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본 비영리기관 후원 메시지 전략

        이미나(Mina Lee),김민정(Minjung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9 No.2

        본 연구는 비영리단체의 후원 모금에 효과적인 광고 전략을 제시하고자 메시지 프레이밍과 개인적 특성인 성별에 따른 소비자의 후원태도 및 의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메시지 프레이밍 변인은 기존의 연구들이 언어적 메시지만을 변화한 것에서 나아가 언어 메시지뿐만 아니라 시각적 메시지 역시 긍정과 부정으로 나눔으로써 좀 더 구체적인 메시지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성별과 메시지 프레이밍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언어적 메시지: 긍정 vs. 부정)X2(시각적 메시지: 긍정 vs. 부정)X2(성별: 남 vs. 여) 피험자 간 요인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 후원태도와 후원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은 긍정적 시각 메시지를 사용한 광고물에 후원태도와 후원의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남성의 경우, 언어와 시각 메시지의 방향성이 불일치하는 경우에 후원 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영리단체의 후원모금 전략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별이 중요한 변인으로서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 타겟에 따른 메시지 전략의 차별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While previous research on message framing mainly dealt with framing of verbal messages such as advertising copies, few studies have explored message framing effects in terms of both verbal and visual messages. To fill this gap,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verbal message framing, visual message framing, and gender on attitude toward child sponsorship and intention to sponsor a chil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2 (verbal message: positive vs. negative) x 2 (visual message: positive vs. negative) x 2 (gender: male vs. female) between subjects design. The results indicate that women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child sponsorship and greater intention to sponsor when exposed to positive visual messages than negative visual messages. On the other hand, men expressed greater intention to sponsor when exposed to incongruent messages (incongruence in valence of verbal and visual messages) than congruent messages (congruence in valence of verbal and visual messa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role of gender as an important individual variable in nonprofit organization’s message strategy.

      • KCI등재

        대학광고의 메시지와 표현양식 분석: 2004-2009 신문광고를 대상으로

        우석봉,박은아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0 No.4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in Korea is becoming fierce due to the changing environment. Recently, universities have attended to advertising activities as one of important solutions to cope with fierce competition. This research conducted content analysis of ad. message and creative style of newspaper advertisements for Korean universities. Specificall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161 newspaper advertisements for university entrants executed from 2004 to August, 2009. Results showed that amount of advertisements have increased steadily. In case of ad. message, 50% of message was on prospect of future/progress and 40% was on global orientation. This implies that most of universities employed similar message strategy. Visual analysis showed that image of enrolled or graduating stud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visuals. The considerable portion of using visuals irrelevant of copy was found. Creative style analysis based on rhetorical figures of headline and visual showed that literal and rhetorical figures were used equ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provid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advertising and creative strategies for university advertisement. 우리나라 대학시장에 불어 닥친 환경변화로 대학간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되고 있다. 이에 대학들은 과거와 같이 주로 평판이나 구전에 의존하는 수동적 커뮤니케이션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광고집행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대학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집행되는 대학광고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광고물에 표현된 메시지 내용과 표현 양식을 알아보고자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신문에 게재된 신입생 모집광고 161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기간 동안 대학광고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에 표현된 헤드라인 내용의 약 50%는 대학의 ‘미래/발전성’을 강조하였고 ‘글로벌지향성’ 또한 40%에 가깝게 나타나서, 대학광고의 메시지는 특정 주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학간 메시지의 차별성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비주얼을 분석한 결과 ‘재학생/졸업생 일반인’ 모델을 사용한 광고가 가장 많았으며, 메시지와 직접 관련이 없거나 반대로 메시지와 완전히 일치하는 비주얼을 표현한 경향도 높게 나타났다. 표현 수사학 측면에서는 메시지와 비주얼 모두 수사적 표현과 직설적 표현의 비율이 대등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학광고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CSR 메시지에서 내러티브와 영상 이미지의 설득 전략 효과에 관한 연구

        이윤하,최인호,염정윤,정세훈 한국소통학회 2013 한국소통학보 Vol.22 No.-

        본 연구는 내러티브 설득과 영상 설득이론에 기반하여, CSR 홍보 메시지에서 내러티브와 영상 이미지(visual image)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내러티브 여부(내러티브 메시지-非내러티브 메시지)와 영상 이미지(포함-불포함) 여부를 조작한 2×2 실험 설계를 바탕으로, 각 집단에 50명씩 200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 메시지가 非내러티브 메시지에 비해 메시지 몰입에 더욱 효과적이며, 호의적인 메시지 태도와 기업 태도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상을 포함한 메시지는 메시지 몰입, 메시지태도, 및 기업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내러티브와 영상의 상호작용효과도 발견되지 않았다. 내러티브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이유는 내러티브가 공중의 의심과 반박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홍보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실무자들이 보다 효과적인 CSR 메시지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persuasive effect of narrative and visual images in CSR messages. Results suggest that narrative CSR messages, compared with non-narrative messages, increased message transportation,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message and thecorporation.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visual images did not have aneffect on message transportation or attitudes toward the message or the corporation.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SR practitionersfor designing effective messages.

      • KCI등재

        비주얼 함의 광고에서 감정이입의 효과

        조용석(Yong Suk C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3 No.4

        본 연구는 비주얼 메시지만으로 이루어진 광고가 메시지이해도와 감정이입 여부, 그리고 소비자 성향과 브랜드 친숙도에 따라 광고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밝혀보고자 실제 집행되었던 베네통 광고캠페인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하였다. 먼저, 비주얼 메시지 이해도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는 이해도가 높은 집단에서 광고태도, 브랜드태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감정이입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 감정이입은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이 입은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황적 성향집단에서 긍정적 감정이입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체로 상황적 성향이 강한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일반 제품 광고에서 사회적 메시지를 잘 운용한다면 그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반면에 브랜드 친숙도에 따른 감정이입 차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글로벌 브랜드의 경우 카피의 의미고정역할 없이도 비주얼 레토릭의 반복을 통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또한 중요한 광고효과의 지표임이 검증된 메시지 이해도와 소비자특성, 감정이입 등의 영향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전략적인 수준에서의 관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implicature ads which consist of visual components only. Specifically, it is observed whether the implicature advertising can be effective with the influences of other factors including the degree of message understanding, empathy, consumer`s personality, and brand familarity. The experiment employed Benetton ad campaign which was executed in the filed. The result shows that the understanding of visual message positively affected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including attitude toward ad and brand. Regarding the effect of empathy, positive one positively influenced the ad effectiveness; however, negative one did not. Especially, participants in the situational personality group were positively empathized well. Since Korean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have situational personality, this finding can verify that social messages could help the ad effectiveness. But, the brand familarity did not affect the empathy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findings, in case of global brands, repetitions of visual rhetorics can enable effective brand communication. Furthermore, other critical factors such as understanding of messages,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empathy should be managed in strategic fashion.

      • KCI등재후보

        인쇄광고의 시각적 메시지 프레이밍에 관한연구

        김성재 ( Sung Jae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광고의 시각적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광고 태도와 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제품 관여도와 성별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고의 시각적 메시지 유형을 긍정과 부정적 메시지로 분류하고, 제품 관여도를 저 관여와 고 관여 제품으로 분류하여 이들이 광고 태도와 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실험물은시각적 메시지 프레이밍(긍정/부정)과 관여도(고관여/저관여)를 포함하여 2×2 = 4 가지 버전으로 구성되었다. 총 197명의 피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각각 4가지 버전 중 한가지의 실험광고물을 보고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정적 메시지가 긍정적 메시지에 비해 더욱 높은 이미지 선호도를 보여주었으며, 관여도는 광고 태도와 이미지 선호도에 모두 유의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은 이미지 선호도에만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을 논의하고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have been major research themes in marketing and advertising field and several studies on these effects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advertising visual message framing and moderating role of product involvement and sex. Recognizing these phenomena, we proposed differential effects of visual message framing(positive/negative) and involvement(high/low). Thus, this study examined 1) main effects of visual message framing 2)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ssage framing and involvement, and 3)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ssage framing and sex. To test these research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designs. One hundred ninety-seve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Message framing and involvement were manipulated as between-subject factors. The results indicate that visual message framing typ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age preference. In addition, product involvement play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between the visual message framing type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Furthermore, consumers’ sex also shows a moderating effect on the image preference, yet not on the advertis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in the advertising visual message area.

      • KCI등재

        시각적 표현 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 메시지 단서 및 희소성 수준의 조절효과와 소비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재현,김한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8 마케팅관리연구 Vol.23 No.1

        In an online shopping mall where numerous products are listed in one page, the brief phrase introducing the produ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ttracting consumers' attention. Especially, in recent years shopping malls are attracting consumers' attention with phrases like “Best Item” or “★★★★☆”. However, consumers' interest may vary according to the visual expression presented in the phrase, so the company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way of visual expression presen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shopping malls often establish a strategy launching a limited edition product or offering stock condition(e.g., 10 products left!)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because the scarcity message is an effective tool to promote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Although previous researches have investigated diverse impacts of scarcity strategies on purchase intentions, they have been somewhat reluctant to generalize the findings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the visual representation that can be presented in scarcity messages.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sual express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message cue and scarcity level. Also, in order to identify the mechanism by which these effects occur,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consumer stress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 cases where a limited message cue or a high level of scarcity is presented, the purchasing intention is higher when an explicit expression phrase is provided than an implicit expression phrase is provided. But, when a popular message cue or a low level of scarcity is presented, the results were reversed. Finally, we verified that the effects of visual cues and level of scarcity on the purchasing impacts are mediated by consumer stress. 한 페이지 안에 수많은 제품들이 나열된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품을 소개하는 간략한 문구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최근 들어 쇼핑몰들은 “Best Item”이나 “★★★★☆별점”과 같은 문구를 내세워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제시된 문구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문구의 시각적 표현방식을 신중히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쇼핑몰들은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거나 제품의 부족한 재고상태를 제시하는 전략(예 : 10개 남음!)을 자주 활용하고 있다. 희소성을 알리는 메시지는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도구이기 때문이다. 이에 선행연구들은 희소성 전략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주 다루어 왔지만 희소성 메시지가 제시될 수 있는 시각적 표현방식을 고려하지 않았고, 따라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고에 제시되는 시각적 표현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제품 메시지 단서와 희소성 수준의 조절 역할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시각적 표현방식과 희소성 수준의 상호작용에 대한 소비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한정 메시지 단서 혹은 희소성 수준이 높게 제시된 상황에서는 암시적으로 표현된 문구가 제시되었을 때보다 명시적으로 표현된 문구가 제시되었을 때 구매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중성 메시지 단서 혹은 희소성 수준이 낮게 제시된 상황에서는 암시적으로 표현된 문구가 명시적으로 표현된 문구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각적 표현방식과 희소성 수준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 스트레스에 의해 매개됨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발표상황에서 발표자의 비언어적 요소가 발표자의이미지 평가 및 메시지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이유나,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08 한국소통학보 Vol.10 No.-

        발표(presentation) 상황에서 발표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되는 이미지는 청중으로 하여금 그 발표자의 능력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청중의 메시지 인지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시각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로 나누어 이들 요소들이 발표자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 및 발표자가 전하는 메시지의 인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연구결과 발표자의 시각적·음성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는 호감도와 신뢰도로 구성된 이미지 평가 및 메시지 인지도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호감도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음성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메시지 인지도에는 음성적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영향을 미쳤으며, 발표자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오히려 메시지 전달에 방해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이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resenter’s nonverbal communication elements influence the evaluation of the speaker’s image and message-retention by the audience. We manipu-lated the presenter’s nonverbal communication elements, which are con-sisted of visual and vocal aspects. We created two presentation conditions. In the first one, the presenter demonstrated an excellent visu-al and vocal elements, whereas in the second one, the presenter per-formed a poor visual and vocal elements. Then, We mixed the two sit-uations to create the third and four conditions by dubbing technique. That is, in the third one, the presenter demonstrated excellent visual ele-ments with poor vocal elements whereas in the fourth one, the presenter demonstrated excellent vocal elements with poor visual elements. After confirming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successfully manipu-lated as we had intended, we assigned 35 subjects to each condition.Results show that the visual and vocal communication elements in-fluenced the presenter’s image differently. The visual elements influ-enced the affection for the presenter whereas the vocal elements influ-enced the credibility of the presenter. Finally, the vocal elements influ-enced the message retention whereas the visual elements inhibited the audience members’ message reten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등재

        시각기호학의 체계 정립을 위한 예비 연구

        박일우 ( Il-woo Park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7 No.-

        이 연구는 시각기호학의 목표와 대상, 보편적 연구방법론을 통시적으로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시각기호학을 자치적 학문으로 정립할 수 있는 기초를 제안하고자 한다. 1990년대에 대상별, 학파별로 활발히 진행되던 시각 메시지의 기호학적 연구는 태생적 한계와 기본적인 에피스테메 개발노력의 부재라는 내재적 요인과 2000년대 이후발전된 문화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밀려 퇴조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시각기호학의 터전이 되었던 초기 기호학 모델과 도상해석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문자학을 도입하고, 시각메시지의 다중양상을 재고할 경우, 시각기호학의 전통은 디지털 환경으로 만들어진 다매체 시대의 시각문화를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으로 태어날 수있다. 이 연구는 시각기호학을 일반기호학의 한 분야로 정계(定界)하고 독자적 학문으로 규정한다. This study proposes establishing the Visual Semiotics as an autonomous discipline by re-exploring its goals and targets, and reviewing the adequacy of methodology. In 1990s, semiotic study of visual messages were actively conducted by various schools, but since 2000, it showed a tendency to decline pushed by the inherent limitations of semiotic assumptions and lack of basic episteme customized to modern visual circumstances. Further more, the ``Visual Studies`` launched around 2,000 across the Atlantic has covered the problematics of those the visual semiotics has undertaken before. Nevertheless, if w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iconographic traditions by adapting some recent alternatives and theoretical frame, the tradition of visual semiotics still will carry the role of presiding discipline so as to cover the digital and multimodal aspects of modern visual eco-system. This study puts a corner stone for re-defining visual semiotics as a branch of modern humanities and autonomous discipline.

      • KCI등재

        중국 화장품 광고에서 한류 텍스트와 비주얼 메시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유란(Oh, Yuran),고정민(Ko, Jeongm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중국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광고에서 한류 텍스트와 비주얼 메시지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광고의 시각적 요소와 텍스트 요소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시각적 요소로 광고모델을, 텍스트 요소로 광고카피를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한류스타와 일반 한국배우를 광고 모델로 사용하였을 때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한류를 강조한 카피와 그렇지 않은 카피를 사용하였을 때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한류광고유형과 광고효과의 관계에서 문화수용도와 제품 사전지식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류스타모델을 사용한 광고는 그렇지 않은 광고보다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류 카피를 사용한 광고와 그렇지 않은 광고는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류광고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문화수용도와 제품 사전지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를 사용한 화장품광고에서 비주얼 요소가 텍스트 요소보다 광고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allyu(Korean Wave) texts and visual messages in cosmetics advertising targeted at China. The differences between Hallyu star and mediocre actor as ads mode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exts highlighting on Korean wave and common texts are tested in terms of brand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And if the cultural acceptance and the prior information on products are functioning as themoderating variable or not were tested. Its outcomes are as followed: first, the advertisement with Hallyu stars had more positive impacts on consumer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cosmetics than the one with non-Hallyu stars. Second, contrary to the first result, the advertisement with and without texts emphasizing the Korean Wave had little influence in consumer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oducts. Finally, the relationship Hallyu-based advertisement and its impacts of advertisement was considerably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cultural acceptance and prior information on products. 본 연구는 중국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광고에서 한류 텍스트와 비주얼 메시지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광고의 시각적 요소와 텍스트 요소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시각적 요소로 광고모델을, 텍스트 요소로 광고카피를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한류스타와 일반 한국배우를 광고 모델로 사용하였을 때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한류를 강조한 카피와 그렇지 않은 카피를 사용하였을 때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한류광고유형과 광고효과의 관계에서 문화수용도와 제품 사전지식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류스타모델을 사용한 광고는 그렇지 않은 광고보다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류 카피를 사용한 광고와 그렇지 않은 광고는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류광고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문화수용도와 제품 사전지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를 사용한 화장품광고에서 비주얼 요소가 텍스트 요소보다 광고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allyu(Korean Wave) texts and visual messages in cosmetics advertising targeted at China. The differences between Hallyu star and mediocre actor as ads mode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exts highlighting on Korean wave and common texts are tested in terms of brand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And if the cultural acceptance and the prior information on products are functioning as themoderating variable or not were tested. Its outcomes are as followed: first, the advertisement with Hallyu stars had more positive impacts on consumer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cosmetics than the one with non-Hallyu stars. Second, contrary to the first result, the advertisement with and without texts emphasizing the Korean Wave had little influence in consumer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oducts. Finally, the relationship Hallyu-based advertisement and its impacts of advertisement was considerably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cultural acceptance and prior information on products.

      • KCI등재

        국내 정치인의 웹사이트 관련 시각적 이미지 연구

        김원용(Won-Yong Kim),현경미(Kyung-Mi Hyun),정혜경(Hae-Kyung Chu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0 No.1

        최근 선거캠페인이 미디어 중심으로 치뤄지면서 인터넷을 활용한 인상관리 전략의 중요성이 커졌다. 이 때문에 정치인들은 인터넷에서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활용하여 인상을 바람직하고 긍정적으로 형성하려고 한다. 이러한 경향은 선거캠페인에서 시각적 메시지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난다. 그러나 시각적 메시지가 선거캠페인에서 후보자의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목에도 불구하고 국내 연구는 주로 언어적 메시지에 치중하거나 정치광고 방송토론에 나타나는 이미지에 초점을 맞춰왔다. 따라서 사진과 같은 인터넷의 주요 시각적 이미지 활용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건, 이명박, 박근혜 등 세 정치인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진을 통해 표현된 시각적 요소를 내용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세 정치인은 홈페이지의 사진에서 재현적, 상호작용적, 구성적, 맥락적 차원을 통한 자신들의 인상 형성에서 각각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홈페이지 사진 속에서 앵글, 벡터 등의 시각적 장치들을 통해 수용자와 수평적 사회관계를 형성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세 정치인의 공통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candidates tend to use internet to improve their impression in these days. Many studies about political communication during election campaign show these strategies of politicians. This study examines format and content of visual images (=pictures) of Korean politician's homepage. The findings show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visual image strategy of internet. First, major politicians in Korea (Park Geun Hye, Lee Myung Park, Go Kun) use internet pictures to improve their impressions. Second, These politicians try to establish social relationships with internet users by various types of visual images. This shows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socio semiotics; Politicians who want to run for next Korean president election try to form social relationships, especially horizontal, intimate, public relationship in their pictur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tudy about the effects of website visual image in election campa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