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곡 김득신 시 비평 연구

        허윤진 ( Hur Yoon-ji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2

        본고는 17세기의 개성적인 시인이자 비평가인 백곡(柏谷) 김득신(金得臣)의 『종남총지(終南叢志)』 소재 시화 48칙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시 비평을 연구한 것이다. 백곡 김득신의 시 비평은 주제적으로 크게 비평론과 창작론으로 나누어진다. 비평론에서는 비평이 외부적인 요소에 좌우되지 않는 작품에 대한 객관적 가치평가여야 함이 드러난다. 그러한 비평의 객관성은 상이한 비평적 입장들에 대한 비평가의 변증법적 사유 과정을 통해서 성취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창작론에서는 문학의 타자성이 중시된다. 문학은 창작자 자신의 능력이나 생각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다. 창작자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천기(天機)나 조화(造化) 같은 타자적인 작인의 작용이 필요하며, 또는 창작자 스스로의 도저한 반복적인 독서가 필요하다. 이러한 반복적인 독서는 창작자가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자신의 앎을 갱신해 가는 과정이다. 독서는 인간이 자신과 세계의 문제 상황을 돌파하여 죽음의 상태를 초월할 수 있는 과정이자 방법론이다. This thesis investigates Kim Deuk-seen’s poetry criticism based on his forty-eight critical works of The Anecdotes from Jongnam(終南叢志). His poetry criticism consists of the two tracks: theory of criticism and theory of creation. Firstly, Kim’s theory of criticism supposes that criticism be an objective evaluation of a literary work, regardless of external factors such as fame and social status of the author. The objectivity of criticism can be achieved in the dialect of thought of the critic on conflicting perspectives. Secondly, Kim’s theory of creation emphasizes the alterity of literature; literature cannot be perfected by the potential and thought of the creator himself. To overcome his own limits, the creator needs the operation of agency such as the Heaven(天機) or the Creator(造化). He also needs the repetitive reading of historical/literary canons to reflect on his own works. The repetition of reading is a process in which the creator accepts his own limits and renews his previous knowledge. Kim defines reading as a process and methodology through which human being can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world and himself and transcend even death.

      • KCI등재

        헤겔의 예술비평-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

        조창오(Cho, Chang-oh)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이 논문은 헤겔 비판본 전집 16권에 실린 변심자들에 대하여(Über die Bekehrten) 란 기고문을 중심으로 헤겔이 보여주는 예술비평의 개념을 논의한다. 헤겔은 예술의 체계를 구성한 이론가이기도 하지만 또한 대중적 예술 실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예술 비평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헤겔은 대개 예술의 체계를 구성한 이론가로만 해석되었다. 많은 해석에 따르면 헤겔은 자신의 이론을 무리하게 작품 해석에 뒤집어 씌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 기고문 속에서 예술 비평가인 헤겔의 다른 모습을 보게 된다. 먼저 기고문에서 예술 비평가로서 헤겔은 낭만주의자들이 어떻게 무리하게 이론을 중시하면서 작품을 왜곡하는지를 보여준다. 헤겔은 1826년 초에 쓴 기고문에서 낭만주의적 반어 이론이 라우파흐의 변심자들 작품 이해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어 이론은 인물과 행위의 모순을 작품의 핵심적 가치로 해석하는 반면, 헤겔은 이 작품 속에 희극적인 것이 놓여 있다고 해석하는데, 여기서 희극적인 것이란 성격의 비본질적인 측면들이 지양되는 과정을 통해 성격의 통일성이 표현되는 것이다. 또한 기고문에서 헤겔은 반어 이론이 전문가를 위한 예술작품만을 대변할 뿐이며, 이는 예술작품의 객관성의 측면을 훼손한다고 해석하면서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을 대변한다. 두 번째로 헤겔은 자신의 이러한 비평의 성과를 자신의 미학강의에 적용하기 시작한다. 1826년 이후부터 헤겔은 미학강의에서 집중적으로 두 개념, 즉 낭만주의적 반어와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을 논의했다. 따라서 위 기고문은 1826년 이후의 헤겔의 반어이론 비판과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 개념 논의를 위한 내용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이 점에서 우리는 헤겔이 체계적인 이론을 구성해서 이를 무리하게 작품에 적용하기보다는 오히려 구체적인 예술작품에 대한 비평 실천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보강하고 확장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Hegel s concept of Art criticism, focusing on the article Über die Bekehrten in 16. Vol. of Hegel s Gesammelte Werke. Hegel is a theorist of the system of art, but also an art critic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opular art practice. Until now, Hegel has been interpreted mainly as a theorist who usually constitutes the system of art. According to many interpretations, Hegel has been criticized for his theories frame interpretation of the Artwork compulsorily. But in this article we see another aspect of Hegel as an art critic. First, in this article Hegel shows as an art critic how romanticists distort the work with an emphasis on the theory. Hegel argues in his article written in early 1826 that romantic ironic theory does not help at all in understanding the “die Bekehrten” of Laupach. Whereas ironic theory emphasizes the contradiction between character and its action as the essential value of the work, Hegel interprets that the comic is at the center of the work, which lets the unessential sides of the unified character disappear, so that the unity of the character expresses itself. Hegel also interprets that the theory of irony represents the work of art for the scholars, which harms the objectivity of artwork and defends the artwork for the public. Second, Hegel began to apply the achievement of his criticism to his aesthetic lectures. Since 1826 Hegel has focused intensively on discussing two concepts, romantic irony and artwork for the public in his aesthetics lectures. Thus, this article provides a basis for Hegel’s criticism of ironic theory after 1826 and the concept of artwork for the public. In this respect, we can confirm that Hegel has reinforced and extended his theories through his practice of criticism of concrete works of art rather than imposing systematic theories upon art criticism.

      • KCI등재후보

        1920년대 초기 개별 장르의 특성화 논리 연구

        김행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7 No.-

        이 글에서는 문학영역을 특성화한 최초의 정기 간행물이었던 1920년대 초기의 『창조』, 『폐허』, 『백조』 등의 동인지 텍스트를 중심으로, 개별 장르의 특성화 논리를 고찰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주체를 정립하고 세계를 설명해 내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와 욕망을 엿볼 수 있었다. '자유시'는 겉으로 드러나는 율격적 질서가 없어도 '시'가 성립될 수 있다는 새로운 사고를 반영하고 있는 용어로서, '산문시' '구어시(口語詩)'라는 용어와 혼용되어 쓰였다. 전형적인 시형식이 부정되는 논리는 시의 외재적 형식이 시인 내면의 자유로운 흐름을 왜곡하거나 억압한다는 것이었다. '자유시'에 '구어시'라는 용어가 겹쳐져 있는 데서, 내면의 투명한 발현을 꿈꾸는 것과 언문일치의 욕망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성언어가 문자언어에 비해 내면에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되었던 것이다. '근대소설'을 특성화하는 데 있어서, 부각되었던 것은 '묘사'라는 글쓰기 방법이다. '새로운 소설'은 '말해주기(telling)'가 아니라 '보여주기(showing)'가 되어야 한다고 여겨졌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묘사'라는 용어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었고 '그림'이나 '사진'의 비유가 애용되었다. 1920년대 초기 동인지에서 '묘사'라는 어휘는 '현실성', '사실성', '객관성' 같은 관념과 결합해 있었고, 소설과 관련해서 강조된 작가로서의 자질은 '상상력'이 아니라 '관찰력'이었다. 소설가를 '관찰자로서의 주체'로 내세우고 '묘사'를 강조했던 데에는 주객의 분리의식이 개입해 있었는데, 소설 쓰기의 경우 주객의 분리를 의식하고 그 분리감에 주목했던 지점에서 '언문일치'의 기획이 작동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자연주의'가 사조적 특수성과 무관하게 근대소설의 경향을 대변하고 있는 것같이 얘기되었고, 종종 극히 낭만적인 소설도 자연주의로 설명되곤 했다. 이것은 '자연주의'라는 표상을 사용했을 때 분명하게 떠오르게 되는 '객관적인 태도'를 문학적인 태도로 새롭게 부각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비평'은 문학 전문지가 마련되고 문단이 형성되면서 새롭게 부상하게 된 장르였지만, '문학' 행위를 무엇보다도 창조적인 활동이라는 점에서 특권화하였고 작품의 의미를 전적으로 작가에게 돌렸던 1920년대 초기 문인들로서는 일차 텍스트를 기반으로 해서 존립하는 비평의 생리를 '문학적'인 층위 내에 쉽게 수용하기 어려웠다. 1920년대 초기에 비평문이 불러일으킨 논쟁은 대체로 이러한 문제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비평의 객관성과 주관성의 문제가 계속해서 논쟁의 씨앗이 되었고 논쟁의 대립구도는 작가 대 비평가로 펼쳐지곤 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비평의 독자적인 영역에 대한 모색이 싹트고 있었다. Early 1920's was the period when 'literary media' had appeared. It was the first literary coterie magazines, such as 『創造』Changjo(The Creation, 1919. 2∼1921. 6), 『廢墟』peyheo(The Ruins, 1920. 7∼1921. 10) and 『白潮』Baekjo(The White Tide, 1922 1∼1923. 6) that specialized literary fiel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pecifying logic of each literary genre. By doing this, this paper could find out the various trials and desires trying to build up a subject and to explain the world. 自由詩(a liberal poem), which was used with other similar terms like 散文詩(a prose poem) or 口語詩(a colloquial poem), was the term reflecting the new thought that a poem could be written without outer regular rhythm. The standard form of a poem was denounced in that it repressed or distorted the free inner flow of a poet. We could see the 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the interior and the desire aspiring to the accordance of speaking and writing. A spoken language was considered to be much closer than a written language was. 'Describing' was emphasized to specify a 'modern novel' because 'modern novel' was considered to have to be a 'showing' rather than a 'telling'. The term 'describing' was combined with such concepts as actuality, reality, and objectivity, and the ability of observation was much stressed than the ability of imagination. The awareness of the separation between a subject and an object was related with this emphasis on 'describing' and on a novelist as a subjective observer. At this point, the plan to unite speaking with writing was discussed, in the part of the novel genre. In addition, naturalism was understood as a pronoun of a modern novel without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 It was because the representation of naturalism made objectiveness accentuated as literary manner. Criticism was the genre newly recognized when literary circles had been formed through publishing literary magazines. However, writing literary works was privileged in that it was creative activity, and it was difficult for the writers of early 1920's, who thought the meaning a literary work was absolutely on its writer, to accept the value of criticism existing on the basis of first tests. The problem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continually caused debates and the debates were made in the form of a conflict between writers and critics. Through this process, the trial to set up the realm of criticism had been started.

      • KCI등재

        비평에 대한 김현의 메타적 인식 : ‘신비평 논쟁’의 수용과 영향을 중심으로

        강계숙 ( Kang¸ Gye-soo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Debate of New Criticism’ in France in the mid-1960s on Kim Hyun’s critics. He was interested in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is debate, and wrote several articles explaining it. The Revolution of Modern Criticism (1979) translated by him is a book about this debate. The main theme of the ‘New Criticism debate’ were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of criticism, new directions in literary research,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 and work, structural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nd the role of critics. These key them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Kim Hyun’s meta awareness of literature criticism. Essential to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these subjects were reviewed in accordance with his relativistic epistemology, and through this deliberation he organized his critical theory. By looking at the ‘Debate of New Criticism’, he realized that absolute objectivity does not exist, and that literary criticism is not a product of scientific proof, but a reconstruction of the discourse of the other person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symbol system given to him. Kim Hyun’s interest in and acceptance of theories of Bachelard, Barthes, and Geneva School was to provide himself with the impetus to renew his criticism. And he continued his efforts to look inside and outside at the trends of literary criticism of the time, agonizing over his role as a critic. He used an intrinsic analysis that revealed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work as his methodology of criticism. Through this methodology, he tried to correct people’s mis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at the time. This efforts illustrate his hope that his criticism would become a meaningful statement in his own society and times. He thought true criticism was bound to be ideological criticism. Criticizing a deceptive dominant ideology is a good indication that criticism as a “theoretical practice” was the ultimate goal to reach.

      • KCI등재

        문학번역평가에서 문학번역비평으로

        정혜용 한국프랑스학회 2009 한국프랑스학논집 Vol.67 No.-

        Cet article a pour but de faire une lecture critique de la théorie en général en matière de critique des traductions littéraires. Pour cela, nous en avons abordé quelques points litigieux tels que l'objectivité de l'évlauation, la systématicité de l'évalutation, la littérarité de la traduction littéraire. Contrairement à la reconnaissance générale de la littérarité comme une norme d'évaluation, l'objectivité de l'évaluation est au centre d'une dissension intense : un courant thoérique la considère, la possibilité de l'atteindre mise à part, comme un but ultime de l'évaluation tandis qu'un autre met l'accent sur son caractère idéologique. Pour nous, l'objectivité n'est pas compatible avec le texte littéraire, parce que ce dernier est inévitablement imprégné par la subjectivité de celui qui le produit. D'où la nécessité de la flexibilité de la méthode d'évaluation et de l'autonomie de celui qui évalue.

      • KCI등재

        「霽湖詩話」小考

        최우영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7 No.-

        이 글은 양경우의 개인사적 상황이「제호시화」서술에 어떤 의미 있는 작용을 하였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쓰여졌다. 이러한 접근은「제호시화」의 내용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양경우는「제호시화」에서 성당시를 시의 전범으로 생각하는 당시의 문단경향을 반영하는 존당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율격과 음향 등 시의 형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조선 중기에 풍미한 도가적인 풍조와 관계없이 유가적인 시각을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다. 서술 대상을 선택하는 데는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불우한 생애를 보낸 문인들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반영하고 있으면서 전체적으로 비평의 객관성을 유지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서술태도는 서얼이라는 신분적인 제약을 극복해나간 현실참여적인 성향과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은 뛰어난 문학적인 재능, 뜻하지 않게 낙향을 하게 된 상황에서 비롯된 아쉬움, 그리고 끊임없는 유가적인 성실성이 어우러져서 나타난 것들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Yang Kyung-woo's personal history had affected to the writing of Jehoshiwha, to provide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text of Jehoshiwha. In Jehoshiwha, Yang Kyung-woo shows his respect to the poems of Tang period which reflects the general tendency of literary society in his days. In particular, he puts emphasis on formal aspects of poetry, the versification and tone. He adhered to Confucian view, being aside from the taste for Taoism that was widely spread over the poems in mid-Chosun period. In selecting poets, Jehoshiwha reveals Yang Kyung-woo's particular interest in those who lived in obscurity in spite of their literary excellence. Nevertheless, his criticism on them has been said to be moderate without losing objectivity. These features of Jehoshiwha are supposedly related to his inclination for commitment to the society with which he overcome his inherent social standing of illegitimate class. Also related are his outstanding literary talent inherited from his father, disappointment from being forced to be expelled from bureaucracy, and his sincerity as a Confucianist.

      • KCI등재

        누구의 문학인가 — 문화학술장에 출현한 페미니스트 입장과 페미니즘 비평의 향방(向方)

        김정은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여성문학연구 Vol.55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emergence and direction of feminist criticism by examining women’s literature theory raised by female subjects who were accessing the network of female intellectuals associated with the feminist book-magazines Women and Alternative Culture.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ir perspectives and positions, it is true that they both criticized the fact that the sensibility of the “problematic individuals” who represent Korean society is male-centered. Of course,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ebate surrounding Park Wan-seo, they also went through a period of “confrontation,” and the fact that they ha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tatus of the female writer as well as the “problematic” of criticism pursued at this time is also an important topic of discussion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fact that critical practices originating from the feminist publishing movement continued into the 1990s. When this group, which began with Women and transitioned to Women and Society, raised the “position” theory that women’s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renewing realism, Alternative Culture presented a refutation of the place of “universality,” which remained unquestioned throughout the 1990s. This continuation and deepening can be said to confirm that the language of feminist criticism, which originated from feminist book-magazines of the 1980s, had not ceased. 본 연구는 무크지 『여성』과 『또 하나의 문화』와 연관된 여성 지식인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었던 여성 주체들이 제기한 여성문학론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페미니즘 비평의 등장과 그 향방을 주목했다. 이들의 시각과 입장이 ‘차이’를지니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문제적 개인’의 감성이 남성중심적인 것을 공박했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박완서 논쟁을 중심으로 이들은 ‘충돌’하는 국면을 나타내기도 했는데, 이때 추구하는 비평의 ‘문제틀’에서 뿐만 아니라 문학행위를 하는 여성의 위상을다르게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 역시 본 연구의 중요한 논의 지점이다. 한편 페미니즘 출판문화운동으로부터 발원한 비평적 실천이 1990년대에도 계속 이어지고있었다는 점 역시 본 연구가 주목하는 지점이다. 『여성』에서 『여성과 사회』로 이어지는 그룹이 리얼리즘을 갱신하는 데에 있어 여성문학이 기여할 수 있다는 ‘입지’론을 제기하고 있을 때, 또 하나의 문화에서는 1990년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의심되지 않는 ‘보편성’의 자리를 공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지속과 심화는 1980년대 여성 무크지로부터 발원한 페미니즘 비평의 언어가 단절된 것이 아니었음을 우리에게 확인시켜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