreed since the late Goryeo, rites during early Joseon were still observed in turns, with observed by both sons and daughters of the deceased. Ancestral rites centered on primogeniture only came to predominate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era. Also a notable feature of rites during Joseon was that rites held before the graves of ancestors(墓祭) were more frequent than family temples rites(四時祭 or 廟祭). Though graveside rites were to be held only once a year in early March according to the Family Rituals, the established practice in most literati clans was to four times a year, on Lunar New Year’s Day, Lunar April 5th, Lunar May 5th, and Lunar August 15th(Chusok). Graveside rituals during Lunar April 5th and Chusok were actually remnants of an ancient tradition passed down from rites held at the tomb of King Suro (First king of Gaya, ?-199 AD). Graveside rites were also held frequently during Lunar October, which was not part of the Family Rituals but actually a remnant of a uniquely Korean tradition, and the October rite was often the most magnificent held all year in Gyeongsang province. The explanation for the October rite should be found in the importance attached to Lunar October during Korea's ancient history, where people laid their harvests on the table and gave thanks to their ancestors with a grand ritual. Therefore, though rituals held on Lunar May 5th, Chusok, and on October followed Confucian format and protocol, they are fundamentally customs that have their roots in traditional rituals dating to the very early years of Korean history. This allows us to surmise that although the literati during Joseon dynasty accepted Confucian rituals prevailing in East Asia, they were still able to maintain ritual traditions passed down from ancient Korea. 고려 말과 조선조에는 법적으로 大夫와 士의 제사를 증조부 이하 3대와 조부 이하 2대만을 제사지내게 하였다. 1390년(공양왕 2)에 「大夫士庶人祭禮」를 제정하여 시행하게 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즉 大夫(종4품 이상) 이상은 3대(증조부 이하)를 제사지내고, 6품 이상은 2대(조부 이하)를 제사지내고, 7품 이하와 庶人은 부모만을 제사지내도록 정하였다. 이 규정은 1485년에 반포된『經國大典』에서 문관・무관 6품 이상은 3대를 제사하게 했고 7품 이하는 2대 제사를, 서인은 아버지와 어머니 당대만을 제사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조선조에 들어와서 大夫와 6품 이상을 통합하여 증조부 이하 3대 제사를 지내게 하였고, 7품 이하는 조부 이하 2대 제사를 지내게 하여 士와 서인의 구분을 보다 엄격하게 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이러한『경국대전』의 법적 규정은 구속력을 상실하고, 오히려『가례』에 제시된 4대 봉사가 사대부가에 일반적으로 행해졌다. 그러나 조선조에 반드시『가례』에 제시된 제례가 그대로 시행된 것은 아니었다. 조선에서는 祠堂에서 지내는 四時祭(廟祭)보다는 산소에 가서 지내는 墓祭가 더 성행하였다. 墓祭는『가례』에서 3월 上旬에 한 차례 지내도록 하였다. 그러나 조선조에 사대부가문에서는 설날・한식・단오・추석 등 1년에 네 차례에 걸쳐 묘제를 지내는 경우가 아주 많았다. 특히 단오와 추석의 墓祭는 멀리 首露王陵의 묘제에서 전해진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조선조에는 10월에 墓祭를 많이 지냈다. 이 10월 묘제는『가례』의 묘제와는 달리 조선의 독자적인 제례문화로 전승되어 온 것으로, 영남지역의 경우 10월 묘제를 가장 성대하게 지냈다. 이러한 10월 묘제는 우리나라 고대로부터 10월 상달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오곡백과를 추수하고 조상에게 감사제를 지내는 전통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같이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던 단오제와 추석제, 10월 묘제 등은 비록 동아시아 유교제례의 영향을 받아 그 儀式의 절차 등은 많이 따랐다 할지라도, 근본적으로는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에서 전승되어 온 禮俗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추석의 가례(家禮) 사명일 전통과 명절론

        하수민 국립민속박물관 2015 민속학연구 Vol.0 No.36

        Chuseok, with the lunar New Year's Day, is one of the two biggest holidays of these days in Korea. But it was part of four Great Days (四名日) in theJoseon period which were the lunar New Year's Day (설), the cold food day of Hanshik (寒食), the doubled number five day of Dano (端午), and the Autumn full moon's day of Choseok (秋夕). Now Choseok is surely a holiday in Korean society, but it was once considered as a less important holiday in the Joseon period with its prevalent Neo-Confucianism that judged Chuseok not to be based on any ancient Chinese saints' institution. How to set the order between major and minor holidays was an important issue of the middle Joseon period. Answer papers submitted by Lee, Yi (李珥) and Yun, Seon-do (尹善道) when they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 well deliver the story. According to Lee, Yi, some days should be re-considered as minor holidays since they were days without firm ground of ancient Chinese saints’ institution. And the four Great Days were included in category of minor holidays. Moreover, there was controversy over lack of theoretical basis of Neo-Confucianism for four Great Days. While the Four Seasons’ Rituals (四時祭) come from Zhu Xi's Family Rituals, the four Great Days of Chosun do not appear in the text. Accordingly, rituals at ancestors’ grave site in the four Great Days should be interrupted. But the tradition of four Great Days was so stable to artificially put an end to it. To overcome this gap, Neo-Confucianism scholars of Joseon re-valuated four Great Days as Four Seasons’ Four Great Days by connecting custom of 4 Great Days and principal of Zhu Xi's Four Seasons’ Ritual. As a result, in the late Joseon society, the idea of Four Seasons’ Four Great Days was accepted by Neo-Confucianism leaders including opinion leaders like Song, Si-yeol (宋時烈). And some scholars actually practiced rituals at grave site in Hanshik, Dano and Chuseok. Choseok was one of four Great Days that were re-valuated to coincide with Zhu Xi's Family Rituals, and Spring’s Hanshik (寒食) and Autumn’s Chuseok (秋夕) were devised to be compression of the four Great Days. Status of Chuseok as a ritual day of ancestors’ grave site was reinforced along with this tendency. The status of Chuseok as the biggest family ritual holiday of today’s Korea should be considered with development of debate in the Joseon period on how to overcome controversy over Chuseok by which it was judged as a minor holiday, and to re-valuate Chuseok and the four Great Days worth rank with Four Seasons’ Ritual of Zhu Xi's Family Rituals.

      • KCI등재후보

        포은선생 祭禮에 관한 고찰

        홍순석(Hong, Soon-Seuk) 포은학회 2010 포은학연구 Vol.5 No.-

        본고는 圃隱先生 祭禮의 연원을 살피고, 정통성을 재확인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같은 작업은 우리나라 士大夫家 제례의 변천을 살피는 방편이기도 하다. 宋時烈에 의하면 ≪高麗史≫ <禮志>의 기록은 포은선생이 찬술하였던 것이라 한다. 포은선생은 조선시대에 文廟에 배향되었다. 역대 왕들은 禮官을 보내 致祭토록 하였다. 포은선생의 선양사업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 李縡는 ≪四禮便覽≫을 저술하였다. ≪朱子家禮≫를 바탕으로 정리한 포은선생의 <祭儀>, 이재의 ≪四禮便覽≫이 무관하지 않음을 가늠할 수 있다. 적어도 18세기 이후에는 포은선생의 제례가 ≪사례편람≫에 의거하였을 것임이 자명하다. 그런데 현재 봉행하고 있는 제례의 양상은 근간이 되었을 儀禮書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傳統社會에서 祭禮를 중시한 이유는 死後奉養과 家系繼承의 의미가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家系繼承보다 死後奉養이라는 점이 더 중시되었다. 이러한 관념은 ≪주자가례≫에서 중시한 四仲月의 時祭보다 墓祭와 忌祭를 중시하게 하였다. 포은선생의 제례도 예외가 아니다. 현재의 포은선생 四季節墓祭는 이러한 변모과정에서의 한 양상이다. This paper aims at checking the origin of the ritual formalities for Poeun(圃隱), and establishing it's legitimacy. Such a task also is means of checking the vicissitudes of Korea's ritual formalities. According to Song Si-yeol(宋時烈),《Koryusa(高麗史)》<Yeji(禮志)>are the records written by Poeun. Poeun was oriented on Munmyo(文廟)of the Joseon Dynasty(朝鮮時代). Many choseon kings sent to the grave of Poeun the secretaries serving as a memorial. with efforts to promote the extraordinary Poeun, Yi Jae(李縡) wrote《Sarye pyeollam(四禮便覽)》. Poeun's <Jeeu(祭儀)>, Yi Jae's《Sarye pyeollam》is not irrelevant. Both of which are organized on the basis of 《Chuja Garye(朱子家禮)》. It is clear that a least since the 18th century, the ritual formalities for Poeun was based on《Sarye pyeollam》. However, the ritual aspects of the current implementation has shown the difference. In ritual formalities for Poeun, Myoje(墓祭: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tomb) and Gije(忌祭: a memorial service held on an anniversary of death) have beeen mphasised. Four Seasons'ritual formalities(四季節祭祀) which are performed in Poeun (圃隱)'s family, are the pattern in the process of this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