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진핑 - 김정은 시기 북・중 전략적 협력의 유인과 한계: 대미 관계를 중심으로

        황상필(Sangpil Hwang)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1 국제정치연구 Vol.24 No.3

        현재 북・중 양국은 ‘조중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조약’ 체결 60주년을 맞이하여 협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북・중 간 협력을 증대하는 주요 유인은 미국이다. 북・중 양국은 미국으로부터의 압박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양국은 구체적 대미 전략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북・중 양국의 전략적 협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미국의 패권에 대한 공동견제라는 협력의 유인 속에서도 미국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의 차이라는 북・중관계의 내재적 한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첫째, 북・중관계의 비대칭적 성격과 그 특징에 관하여 논의한다. 양국 관계의 비대칭적 성격에 기반한 분석은 북・중 협력과 한계를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2018년 급격히 이루어진 북한과 중국의 전략적 협력의 유인을 미・중 전략경쟁과 중국의 대북 영향력 확보, 북・미 협상과 북한의 대중국 편승이라는 미국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셋째, 북・중 간 전략적 협력의 한계를 북핵에 대한 이해관계의 상충, 중국의 대북 지원 한계, 북・미관계 개선에 관한 북・중의 입장이라는 양국의 대미 전략의 차이에 중점을 두어 분석한다. 당분간 미・중 전략경쟁의 심화와 북・미 협상 교착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해결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미국 요인을 매개로 하는 북・중 간의 전략적 밀착은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향후 양국의 대미 전략의 괴리와 그 과정에서의 상호 불신 증대 양상에 따라 협력과 갈등의 각 유인의 편차는 그 폭을 달리할 것이다. Currently, North Korea and China are strengthening their cooperation to an unprecedented level as they mark the 60th anniversary of the signing of the Sino-North Korean Mutual Aid and Cooperation Friendship Treaty. The United States is the major motivation in building up the cooperation. Both countries share the need for strategic partnership to jointly respond to pressure from the U.S. However, the two countries differ in their specific strategies toward the U.S., which is likely to serve as a limiting factor in further stepping up the strategic rel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se aspects and examines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which are the differences in the specifics of strategies toward the U.S., even amid the ample causes for working together to jointly keep American hegemony in check. To this end, it first discusses the asymmetric nature of the North Korea-China rela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 analysis based on the asymmetry of the bilateral relations can be a meaningful approach to explaining the limitations of the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econd, it explores the motivating factors of the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hich emerged abruptly in 2018, centering around the U.S. factors such as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China’s attempt to secure control over North Korea, North Korean-U.S. negotiations, and North Korea"s bid to bandwagon along with China. Third, it analyzes the limitations of the strategic collabo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b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strategies toward the U.S., such as the conflict of interest over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limitations of China’s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the differing stances of the two countries regarding the conditions for improving North Korea-U.S. relations. For the time being, however, the strategic intimac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mediated by factors of the U.S., will continue due to the intensifying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e fact that structural factors such as the negotiation deadlock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are difficult to resolve. However, depending on th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strategies toward the U.S. and the pattern of increasing mutual distrust in this process, the deviation of each of the motivational factor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will vary in their range in the future.

      • KCI등재

        한반도문제의 원상과 북미관계의 현안에 관한 고찰

        김경호(Kyung-Ho Kim) 한국통일전략학회 2005 통일전략 Vol.5 No.1

        남북관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북미갈등은 여전하다. 북미는 한국전쟁이후 계속 적대적 관계를 청산하지 못하고 대립과 갈등의 관계 속에 있다. 특히 북한은 현재 심각한 경제난과 체제 위기적 상황에 있고, 군사적인 문제는 대립적 북미관계의 핵심적 사안이다. 이에 북한은 6자회담을 통해 체제유지 및 경제위기탈피 및 북미관계의 정상화를 하고자 한다. 하지만 북미간에는 여전히 북미제네바 핵 협정문제, 북핵 및 미사일문제, 북한의 재래식무기와 생화학 무기, 미국의 대북 경제제재 조치 문제, 북미간의 평화협정체결문제, 미군유해송환문제 등이 잔존하고 있다. 그렇지만 중국 베이징 6자회담을 통해 북미관계가 일부 진전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고, 주변국도 대체적으로 긍정적 입장이다. 한반도를 둘러싼 이러한 화해분위기를 통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지역의 불안정적 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국제관계에서 안전벨트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자주의적 제도를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제기된다. In spite of the relationship improvemen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conflicts between the North and the US remain unchanged. The two countries are still in hostility and conflict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 is in serious economic difficulties and regime crisis, and military problems are the core issues in the antagonistic N. Korea-US relationship. Under this background, the North wants to maintain its regime, avoid the economic crisis, and normalize the relationship with the US through the 6-party talk. However, there still remain many issues to be considered between the North and the US, for example, the Nuclear Agreement between the North and the US in Geneva,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and nuclear weapons, North Korea's conventional and biochemical weapons, economic sanctions by US against the North Korea, peace agreement between the North and the US, and the repatriation of the remains of Korean war American soldiers. Nonetheless, there are sig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and the US is improving, and the peripheral countries show positive gesture as a whole. It is necessary for South Korea to aggressively introduce multilateralistic approaches that may play a role of safety belt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in order to eliminate the unstable factors in Northeastern Asian region as well as in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the amicable atmospher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북미관계 개선과 주한미군 : 정체성 논의를 중심으로

        박봉규 한국동북아학회 2018 한국동북아논총 Vol.23 No.3

        This article examines the future status of the United States Forces Korea(USFK) after improvement in North Korea and United States' relations. Especially, the current status of USFK has become a matter of grave concern, as Trump ceased the US-South Korea combined training exercise and uttered possible withdrawal of USFK. Pre-existing discussions about the identity of USFK have been based on the Cold War structure, taking a realistic stance and considering the fixed USFK identity as the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Furthermor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USFK withdrawal have adopted a realistic stance and centered on the possibility of war or reunification under communism. With the improvement in North Korea and United States’ relations, the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n is no longer necessary, and the consideration of USFK withdrawal is inevitable. However, the USFK's identity is not fixed. In constructivism, identity is the agent's understanding of self, its place in the social world,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s. Constructivists believe that identities strongly imply a particular set of interests or preferences in respect of choice of action.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identity of USFK can be seen from the roles they played in the real social world and also through the perception of others. The original intent of USFK was to suppress North Korea, but in fact, it played a dual role in controlling Syngman Rhee's argument of North Korea Unification War. USFK has also acted as a regional balancer in the post-Cold War and the acknowledgements from the others - North Korea, China, and other countries - show potential for the USFK in forming a newer identity. Therefore, despite the arrival of the post-Cold War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improvement in North Korea and United States’ relations, it is likely that the status of USFK i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still valid if it will be able to establish a new identity and role as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NATO) has. This will get rid of possible worries about the withdrawal of USFK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North Korea and United States' relations. 본고는 북미관계 개선 이후 주한미군의 위상을 정체성을 중심으로 모색한다. 북미관계 개선 이후 한미연합훈련이 중단되고 주한미군 철수가 논의되면서 주한미군의 위상이 초미의 관심사가 되었기 때문이다. 주한미군의 위상 특히 철수 여부를 둘러싼 기존 논의들은 주한미군의 정체성을 냉전구조에 기반한 것으로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고정적인 것으로 상정하여 그 역할도 대북억지 등으로 국한했다. 주한미군 철수에 대한 찬반 논리도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적화통일이나 전쟁 가능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경우 북미관계 개선 등으로 대북억지의 필요성이 없어지면 주한미군 철수를 고려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주한미군의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구성주의에서 정체성은 존재에 대한 자기 이해와 타자와의 관계 그리고 구조나 체계상의 위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타자에 의존하면서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며 역할과 기능에 의해 이해관계와 선호를 반영한다. 주한미군 정체성의 변화 가능성은 실제로 수행한 역할과 그에 대한 타자의 인식에서 엿볼 수 있다. 주한미군은 초기에도 명분은 대북억지였으나 이승만의 행동 등을 제어하는 역할로 이원적 봉쇄 역할을 수행했다. 주한미군이 탈냉전기에 지역의 균형자 역할을 수행했고 이를 주한미군의 타자라 할 수 있는 북한과 중국 등 주변국이 어느 정도 인정한 것은 주한미군의 새로운 정체성 형성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대북관계 개선으로 한반도에 탈냉전기가 도래한다고 하더라도 북대서양조약기구처럼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을 정립한다면 주한미군은 지속적으로 한반도에 존재할 것이다. 이는 미군철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켜 대북관계 개선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한반도 비핵화 전망과 과제: 북미관계를 중심으로

        김연수 북한연구학회 2018 北韓硏究學會報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prospect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 between Washington and Pyongyang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Main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two kinds of fundamental assumptions: First, Pyongyan's full fledged nuclearization under the Kim Jong Un era makes the rapprochement between Pyongyand and Washington. Second, Washingtong's new strategic calculations under the new type of competition of Washington and Beijing has also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tent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propose the Seoul's security policy options for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s. Especial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Seoul should seek both the idealsitic institutional approches and the realistic balancing approaches for resolving North Korean nuclear problems and for attaining its long-term national interests including the strategic stability and sustainabl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ventual reunification of two Koreas. 이 논문은 트럼프 행정부하의 북미관계변수를 중심으로 하여 한반도 비핵화 가능성을 평가하고 그와 관련한 우리의 안보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에 있어서 이 논문에서는 북한의 '핵전력화'라고 하는 한반도 안보상황에의 새로운 전략적변화 요인이 북미관계 변화의 주요한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전제하고 있다. 나아가 변화하는 미중관계하에서의 미국의 동아시아에서의 전략적 이익에 대한 새로운 조망도 북미관계전망에의 주요 고려변수가 되고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 북미관계와 북한의 비핵화전망과 관련하여 가변성이 존재하지만, 그에 대응하는 한국의 안보전략선택으로서는 제도적 접근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인정하는 가운데서도 북미관계와 북핵 문제의 향방, 그리고 둥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보다 현실주의적 관점과 조망하에 그 대안모색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후진타오 집권기 중국의 대 북한 인식과 정책:변화와 지속

        문흥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9 중소연구 Vol.33 No.2

        후진타오 집권기의 대북정책은 중국의 정치․경제․사회적 변화와 탈 이념화, 북한 핵문제, 한반도 주변 정세 변화 등과 결부되어 기존의 ‘특수성’을 축소하고 ‘보편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현실화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북․중관계는 여전히 기대․불신, 협력․갈등이 교차하는 이중구조를 완전히 탈피하지 못했는데 이는 북한의 전략적 가치를 유지하려는 중국과 국제적 고립 상황에서 중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북한의 불가피한 선택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북․중관계를 전망하면 첫째, 정치․안보․이념적 유대에 기반한 과거의 혈맹관계를 복원할 가능성은 전무하며 ‘매우 불안정한 전략적 제휴’의 관계로 계속 변질되어 갈 것이다. 특히 후진타오를 승계할 중국의 제5~6세대 중국지도부는 김정일 리더십을 포함한 북한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매우 회의적이다. 둘째, 김정일 후계체제, 북한 핵문제의 향배는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에 대단히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중국은 핵을 보유하지 않은 안정된 친중국 정권을 최상, 핵을 보유한 불안정한 반중국 정권을 최악의 북한으로 상정하고 그 범위 내의 다양한 중간적 형태에 대비한 대북정책을 구상할 것이다. 또한 김정일 부자 세습에 대한 당․정․군 내부의 이견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역시 북․중관계의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셋째, 중국은 북․미관계 및 남북한관계의 변화 과정과 연계하여 대북정책을 탄력적으로 운용하고자 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최대한 미국, 한국, 북한 모두로부터 건설적 중재자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부여받고자 할 것이나 결코 쉽지 않은 과제가 될 것이다. 결국 한․중수교 이후 많은 변화를 경험했던 북․중관계는 또 한번의 질적인 변화에 직면했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이념보다는 현실, 전통보다는 미래, 인적 유대보다는 제도적 협력에 치중함으로써 북․중관계를 보편적, 정상적 국가관계로 전환하고자 하는 중국의 정책변화에 기인한다.

      • KCI등재

        북미관계 개선 이후 북한의 대중정책 : 미중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이상숙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8 북한학연구 Vol.4 No.1

        This research tries to test North Korea`s China foreign diplomacy after North Korea`s rapprochement with U. S.. Two states would set up U. S. - North Korea laison office. As to the character of equidistance diplomacy, North Korea could take advantage of her interest if U. S. - China relations were conflictive. However, she would pursue conflictive bandwagoning if U. S. - China relations were cooperative. And she would exp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본 연구는 북미관계 개선 이후 미중관계의 발전 상황에 따른 북한의 대중정책을 분석한다. 북한의 대미관계가 개선되면 북한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등거리외교를 취할 수 있는지를 찾아본다. 등거리외교의 특성에 따라 미중 사이에서 등거리외교의 실익을 취할 수 있는 상황은 미중관계가 갈등적일 경우에 해당한다. 북미 양국이 상호 연락사무소를 개설 이후 북한의 대중정책은 두 가지 방향으로 전망 가능하다. 만약 미중관계가 갈등적 상황이라면 북한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전략적 이익을 취하는 등거리외교를 추구할 것이다. 반면 미중관계가 협력적일 경우 갈등적 편승전략을 취할 것이다. 그리고 미중관계에 상관없이 북미관계 개선 이후 북한의 대중 경제 협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 KCI등재

        중․미관계 변화와 중국의 대북정책:후진타오시기를 중심으로

        신상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2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hina’s North Korea policy and the China-North Korea relations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China-U.S. relations since 2000. After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China-U.S. relations on the time of President Hu Jintao and Bush, the author examines how the upsurge in the China-U.S. relations has affected China’s North Korea policy and the China-North Korea rel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hen the China-U.S. relations entered into the confrontation phase, China and North Korea strengthened their strategic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cope with the U.S. However, when the China-U.S. relations are to be directed toward cooperation, North Korea has little chance to utilize the discords between China and the U.S. and decreases the strategic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Therefore, if the China-U.S. relations are in a conflict phase, it will become difficult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induce Chinese cooperation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North Korean problem. On the other hand, if China and U.S. maintain friendly relationships, China does not tries to support North Korea but cooperates with the United States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이 글은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가 중․미관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는 가정 하에 논의를 전개하였다. 후진타오와 부시 집권 시기를 중심으로 중․미관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미국의 대중정책에 따른 중․미관계의 부침이 중국의 대북 정책과 중․북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규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미관계가 대립과 마찰국면에 진입했을 때에는 중국과 북한이 상대방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강화함으로써 미국의 압박정책에 대처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중․미관계가 협력을 지향하게 될 경우에는 북한이 중․미 갈등의 틈새를 파고들 여지가 줄어들게 되고 중․북간 전략 소통과 협력의 강도가 약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중․미관계가 갈등국면에 처하게 되면 북핵문제와 북한문제에 있어서도 국제사회가 중국의 협력을 이끌어 내기가 어려워지게 되는 데 반해, 중․미관계가 협력국면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중국이 북핵 및 북한문제 해결과정에서 북한의 입장을 배려하기보다는 미국에 협력하는 태도를 보였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북미관계와 한반도 평화체제: 역사적 고찰

        신욱희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2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3 No.2

        This paper explores historical cases in which official or substantial attempts to improve North Korean-US relations were made, and tries to find their relevance in terms of the discussion of a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se cases include 1) North Korea’s proposal of a North Korean-US peace treaty in 1974; 2) The US proposal of trilateral (South Korea-North Korea-the US) talks in 1979; 3) North Korea’s proposal of trilateral talks in 1984; 4) the consideration of crossrecognition within the Northern Policy in 1989; 4) the attempt to improve North Korean-US relations through the Geneva Accord in 1994; 5) North Korean-US talks during the Perry process in 1999. The main question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Under what conditions and intentions were the contacts made?; What were the factors progressing or regressing the talks?; What roles South Korea’s policies towards the US and North Korea played?; How were North Korean-US relations related to peace system issues? The main variables in the analysis are the connection with US-China relations, North-South Korean relations, and South Korean-US relations; the problems of real party rules and US troops in South Korea; the domestic politics of North Korea, the US and South Korea; the matter of threat perception; and the prediction of North Korean regime survival. The paper deals with six cases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se questions and variables, and concludes with implications these historical/comparative examination could provide for the present situation and South Korea’s policy decisions. 이 논문은 북미관계의 개선이 형식적, 혹은 실질적으로 모색되었던 역사적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그것이 한반도 평화체제의 논의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루어지는 사례는 1) 1974년 북한의 북미평화협정 제의; 2) 1979년 미국의 3자(남북미)회담 제의; 3) 1984년 북한의 3자회담 제의; 4) 1989년 북방정책 추진 시 교차승인 고려; 5)1994년 제네바 합의 시 북미관계 개선 모색; 6) 1999년 페리 프로세스 추진 시 북미대화 등의 여섯 사례이다. 논문에서 제기되는 핵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어떠한 조건과 의도에서접촉이 이루어졌는가? 대화와 협상의 진전과 교착 원인은 무엇이었는가?한국의 대북/대미정책은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북미관계와 평화체제의문제는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가? 이와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는 미중관계,남북한 관계, 한미관계와의 연관성, 당사자 원칙과 주한미군 문제, 북한,미국, 한국의 국내정치적 변화, 위협인식에 대한 논의, 냉전 이후 북한정권의 생존에 대한 예측의 문제 등이 있다. 본론에서는 이와 같은 질문과 관련요인을 바탕으로 각 사례에 대한 서술과 분석이 행해지며, 결론에서는 이러한 역사적/비교적 검토가 현재의 한반도 상황과 한국의 정책적 선택의문제에 주는 의미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진다.

      • KCI등재

        북·미관계의 개선 전망에 따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예상경로

        김학성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8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9 No.2

        While improvement of the US-North Korean relationships has been expected since the agreement at the Six-Party Talks on 13. Feb. 2007, we are hoping for construction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r ever than before. The process of carrying the agreement into practice is going on with many complications: The disablement of North Korea’s nuclear facilities has started smoothly and might be carried out sooner or later, but North Korea has not yet met its commitment of a complete and correct declaration of its nuclear programs. The retardation of the process is disturbing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he US-North Korean relationships but also the construction of a peace regime in time. The US-North Korean negotiation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s could be well explained by the ‘suasion game’- model. Therefore I try to searching for prospects of the US-North Korean relationships on the ground of ‘suasion game’as well as the presumed courses of constructing a peace regime. For the purpose of logical explanation the diverse concepts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r, its conditions and tasks are summarized at the part of introduction. Then it could be easier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improvement of the US-North Korean relationships on the construction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r.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의‘213 합의’ 가 성사된 이후 북미관계 개선의 가능성이 급부상하는 동시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기대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합의의 실천과정은 우여곡절을 거치면서 진행되고 있다. 핵불능화 작업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북한 핵프로그램의 완전한 신고문제가 북핵문제해결은 물론이고 북미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진전을 방해하고 있다. 현재 북핵문제를 둘러싸고펼쳐지는 북미협상은‘설득게임’의 모델을 통해 잘 설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설득게임을 빌어 북미관계 개선을 전망하고, 이에 따라예상되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경로를 찾고자 한다. 논리적 설명을 위해 먼저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는 한반도 평화체제의 개념을 정리하고, 평화체제 구축에 필요한 조건과 과제를 제시한다. 그러할 때 북미관계 개선이 평화체제 구축과정의 동력으로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그려볼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북미관계에 대한 예측은 가능한가?

        우정엽 통일연구원 2018 統一 政策 硏究 Vol.27 No.1

        It is difficult to predict at this very moment whether we will witness pea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We can only reach a conclusion that provides a number of possible scenarios.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broader trend, at the structural and national policy level, currently does not allow for accurate predictions about the future. Instead, US-DPRK relations are being dictated by a summit between two personalities in President Trump and Kim Jong-un. With less than a month left at the time of this writing, the US-DPRK summit and its results are impossible to predict due to the unpredictability of the two individuals’ approach to the negotiation. Of course, the results will be dictated by President Trump and Kim Jong-un’s determination towards denuclearization and will take the form of one of the four scenarios that I provide in this pap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ich of the four scenarios is more likely take place. Paradoxically, the biggest concern from the American side in the aftermath of the inter-Korean summit is the possibility that while Kim Jong-un is still not committed to denuclearization, President Trump may be happy to offer a package that only amounts to a political success. Rather than pressuring Kim to the point where Kim refuses the deal, President Trump, influenced by improved inter-Korean relations and Kim Jong-un’s renewed image, may be forced make a deal that falls short of the promise of CVID.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를 시작으로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는 숨가쁜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 시점은 상황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분석의 틀을 구조적 요인에서 개인적 요인에 이르기까지 분석의 배경을 짚어보고, 그 틀에서 역사적, 시간적으로 미국의 대북정책이 트럼프 정부 들어서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진화하였는지를 살펴본다. 그 후, 가장 최근의 정보들을 취합하여 앞으로 북미관계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지 파악하여 미래의 북미관계 및 한반도에서의 평화 정착에 대해 예상하여 보기로 한다. 과거의 분석을 바탕으로 북미관계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현시점에서는 매우 단기적으로, 그리고 정책 담당자들의 구체적 행동에서만 최종적으로 알려질 수밖에 없다. 한 가지 역설적인 사실은 이번 남북 회담 이후 미국에서 나오는 가장 큰 우려가 김 위원장은 여전히 비핵화에 대한 생각이 없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 성공으로 포장된 합의를 해주는 데에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기존의 목표였던 CVID가 아닌 수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단기적인 정치적 성과물을 위하여 비핵화에 진정한 뜻이 없는 김 위원장의 외교적 술수에 말려들어 미국의 국익에 반하는 합의를 함으로써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외교적으로 달성할 기회를 놓칠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두 개인 간의 회담에서 다시 북미관계가 설정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북미회담의 결과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필자가 본 논문에서 제시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비핵화와 관련한 네 가지 의지의 조합에 따라 일어날 것이나, 그 중 어떤 조합의 발생할 확률이 높을지는 예상하기 어렵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