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환자에서 요실금의 진단과 치료

        신정현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4

        Urinary incontinence (UI), an involuntary loss of urine, is classified by clinical situation. The most common UI cases include stress UI (SUI), the involuntary loss of urine on effort or physical exertion or on sneezing or coughing; urgency UI (UUI), the involuntary loss of urine associated with urgency (a sudden, compelling desire to pass urine); and mixed UI, which includes both SUI and UUI. The diagnosis of UI inclu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past med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three-day voiding diary. The diagnosis of UI is very important as management plans differ by type. Treatment options for SUI include conservative therapy such as pelvic floor exercises (Kegels), biofeedback, and surgery. Anti-incontinence surgery for SUI is more effective than conservative therapy. UUI is closely related to overactive bladder (OAB), urinary urgency that is usually accompanied by increased daytime frequency and/or nocturia, with or without UUI in the abse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s or other detectable diseases. First- and second-line treatments for OAB include behavioral and pharmacological therapy. Pharmacological agents for OAB include antimuscarinics and β3 adrenoceptor agonists. As the superiority of any particular medication lacks evidence, patient safety and persistence of various therapies require consideration in individual settings. Increased risks of cognitive dysfunction caused by the long-term use of antimuscarinics and concerns of anticholinergic burden in frail elderly patients with polypharmacy were recently highlighted. 요실금은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새는 현상으로 소변의 발생 상황 에 따라 분류된다. 가장 일반적인 요실금에는 복압성요실금(힘을 주 거나 움직이거나 운동, 재채기나 기침할 때 요실금이 발생하는 것), 절박성요실금(요절박과 관련된 요실금, 참을 수 없는 요의로 소변을 지리는 것), 복압성요실금과 절박성요실금이 혼합된 복합성요실금 이 있다. 요실금의 진단에는 하부요로증상, 과거 병력, 신체 검사, 3일간 작성하는 배뇨 일지, 잔뇨 측정 등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요실금의 치료는 종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복압성요실금의 치료 방법은 골반저근육운동(케겔)과 바 이오피드백 등의 보존적 치료와 수술이 있다. 복압성요실금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보존적 치료보다 더 효과적이다. 절박성요실금은 과 민성 방광과 관련이 있는데, 과민성 방광은 “요로감염이나 기타 질 병을 배제한 상태에서 흔히 빈뇨와 야간뇨를 동반하는 요절박으로, 요실금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으며 요로감염이나 기타 질환은 없는 상태”로 정의된다. 과민성 방광에 대한 일차 및 이차 치료는 행 동치료 및 약물 치료이다. 과민성 방광의 치료약물로는 항무스카린 제와 베타3수용체작용제가 있다. 다양한 항무스카린제 중 특정 약품이 효과 면에서 더 우수하다는 근거는 없으므로 약물의 부작용 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항무스카린제 복용 시 가장 흔한 부작용 은 안구건조, 입 마름, 변비 등이 있으며 이는 환자의 약물 순응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과민성 방광에 대한 약물치료를 할 때, 입 마름과 변비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적극적으로 해당 부작 용에 대한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 최근에는 항무스카린제 장기 복 용에 따른 인지장애 위험 증가와 많은 약을 동시에 복용하는 노인 환자에서 항콜린약물부담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중년 및 노년 여성에서 복압성 요실금과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박한뫼 ( Han Moie Park ),이상수 ( Sang Soo Lee ),박창면 ( Chang Myeon Park ),박선민 ( Sun Min Park ),박정원 ( Jung Won Park ),이상욱 ( Sang Wook Yi ),손우석 ( Woo Seok Soh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복압성 요실금과 대사증후군의 지표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복압성 요실금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받고 수술 및 약물치료를 시행한 208명의 환자와 같은 기간 부인과 양성질환을 본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대조군 154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사증후군과 복압성 요실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지표인자는 NCEP ; ATP III 진단지침에 따른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 고혈압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단 복부비만에 대한 지표를 허리둘레가 아닌 BMI로 대체하였다. 따라서 지표인자 중 3가지 이상 해당되는 환자를 대사증후군의 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의 위험군은 복압성 요실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사증후군의 위험군에서 복압성 요실금의 위험도는 2.503 (95% CI 1.28-4.87, p=0.004)이었다. 다변량 분석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 (OR 2.563; 95% CI 0.04-0.31, p<0.001) 및 BMI (OR 3.574; 95% CI 0.09-0.31, p=0.011)는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인슐린 저항성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은 요실금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Methods: Based form 362 case, the risk factors including the parameters of metabolic syndrom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body mass index (BMI), hypertension, insulin resistance, triglyceride, HDL-cholesterol. Results: The risk for metabolic syndrome were associated positively with SUI. Women with the risks for metabolic syndrome had 2.503 times of the odds for SUI compared without the risks for metabolic syndrome (95% CI 1.28-4.87, p<0.001).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UI were BMI (OR 3.574 ; 95% CI 0.09-0.31, p<0.001) and insulin resistance (OR 2.563 ; 95% CI 0.04-0.31, p=0.011) by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metabolic syndrome was the important factor of the stress urnary incontinence. And we confirmed the need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turbance and the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aimed at correcting hormonal-metabolic disturbance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SUI.

      • KCI등재

        복압성 요실금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진단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민해기 ( Hae Ki Min ),김주영 ( Ju Young Kim ),노시철 ( Si Cheol Noh ),최흥호 ( Heung Ho Choi )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2

        골반저근은 골반기관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요자제를 유지하는 여성의 주요 하부조직이다. 골반저근의 약화는 복압성 요실금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골반저근의 기능 정도는 복압성 요실금의 병증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반저근의 수축 압력을 측정하여 복압성 요실금의 병적 진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골반저근의 수축압력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의 특징 분석을 위한 측정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복압성 요실금 환자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5개의 진단 파라미터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진단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임상시험을 통하여 진단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80%의 정확성을 보였으며, 20%의 위양성 진단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위음성 진단 결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은 복압성 요실금의 병적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요실금 진단 시스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elvic floor muscle is the main sub-system that maintains urinary continence. The weakness of pelvic floor muscles causes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therefore the degree of functioning of pelvic floor muscles could be used as an index to assess the degre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diagnosis algorithm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degre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by measuring the contraction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For these reason, the contraction pressure measurement system from pelvic floor muscle was developed, and the measuring protocol was suggested to analysis the obtained data. As the results of clinical test, the proposed diagnosis algorithm shows the 80% of accuracy, and 20% of false positive diagnosis. On the other hand, false negative results were not confirmed. Consequentially, we thought that the proposed urinary incontinence diagnosis algorithm can quantitatively diagnose the progression of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it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continence diagnosis system.

      • KCI등재

        The Study of a Diagnostic Algorithm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Hae Ki Min(민해기),Ju Young Kim(김주영),Si Cheol Noh(노시철),Heung Ho Choi(최흥호)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2

        Pelvic floor muscle is the main sub-system that maintains urinary continence. The weakness of pelvic floor muscles causes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therefore the degree of functioning of pelvic floor muscles could be used as an index to assess the degre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diagnosis algorithm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degre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by measuring the contraction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For these reason, the contraction pressure measurement system from pelvic floor muscle was developed, and the measuring protocol was suggested to analysis the obtained data. As the results of clinical test, the proposed diagnosis algorithm shows the 80% of accuracy, and 20% of false positive diagnosis. On the other hand, false negative results were not confirmed. Consequentially, we thought that the proposed urinary incontinence diagnosis algorithm can quantitatively diagnose the progression of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it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continence diagnosis system. 골반저근은 골반기관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요자제를 유지하는 여성의 주요 하부조직이다. 골반저근의 약화는 복압성 요실금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골반저근의 기능 정도는 복압성 요실금의 병증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반저근의 수축 압력을 측정하여 복압성 요실금의 병적 진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골반저근의 수축압력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의 특징 분석을 위한 측정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복압성 요실금 환자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5개의 진단 파라미터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진단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임상시험을 통하여 진단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80%의 정확성을 보였으며, 20%의 위양성 진단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위음성 진단 결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은 복압성 요실금의 병적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요실금 진단 시스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복합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의 특성: 하부요로증상과 요역동학 검사결과의 관계

        이지연,송미순 기초간호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9 No.2

        요실금은 불수의적인 요누출의 호소(the complaint of any involuntary loss of urine)로 정의되며, 크게 복압성, 절박성, 복합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복압성 요실금은 신체적 운동이나 재채기, 기침할 때 나타나는 요실금이며, 절박성 요실금은 갑작스럽게 요의가 느껴지면서 나타나는 요실금이고, 복합성 요실금은 복압성과 절박성 요실금이 혼합된 유형이다[1].

      • KCI등재

        Trans-obturator tape로 치료한 복압성요실금 80예에 관한 임상적 고찰

        송치훈 ( Chi Hun Song ),손영제 ( Young Je S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여성의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치료에 다양한 수술적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저자는 Trans-obturator tape (TOT)를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TOT의 안정성과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9월까지 복압성 요실금 (순수 혹은 복합성)을 가진 여자 환자들 중 TOT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3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80명을 대상으로 치료 결과 및 예후를 임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연령분포는 28세에서 74세였고, 평균연령은 42.8세였다. 전체 환자 중 복압성 요실금은 74명 (92.5%)에서 완전 회복이 되었고 4명 (5%)에서 부분회복이 되었으며 2명 (2.5%)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복합성 요실금 환자에서 절박뇨는 36명 중 30명 (83.3%)에서 호전되었고 빈뇨는 27명 중 20명 (62.9%)에서 호전되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14.3±3.8분이었고, 입원에서 퇴원까지의 시간은 평균 6±2.4시간이었다. 수술 후 창상출혈이 한 명에서 나타났고 수술 중 방광천공이 의심된 환자가 한 명 발생하였다. 수술 전에 없었던 절박뇨가 1명 나타났고 빈뇨가 세 명에서 나타났으나 일시적이었고 두 명은 요속이 약해졌다고 호소하였지만 치료가 필요한 정도는 아니었다. 결론: TOT를 이용한 수술은 복압성 요실금 치료에 있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고 절박뇨나 빈뇨에도 효과가 있어 복합성 요실금의 1차적인 치료방법으로서 외래에서 쉽게 시술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ans-obturator tape (TOT)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stress incontinence and analyze the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 Methods: Between August 2004 and September 2005, females diagnosed as having stress incontinence (pure or mixed) were operated on using TOT. Eighty cases with more than three-month follow-up period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Results: Patient age ranged from 28 to 74 years (mean, 58). After surgical treatment using TOT, 74 cases (92.5%) of stress incontinence showed complete recovery, 4 cases (5%) showed partial recovery, and 2 cases (2.5%) were unchanged without further functional deterioration. Urgency in the mixed incontinence was improved in 30 in 36 cases (83.3%) and frequency was changed for the better in 20 of 27 cases (62.9%).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4.3 minutes and the mean hospital stay was six hours. Postoperative evaluation with cystoscope was unnecessary.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10% (8/80). Postoperative wound bleeding occurred in one case and intraoperative bladder perforation happened in one case. Postoperative transient urgency was developed in one case and postoperative transient frequency developed in three cases. Two patients complained of weak urinary stream. Conclusion: The surgical treatment using TOT is thought to be a safe and efficient means for the outpatient management of stress incontinence. And also, this method appears to have an effect on urgency and frequency.

      • KCI등재

        복압성 요실금 수술시 tension-free vaginal tape의 치료 성적; 요도 괄약근 부전증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 환자의 비교

        정여화 ( Yeo Hwa Jung ),전명재 ( Myung Jae Jeon ),정다정 ( Da Jung Chung ),박주현 ( Joo Hyun Park ),김세광 ( Sei Kwang Kim ),김재욱 ( Jae Wook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2

        목적: 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에서 TVT 시행 후 치료 성적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TVT의 요실금 환자 치료에 있어서의 치료 효과에 대해 평가 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 후 TVT를 시행받은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요실금은 요역동학 검사에 의해 진단되어 졌으며 복압상승시 배뇨근 수축없이 불수의적으로 요실금이 있는 경우 복압성 요실금으로 정의하였다. 요역동학 검사 (Dantec-5000 system, Copenhagen, Denmark)는 uroflowmetry, multichannel cystometry, urethral pressure profilometry로 이루어졌다. ISD는 MUCP<20 cmH2O이거나 VLPP<60 cmH2O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NISD는 MUCP>20 cmH2O이고 VLPP>60 cmH2O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환자들은 수술 후 1, 3, 6, 12개월 후 추적관찰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60.74±10.00세,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57.20±10.94세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없었다 (P>0.05). 분만력, 신체질량지수 (BMI), 폐경된 환자의 비율, 호르몬 치료 시행받은 기왕력이 있거나 현재 호르몬 치료중인 환자의 비율 모두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방광 충만 검사상 뇨의를 처음 느꼈을 때의 방광 용적, 정상 뇨의를 느꼈을 때의 방광용적, 강한 뇨의를 느꼈을 때의 방광용적, 최대 방광용적 모두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MUCP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46.81±24.29,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75.70±32.61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VLPP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53.48±10.12,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107.23±42.95로 두 그룹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요류검사상 최대요속, 평균요속, 총 요량에서도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술 후 1, 3, 6, 12개월 후 두 그룹간에 완치율을 비교한 결과 수술 1개월 후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있는 환자군에서 87%, 비요도괄약근 부전증 환자군에서 100%로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53) 수술 3, 6, 12개월 후 두 그룹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배뇨곤란, 새로 발생한 절박뇨 (de novo urgency), 요로 감염 발생은 추적 관찰기간에 관계없이 두 그룹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요도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와 비요도 괄약근 부전증인 요실금 환자 모두에서 TVT가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reatment outcomes of tension free vaginal tape (TVT) for intrinsic sphincter deficiency (ISD) and non-intrinsic sphincter deficiency (NISD) patients i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and to evaluate whether TVT can be effectively used in both groups of SUI patients. Methods: 111 women with SUI treated by TVT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ivision of Female Pelvic Medicine and Reconstructive Surgery, the Yonsei Medical Center from Jun. 2003 to Jun. 200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1 patients with ISD, and 80 patients with NISD. SUI was diagnos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urodynamic tests. Urodynamic studies (UDS) include uroflowmetry, multi-channel cystometry and urethral pressure profilometry.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at 1, 3, 6,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and those with any follow-up los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demographics between ISD and NISD groups; mean age, parity, BMI, menopausal status and HRT (P>0.05). Maximum urethral closure pressure (MUCP)(46.8124.29 vs.75.7±32.61 cmH2O; P<.0001) and Vasalva leak-point pressure (VLPP)(53.48±10.12 vs 107.23±42.95 cmH2O; P<0.0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other parameters of UDS except MUCP and VLPP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cure rates of the two groups at 1 month follow up (87.0% vs 100%; p=0.005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3, 6 and 12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voiding difficulty, de novo urgency, urinary tract infection) between two groups irrespective of follow-up months. Conclusion: Tension-free vaginal tape is effectiv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both ISD and NISD patients.

      • KCI등재

        The Study of a Diagnostic Algorithm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민해기,김주영,노시철,최흥호,Min, Hae Ki,Kim, Ju Young,Noh, Si Cheol,Choi, Heung Ho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2

        골반저근은 골반기관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요자제를 유지하는 여성의 주요 하부조직이다. 골반저근의 약화는 복압성 요실금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골반저근의 기능 정도는 복압성 요실금의 병증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골반저근의 수축 압력을 측정하여 복압성 요실금의 병적 진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골반저근의 수축압력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의 특징 분석을 위한 측정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복압성 요실금 환자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5개의 진단 파라미터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진단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임상시험을 통하여 진단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80%의 정확성을 보였으며, 20%의 위양성 진단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위음성 진단 결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실금 진단 알고리즘은 복압성 요실금의 병적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요실금 진단 시스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elvic floor muscle is the main sub-system that maintains urinary continence. The weakness of pelvic floor muscles causes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therefore the degree of functioning of pelvic floor muscles could be used as an index to assess the degre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diagnosis algorithm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degre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by measuring the contraction pressure of pelvic floor muscle. For these reason, the contraction pressure measurement system from pelvic floor muscle was developed, and the measuring protocol was suggested to analysis the obtained data. As the results of clinical test, the proposed diagnosis algorithm shows the 80% of accuracy, and 20% of false positive diagnosis. On the other hand, false negative results were not confirmed. Consequentially, we thought that the proposed urinary incontinence diagnosis algorithm can quantitatively diagnose the progression of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it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continence diagnosis system.

      • KCI등재

        골반장기탈출증 수술 전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에서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지표와 동시수술의 타당성: 후향적 코호트 연구

        조주현 ( Ju Hyun Cho ),김수림 ( Soo Rim Kim ),문여정 ( Yeo Jung Moon ),김세광 ( Sei Kwang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4

        목적 본 연구는 골반장기탈출증을 가진 환자들의 수술 전에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에서 수술 후 결과 및 합병증과 관련된 유용한 지표를 알아보고, 골반장기탈출증 교정술과 복압성 요실금교정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등록된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 및 골반장기탈출증 수술을 시행한 3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복압성 요실금의 유병률은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상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받지 않아 골반장기탈출증 수술만 시행한 그룹 2 (3.1%, 4명)에서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받아 요실금교정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그룹 1 (1.7%, 3명)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우리는 valsalva 유발 요누출 시 복압, 최대요도 폐쇄압, 최대요속, 최대요속 시 배뇨근압력, 최대 방광용적의 5가지 요역동학 검사 지표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복압성 요실금에서는 최대요속 시 배뇨근압력(교차비, 1.029; 95% 신뢰구간, 1.001-1.038)이, 절박성 요실금의 경우 최대요도 폐쇄압(교차비, 0.969; 95% 신뢰구간, 0.942-0.996)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로 나타났다. 결론 수술 후 합병증의 유병률에 중점을 두면, 동시 수술은 골반장기탈출증 수술만 하는 경우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며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에서도 의미 있는 지표가 있어 그 시행이 필요하다. Objective To evaluate effective parameters of preoperative urodynamic study (UDS) before performing surgery for pelvic organ prolapse (POP) and to validate effectiveness of concomitant surgery on urinary outcome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308 patients who had UDS before POP surgery from January 2006 through December 2010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by positive result of UDS (group 1) had a concomitant sling operation with POP surgery. And the patients were not diagnosed with SUI by negative result of UDS (group 2) did not.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de novo SUI in group 2 (3.1%, n = 4) higher than group 1 (1.7%, n = 3),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 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 checked 5 parameters of UDS (valsalva leak point pressure, maximal urethral closing pressure [MUCP], maximal fl ow rates, detrusor pressure at maximal fl ow [PdetMax], maximal cystometric capacity confi dence). PdetMax and MUCP was statistically signifi cant parameter in postoperative de novo SUI (odds ratio [OR], 1.020; 95% confi dence intervals [CI], 1.001-1.038) and postoperative de novo urgency urinary incontinence (UUI; OR 0.969; 95% CI, 0.942-0.996).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results of preoperative UDS and concomitant surgery can be associated with prevalence rate of postoperative de novo SUI. Focused on prevalence of postoperative urinary complications, concomitant surgery was better than only prolapse surgery. PdetMax in SUI and MUCP in UUI were statistically signifi cant parameters of UDS related on urinary outcome.

      • KCI등재후보

        가정의를 위한 요실금과 배뇨장애의 이해

        양예슬,김영상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4

        Urinary disorders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Urinary incontinence refers to urine leakage against will and is categorized into stress incontinence, urge incontinence, and other types. The prevalence of incontinence increases with aging. Since most patients hesitate talking about urinary problems, it is important to proactively ask questions to ensure proper care. The diagnostic approach includes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urinalysis. The use of specific questionnaires and voiding diaries is also beneficial. The first manage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incontinence is conservative treatment, especially training for strengthening the pelvic floor muscles. Anti-cholinergic medications and mirabegron are used for treating urge incontinence. To minimize adverse events, starting medications at low doses, with follow-up at short intervals, is recommended. For treating stress incontinence, surgical approaches like sling surgery are preferred to medications. Primary physicians need to pay attention to urinary problems to help older patients address their difficulties and to promote their quality of life. 배뇨장애는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배뇨장애의 대표적 질환인 요실금은 의지에 반하여 소변이 새는 증상을 일컬으며,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그 외 다양한 종류의 요실금 등으로 나뉜다. 나이가 많아질수록 요실금의 유병율은 상승하게 되지만, 막상 환자들은 본인들의 소변 관련 증상을 언급하는데 주저하기 때문에 일차진료 의사는 적절한 치료를 위해 직접적으로 요로 증상에 대해 질문할 필요가 있다. 진단적 접근 방향은 우선 병력 청취, 신체 진찰, 그리고 소변 검사가 일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질병 상태에 대한 특화된 설문지를 사용하거나 배뇨일지를 사용하면 진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요실금이 있는 환자에 대한 첫 번째 치료 방향은 골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특별한 운동법이나 보존적인 치료이다. 절박성 요실금의 경우 항콜린제와 mirabegron 사용이 도움이 된다. 부작용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약물 치료는 저용량에서 시작하고 짧은 간격으로 추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는 주로 수술적 치료가 우선시 되며, sling surgery가 대표적이다. 일차진료 의사는 배뇨 증상에 대해 충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이는 환자의 어려움을 개선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