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제 불꽃놀이 프로그램의 평가항목 개발 연구: 공급자와 소비자 관점을 중심으로

        김현승,김상만,정강환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6

        불꽃이라는 하나의 콘텐츠만으로도 축제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을 만큼 야간형 축제에서 불꽃놀이는 빠질 수 없는 매력적인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불꽃놀이를 평가하는 시스템을 갖춘 축제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 하며 누구나 이용이 가능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불꽃놀이 평가항목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한 공급자 표본과 소비자 표본의 요인별 평가항목을 도출 하였는데, 소비자 관점에서는 ‘불꽃놀이 장소’, ‘불꽃놀이 품질’, ‘불꽃놀이 연출’등 3개 요인으로 11개 세부 평가항목을 도출 하였으며, 그리고 공급자 관점에서는 ‘불꽃놀이 안전’, ‘불꽃놀이 품질’, ‘불꽃놀이 연출’, ‘불꽃놀이 장소’의 4개 요인으로 16개 세부 항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불꽃놀이에 대한 학문적 기초를 제공하고, 불꽃놀이 평가시스템을 축제 평가시스템과 같이 표준화 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준을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Fireworks are such an attractive program of night festivals that the festival event can be going on with only one content of fireworks. However, there is no festival with a system for evaluating firework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ystematic and standardized fireworks evaluation items that can be used by anyone while both suppliers and consumers are satisfied.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the supplier sample and the consumer sample were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is. From the consumer point of view, three factors were derived: 'fireworks display location', 'fireworks display quality', 'fireworks display', and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four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Fireworks safety', 'fireworks display quality', 'fireworks display', 'fireworks display loca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 has little academic research data on the fireworks, this study provides an academic basis for fireworks display and provides a academic basis for quantifying and evaluating fireworks that used to be enjoyed only by eyes, and suggests systematic criteria for standardizing firework assessment systems such as the festival evaluation system.

      • KCI등재

        불꽃축제를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 가능성 고찰

        이장철,안병주,이동수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불꽃축제 유료화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부산불꽃축제를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의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사)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의 관련 자료와 부산불꽃축제 유료화에 대한 언론 보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현재 부산불꽃축제의 만족도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내국인 보다 타 지역에서 축제를 관람하기 위하여 참여하는 관광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부산불꽃축제의 유료화를 안착시키고, 관광자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축제 제반 환경을 개선시키고, 유료화 티켓 구매 절차와 비용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통해 향후 재참여를 촉진하고, 구전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마케팅을 통하여 관광자원으로 적극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rate of ticketed Busan Fireworks Festival, and study the possibility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utilizing Busan Fireworks Festival.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ata related to Busan Culture & Tourism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and the press release data on the ticketed Busan Fireworks Festival. The conclusion we can draw from these results i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Busan Fireworks Festival was relatively higher among those visiting from outside of Busan city than the local Busan citizen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icketing system and actively develop the festival as one of tourism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overall environment of the festival, promote re-participation of the people by developing more efficient ticket buying procedures, prepare countermeasures for charges, and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to maximize word-of-mouth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불꽃축제 유료화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부산불꽃축제를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의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사)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의 관련 자료와 부산불꽃축제 유료화에 대한 언론 보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현재 부산불꽃축제의 만족도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내국인 보다 타 지역에서 축제를 관람하기 위하여 참여하는 관광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부산불꽃축제의 유료화를 안착시키고, 관광자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축제 제반 환경을 개선시키고, 유료화 티켓 구매 절차와 비용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통해 향후 재참여를 촉진하고, 구전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마케팅을 통하여 관광자원으로 적극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rate of ticketed Busan Fireworks Festival, and study the possibility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utilizing Busan Fireworks Festival.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ata related to Busan Culture & Tourism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and the press release data on the ticketed Busan Fireworks Festival. The conclusion we can draw from these results i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Busan Fireworks Festival was relatively higher among those visiting from outside of Busan city than the local Busan citizen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icketing system and actively develop the festival as one of tourism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overall environment of the festival, promote re-participation of the people by developing more efficient ticket buying procedures, prepare countermeasures for charges, and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to maximize word-of-mouth effect.

      • KCI등재

        순수한 원소 불꽃색 관찰을 위한 불꽃 반응 실험 방법 개선 - 물질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

        정신영,조유진,백종호,정대홍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6 현장과학교육 Vol.10 No.3

        Flame reaction experiment is a simple method for an elementary analysis that observes unique elementary flame colors. Owing to its simplicity and attraction, it has been widely performed to visually observe unique elementary properties. However, due to limited conditions for experiments in school, the flame reaction experiment suggest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has been problematic. In particular, short flame observing time, color interference caused by flame instruments, and ambiguity of observed elementary flame color were the common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an experimental condition for improving the flame reaction experiment. In order to clearly observe the pure elementary flame color and of prolong the observing time, the flame temperature should be sufficiently high, and the elements also should be sufficiently and consistently delivered to the flame. For this purpose, the mixture of water and alcohol is utilized to dissolve the solid sample in regard to high solubility of sample in water and minimal interference by alcohol flame. The solubility of each sample in mixture of water and alcohol increased as the ratio of water in those mixtures increased. In terms of solubility and heat of combustion, we confirmed that the mixtures that mixed water and alcohol in the ratios of 20:80, 30:70, and 40:60 were the optimal condition to observe the clear elementary flame color. Based on this optimal condition, various elementary flame colors were clearly observed involving sodium, lithium, strontium, copper, potassium, and calcium. The simple reaction apparatus and procedure found from this study will enable a more extensive application of the flame reaction experiment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물질의 불꽃 반응 실험은 불꽃과 반응한 원소의 특징적인 방출 색을 눈으로 관찰하는 간단한 원소 분석방법이다. 특히, 실험과정이 단순하고 흥미로워 원소 고유의 물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험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학교 현장의 제한적인 실험 조건으로 인해 교과서에 제시된 불꽃 반응 실험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짧은 불꽃 관찰 시간, 불꽃 장치에 의한 불꽃색의 간섭, 관찰하는 불꽃색의 불분명성이 대표적인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꽃 장치에 의한 불꽃색 간섭이 없이 물질 고유의 불꽃색을 충분한 시간동안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으면서도 학교 현장에 손쉽게 적용 가능한 불꽃반응 실험조건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불꽃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야하고 불꽃 속에 관찰하고자 하는 물질이 충분히 전달되어야 한다. 학교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물질이 물에 용해도가 높은 염의 형태이고, 불꽃색 간섭이 거의 없는 것이 에탄올 불꽃임을 고려하여 물과 에탄올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다.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에서 물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물질의 용해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염화나트륨 불꽃 반응 실험에서 20:80, 30:70, 40:60의 부피 비율로 물과 알코올 혼합 용매를 활용한 시료 용액에서 선명한 불꽃색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나트륨을 포함한 다양한 원소의 순수한 불꽃색 관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불꽃반응 실험은 실험 장치의 구성 및 수행 방법이 간단하여 중학교 수준의 학교 현장에서도 폭넓게 적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근세 일본의 불꽃놀이의 양상과 그 의미

        홍성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일본학연구 Vol.68 No.-

        In Japan, various fireworks competitions are held throughout the country, including the Sumidagawa River Ryogoku Kawabiraki event in the summer. When the fireworks competition is held, many people go out to the river to settle down and enjoy the fireworks that explode in the sky despite the heat. Or you can enjoy the burning fireworks with your hands in your hands or put them on the floor and shoot them. These fireworks are one of Japan’s representative summer night scenery. After the fireworks were introduced to Japan, fireworks were initially held to console the souls of those who died of famine, suffering accidents, or plague and to pray for the same event and accident not to recur. Meanwhile, private professionals such as Kagiya and Tamaya appeared, and this was accepted as one of the common people’s cultures. People who go to enjoy Ryogoku Kawabiraki event can enjoy themselves with toy fireworks. In this paper, fireworks articles were found in encyclopedias books published in the Edo perio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pularity was very high at that time through the fact that fireworks specialized books and Ukiyoe works appeared.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Japanese people’s wishes for a peaceful world different from before were expressed through fireworks during the Edo period. 일본에서는 여름이 되면 스미다가와(隅田川) 강의 료고쿠(両国) 가와비라키(川開き) 행사를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불꽃놀이 대회가 개최된다. 불꽃놀이 대회가 열리면 많은 사람이 더위에도 불구하고 강가로 나가 자리를 잡고 하늘에서 터지는 불꽃을 즐긴다. 또는 장난감 불꽃놀이를 직접 손에 들고 타들어가는 불꽃을 감상하거나 직접 바닥에 놓고 쏘아 올리거나 한다. 이러한 불꽃놀이는 일본의 대표적인 여름밤 풍경 중 하나인 것이다. 일본에 불꽃놀이가 소개되고 난 후 처음에는 대기근이나 수난사고, 역병으로 죽은 자의 영혼을 위로하고 같은 사건,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기원하는 목적으로 불꽃놀이가 시행되었다. 그러다 가기야(鍵屋), 다마야(玉屋)와 같은 민간 전문업자가 등장하면서 이는 서민 문화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료고쿠의 가와비라키 의식을 즐기러 가는 사람들이 장난감 불꽃놀이를 가지고 스스로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에도시대에 간행된 백과사전류 서적 등에서 불꽃놀이 기사를 찾아볼 수 있었고, 불꽃놀이 전문 서적이나 우키요에 작품이 등장했다는 사실을 통해 당시에 그 인기가 실로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에도시대에 접어들어 이전과는 다른 평화로운 세상을 바라는 일본인들의 염원이 불꽃놀이를 통해 표출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입자추적기반의 불꽃 모델링 기법

        조창우(ChangWoo Cho),김기현(KiHyun Kim),정창성(ChangSung Jeong)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6

        입자 시스템은 물리적 현상을 모델링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특히, 3차원 공간에서의 풍경, 구름, 파도, 안개, 비, 눈, 불꽃 등의 모델링에 적합하다. 시뮬레이션 모델링에는 다양한 전통적인 방법이 존재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입자 시스템을 사용하여 불꽃 입자 추적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불꽃 모델링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불꽃 추적을 통해 발사 및 분산한 입자들을 인식하고, 스테레오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3D 깊이 값을 구하여 비교적 정확한 3차원적 위치를 추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꽃 입자의 위치, 속도, 색상 및 수명 등의 파라메타를 불꽃 추적을 통해 산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3D 시뮬레이션을 재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빠른 입자 추출 및 노이즈에 의한 허위 입자 추출을 방지하기 위해 관심 영역을 사용하였고, 발사 단계에서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칼만 필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입자의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효율적인 추적을 위해 입자의 최대 이동 범위를 고려한 새로운 불꽃 입자 추적 방법을 제안 하였다. 그리고 3D 공간에서 입자의 속도는 불꽃의 회전 각도를 찾음으로써 얻어 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꽃축제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 원, 국화, 하트 이 네 가지 불꽃 유형에 대하여 각각 모델링에 필요한 파라메타를 불꽃 추적을 통해 구하였고 추적에 대한 속도와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A particle system is used for modeling the physical phenomenon. There are many traditional ways for simulation modeling which can be well suited for application including the landscapes of branches, clouds, waves, fog, rain, snow and fireworks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fireworks modeling technique for modeling 3D firework based on Firework Particle Tracking (FPT) using the particle system. Our method can track and recognize the launched and exploded particle of fireworks, and extracts relatively accurate 3D positions of the particles using 3D depth values. It can realize 3D simulation by using tracking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speed, color and life time of the firework particle. We exploit Region of Interest (ROI) for fast particle extraction and the prevention of false particle extraction caused by noise. Moreover, Kalman filter is used to enhance the robustness in launch step. We propose a new fireworks particle tracking method for the efficient tracking of particles by considering maximum moving range and moving direction of particles, and shall show that the 3D speeds of particles can be obtained by finding the rotation angles of fireworks. Also, we carry out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particle tracking: tracking speed and accuracy for tracking, classification, rotation angle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four types of fireworks: sphere, circle, chrysanthemum and heart.

      • KCI등재

        자외선불꽃감지기 치환감시실험장치 개발 및 그 타당성 연구

        정종진(Jung, Jongji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불꽃감지기의 감도시험을 위해 실외에서 실시되는 실감시시험을 대체할 수 있는, 치환감시시험의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또한 치환감시실험 장치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치환감시실험의 화원은 액화석유가스를 사용하는 마이크로버너(구경 6 mm)를 사용하였으며, 불꽃의 높이를 5 cm로 하여 치환감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불꽃감지기는 자외선불꽃감지기이며 화원을 기점으로 0.2 m간격으로 최대 2.4 m지점까지 광량을 측정하였고, 광량은 불꽃감지기의 자외선센서 출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실감시실험의 화원은 노르말 헵탄(n-Heptane)을 사용하였으며 5 m간격으로 최대 36 m지점까지 광량을 측정하였다. 두 실험에서 측정된 거리-광량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같은 기울기의 직선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실내에서 치환감시시험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불꽃감지기 개발 시 제조사가 활용한다면 품질개선 및 성능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bench test was established to replace the real distance test conducted outdoors for determining the sensitivity of UV flame detector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apparatus of the bench test was developed and its validity was confirmed. The fire source of bench experiments used a microburner (6 mm diameter) using liquefied petroleum gas, and the bench test was performed with a flame height of 5 cm. The flame detector used in the experiment was a UV flame detector, and the amount of light was measured up to 2.4 m at a distance of 0.2 m from the fire source. The amount of light was used by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UV sensor of the flame detector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fire source of the real distance test used normal heptane (n-Heptane) and measured the light up to 36 m at 5 m interval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stance-light quantity measured in the two experiments, a straight line with the same slope was obta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bench test is possible indo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used by manufacturers in the development of flame detectors, will enable quality and performance improvements.

      • KCI등재후보

        이중 양분형 CVM을 통한 부산 불꽃축제에 대한 편익 가치 추정

        주수현(Soo-Hyeon Joo),정성호(Seong-Ho Cheo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4 No.2

        본 논문은 부산 불꽃축제 행사와 관련하여 예산투입의 타당성에 대한 사전단계로서 조건부 가치 이중경계모형을 통하여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였다. 부산불꽃축제는 광안대교를 배경으로 이제 부산의 상징성을 부여받고 있으나 1회성 소비행사라는 부정적 지적도 있다. 부산불꽃축제가 공공재로서 편익이 비용보다 높다면 예산투입의 타당성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정책적 지원의 근거마련을 위해 편익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이용자의 지불의사금액을 로그-로지스틱모형을 통해 추정한 결과 평균값이 5,661원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총편익은 20.25억원으로 추정되었다. 로그-노말모형의 경우 평균값이 5,313원, 총편익은 19.01억원으로 나타났다. 비용과 대비하여 본다면 정책적 판단에 공공재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uch a person wants to spend money to enjoy the Busan Fireworks Festival so that related planners and public servants will be able to make a reasonable annual budget and use it for a preliminary data. The Busan Fireworks Festival is now recognized as a symbolic event which represents very well the beauty of city of Busan, but at the same time negative evaluation also exits because of the nature of one casual event which simply consumes abundant city budgets. In this sense, if the benefits of Busan Fireworks Festival surpass the costs so it is worth it, it is necessary to host this event on and on. If so, this kind of data can also provide the validity in policy-making regarding this festival.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cted payment who wants to visit to see this festival using log-logistic model.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expected amount was average 5,661 won, and total benefits turned out 2.125 billion won.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amount was 5313 won, and total benefits was 1.901 billion won based on log-normal model. Viewing from this calculation, it is evident that the Busan Fireworks Festival is considered as a valuable event which provides the quality of life and culture to the general public overall.

      • KCI등재

        퍼지 유한상태 오토마타를 이용한 화재 불꽃 감지

        함선재(Sun Jae Ham),고병철(Byoung Chul Ko)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9

        본 논문에서는 화재 불꽃의 시각적 특징들을 확률적인 멤버십 함수로 모델링하고 이를 퍼지 유한상태 오토마타에 적용한 새로운 화재 불꽃 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된 영상에서 배경모델을 이용하여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고 불꽃 색상 모델을 적용하여 최종 화재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 불꽃영역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이며 불규칙한 패턴을 가지고 있으므로 명도와 웨이블릿 에너지의 왜도 값과 모션의 상승 방향성을 이용하여 확률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퍼지 유한상태 오토마타에 적용한다. 퍼지 유한상태 오토마타는 오토마타의 성능과 퍼지 로직이 결합된 형태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불확실한 문제뿐 아니라 연속적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처리하는 시스템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화재 영상에서 성공적으로 불꽃을 감지하였고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fire-flame detection method using probabilistic membership function of visual features and Fuzzy Finite Automata (FFA). First, moving regions are detected by analyzing the background subtraction and candidate flame regions then identified by applying flame color models. Since flame regions generally have continuous and an irregular pattern continuously, membership functions of variance of intensity, wavelet energy and motion orientation are generated and applied to FFA. Since FFA combines the capabilities of automata with fuzzy logic, it not only provides a systemic approach to handle uncertainty in computational systems, but also can handle continuous spaces. The proposed algorithm is successfully applied to various fire videos and shows a better detection performance when compared with other methods.

      • KCI등재

        금속 원소의 불꽃 반응 실험에서 스펙트럼 세기에 따른 색상 인지에 관한 실증적 고찰

        이성균,손원기,신동욱,이경건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9 현장과학교육 Vol.13 No.4

        The flame test experiment of metal elements have been used traditionally in chemistry education. It has advantages of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and having simple experimental procedure. However, there was a problem of reproducibility, such as that the flame color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observers for the same element at school, and some previous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search for the cause.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related to the experiment rather than discussing the problems in the experimental method or the field performance. With a case study of the flame test of Na element, the principle of emission spectrum of substances, human color perception process, and color classification system were systematically examined. Consequently, it i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flame perceived by human observers varies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emission spectrum and the intensity of light sensed by human visual cells. The result of this study reaffirmed the implications of visual observation, and would be utilized in educational context of experiment & observation sessions in school. 금속 원소의 불꽃 반응 실험은 화학교육에서 전통적으로 활용되어 온 실험 중 하나로서,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고 실험 절차가 복잡하지 않은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동일한 원소에 대하여 불꽃색이 다르게 인지되는 결과가 종종 발생하는 등 재현성의 문제가 제기되었고, 그 원인을 탐색하는 논의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방법이나 현장에서의 수행에 문제를 제기하기보다는 불꽃색 관찰과 관계된 색의 인지 원리에 입각하여 이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Na 원소의 불꽃색 관찰 실험을 사례로 하여, 물질의 빛 방출 과정, 인간의 색상 인지 과정, 색상 분류 체계를 통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방출 스펙트럼의 세기와 인간의 시세포에서 감지하는 정도에 따라 인간이 인지하는 불꽃 반응색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시각을 이용한 측정이 가지는 의미를 재확인할 수 있었고, 이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시각을 이용한 실험 관찰에서 결과를 해석할 때 교육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통계적 추론에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의 불꽃그림

        문승호 한국통계학회 2018 응용통계연구 Vol.31 No.1

        Outliers and influential observations often distort many numerical measures for data analysis. Jang and Anderson-Cook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30, 1409-1425, 2014) proposed a graphical firework plot method for exploratory analysis purpose to provide a possible visualization of the trace of the impact of the possible outlying and influential observations on the univariate/bivariate data analysis and regression. They developed 3-D plot as well as pairwise plot for the appropriate measures of interest. We use firework plots as a graphical exploratory data analysis tool to detect outliers and evaluate the impact of outliers in statistical inference. 특이점 및 영향점은 자료분석을 하는 데 사용되는 수치적 측도들을 왜곡한다. 각종 자료분석에 있어서의 특이점 검색을 위한 검정 통계량이나 그림도구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전개되어 왔다. Jang과 Anderson-Cook ({\em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bf{30}}, 1409--1425, 2014)은 불꽃그림이란 이름을 붙인 그림도구를 발표하였는데 특이점이나 영향점이 일변량/이변량 자료분석 및 회귀분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하여 3-D 불꽃그림 및 불꽃그림 행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꽃그림이 통계적 추론에서 특이점을 찾아내고 이러한 특이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자료분석 그림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