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 후 백석시의 분석과 평가를 위한 제언

        이상숙 ( Sang Sook Lee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이 논문은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시를 바라보는 학계의 시선과 관점에 문제 제기를 하였다. 서정적인 언어와 쓸쓸한 감성이 백석시의 핵심이고 성취이지만 그것으로 인해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시를 부정하는 것은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시의 객관적인 분석과 평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생존을 위해 억지로 쓴 시이기 때문에 백석시의 범주로 넣어 적극적으로 분석하려 하지 않았고, 북한 시의 분석틀 안에서 본격적인 평가를 시도한 연구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해방 후 북한에서 수십 편에 이르는 시를 창작하고 수 백 편에 이르는 번역시와 동화시 등을 발표하며 시인으로 살았던 백석에 대한 정당한 평가라 할 수 없다. 이 논문은 백석이 북한에서 발표한 시를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몇 가지 문제를 점검하였다. 백석이 북한에서 발표한 시들에서 분단 전 백석시의 흔적을 찾는 연구 경향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이 백석시 전체를 인정하고 새롭게 보는 시각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분단 후 백석시는 북한시의 변화와 흐름 안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1957년에서 60년대 초반 사이에 있었던 북한시의 급격한 변화는 백석시의 변화와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백석이 러시아시 200여 편을 번역했다는 사실 또한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스탈린의 죽음 이후 전개된 러시아 문학의 ‘해빙’은 백석이 번역시와 작가를 선정하는 문제와 매우 긴밀하기 때문이다. 또, 백석시에 대한 북한 문단의 변화된 입장에 주목해야 한다. 아동문학논쟁과 30년대 시에 대한 평가가 대부분이지만 백석시를 평가하는 북한문단의 관점은 분명히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이 제안하는 몇 가지 관점이 분단 후 백석 시를 평가하는 유일한 해답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시인, 소설가, 아동문학가, 번역가로서 매우 넓고 다양한 면모를 가진 문인으로서 백석을 전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작이라고 믿고 싶다. This study questions the view and perception of South Korea`s literary academia regarding the poems of Baekseok written during his life in North Korea. The South Korean literary academia perceives that the core values of Baekseok`s poems written in North Korea are mainly about its lyrical language and melancholy tones. This view does not contribute to the objective analysis and assessment of Baekseok`s poems. His body of work during his days in North Korea is considered as pieces forced out of him to secure his survival, hence, his work has not been actively analyzed as the academia does recognize those works as Baekseok poetry. Also, not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conduct a serious assessment of his poems within the analytic framework of North Korean poetry. This is not an adequate assessment of Baekseok who lived as a poet in North Korea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releasing numerous poems, in addition to hundreds of children`s poems as well as translation poems. The study examines a few areas of concern in analyzing and assessing the poems by Baekseok, published in North Korea. It is essential to assess Baekseok`s poems regarding the changes and context of North Korean poetry. The radical transformation in North Korean poetry from 1957 to the early 1960s is intertwined with the changes in Baekseok`s poetry. He translated approximately two hundred Russian poems into Korean and this significant fact requires close examination. The ``thaw`` of Russian literature after Stalin`s death is closely linked to Baekseok`s decision in selecting specific author`s works or poems to translate.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hat North Korea`s literary world is shifting its position on Baekseok`s poetry. North Korea`s discussion thus far has mainly evolved around the children`s literature debate and Baekseok`s poems from the 1930s; nonetheless, their view is undoubtedly shifting. The view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not the only answers to assessing the poetry of Baekseok in North Korea. However, it can be a starting point for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Baekseok, who was a versatile writer; as a poet, a novelist, an author of children`s literature and a translator.

      • KCI등재

        백석의 초기 소설에 나타난 백석 문학의 원형적 특성 연구

        남지현(28) Nam, Ji-Hyun)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백석의 문학 활동 전반에 대한 연구는 백석 연구의 르네상스라고 지칭해도 과장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백석 문학의 초기작에 해당하는 소설에 관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하다. 이는 초기 소설들이 나타내는 미적 특성이 당대 소설이 거둔 성취에 비해 소박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작품의 연구는 미적 자질뿐 아니라 작가론의 관점에서도 이루어질 수있으며, 백석의 소설들은 이후 백석 문학 전반에서 나타나는 원형적인 특성들을 지니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백석의 초기 소설에 해당하는 <그 母와 아들>, <마을의 유화>, <닭을 채인 이야기>를 대상으로 작품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 작품들의 특성이 이후 백석의 문학 세계와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백석의 소설들은 민중적 삶에서 미적 대상을 선택하고, 이들 대상에 대해 공감에 바탕을 둔 애정을 나타낸다. 또한 외래적인 이데올로기에 휩쓸리지 않고 인간 본연의 삶의 모습들을 간직하고자 한다. 토속어를 풍부하게 활용함으로써 민중적 삶의 현실성을 강화하고, ‘엮음’이란 독특한 서술방법을 통해 판소리를 비롯한 다양한 문학적 표현의 전통을 소설 속에 구현해 내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의인화된 인물들을 설정하여 작품의 흥미를 배가한다. 이와 같은 백석 소설의 특성들은 이후의 문학 활동, 즉 초기 시와 후기 시, 북한에서의 아동문학과 시작(詩作) 활동 등과 연결되면서 다시 활성화된다. 이에 본고는 백석의 문학 활동 시기를 다섯 시기로 나누고그 가운데 삼수로 현지 파견을 나가기 이전까지의 문학적 특성들이 초기 소설작품들 속에 이미 내재되어 있음을 밝혀보이고자 한다. 그 결과 백석의 문학 활동은 삼수 파견 이전, 아동문학에 집중하던 시기까지를 통일적인 양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이후 외적 환경으로 말미암아 명확한 단층이 생긴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study of the overall literary activity of Baek-seok is not exaggerated in its reference to the Renaissance of Baek-seok research. However, research into Baek-seok s short stories, which is one of the earliest activities, is remarkably insufficient. These short stories are due to the simplicity customary among the author s early short stories. However, the study of works can be accessed not only from the point of view of aesthetic qualities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s, and Baek-Seok s short stories ar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Baek-seok literature. The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hree books. Baek-seok s short story, “The Mother and the son”, “Story from the village” and “The story of chicken stealer”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are linked to those of Baekseok. Baek-seok s short stories highlight the love they have based on sympathy after choosing an aesthetic object from popular life. They also want to preserve their original human lives without being drawn into orthodoxy ideologies. Using the mother-tongue abundantly, it strengthens the reality of popular life, expresses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other literary expressions through a unique way of writing. They also doubled the interest in the work by setting up person who is personified.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Baek-seok short stories are reinvigorated, linking wholly or partially to subsequent literary activities, such as poetry and poetry, and children s literature in North Korea. This study thus revealed that out of the literary activities of Baek-seok, divided into five periods, literary traits were already inherent in early novels before being dispatched to the region. As a conclusion, Baek-seok s literary activities should be identified in a unified way until the 4th period except the poets for children literature in Sam-su after 1959.

      • KCI등재

        백석 시의 '무속성'과 식민지 무속론 : 백석 시의 '무속적 상상력' 재고

        김은석(Kim Eun-seok) 국어문학회 2010 국어문학 Vol.48 No.-

        백석 시에서 주로 나타나는 '무속성'이나 '무속적 상상력'은 백석 시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테마이다. 백석 시의 무속적 사유에 관한 논의들은 그것이 '고향'과 같은 토속공간의 원형성에 맞춰져 있다. 백석 시의 '무속성'이 민족 공동체의 전형을 시화(詩化)했다는 것으로 강조되거나, 계몽주의적 근대의 유입속에서 무속이 타파 대상으로 간주되었다는 상황은 다소 일반적인 진술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논거는 그의 시세계가 위치한 사회 · 역사적 맥락에 무심 할뿐만 아니라 그 주제의 당대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 논문은 백석 시의 '무속성'이 백석에게서만 찾을 수 있는 독특한 미학이 아니라 동시대의 공유 가능한 주제였다는 점에 접근하고자 했다. 조선의 무속신앙이 고유 신앙으로서 주목받게 된 것은 일본 신도신앙의 침투라는 배경하에서였다. 일제의 조선통치를 역사적, 문화적으로 정당화시키는 담론적 상황 속에서 제국의 식민지 통합에 기여한 일본의 민속학과 달리 조선에서 '무속'을 포함한 '민속'의 발견은 '민속학적 사고'를 통한 조선의 지역적, 문화적 정체성을 재고하는 것이었다. 1930년대 식민지 무속론에 내재된 정치성과 민속학적 사고의 출현 속에서 백석의 '무속성'은 개인의 기억 속에 실재했던 '무속'을 발견하고 인식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무속에 대한 관심은 조선의 지엽적 풍속, 변방의 문화를 강조함으로서 지역적 감각에 다름 아니었으며 1930년대 후반 신세대 문학의 한 경향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시가 보여주는 것은 근대 세계의 비전이 실패한 '양식'의 재창조이다. 백석 시에서 이러한 양식은 무속과 관련된 마을의 의례들이다. 백석의 시는 근대의 규율에 포획되지 않는 공동체에 대한 향수를 통해 자신의 문화적 근거지를 구성한다. 백석 시에서 무속성은 식민지화와 근대화의 이름으로 소멸의 처지에 있는 가치들에 대한 관심이다. 그것의 상상적인 복원을 통해 과거로부터 이끌어낸 의미는 자기 동일성의 중요한 기준이 되며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을 가능케 한다. 백석 시의 무속적 상상력은 1930년대 식민지 무속의 현실에 대한 한 대응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자신이 속한 문화양식을 통해서 자기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The elements of shamanism, on Baek Seok's poetry aesthetically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topic. Shamanism of Baek Seok, the 1930s cultural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At that time, the Baek Seok unique rather than shamanism material was available for sharing. Shamanism in the modern world was the target of the marginalized and ignored, but in the late 1930s, the interesting of shamanism is associated with the colonial policy. Kim Dong-Lee, including the passage of time, a new generation of group in literary circles, 'Oriental', 'ancient' was reflected in the works for the interest. As a new generation of literary artists Baek Seok is also parallel to this trend. His poetry now at the point of his own past and to restore the culture of the past, by recall. Baek, Seok's poems like 「가즈랑집할머니」, 「오금덩이라는곧」 and 「마을은 맨천구신이 돼서」, also leave Shamanistic trace. His poems reveal the absence of form in everyday life. He was to reproduce the local community, unique culture and customs are preserved. an recreate the show. At his poem, the village including almost the villagers is ruled by Shamanism. Baek, Seok always missed his childhood memory and hometown. His poetry is being destroyed now, that history can be lost forever unless the crisis was reflected. His work appeared in a crisis that has characterized some kind of cultural nationalism. Baek Seok's shamanistic imagination in the late 1930s are response of colony cultural policy and restoration is the process of self-identity.

      • KCI등재

        백석정 별서유적 및 백석동천 연원에 관한 연구

        최종현(Choi, Jong-Hyun)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4 서울학연구 Vol.- No.57

        This article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bower of Baeksukjeong(白石亭) in Baeksukdongcheon(白石洞天)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rn valley of mountain Baekak(白岳), the east side of Tangchoondae(蕩春臺) near the mountain of Bookhansan(北漢山). The history of the bower of Baeksukjeong(白石亭) has been not known recently and the only ruins of the bower remains. The area of Tangchoondae(蕩春臺), the northern area of the North Gate(Changiumoon彰義門) of capital city had not been open to common people except royal retainer and ministers until 18th century in Jo-sun(朝鮮) dynasty when the mountain fortress wall of Bookhansansung(北漢山城) was built by King Sook-jong(肅宗). Since the structure of the mountain fortress wall - middle castle - city castle was constructed, this area became the place for excursion and association of literary group and noblemen. In 18th century, some literary group retired from political affairs and left out of practical politics, as group of Mam-in(南人), So-ron(少論), Sil-hak(實學), school of Gang-wha(江華學派) and literary men from middle class(委巷文人), enjoyed an outcoming to this area and get together to compose poems and some writings in Tangchoondae(蕩春臺), Samgye(三溪), Bookhansanseong(北漢山城) and temples in Bookhansan(北漢山). Among them, Heo-pill(許?) built some small cottage called by bower of Baeksukjeong(白石亭) or Ganjeongryo(看鼎寮) in Baeksukdongcheon(白石洞天) valley to live a lonely life of composing poems and drawings. There was a big rock in the opposite hill to the site of bower Baeksukjeong(白石亭), on which the letter ‘月巖(Wal-am)’ was carved very distinctly. Gang-sae-dong(姜世東) had his a small thatched cottage near this rock. Heo-pill(許?) and his friends, Kang se-whang(姜世晃), Yi Yong-Hue(李用休) and Yim Hee-seong(任希聖) were scholars of Ma-min(南人) or so-book(小北) group who left out of practical politics to enjoy lonely life and made some excursion in this area. But the bower of Baeksukjeong(白石亭) was collapsed and later history of the site was not well known. The famous scholar in 18-19th century, Kim Jeong-hee(金正喜) whose father was known that he had some villa in the site of Baeksukjeong(白石亭). Tangchoondae(蕩春臺), Bookhansan(北漢山) and Saegumjeong(洗劍亭) was famous for excursion site of contemporary men of power influence but Baeksukdongcheon(白石洞天) valley near those places was not well known because of the geographical condition and was just a place for specific group of retired literary men in 18th century.

      • KCI등재

        재북 시기 백석의 번역 문학 연구

        박태일(Park, Tae-il)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이 글은 재북 시기 백석의 번역 문학에 관한 실증적 점검을 통해 기존 정보의 잘못을 바로잡고 기워 온전한 문헌지를 마련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논의는 세 가지다. 첫째, 이제까지 알려진 재북 시기 백석 번역 문학은 낱책 경우, 실물 확인이 어렵거나 백석 저술이 아닌 것이 7권이다. 낱글 경우는 중복 기록이나 글 이름, 잡지 이름, 낸 해달날 기록 잘못이 20군데에 이른다. 그들을 바루고 확정한 재북 시기 백석 번역 문학은 낱책 32종 32권과 낱글 43회 51편이다. 둘째, 현재 알려진 번역가 백석의 가명은 여섯이다. 그 가운데서 번역물의 무거운 비중이나 범위, 적확하고 창의적인 문체로 보아 박일파와 리세희는 백석과 동일인임을 획정한다. 나머지 넷은 번역 태도나 말씨, 활동 시기로 볼 때 백석과 엮기 어렵다. 셋째, 이 글에서 발굴한 백석의 번역 작품은 백석 기명과 박일파·리세희 기명으로 나온 낱책 13종 26권, 낱글 22회 26편이다. 그 안에는 북한 바깥 연변과 모스크바 출판본도 포함된다. 이들을 기존 확정분에 더하면 현재까지 갈무리한 재북 시기 백석 번역의 총량은 낱책 50종 58권, 낱글 66회 71편이다. 북한 초기 문학사에서 최대 번역가로서 백석의 걸음걸이가 뚜렷하다. 새로 마련한 문헌지를 바탕으로 백석의 번역 문학론으로 들어서는 문이 활짝 열리기 바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rrect empirical foundations for the translation literature Baek Seok had achieved while living in North Korea. The discussion is three. First, the translation literature of Baek Seok, which was previously known, has many problems. In the case of a book,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actual publication, or it cannot be seen as a white-seat publication. In a magazine article, duplicate records, names and publication dates were sometimes misplaced. If they were corrected immediately, 32 books and 51 individual writings were translated by Baek Seok, who lived in North Korea. Second, the aliases of Baek Seok are known to be all six. Given the high weight, scope, and creative style of the translation, Park Il-pa and Ri Se-hui are the same people as Baek Seok. The remaining four are hardly white stones in translation attitudes, tone and period of activity. Third, there are 26 books and 26 individual writings that have been translated under the name of Baek Seok. And there are 26 books and 15 separate writings under the pseudonym of Park Il-pa and Lee Se-hee. In addition, there are 11 types of books published outside of North Korea. Therefore, the total amount of Baek Seok’s translation is confirmed by adding new excavations to the previously known ones. Soon there will be 57 books and 85 individual writings. It is clear that Baek Seok is North Korea s biggest translator. Hopefully, based on the newly created literature in this paper, a deep study of the translation literature of Baek Seok will be followed.

      • KCI등재

        백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학사적 균열의 지점

        김문주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이 글은 백석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백석 연구의 현황과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마련된 기획논문이다. 백석은 한국현대시 연구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논의의 대상 중 하나이며, 한국시사의 문제적인 지점들을 내장하고 있는 중요한 시인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백석 문학에 대한 연구 지형과 논의의 흐름들을 살펴보고, 그의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대목 중 하나인 ‘북방시편’과 분단 이후 문학에 관해 주의⋅검토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함으로써 백석문학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먼저 ‘북방 시편’을 민족의 정신사적 관점, 역사의식의 발로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인의 만주 이주의 경위와 만주 체재기의 구체적인 활동을 최대한 복원하는 작업이 선행되어 하고 둘째, 만주에 거주했던 당대의 민족 현실과 이에 대한 시인의 인식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야 하며 셋째, 작품에 형상화된 시인의 만주 인식의 내용을 역사적 현실 속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한편 분단 이후의 백석 문학 연구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은 첫째, 번역은 분단 이전부터 백석이 중요하게 관심을 둔 영역으로서 분단 이후의 문학적 향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작업이었으며 둘째, 아동문학에 대한 백석의 참여를 체제의 외압이나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는 시각은 재고할 필요가 있고 셋째, 분단 이후의 아동문학과 창작시는 백석 문학의 전체적 이해를 위해 면밀하게 검토해야 하며 넷째, 백석 문학의 최종적인 향방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아동문학논쟁 과정을 꼼꼼하게 살피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백석 문학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서 선언적이고 수사적인 규정을 지양하고 구체적인 자료에 바탕을 둔 객관적⋅실증적인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This writing is the planned paper designed to examine the status and problems of research on Baek Seok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Baek Seok’s birth. Baek Seok is one of the most active discussion targets in the field of Korean Modern Poetry research and is an important poet containing problematic points of Korean poetry history. By examining research status and the flow of discussion about research on Baek Seok literature first and organizing the matters to be noted·reviewed on literature after division and ‘Poetry on the Northern Area,’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his literatu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irst, to approach ‘Poetry on the Northern Area’ in terms of an express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spiritual perspective of the nation, the following should be carried out: First, the work to identify reason for his movement to Manchuria and restore as many specific activities as possible during his stay in Manchuria should be preceded. Second, the ethnic reality of those days when the people should live in Manchuria and how the poet understood it should be examined specifically. Third, the contents on his Manchuria perception embodied in his works should be analyzed in the historical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matters to be remembered in Baek Seok literature research after division are as follows. First, as the area that especially attracted his interest even before division, translation was the work having a major impact on the literary direction after division. Second, the perspective regarding his participation in children’s literature as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system or an inevitable choice needs to be reconsidered. Third, to generally understand Baek Seok’s literature, creative poetry and children’s literature after division should be examined closely. Fourth, to review the ultimate direction of Baek Seok literature, the work closely examining the process of children’s literature dispute should be preceded. To understand Baek Seok literature generally, declarative and rhetorical regulations should be avoided and objective·empirical work based on specific materials is essentially required.

      • KCI등재

        백석 시의 비유적 표현과 환유적 상상력

        신철규 ( Cheol Gyu Shin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3

        이 논문은 1920년대의 시들이 은유적 구조를 바탕으로 고립과 유폐된 자아로서의 자기 동일성을 확인하는 차원에 머물렀다고 보고 그러한 한계를 넘어서는 1930년대의 시인으로 백석에 주목했다. 특히, 고립된 시적 주체의 내면에 집중하지도 않았고 시대적 현실을 교조적으로 비판하는 자리에 서지도 않았던 백석의 시의식이 어떻게 대상을 바라보고 그것을 재현해냈는지 그 비유적 표현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백석은 은유에 비해 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설명적 성격이 강한 직유를 주로 사용했다. 직유는 비유의 과정을 명시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에 단일한 의미의 전달에 치우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은유처럼 전이의 흔적을 말소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은유에 내재된 근대의 표상 작용의 한계를 극복해내는 지점을 마련한다. 백석은 직유를 통해 체험의 직접성을 드러내면서 장소를 효과적으로 환기한다. 백석의 시에는 화자의 장소에 대한 애착과 개방적인 시선이 중첩되어 유사성과 함께 인접성이 비유(직유)의 동력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비유 속에서 시 속의 인물은 그가 속한 장소와 운명 공동체로 결속된다. 백석 시의 비유는 단순한 듯 보이지만 사물 간의 유사성이 인접한 장소에 대한 연상으로 보완되면서 풍부한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또한 백석의 시들은 대개 집단적 기억에 관련된 풍부한 일상적 경험을 원천으로 하고 있다. 백석의 시에서 가족 혹은 친지의 외양은 동물(가축)에 자주 비유되는데, 이는 그만큼 그러한 동물(가축)이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백석의 직유는 단순히 인물이나 사물의 이미지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가진 이야기(역사)에 집중하고 그것을 직유의 앞뒤에 풀어낸다. 이를 통해 백석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풍습과 관계된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고 그것과 함께 슬픔과 시간을 나누면서 공감하는 세계를 직조한다. 백석의 시에서는 사물의 누적된 슬픔과 시간의 다의성과 비규정성을 드러내기 위해 직유가 사용된다. 하나의 사물은 하나의 속성으로 귀결되지 않으면서 풍부한 함의를 가지며 독자의 상상력을 작동시킨다. 또한 이는 막연하게 표현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복합적인 감정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으로 향유하게 한다. 백석 시의 비유적 표현은 대상 간의 유사성을 부각시키기는 하지만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라고 보기 힘들다. 오히려 그것은 대상 간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근친성을 드러내면서 그 고유성을 부각시키고 인간과 자연, 사물과 장소가 하나의 운명 공동체임을 확인하게 해준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자연(사물)을 대상화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깔려 있다. 이러한 개방된 시선과 그 이동의 자유로움은 환유적 상상력에 기인한 것이다. 환유적 상상력은 주체가 대상을, 혹은 대상과 대상을 동일시하는 연상 체계가 아니라 주체가 대상을, 혹은 대상과 대상을 인접성에 의해 병렬적으로 파악하는 연상 체계를 말한다. 백석의 시는 서정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주관과 객관이 구분되지 않는 통일성을 기반으로 하는 동일성의 시학을 환유적 상상력을 통해 극복했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explore the metaphorical expression in Baek seok`s poetry. 1920`s poetry is based on metaphorical structure, in which poetic subject is isolated and do nothing but confirm self-identity. Baek seok`s poetry does not concentrate the inner world of isolated poetic subject and not dogmatically criticize the colonialized real situation. This treatise especially considers how Baek seok look into and represent objects by metaphorical expression. Baek seok mainly make use of simile than metaphor that attempt transference and expansion of meaning by appropriating terms belonging to another objects. Although demonstrating plainly the process of metaphor there is a limit to simile of inclining toward delivering single meaning, not erasing traces of transference it arrange a place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 representative system that is immanent in metaphor. By simile, Baek seok expose the immediacy of experience and evoke places effectively. Combined topo-philia and open view in Baek seok`s poetry, adjacencies among objects operate upon metaphor(simile) with similarities. In these metaphors, characters in poems are bound together places that they belong to. Moreover an appearance of family and close acquaintance is compare to animal or livestock, it proves animal and livestock is connected with their life. A simile in Baek seok`s poetry concentrates upon a history and episode of object rather than their image. In short, simile is applied to expose the accumulated time and emotion in object. Then, certain object don`t have one property, but it have abundant significance and give reader`s imagination full play. Also, it makes reader to enjoy concretely and sensitively man`s mixed emotion that is expressed obscurely and ambiguously. Although metaphorical expressions in Baek seok`s poetry standout similarity between objects, one hardly ever explains another one-sidedly. Instead, it displays singularities of objects by disclosing not only similarity but also adjacency between objects, and make reader to find that man and nature, object and place are bound together a single group sharing a common destiny. Poetic subjects in Baek seok`s poetry don`t see objects from man-centered view or objectification, but give place to objects themselves. These open views and free transpositions arise from metonymic imagination. The metonymic imagination is a association system that do not identified subject and object, or object and object, but understand objects in parallel with adjacency between one and another. By metonymic imagination Baek seok`s poetry overcome a poetics of identification, which is dealt with significantly in lyric poetry that is based on a uniformity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 KCI등재

        백석 시 전집 출간 및 어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경수(Lee, Kyung Soo)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출간된 네 종의 백석 시 전집을 중심으로 백석 시 전집의 출간 현황을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백석 시에 대한 어석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숭원 주해ㆍ이지나 편 『원본 백석시집』과 고형진 편 『정본 백석시집』은 원문 시 수록이나 시어 풀이에서 서로 이견을 보이기는 하지만 그 이전까지 출간된 백석 시전집의 오류를 상당 부분 극복한 의미 있는 성과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1948년까지 발표된 백석 시만 싣고 있어서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의 시를 확인할 수 없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또한 두 시전집의 원문 수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그 원인은 당시 신문이나 잡지의 편집 양식이나 기술의 미비로 인한 백석 시 원문의 불확정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백석 시 원문의 시행 분절이나 연 구성 등에 대해 판단해 정본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백석 시의 일반적인 시행 구성의 특징 및 시의 의미 단위, 시상의 전개와 흐름, 호흡과 리듬, 문체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연구자가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설득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2012년에 출간된 두 권의 백석 시 전집, 이동순ㆍ김문주ㆍ최동호 편 『백석문학전집 1ㆍ시』와 송준 편 『백석시전집』의 경우에는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의 시는 물론이고 새로 발굴된 작품들도 포함하고 있어서 백석의 창작시 전체를 수록하고자 한 노력이 인정되나, 원문 수록 및 시어 풀이에서 상당한 오류가 발견된다. 면밀한 실증적 검토를 통해 두 시전집의 오류가 보완될 때 백석 시의 전모를 온전히 파악하고 정본을 확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백석 시의 어석 연구에서 쟁점이 되어 온 문제는 다음 네 가지로 유형화된다. 첫째, 근거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시어의 정확한 의미가 밝혀지지 않아 연구자에 따라 의견이 갈리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둘째, 문맥 속에서의 해석이 연구자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셋째, 문맥에 따른 해석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고 사전에 의존해 기계적으로 해석하면서 이견이 발생한 경우를 들 수 있다. 넷째, 해석상의 이견이라기보다는 단순한 표기상의 오류로 보이는 불일치가 눈에 띄기도 한다. 이상의 오류들이 적절히 수정되고 보완될 때 백석 시의 전모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이상숙(Lee, Sang Sook)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이 논문은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한 시론이다. 백석은 1930 년대부터 1950 년대 후반까지 시, 소설, 아동문학, 평론 등의 장르를 망라하여 활발하게 번역을 하였고, 그 양 또한 적지 않았지만 백석 번역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하다. 분단 전 백석시가 꾸준히 학계의 관심을 받으며 관련 연구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만큼, 번역을 포함한 분단 후 북한 문단에서의 백석 문학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커지리라 기대한다. 이에 이 연구는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해 필요한 논의를 점검하고자 한다. 수백 여 편에 이르는 번역시와 십 수 명의 대상 작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란 논문 한두 편으로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그를 위해 방향과 경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목표를 한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백석 번역 문학과 번역시의 경계를 조망하고 대상 작품을 정리할 것이다. 요즈음 백석 번역 문학에 대한 발굴이 학계 내외의 노력으로 본격화되고 있어 1차 텍스트의 확보와 텍스트 한정이 매우 유동적이지만 현재 확보된 텍스트에 대한 규정은 필수적인 작업일 것이다. 또, 대상 작가와 작품에 대한 문학적 배경과 문학 일반의 이해를 시도한다. 이 논의가 백석의 번역시, 번역 문학에 대한 후속 논의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ems translated by Baek Seok. Although Baek was a prolific translator of literary works ranging from poems, novels, children’s literature and literary reviews from the 1930s until the late 1950s, his work as a translator has received limited academic attention. With an increasing scholarly awareness of Baek Seok’s collection of pre?Korean War poetry, it is expected that greater academic attention will be placed on the translations and other literary works he produced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discourses required to study the poems translated by Baek Seok. A full?scale study of hundreds of poems and more than a dozen authors is a journey that cannot be completed in one or two paper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fine the direction and boundaries of ongoing efforts.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the division between Baek Seok’s literature in translation and the poems he translated, limiting the works to objects of study. Through the efforts of people within and outside of academia, the unearthing of Baek Seok’s translation works has been gaining momentum, thereby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and selection of primary texts. Nevertheless, it is still indispensable to identify the texts currently available. Another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literary background of the author and his works. Also included in this essay are observations on the preparation required in assessing the translation works of Baek Seok, objectively reviewing his role as a translator of poetry and not as a poet. It is hoped that the dialogue initiated in this paper will be followed by additional debates on the poems and other literary works translated by Baek Seok.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Ⅰ

        이상숙(Lee Sang-sook)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1

        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s at identifying Back Suk, a North Korean poet. He had made his debut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nd continued his literary activities since Liberation. He mainly translated Russian literary works and wrote poetry for children and then became obscure betwee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after publishing several poems. Considering the attributes of his works, his obscurity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North Korea. In other words, the shifting era to Juche ideology from socialistic realism coincided with the vanishment of a plethora of literary figures who went to North Korea, inclusive of Back Suk. This thesis includes his translated works, children poetry and poems he published to protect himself from North Korea, who typically employed richly indigenous dialects and folk tales to depict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loneliness in his writing. In this regard, it will be greatly enthusiastic for researchers to appreciate his perspective and passion on poetry hidden in translated Russian poems and his pursuit of vernacular words and relics veiled in fairy tale poems. In fact, a few poems he wrote in the early 1960s reminds us of his pre-liberation literary style, which, nevertheless, seemingly didn't lead him to eminence. This thesis will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reviews on Back Suk made by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s well as those altered in the mid-1960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pave the way for the culmination of the latter period of his literature which the division of Korea has kept in the d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