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렬말뭉치에서 중국어 ‘在’의 한국어 대응 양상 연구

        이문화(Li Wen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중한 병렬말뭉치에서 나타난 ‘在’의 품사 및 구조를 통하여 ‘在’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약 20만 어절의 중한 병렬말뭉치에서 나타난 ‘在’의 용례 1,706개를 분석하였다. 동사在, 부사在, 개사在, 개사구在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품사에 따라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을 살펴보았다. 결과 중한 병렬말뭉치에서 동사在, 부사在, 개사在, 개사구在가 모두 나타났고 그중에서도 개사구在와 개사在가 많이 출현하였다. 특히 개사구在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 동사在, 부사在, 개사在 그리고 개사구在의 한국어 대응 양상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동사在는 주로 동사 ‘있다’와 대응되고 부사在는 보조용언 ‘-고 있다’와 대응되었다. 개사在와 개사구在는 부사격조사 ‘-에서, -에’와 많이 대응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在’의 품사에 따라 대응되는 한국어의 양상도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개사在와 개사구在의 구조에 따라서도 대응되는 한국어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중한 병렬말뭉치를 기반으로 고빈도로 쓰인 중국어 在의 품사와 구조에 따른 그의 한국어 대응 양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어 교사, 한국인 학습자, 중국어 연구자에게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used the Chinese-Korean parallel corpus to examine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expressions which correspond to the Chinese word ‘在’ and which vary depending on the part-of-speech and structure of ‘在’. Methods To achieve this, 1,706 examples of ‘在’ which appear in the Chinese-Korean parallel corpus of approximately 200,000 words were analyzed. The structures of the verb 在, adverb 在, preposition 在, and prepositional phrase 在 were examined alongside the appropriate corresponding Korean expressions, according to their parts of speech. Results In the Chinese-Korean parallel corpus, the verb 在, adverb 在, preposition 在, and prepositional phrase 在 all appeared and, among them, the preposition 在 and prepositional phrase 在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and the prepositional phrase 在 had the most diverse range of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addition, there were distinct correspondenc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verb 在, adverb 在, preposition 在 and prepositional phrase 在. The verb 在 is predominately matched with the Korean verb ‘있다’, the adverb 在 is matched with the auxiliary term verb ‘-고 있다’, while the preposition 在 and prepositional phrase 在 were found to correspond frequently to the adverbial case markers ‘-에서’ and ‘-에’. This shows that the corresponding forms of Korean vary depending on the part-of-speech of ‘在’ and structure of the preposition 在 and prepositional phrase 在. Conclusions This study represents a meaningful examination of the overall patterns of correspondence appearing frequently in the Chinese-Korean parallel corpus between Korean expressions and the Chinese word 在.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a reference for teacher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researchers of Chinese.

      • KCI등재

        중국어 부사 ‘在’, 동태조사 ‘着’ 相 자질 중한 대조 분석

        한경숙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1 No.-

        This paper makes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syntax structure and semantics of the time mark ‘Zai(在)’ and ‘Zhe(着)’ in modern Chinese. By the time sememe analysis,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Zai(在)’ and ‘Zhe(着)’ semantic, but also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grammatical structur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 hope that the results can give a positive meaning to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Zai(在)’ and ‘Zhe(着)’ are located in the front and behind the predicate, ‘Zai(在)’ modified behind it, including auxiliary, complement, object, predicate structure. But, ‘Zhe(着)’ only modify it in front of the verb. In addition, they also have the following several points. ‘Zai(在)’ can be modified with the ‘non dynamic’, ‘continuous’ semantic of the psychological verb, ‘Zhe(着)’ is not. The ‘Zhe(着)’ has the meaning of ‘static’, ‘Zai(在)’ is not. ‘Zhe(着)’ is the meaning of ‘unfinished sustained phase branch’ dynamic, ‘Zai(在)’ is the unfinished phase branch phase. The semantics of the syntactic structure in the Chinese ‘Zai(在)’ are unfinished and Korean phase points phase ‘-고있-’ the corresponds to. ‘Zhe(着)’ were unfinished and Korean phase points phase ‘-고 있-’ and finished phase ‘-어 있-’ the corresponds to. Although the time of Chinese language is mainly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b, it als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time of the Chinese language. The lexical features of the subject of the sentence and the repetition of the predicate verb may have a certain effect on the time of the sentence. 본고는 현대중국어의 상 표지인 부사 ‘在’와 동태조사1) ‘着’의 통사구조에 대한 분석과 의미소 중한 대조 분석 및 ‘在’와 ‘着’의 상 자질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在’와 ‘着’ 사이의 시간 표현의 같음과 다름에 대해 규명하였고 동시에 중국어와 한국어 통사구조 상의 같음과 다름도 규명하였으며 이런 결과가 앞으로 한국인의중국어 CSL 교육에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在’와 ‘着’는 각각 술어의 앞과 뒤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통사적 역할을 하고 있다. ‘在’가 그 뒤에 위치한 술어와 술어에 따르는 조사, 술어 뒤의 보어, 목적어까지 통솔하여 이들과 統御 관계에 있는 반면 ‘着’는 그 앞에 위치하고 있는 술어 동사만을 수식하고 있다. 이런 통사적 차이 외에도 ‘在’와 ‘着’는 아래와 같은 상적 특징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在’가 ‘비동태성’ ‘지속상’을 갖고 있는 심리동사를 수식할 수 있지만 ‘着’는 불가능하고 ‘着’가 완료상의 하위 범주인 ‘정태의 지속’ 의미를 갖고 있지만, ‘在’는 그런 자질을 갖고 있지 않다. ‘着’가 미완료상의 하위 범주인 ‘동태의 지속’ 자질을 갖고 있지만, ‘在’는 미완료상의 하위 범주인 ‘진행상’ 자질을 갖고 있다. 중국어‘在’가 여러 통사구조에서 나타내는 상 자질은 모두 한국어의 미완료상의 하위 범주인 ‘진행상’ ‘-고 있-’에 대응되지만, ‘着’는 각각 한국어의 미완료상의 하위 범주인 ‘진행상’ ‘-고 있-’과 완료상인 ‘-어 있-’과 대응이 된다. 중국어의 상은 주로 동사의 자질에 의해 결정되지만 동사 외의 다른 통사 범주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구문주어의 어휘 및 형태적 특징 그리고 술어 동사의 중첩 사용 가능 여부등도 구문의 상 자질에 영향을 준다. 술어 앞의 부사나 기타 부사어, 술어 뒤에 위치한 보어에 의해 상 자질이 구현되기도 한다.

      • KCI등재

        인지적 대조언어학에 기초한 한국어 부사격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대조 연구

        진정 ( Chen Zheng )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8

        이 논문은 인지언어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다의적 의미 기능을 비교 분석하여 두 언어 간에 공유된 인지 양상을 살펴보고 그 세부적인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사전 및 문법서에서 ‘에’에 대한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인지적 대조언어학 관점에서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의미 확장 양상을 대조하여 검토하였고 아래와 같은 공통점 및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원형 의미는 모두 공간 의미인 ‘장소’이다. 둘째, 한국어 ‘에’는 보통 0차원, 1차원, 2차원의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데 반해 중국어 개사 ‘在’는 0차원, 1차원, 2차원, 3차원의 공간 관계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셋째,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在’의 원형 의미는 공통적으로 ‘그릇 도식’, ‘접촉 도식’, ‘근접 도식’, ‘경로 도식’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세부적인 차이가 있다. 넷째,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다양한 의미들은 임의로 분포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도식 은유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Based on the result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olysemous semantic functions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Chinese preposition ‘zai’ to explore the cognitive aspects shared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o reveal their detail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examine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of ‘e’ in dictionaries and grammar books.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cognitive linguistics, the semantic expansion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Chinese preposition ‘zai’ were contrasted and examined, and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erived. Firstly, both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Chinese preposition ‘zai’ have a spatial meaning of ‘place’. Secondly, Korean ‘e’ usually refers to spatial relationships in zero, one or two dimensions, while Chinese ‘zai’ can express spatial relationships in zero, one, two, or three dimensions. Thirdly, the Korean ‘e’ and the Chinese ‘zai’ have a common prototype meaning of ‘container schema’, ‘contact schema’, ‘near far schema’, and ‘path schema’, but there are some detailed differences between the schemas. Fourthly, the various meanings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Chinese preposition ‘zai’ are not randomly distributed, but are organically connected through the image schematic metaphor.

      • KCI등재

        V在NL 구조에 대한 이해도 실험분석 및 교육 방안 — K대학 학습자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민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8

        본 논문은 V在NL 구조에 대한 중국어 전공자의 이해 정도를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육 방안에 대해 모색함으로써, 중국어 교육의 내실화에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목적에 있다. 연구방법은 40명의 피실험자에게 질문지를 직접 배포하고 수거하거나, 개인별로 카톡을 통해 자료를 보낸 후, 시간제한 없이 편하게 작성하게 한 후 카톡으로 받았다. 실험 내용과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사어 在와 결과보어 在의 출현 위치에 대한 이해도인데, 97.5%의 피실험자가 두 구조의 차이를 인지하고 있다. 둘째, 在NLV 구조와 V在NL 구조의 의미 초점에 대한 문제로, 두 구조의 차이점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피실험자는 5%에 불과할 정도로 낮은 편이다. 셋째, V在NL 문장을 한국어로의 번역 시, 상(aspect)의 오류율이 높은 편이다. 넷째, 在NLV 구조와 V在NL 구조의 상호 전환 문제이다. 가장 오류율이 높은 것은 在NLV 구조로 전환 시에 了나 着을 첨가해야 하는 경우인데, 제시된 예문을 모두 맞춘 피실험자는 1명도 없다. 다음으로는, 동사가 순간적인 이동의 의미 자질을 지녀 전환이 불가능 경우의 오류율은 85%이고, 부가 성분 없이 상호 전환이 가능한 경우에도 오답률이 70%에 달하였다. 다섯째, V在NL 구조를 V到NL로 전환 가능한 경우이다. 在NLV 구조가 이동의 의미가 있을 경우, V到NL로 전환 가능한데, 평균 오답율이 62%이다. V在NL 구조에 대한 피실험자들의 이해는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실험결과를 통해, V在NL구조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V在NL 의미구조와 화용적 특징 이해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학습이 이루어지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단계: 在NL구의 출현 위치 및 부사어와 결과보어의 용법 차이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2단계: V在NL 구조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3단계: 在NLV 구조와 V在NL 구조간의 화용적 차이점을 이해시킨다. 4단계: V在NL 구조에 사용 불가능한 동사와 의미적 특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V在NL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이해에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 교수자의 세심한 주의와 지도하에, 앞에서 제시한 교수법을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어려움을 줄이고, 좀 더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시간부사 ‘在’의 형성 과정 및 도출 기제 연구 - 상 자질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경숙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6 東洋學 Vol.63 No.-

        The syntax of Chinese adverb ‘Zai(在)’ and preposition ‘Zai(在)’, sememe, and the aspect of comparative analysis, examines the different point of time performance of Chinese adverbs ‘Zai (在)’ and prepositions ‘Zai(在)’.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adverb ‘Zai(在)’ is analyzed. The syntax of Chinese adverb ‘Zai(在)’ and reposition ‘Zai(在)’, is located in the time adverb and Preposition verb, their different syntactic functions. Preposition structure of adverbs of time ‘Zai(在)’ and behind it, the Predicate, dynamic auxiliary, complement, object, form commander, on the contrary, the Preposition ‘Zai(在)’ modify it behind the Predicate. In addition to these syntactic difference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aspect. When the Predicate is an action verb, the mental verb, the time adverb ‘Zai(在)’ and the Preposition ‘Zai(在)’ all have aspect. But when the Predicate is non repetitive verbs, if the subject is plural, adverb ‘Zai(在)’ will with AOP, Prepositional ‘Zai(在)’ but only said Predicate position, do not have the aspect. Preposition ‘Zai (在)’ with the adverb ‘Zai(在)’ environment at the same syntax, with the same aspect, can explain the adverb ‘Zai(在)’ from the Preposition ‘Zai(在)’ evolved. ‘Zai(在)+PREM+VP’ structure Presented Friendly ‘PREM’, After a change, ‘PREM’ fall off, forming a ‘Zai(在)+VP’ structure. That is, the Preposition ‘Zai(在)’ over a long period of grammar, they formed adverb usage. 본고는 현대중국어의 시간부사 ‘在’와 전치사 ‘在’의 통사구조, 의미소에 대한 분석 및 부사 ‘在’와 전치사 ‘在’ 의 상 자질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시간부사 ‘在’와 전치사 ‘在’ 사이의 시간 표현의 같음과 다름에 대해 규명하였다. 이런 공시적인 분석을 여러 시기 대표적인 중국어 문헌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과 더불어 중국어 시간부사 ‘在’의 형성 과정 및 도출 기제를 연구하였다. 부사 ‘在’가 그 뒤에 위치한 전치사구조, 술어, 술어에 따르는 조사, 보어, 목적어까지 통솔하여 이들과 ‘統 御’ 관계에 있는 반면 전치사 ‘在’구조는 그 뒤에 위치하고 있는 술어 동사만을 수식하고 있다. 이런 통사적 차이 외에도 시간부사 ‘在’와 전치사 ‘在’는 아래와 같은 상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술어가 동작동사, 심리동사일때 부사 ‘在’와 전치사 ‘在’ 모두 상 자질을 구현하고 있고 술어가 순간동사이고 ‘反復性’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주어 어휘의 複數 여부와 상관없이 전치사 ‘在’와 부사 ‘在’ 모두 상 자질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술어가反復性이 없는 순간동사일 때 주어의 어휘 자질의 複數 여부에 따라 부사 ‘在’는 상 자질이 구현되지만, 전치사‘在’는 주어의 어휘 자질의 複數 여부와 상관없이 상 자질을 구현할 수 없고 오직 술어동사의 장소만을 나타내주고 있다. 심층구조에서 부사 ‘在’와 유사한 통사적 위치에 있고 서로 같은 상 자질을 갖고 있으며 동시에 술어 동사의장소를 나타내주고 있는 전치사 ‘在’는 일련의 문법화 과정을 거쳐 부사 ‘在’로 어휘화되었다. ‘在+PREM1)+VP’ 구조에서 ‘PREM’이라는 ‘處所詞(Premises)’에 ‘진행’ 의미가 강화되면서 일정한 문법화 과정을 거쳐 ‘處所詞’가대명사(Pronoun)인 ‘這裏’, ‘那裏’ 등으로 대체되었다가 ‘在+PRO2)+VP’ 구조에서 공간을 나타내는 전치사의목적어인 ‘PRO’가 탈락되면서 ‘在+VP’ 구조가 생겨나 전치사 ‘在’가 부사 ‘在’로의 어휘화과정을 마쳤다.

      • KCI등재

        시간부사 ‘在’의 문법화 과정 및 기제

        염죽균 중국학연구회 2014 중국학연구 Vol.- No.68

        本文通过广泛考察先秦至清代的语料,认为时间副词“在”早在魏晋南北朝就已零星出现,但它一开始只出现在南方官话著作中,这表明它是在南方方言的影响下产生的。时间副词“在”到清朝末期在一部分南方官话中已经逐渐发展成熟,但进入北方官话则是在1919年新文化运动之后。由于时间副词“在”在魏晋南北朝就已出现,所以我们认为它并非是在明清时期由介词“在”虚化而来,而是在此之前直接由动词“在”演变而来的。动词“在”由表示“处于某个场所”,发展为表示“处于某种被动状态之中”,再发展为表示“处于某种活动过程之中”,这种从指向空间上的一个点到指向一个片段的语义变化,使它能够在隐喻机制的作用下完成从空间到时间的转换;同时,动词“在”后可直接带VP宾语,也使它能够通过重新分析机制变为修饰VP的副词。

      • KCI등재

        시간부사 ‘在’의 상 표지 인정여부에 관한 초탐

        김미성 중국인문학회 2015 中國人文科學 Vol.0 No.59

        时间副词“在”一般认为是表示进行或者持续状态的词语, “在” 最初是作为动词 ,基本意义是存在。在历时演变过程中,,空间概念的“在” 引申来表示时间概念的“在” 有些学者认为可以看作是现代汉语进行体的标记。我认为对现代汉语进行体的判定,采用语义分析的方法 范围太广 容易陷入主观性 而且没有客观的根据,所以对它的判定一定要考虑语法层面上的因素。 本论文主张“在”不是进行体 主张进行体的学者是用意义来划分的 如果用意义来判定的话也有很多表示持续意义的词语属于进行体。那样的话进行体的数量很多。这样的划分没有必要。 再加上现有文献关注“着”和“在”在使用中的对立, 但没有正确解释二者共现的条件。为什么在同一句话中会同时出现两个标记? 下面根据“在”的特征来分析说明 “在”不是属于进行体的标记。 第一, 汉语的体标记 了/ 着/ 过 一般放在动词后边, 但“在”出现在动词前面 而且 了/ 着/ 过跟动词的关系很紧密 所以两者之间不能插入其他成分 但是 “在”和动词之间可以插入其他成分。 第二, “在”与“着”的辖域不同,这是最根本却一直被疏忽的差异。“在”的辖域为[要[V( N)] ] ,而“着”的辖域为[ [V着] ( N) ]。比如 在吃饭 不可以分析 【在吃】饭,可以分析为“在【吃饭】 第三, 语言事实中还存在着“在”修饰某些形容词的现象, 如“ 伤心、后悔、 惋惜、犹豫 踌躇 难为情、不好意思” 等 比如 : 我自己也一直在后悔。这类结构中的“在” 并不表示动作行为的进行或者持续状态。而是表明“ 处于… … 状态中” 第四,一个实词的语法化过程往往会导致其语音形式的弱化。 汉语的体标记 了/ 着/ 过是已经发轻声, 但“在”没有发音上的变化 第五, “已经”一般认为和“了”结合表示已经发生的事情 但 “在”和“已经”结合的句子也有很多。比如 : 这一种转变,春秋末年,已在大大开始。 然而明代推行八股文,早已在衰世。 标志着劳动合同 已在履行。 第六,“在”可以与表示延续或重复的时间副词“仍(然)、依然、永远、一直、还、老(是)、总(是)、常(常)、又”等共现,“正(在)”则不能。反过来说在不能完全表达进 行或者持续的状态 所以 与表示延续或重复的时间副词连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