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의 비평이론

        이택광(Taek-Gwang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3

        이 논문은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그리고 그에 따른 빅데이터 자본주의의 출현에 대응하기 위한 비평이론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후 비평이론의 전개에서 프랑스철학이 갖는 위상을 점검하고, 비평이론이 곧 ‘비평의 욕망,’ 또는 ‘욕망하는 비평’의 문제라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이런 ‘비평의 욕망’은 정세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1980년대 CIA보고서가 명확하게 보여준다. 프랑스 철학은 글로벌 자본주의의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좌파의 이론을 만들어내고자 했지만, 불가항력적인 정치경제적 조건의 변화는 지식인의 퇴거와 이론의 쇠퇴로 이어졌다. 이런 급속한 변화의 기저에 놓인 것은 인지 자본주의의 출현과 이를 더 정교화한 감시 자본주의의 등장이다. 이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인지 자본주의와 감시 자본주의의 관계를 밝히고, 이런 조건에서 비평이론의 역할이 무엇인지 묻고자 한다. 결국 비평이론은 정치적인 문제이기에, 비평의 욕망은 감시 자본주의의 빅데이터 경제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 그에 대응하는 대안의 현행화를 도모하는 지적 운동일 수밖에 없음을 강조할 것이다. This essay discusses the rise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and its effects on the reconstruction of critical theory. This consideration will be about how the desire for critical theory, or the desiring critique, could intervene in the cognitive or surveillance capitalism phase based on big data technology. For this purpose, I will clarify the fact that the revival of critical theory should be the reconsideration of French philosophy (or French theory) and its political foundation since the 1950s. The vital link between critical theory and political conjunctures is revealed in the CIA’s report on French philosophy in the 1980s. The failure of radical French philosophy led to the decline of intellectuals and the reification of critical theory. I will relate this situation to the advent of cognitive or surveillance capitalism and its changed mode of accumulation. My conclusion will focus on the role of critical theory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big data capitalism and imposing its political implication on the celebration of technological advances.

      • KCI등재

        비평 이론을 활용한 시 읽기 연구

        선주원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7 No.-

        본고는 비평 이론을 활용한 시 및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학습자가 비평 이론을 통해 시 텍스트에 반성적이고 분석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인식의 관점을 가길 수 있다는 전제를 가졌다 등시대의 비평 이론을 통해 학습자는 시 책 텍스트를 읽고 해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 안팎에서 자신의 삶을 해석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즉 비평적 렌즈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비평 이론을 학습하는 것은 자기 삶에 대한 성찰과 새로운 자기 형성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비평 이론으로서 생산 이론을 활용한 시 및기에 대해 논의하였다 생산 이론을 활용한 시 및기는 시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반응을 보다 풍부하게 하면서, 비평적 렌즈를 통해 세계를 새롭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비평적 읽기와 연관되었다 비평적 읽기는 궁극적으로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자기 성찬의 문제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비평적 읽기를 통해 학습자는 문학적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서의 독자'가 필 수 있고, 나아가 시 읽기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삶을 성찬하고 새로운 삶을 형성할 수 있는 토대를 가길 수 있었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일제에 대한 강렬한 저항 의지를 보여주는 이육사의 시들을 생산 이론을 통해 읽어냄으로써 학습자는 이시들을 보다 의미 있게 이해하고 해석 수 있었다. 따라서 생산 이론은 학습자가 시 텍스트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세계에 대한 인식까지도 칼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examined poem reading utilizing critical theory in literature classroom of high school. For this, this thesis has assumption that a student not only responses to literary text reflective and analytic, but also has perspective of world appreciation through critical theory in secondary school. A student not only read and interpreted literary text, but also did get useful way that interpret self-life in and out school through cur-rent critical theory. Therefore, studying critical theory will be self-reflection to one's life and self-formation. Having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examined reading of poem text using production-theory as a critical theory. Reading using production-theory is related critical reading, in a point of view reading using production-theory does more plentiful understanding and response to poem text, and newly views world through critical lenses. Because critical reading is related ultimately problem of self-reflection and new recognition to world. A student would be 'reader as an expert' with plentiful literary experience, moreover had foundation that could reflect one's life and form new life based on reading experience of literary text. In particular, a student did understand and interpret Lee Youk Sec's poems more significantly, by reading Lee Your Sa's poems with strong intention of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in occupation era by force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fore, this thesis did know that production-theory can that a student recognize not only to literary text but also to world. This thesis wants that another thesis will develop intention of this thesis by another critical theory.

      • KCI등재

        ‘국민문학’ 재고-‘문학이론’의 보편성을 둘러싸고-

        미하라요시아키,김동식,윤대석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51

        이 강연에서는 에드워드 사이드가 제시했던 ‘세속비평[secular criticism]’이라는 개념으로 최재서의 비평과 실천을 다시 읽고자 하였다. 사이드에 따르면 ‘비평’을 정의하는 제1의 요건은 ‘정황구속적[situated]’이라는 점이다. 그의 ‘세속비평’은 ‘대항적[oppositional]’이며 ‘아이러니적[ironic]’인 <실천>으로, ‘전체화[totalizing]’하는(=범용성ㆍ보편성을 주장하는) ‘이론’에 대립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이드의 ‘세속비평’은 ‘종교 vs 세속’이라는 이항대립을 전제한 것이기도 하였다. 즉 ‘비평’에 의한 ‘이론’ 비판은 ‘종교 vs 세속’이라는 이항대립의 틀에 빠져버려 모든 ‘이론’이 ‘종교적’이라는 재단에 이르게 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사이드의 제자 가우리 비스와나탄은, 사이드가 종교를 혐오한 나머지 ‘종교적인 것(the religious)’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가능성에 대해 맹목적인 경향을 가졌다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신앙의 세속세계성’이라는 개념으로 ‘세속비평’을 ‘종교’의 영역에까지 확대ㆍ발전시키고자 하였다. 그녀는 사이드가 비타협적이고 강인한 ‘대항적(oppositional)’ 태도를 시종일관하게 유지할 수 있었던 가능성의 조건을 비판적으로 검증하면서, ‘비평’적 태도를 끝까지 밀고 나가는 형태로 사이드 자신의 언설까지 비판하였다. 비스와나탄의 비판은 철저한 동화정책이 강제되었던 식민지 조선에서처럼 이항대립이 성립하는 장 자체를 빼앗긴 언설 공간에서, ‘이론 vs 비평’이라는 틀이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최재서는 ‘이론에의 의지’에 근거하여 「풍자문학론」이라는 독창적인 이론을 고안하였고, 어빙 배빗의 『루소와 낭만주의』를 일본어로 번역하였으며, 『인문평론』에서 ‘인민전선’적 문화 운동의 가능성을 엿보는 실천을 수행하였고, 경성(京城)으로부터 ‘국민문학’을 주장하며 ‘포스트콜로니얼 문학’을 선취하는 비전(vision)을 제창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황이 점점 악화되는 가운데에서도 최재서는 ‘이론에의 의지’로 끝까지 일관하였는데, 그 일관적인 태도는 오히려 ‘국민문학’=‘제국일본문학’으로서의 주체화=국민화의 ‘이론’을 ‘주체적’으로 구축하는 지점으로까지 최재서를 끌고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최종적으로 최재서는 ‘천황귀일’이라는 (대문자의) ‘이론[Theory]’에 굴복하게 된다. 하지만 사이드의 틀을 빌려온다면, 굴복하기 까지의 과정에서 최재서의 ‘이론에의 의지’가 시도한 저항은 (대문자의) ‘이론’의 바로 앞에 머무는 ‘태도’로서 ‘세속비평’을 실천하는 하나의 형태로, ‘세속세계적’인 정황에 내재하면서 (소문자의, 대안적인) ‘이론[theories]’을 그때그때 ‘발견’하고자 하는 실천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최재서의 비평과 실천은 ‘파르티잔’적인 지적(知的) 행위로서 ‘이론에의 의지’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다시 생각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この講演では、サイードが提示した「世俗批評[secular criticism]」という概念をもって、崔載瑞の批評と実践を再論した。サイードにとって「批評」を定義するための第一の要件は「情況拘束的(situated)」ということである。彼の「世俗批評」は、「対抗的[oppositional]」かつ「アイロニー的[ironic]」な<実践>であり、「全体化[totalizing]」する(=汎用性․普遍性を主張する)「理論」に対峙するものと位置付けられる。しかし、サイードの「世俗批評」は「宗教 vs 世俗」という二項対立を前提としている。つまり、「批評」による「理論」批判は「宗教 vs世俗」という二項対立の枠組みにはまっており、あらゆる「理論」は「宗教的」であるといった裁断に至ってしまう危険性を孕んでいる。宗教を嫌うあまりに、「宗教的なるもの(the religious)」が持つ潜在的可能性に対して盲目となる傾向があったサイードの問題点を指摘し、「信仰の世俗世界性」という概念で「世俗批評」を「宗教」の領域にまで拡大․発展させたのが、直弟子のゴウリ․ヴィシュワナータンであった。彼女は、サイードが非妥協的で強靭な「対抗的(oppositional)」態度を終始一貫して維持できた可能性の条件について批判的に検証しながら、その「批評」的態度を推し進める形でサイード自身の言説をも批判した。ヴィシュワナータンの批判は、徹底的な同化政策を強制されている植民地朝鮮のように、そもそも二項対立が成立する場が奪われているような言説空間において、「理論 vs 批評」といった枠組みはどういう意味かという問題を提起する。崔載瑞は「理論への意志」に基づいて、「諷刺文学論」という独創的な理論を考案したり、アーヴィング․バビットの_ルソーと浪漫主義_を日本語に翻訳したり、_人文評論_において「人民戦線」的文化運動の可能性をうかがう実践を行ったり、「国民文学」を京城からはじめることを主張して「ポストコロニアル文学」に先駆けるようなヴィジョンを提唱できた。しかし、情況がますます悪化するなかで、その「意志」が最後まで一貫していたことがかえって、「国民文学」= 「帝国日本文学」としての主体化=臣民化の「理論」を「主体的」に構築する地点にまで崔載瑞を導く結果につながった。しかし、サイードの枠組みを借りるならば、最終的には「天皇帰一」という(大文字の)「理論[Theory]」に屈服してしまったとはいえ、屈服するまでの過程において崔載瑞の「理論への意志」が試みた抵抗は、(大文字の)「理論」の手前に留まる「態度」としての「世俗批評」を実践するひとつの形態として、(小文字の、オルタナティヴな)「理論[theories]」を「世俗世界的」な情況に内在しながらそのつど「発見」するような実践であったと考えられるかもしれない。そうであるならば、崔載瑞の批評と実践は「パルチザン」的な知的営為として「理論への意志」の潜在的可能性を考え直すことの可能性を提供する。

      • KCI등재

        한국 영문학 비평 이론의 지형도: 인용문헌 연결망 분석과 <비평과 이론>의 20년(1996-2015)

        김용수(Yongsoo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1

        학술지 <비평과 이론>은 1996년 창간한 이래 지난 20여 년 동안 서구의 문학 비평이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소개하여 한국 학계의 문학 연구를 자극하고 비평 이론 논의를 심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영미권 인문학계를 풍미하던 후기구조주의 경향의 이론들에 대한 한국 학계의 적극적 관심,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문학 연구의 철학적 기반이나 방법론을 얻으려는 욕구의 폭발적 증가 등에 능동적으로 부응하여 다양한 문학 이론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생산적 토론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학술장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고 할 만하다. 이들 이론이 한국 인문학계에서 어떻게 소화되었고 학술 담론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나아가서 문화 전반에 어떤 파급 효과를 일으켰는지 등의 문제는 지식사회학적 입장에서 중요한 질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비평과 이론>이 구체적으로 어떤 이론을 얼마만큼 다루었는지, 그들 간의 상호 관계는 어떠했는지,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양상이 어떻게 변모했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비평과 이론>에 담긴 이론의 전체상, 개별 이론의 특징과 그들 사이의 관계, 그 시계열적 추이를 이해하는 것이 이러한 지성사 작업의 작지만 중요한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비평과 이론􋺸에 실린 논문들의 인용문헌 저자들 간 연결망을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하나의 학술지가 품고 있는 이론의 전체 지형과 변화 양상을 드러낸다.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was launched in 1996 by a group of Korean English literary scholars who were deeply invested in literary theory. It was an attempt to introduce new literary theories and to facilitate discussion on them, accommodating growing interest in post-structuralist theories and fulfilling the increasing need to get new literary methodologies. In fact,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has helped forge a dynamic discursive field of literary theory in Korean academia, covering a wide range of topics from postcolonialism to deconstruction to film theory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its inception. It will be crucial,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to ask such a question as how these “new” theories have shaped the academic discourses and affected Korean culture at large. In this context, it is equally important to understand which theories to what extent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has covered, how they are interrelated, and how their overall contour has changed over time. This sort of research will be a small, but significant first step for an intellectual historical work on literary discourses. This paper draws a topological map of literary theory in The Journal of Criticism and Theory through citation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to grasp the general constellation of the literary fiel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theories, and their temporal transformation.

      • KCI등재

        문학이론 교육의 한국적 수업모형 연구

        강우성(Woosung Ka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3 비평과이론 Vol.18 No.1

        This essay attempts to suggest viable teaching models of literary theory education in Korea by exploring the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ory Studies" in Korea for the past 15 years. Investigating the peculiar trend of theoretical interests in two prominent critical theory journals, Contemporary Criticism and Theory and Criticism and Theory, we discovered that Korean scholars of theory have preferred Lacanian psychoanalysis and Post-colonialism over the other theoretical positions. Unlike Anglophone academic journals whose 30-year index demonstrated the tendency of slow decline in theoretical studies, Korean journals show continued research interest in the so-called "Theory Criticism." In Korea, the 1990s witnessed a sort of upsurge of theoretical engagement and investment in contemporary "French" theories after the collapse of the stronghold of Marxist theory. The status of theory in Korea appears to have been stable and steady: pure theoretical researches and "theory criticisms" are getting popular, though classroom situation remains deplorable. In order to overcome the predilection for certain theories and enhance the theoretical literacy in literary educa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o set up some basic principles of theory education. Combining the diachronic analysis with synchronic confrontation as the standard way of doing theories, this essay suggests two teaching models of theory education in Korea. One is for "history of theory"; the other for "theoretical overdeterrnination." While identifying relevant theoretical moments in literary and aesthetic texts, teachers help students confront "reflective moments" of vanous theoretical texts in their critical reflection. The success of theory education in Korea will depend upon developing such a theory-conscious reflection in the classroom through the practice of theory criticism.

      • KCI등재

        창작 발레 <심청>에 관한 연구 - 이저(W, Iser)의 독자반응비평이론을 중심으로 -

        배금연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0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6 No.4

        현대 예술사조의 특징 중 하나는 예술에서 수용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옹호한다는 점이다.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은 이러한 수용자 중심적 관점을 부각한 수용미학적 견해로 기존의 창작자 혹은 텍스트 중심적 수용미학 이론과 차별되는 전환적인 견해이다. 발레 <심청>은 한국창작 발레이면서도 세계적으로 소비되고 향유되고 있는 문화상품이다. 작품 속에 동서양의 문화가 공존하고 있어 수용자의 수용방식에 따라 해석과 의미부여가 다양하게 표현 가능한 작품이다. 이에 수용자 중심적 수용미학적 견해인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에 발레 <심청>을 접목시켜 분석하는 작업은 의미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는 무용텍스트로서의 <심청>과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을 함께 고찰해 보았다. 먼저 독자반응비평 이론에서 텍스트가 수용자의 수용행위를 통해 구체화 되어 작품이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무용텍스트는 생산자인 대본가, 안무가, 연출가에 의해 창작되어 무대에서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현장에서 전달되는 특징이 있다. 수용자는 안무가가 전달하려는 혹은 의미부여가 가능한 암시된 의도 등을 구체화시키는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생산자-텍스트-수용자간 공동유희의 과정에 해당한다. 유희과정을 거친 텍스트는 작품이 된다. 수용미학적 구조에 관한 이저의 이론을 한국창작 발레 <심청>에 적용해보면 심청은 무용텍스트에 해당하고 창작자(안무가, 대본가, 연출가)는 생산자에, 무용수는 공연의 협력자이자 또 다른 수용자,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과 평론가는 수용자에 해당한다. 이들은 상호간 자유로운 의사소통으로 텍스트를 구체화시키고 그 결과 <심청>은 작품이 된다. 한편 텍스트가 구체화된 작품은 다시 다음 생산자의 또 다른 텍스트창작에 영향을 주어 새로운 수용텍스트를 만드는 순환적 의사소통의 구조를 갖는다. 발레<심청> 역시 이러한 과정을 여러 차례 겪었고 그 결과 창작 이후로 성공적인 개작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하나의 텍스트가 작품으로 구체화 된 후 소멸하지 않고 구체화 과정을 반복하여 끝없이 수정 보완되어 공연무대에 올려지고 있는 좋은 예가 된 것이다. 무용텍스트로서 발레 <심청>이 가지는 가치를 창조적, 심미적, 교육적, 문화적 가치의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문화적 가치에 있어서 주목할 사실은 발레의 종주국인 프랑스 ‘팔레 데 콩그레 드 파리(Palais des Congres de Paris)’에 초청되어(2012) 성황리에 공연을 마치는 등 한국발레의 해외 성공 사례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초연 이후 현재까지 끊임없이 수정 보완하는 열정, 관객의 변함없는 호응은 발레 <심청>을 더욱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만들어 주고 있다. 현대의 예술 패러다임은 20C 초반 이래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증주의, 실존주의, 신비평주의 등을 거쳐 구조주의, 모더니즘, 해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탈해체주의 등 여러 사조들이 뒤얽혀 존재하고 있고 그에 따라 예술작품에 대한 새로운 수요도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공연환경은 급변하고 있고 관객의 기대나 호응 역시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평론가들의 비평도 이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발레 <심청>이 현재와 같은 호평 속에서 공연을 계속 이어가고 생명력을 가진 작품으로 남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예술사조와 공연환경, 공연에 대해 달라지는 기대를 앞으로 어떻게 수용하여 표현하는지가 남은 과제라 할 것이다. 앞으로도 동서양문화의 훌륭한 조화의 상징적인 작품으로 명성을 이어가기를 기대한다.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f modern art trends is the point that the aggressive participation by the consumers is induced and supported in art. As the acceptance aesthetics view that carved in relief such a consumer-centered viewpoint,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is a converted view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existent creator- or text-centered acceptance aesthetics theory. The ballet ‘Shimcheong’ is a cultural product that has been consumed and enjoyed in the world while being a Korean creative ballet at the same time, too. Because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coexist within the work of art, it is a work of art that can diversely express the interpretations and the meaning givings according to the acceptance method of the consumer. As such, because it had been thought that the work of analyzing by grafting the ballet ‘Shimcheong’ onto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which is a consumer-centered acceptance aesthetics view, is meaningful, in this research, ‘Shimcheong’, as a dance text, and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had been considered together. Firstly, if I take a look at the process in which the text becomes the work of art after being concretized through the act of acceptance of the consumer in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the dance text has the special feature of being delivered at the site through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on the stage after being created by the script writer, the choreographer, and the director, who are the producers. It has a difference from the texts in the other genres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the empathy that is felt by the consumer while viewing the performance and the things that were stored with the memories and the recollections after viewing the performance are made into an acceptance text. In concretizing a dance text that is delivered mainly with the visual images, the aggressive interac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with the text as the medium is important. The consumer plays the proactive role of freely finding and concretizing, by himself or herself, the intention that is intended to be delivered by the choreographer, the suggested intention that can give a meaning although it was not clearly stated, or the others of the like. This pertains to the process of the joint play between the producer, the text, and the consumer. A text that had gone through the process of the play becomes a work of art. The concept of ‘text’ of Iser is a fictional text. And, due to the fictionality, the spaces of uncertainty, blank, etc. get created. As a phenomenological concept, while being inherent in the text, the consumer is an existence who gets regulated by the text. The consumer plays the role of filling the blank in the fictional text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ance within his or her awareness. And, at this time, the uncertainty of the text, too, gets around to having a clear and definite meaning. As a result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producer having taken place by being repeated through the proactive participation by the consumer, the text becomes a work of art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ance. If I try applying the theory of Iser regarding the acceptance aesthetics structure to the Korean creative ballet ‘Shimcheong’, Shimcheong pertains to a dance text, the creators (The choreographer, the script writer, and the director) pertain to the producers, the dancers pertain to the cooperators of the performance and the yet other consumers, and the audience and the critics viewing the performance pertain to the consumers. They concretize the text through the free, mutual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Shimcheong’ becomes a work of art. Meanwhile, by giving an influence to yet another text creation by the next producer again, the work of art of which the text had been concretized gets around to having the structure of circular communication that makes a new acceptance text. The ballet ‘Shimcheong’ had experienced such a process many times. And, as a result, ever since the creation, the successful remakes have been continuing until the present. It had become a good example in which, after having been concretized as a work of art, without becoming extinct, by repeating the concretization process, by being revised and supplemented endlessly, one text has been put up on the performance stage. The values that are possessed by the ballet ‘Shimcheong’, as a dance text, can be divided into four kinds. By changing the genre of the literature text, which is a traditional novel, into the dance text, it had been made so that the performance is possible. And, by not damaging the form and the choreography of the ballet while saving the Korean sentiment, too, the possession of the universality and the accessibility as a public art pertains to the creative value that is possessed by ‘himcheong’. All of the main organizations of the classical ballet, including the grand pas de deux and the divertissement, which are the typical ballet performances that are worthy of watching, the pas d'action, which induces the follow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etc., are inside. And each part gets delivered while having the life force. And the point that the level of completion as a ballet performance had been shown while saving the Korean things, including the clothes, the music, the choreography, etc., just the way they had been, can be evaluated as an aesthetic value. ‘himcheong’ has been delivering the humanity of ‘ilial duty’ through a drama-consistent message. Here, the traditional, moral customs, too, of Korea, in which the ordinary people coexist and share the emotions with the neighbors, have been expressed in a natural way. Although filial duty is a moral canon that is emphasized in the Orient, despite being somewhat of a children's story and despite the somewhat exaggerated setup, while the audiences in the diverse cultural spheres have been watching the performance, the fact that the humanity- including filial duty, altruism, etc.- had been sympathized with means that 'Shimcheong' had delivered an educational value, too. Regarding 'Shimcheong', which has been performed for a long time in over 26 countries of the world for over 30 years ever since the premiere in 1986, the following points have been continuously receiving the favorable comments not only in Korea, but, also, at many places in the world: The point that it had a traditional story in Korea as the subject matter; The point that there had been a lot of participation by foreigners in the creation process; The point that a foreign dancer had been in charge of, and had acted for, a Korean character; The point that the traditional dance and the ballet had achieved a harmony; The point that the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had been represented well through the clothes, the music, the background, etc.; And the others of the like. As an excellent, intangible asset of the Korean ballet circle, the cultural value has been emitted. It has been an overseas, successful case example of Korean ballet, including successfully finishing a performance after being invited (2012) to Palais des Congres de Paris in France, which is the suzerain of ballet, and the others of the like. The passion of unceasingly revising and supplementing and the unchanging positive response of the audience ever since the premiere until the present have been making the ballet 'Shimcheong' into a work of art that has an even higher level of completion. The art paradigm of modernity has been appearing diversely ever since the early phase of the 20th century. By going through positivism, existentialism, new criticism, etc., the many thought trends, including structuralism, modernism, deconstruction, postmodernism, deconstructionism, etc. have been existing by being entangled. And, according to this, the new demand, too, regarding the works of art has been increasing diversely. The performance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rapidly. And the expectation and the positive response of the audience have been changing diversely, too. And the criticisms, too, of the critics have been becoming different according to this. In order for the ballet 'Shimcheong' to continue the performance continuously with the favorable reviews like the present and remain as a work of art that has the life force, it can be said that how to accept and express the rapidly changing artistic thought trends and performance environments and the expectation that becomes different regarding the performance in the future is the remaining task.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it will continue the fame as a symbolic work of art with the excellent harmony of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future, too.

      • KCI등재

        비평에 대한 김현의 메타적 인식 : ‘신비평 논쟁’의 수용과 영향을 중심으로

        강계숙 ( Kang¸ Gye-soo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본고는 1960년대 중반 프랑스에서 대두된 ‘신비평 논쟁’이 김현의 비평 의식에 미친 영향관계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김현은 이 논쟁과 관련된 글을 편역하여 간행(『현대비평의 혁명』, 1979)할 만큼 논쟁 과정 및 핵심 내용에 관심이 많았고, 여러 평문에서 이에 대해 직접 논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신비평 논쟁의 주요 쟁점을 수용 · 검토하면서 ‘비평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김현의 메타적 인식이 어떻게 그 내적 논리를 획득하게 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비평의 객관성과 주관성, 문학연구의 새로운 방향 전환, 작가와 작품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문학작품의 구조적 이해, 작품 평가의 기준과 비평가의 역할 등 신 비평 논쟁의 핵심 주제는 비평에 대한 김현의 메타 인식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문학이해에 필수적인 이 주제들은 그의 상대주의적 인식론에 의해 재검토되는 숙고의 과정을 거쳐 비평을 위한 이론으로 체계화되었다. 이를 통해 그의 실제비평은 고유한 논리적 체계를 갖춘 담론의 수행과 실천으로 나타날 수 있었다. 신비평 논쟁의 이론적 전유는 그에게 절대적 객관성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절대적 객관성의 명제화야말로 진리 추구의 과정을 강제하는 오류임을 각인시켰고, 비평적 글쓰기는 과학적 실증의 영역이 아니라 타자의 담론을 자신에게 주어진 기호체계의 규약에 따라 재구성하는 담론의 담론임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비평의 객관성은 내적 조리 정연함에 의해 유도되는 논리적 타당성이자 주관성의 영역 속에서 그것을 극복해내는 이론적 엄격성을 재구하는 작업을 뜻하며, 비평의 주관성은 내재적 분석의 엄밀한 방법화 및 그러한 방법의 일관된 적용을 통해 객관적인 것으로 기술 · 현상될 수 있음을 자각하게 된 전환점이 되었다. 바슐라르, 바르트, 제네바 학파 등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수용은 그가 자신의 비평적 자의식을 갱신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제공한 자극의 원천이었고, 비평가로서의 그의 자기 갱신은 비평의 역사와 당대 비평의 경향을 안팎으로 살피는 이중의 작업 속에서 시대적으로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문학 이론의 수입을 적극 도모하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작품의 구조와 형태를 규명하는 내재적 분석을 실제비평의 방법론으로 삼아 이를 문학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교정하고 동시대 한국 비평문학의 한계를 타개할 방책으로 실행해 보인 그의 노력은 자신의 비평이 텍스트 내부에 한정되기를 거부하고 그가 살아가는 시대와 사회현실에 유의미한 발언이 되길 바란 내적 고투의 과정이었다. 비평이 진정한 비평이 되기를 원한다면 이데올로기 비평이 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은 김현에게 일종의 정답과 같은 것이었다. 기만적 허위로 가장된 지배 이데올로기의 탈신화화야말로 “이론적 실천”으로서의 비평이 가닿고자 한 궁극적 목적지였다는 사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Debate of New Criticism’ in France in the mid-1960s on Kim Hyun’s critics. He was interested in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is debate, and wrote several articles explaining it. The Revolution of Modern Criticism (1979) translated by him is a book about this debate. The main theme of the ‘New Criticism debate’ were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of criticism, new directions in literary research,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 and work, structural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nd the role of critics. These key them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Kim Hyun’s meta awareness of literature criticism. Essential to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these subjects were reviewed in accordance with his relativistic epistemology, and through this deliberation he organized his critical theory. By looking at the ‘Debate of New Criticism’, he realized that absolute objectivity does not exist, and that literary criticism is not a product of scientific proof, but a reconstruction of the discourse of the other person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symbol system given to him. Kim Hyun’s interest in and acceptance of theories of Bachelard, Barthes, and Geneva School was to provide himself with the impetus to renew his criticism. And he continued his efforts to look inside and outside at the trends of literary criticism of the time, agonizing over his role as a critic. He used an intrinsic analysis that revealed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work as his methodology of criticism. Through this methodology, he tried to correct people’s mis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at the time. This efforts illustrate his hope that his criticism would become a meaningful statement in his own society and times. He thought true criticism was bound to be ideological criticism. Criticizing a deceptive dominant ideology is a good indication that criticism as a “theoretical practice” was the ultimate goal to reach.

      • KCI등재

        현대문학비평과 논증의 수사학

        오형엽 ( Hyung Yup Oh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6

        이 글은 문학연구 및 비평을 심층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현대문학비평``과 ``논증의 수사학``의 관련성을 고찰한다. 최근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신수사학 중 ``논증의 수사학``이 보여주는 성과를 검토하고, 이를 참조할 때 얻을 수 있는 문학비평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목적에 접근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우선 수사학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개괄하면서 문제를 제기한 후, ``논증의 수사학``에 해당하는 현대 수사학의 성과 중 그 출발점에 있는 카임 페렐만과 스티브 툴민의 논증 이론을 검토하고, 이들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종합적으로 재구성한 제임스 크로스화이트의 메타철학적 논증행위 이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증의 수사학과 관련성을 가지는 현대문학비평의 구체적 성과를 검토하기 위해 김인환의 문학비평을 살펴보려 한다. 카임 페렐만은 청중의 중요성, 논증적 상호 작용에서의 전제와 합의의 기본 특성, 논증에 표지를 세우는 공론과 같은 요소들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논증 이론 및 담화 분석에 핵심적인 틀을 제공한다. 청중을 고려하는 논증행위를 통해 차이를 존중하면서 합의에 이르는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놓음으로써, 현대철학과 수사학이 도외시하는 사회적 비평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수사학의 측면에서 페렐만의 논증 이론은 ``청자`` 중심의 ``의사소통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관점은 은유·환유·제유라는 ``표현``의 측면으로 축소되어온 수사학의 관심을 ``화자-표현-청자(청중)``이라는 의사소통의 관계망으로 확장하고, 그 맥락을 검토하면서 논증행위의 윤리적 측면까지 고려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스티브 툴민은 논증이 사용되는 구체적인 맥락에 주목함으로써 형식논리학의 불충분함을 비판하고자 한다. 그는 논증의 복합적인 성격을 고려하기 위해 ``영역(field)`` 개념을 도입하고, 양태적 용어들이 실천적 논증의 과정에서 수행하는 실질적 기능이 무엇인지 명백하게 제시하려 한다. 그리고 논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명제들의 기능을 밝히고, 그 논증에 대항하는 비판들에게 어떻게 적절한 논증을 제시하고 분석하는지를 규명한다. 수사학의 측면에서 툴민의 논증 이론은 ``화자`` 중심의 ``화용론적 언어학``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관점은 언술의 구체적인 맥락과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주장과 근거, 근거에 대한 이유와 이유에 대한 지지, 자격과 반박 등의 정당화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증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임스 크로스화이트는 페렐만의 ``청자`` 중심의 ``의사소통 이론``과 비트겐슈타인?오스틴?스티브 툴민 등의 ``화자`` 중심의 ``화용론적 언어학``을 종합적으로 수용하면서 논증행위 이론을 재구성한다. ``주장하기``와 ``질문하기``, ``갈등``과 ``청중``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논증행위의 이론은 차이와 갈등을 이용하여 탐구를 수행하고 사회적 합의에 도달하려 한다. 그리하여 이성의 수사학은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갈등을 비폭력적으로 해결하는 가능성을 강화하고, 공준이 무너지고 있는 사회적?문화적 현실 속에서 사회비평의 가능성을 옹호하며, 고등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뢰할 만한 설명을 제시한다. 김인환은 수사학과 관련된 의사소통 이론 및 화용론적 언어학을 문학연구 및 비평에 접목시켜 독자적인 관점을 창안한다. 그의 문학 This paper investigates relativity of ``contemporary literary criticism`` and ``rhetoric of argument`` to ready footing that can progress literature study and criticism deeply. After coming into question summarizing historic unfolding process of rhetoric, this paper wish to investigate Cham Perelman and Stephen Toulmin`s theory that at the starting point among ``rhetoric of argument`` result of modern rhetoric. And this paper wish to investigate James Crosswhite`s meta-philosophical argumentation theory, and investigate Kim In-Hwan`s literary criticism to examine specific result of contemporary literary criticism that have relativity with rhetoric of argument. Cham Perelman offers central model on argument theory at point that emphasize audience, argumental interaction, public opinion. By have opened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at arrive at mutual agreement respecting difference through argumentation that consider audience, his theory enable social criticism. Cham Perelman`s argument theory can be regarded as ``communication theory`` of the centering around ``audience`` in side of rhetoric. Stephen Toulmin criticizes insufficiency of formal logic giving attention to concrete context that argument is used. He introduces ``field`` concept, and tris to actual function of conditional terminologies. And he clears function of propositions that happen in argument process, examines how to presenting and analyzing suitable argument to critiques that opposes to the argument. Toulmin`s argument theory can be regarded as ``speech-act linguistics`` of the centering around ``speaker`` in side of rhetoric. James Crosswhite reconstructs argumentation theory that accommodating Perelman``s ``communication theory`` of the centering around ``audience`` and Wittgenstein?Austin?Stephen Toulmin``s ``speech-act linguistics`` of the centering around ``speaker`` synthetically. Argumentation theory that have reconstructed in the centering of ``claiming`` ``questioning`` ``conflict`` ``audience`` tries to achieve investigation using difference and conflict, tries to reach in social agreement. Kim In-Hwan invents an original viewpoint that communication theory and speech-act linguistics connected with rhetoric being grafted together in literary study and criticism. His literary criticism secures viewpoint of ``synthetic rhetoric`` that combine ``rhetoric of figure`` and ``rhetoric of argument`` mutually, and examine closely literary principle applied to both writing and criticism. Kim In-Hwan`s viewpoint that investigates method of novel correlating grammar category, the linguistic internal regulation with description viewpoint imply the part of ``speech-act linguistics`` and ``rhetoric of communication``. Kim In-Hwan``s method of reading that emphasize simultaneously ``reading of details`` and ``reading of context`` has inner relation with ``communication theory`` and ``speech-act linguistics`` and ``meta- philosophical rhetoric`` in the point of giving attention to context and intertextuality. If we continue to study refering to these investigation, we may suspect following scientifical and critical contribution. First, literary criticism connected with ``rhetoric of argument`` can seek mutual complement with literary criticism connected with ``rhetoric of figure``. Second, literary criticism connected with ``rhetoric of argument`` can think the ethicality and sociality as well as esthetics of text. Third, literary criticism connected with ``rhetoric of argument`` supplies important suggestive point to approach in new problem area that contemporary literary criticism is facing. Fourth, We can secure new angle of literature education utilizing literary criticism connected with ``rhetoric of argument`` to methodology of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한국비평이론학회가 걸어온 길

        여건종(Keonjong Yoh)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3

        이 글은 한국비평이론학회 3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글을 논문으로 확장하고 수정 보완한 것입니다. 이 글은 비평이론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하는 이 시점에서 “왜 이론인가?”, “문학연구에서 이론의 전환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문학연구 제도 안에서의 이론 연구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의 질문에 관한 한 성찰로 쓰여진 것입니다. 지난 30년간의 과정을 두운을 맞추어 도식화하자면 포스트구조주의라는 새로운 철학적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포스트모더니티라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포착하고 분석하고, 포스트페미니즘, 포스트맑시즘, 포스트식민주의의 새로운 관점들로 발전되고, 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미디어, 포스트트루쓰의 주제들로 확장되고 종국에는 스스로를 해체하는 포스트 이론(post-theory)의 문제 의식으로 귀결되고 있다고 요약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포스트라는 접두어가 가리키는 것은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반성과 해체의 자세 혹은 정신이라면, 이론의 가치도 그에 따른 실천의 지향점도 이 지점에서 시작한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비평/이론이라는 학문적 제도가 그동안 외면했던 이야기의 기능의 새로운 의미를 공감의 인문학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고 민주 사회의 시민의 능력을 서사적 상상력을 통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Current crisis of the humanities is closely involved with hyper-institution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academic critical discourse and the humanities education. We have narrowed down humanities education to the point where it no longer provides the enhanced capacity for civic engagement.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crisis of the humanities, this article proposes a new ethics of narrative. According to Martha Nussbaum, narrative imagination is a capacity to enter into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lives of the others. New ethics of narrative emphasizes the vital role of narrative imagination in cultivating the powers of judgment and sensibility of a mature and responsible person, by exploring how the ability to be a sympathetic reader of another person’s story can be a basic qualification of democratic and cultivated citizen. This ability contributes to moral development of a citizen by fostering the capacity to understand people who may act from very different motives, identities and experiences.

      • KCI등재

        문학 비평 글쓰기에서의 대화주의적 원리

        김현정 ( Hyeon Jeong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0

        최근 많은 대학이 글쓰기 교육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글쓰기 교육을 강화함에 따라, 글쓰기 이론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글쓰기 이론 중에서도 최근 부각되고 있는 이론은 대화주의 이론이다. 바흐친의 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대화주의 이론은 모든 글쓰기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문학 비평 글쓰기에 더 적합하다. 문학 비평 글쓰기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화주의적 원리를 살펴보면, 비평 주체가 끊임없이 타자와 대화적 상호 관계를 통해 의미를 형성한다. 그리고 문학 비평 글쓰기의 대상 텍스트를 읽을 때에나 비평 글쓰기를 할 때에 적극적으로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문학 비평 글쓰기는 대상 텍스트의 다성성으로 인해 동일 텍스트임에도 불구하고 비평 주체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만, 다양한 해석은 어디까지나 담화 공동체의 관습을 존중해야 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학 비평 글쓰기의 대화주의적 원리를 이해한다면, 결과로서의 문학 비평 글쓰기뿐만 아니라 과정으로서의 문학 비평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many universities have paid attention to writing education. Because of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researchers got down to study writing theories. The Dialogic Theory of Writing is worthy of notice among many theories of writing. Bakhtin`s dialogic theory of writing is applied to all sorts of writing. But the dialogic theory of writing is suited to literary critical writing. The dialogic principles of literary critical writing is that critical Subject constantly formation meaning through dialogic interrelationship. Also, the reader or writer makes the best use of intertextuality. And the same text with polyphony has various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the critical subject and situation. If we can understand the dialogic characteristics of literary criticisms, we can make sense of the literary criticisms as the result and as th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