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강변 저지대 시설원예단지 침수피해 실태조사

        남상운 ( S. W. Nam ),김태철 ( T. C. Kim ),김대식 ( D. S. Kim ),김선주 ( S. J. Kim ),이덕주 ( D. J.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금강변 저지대의 시설원예 재배단지를 대상으로 원예시설 현황 및 침수피해 사례를 조사하였다. 대상 지구는 농어촌공사 관리구역 내 상습 침수피해지역 중 예비답사를 통하여 3개의 배수장지구(논산 개척배수장, 부여 군수배수장, 부여 가회배수장)를 선정하였다. 조사는 연구원이 현장을 방문하여 대면 면접으로 하였으며 구역내 모든 시설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하였고, 응답한 농가수는 개척 234호, 군수 171호, 가회 200호로 전체 605농가였다. 주 재배작목은 개척이 수박(70%)과 딸기(24%), 군수는 수박(90%), 가회는 토마토(96%)였으며 대부분 단동 비닐하우스(91%)에서 재배되고 있었다. 여름철 혹서기에는 시설 내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대부분 9~10월에 정식하여 5~6월에 수확을 마치는 작기를 택하고 있었으며, 이는 장마철의 침수피해를 회피하기 위한 대안으로도 판단할 수 있다. 시설하우스 설치시 배수여건을 고려하였다는 응답이 77%로 나타났으나 침수의 우려를 무릅쓰고 저지대에 설치한 이유는 시설하우스 1동(200평)당 평균 소득이 622만원으로 조사되어 벼농사에 비하여 약 13배 정도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침수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농가는 전체의 45.8%였으며 피해횟수는 평균 11.1년에 1회 꼴로 나타났다. 피해시기는 주로 육묘기와 수확기였으며, 침수시간은 24시간 이상이 27%로 가장 많았고, 피해정도는 시설전체피해(100%)가 52%로 나타났다. 침수로 인한 피해액은 1동당 평균 277만원으로 응답하였으며, 침수 후 조치사항으로는 영농포기가 57%로 가장 많았다. 양수기나 배수고랑 등의 자가 배수시설을 갖추고 있는 농가가 85%로 나타났으며, 이 지역에서 시설재배 시 가장 시급한 사항으로는 배수개선사업 실시(28%), 에너지절감 대책(23%), 용수원확보(22%)의 순으로 나타났다. 배수개선사업이 필요한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61%가 매우 필요, 20%가 필요한 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배수개선사업의 시행 시기는 즉시(75%), 1~2년 이내(7%)로 나타났다. 원예작물 배수개선사업 시행시 고려할 사항으로는 배수로 능력 확대(32%), 배수장 능력 확대(31%), 배수지거 콘크리트 개거화(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원예시설의 입지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광(일사)조건과 용수(양과 질) 공급이며 그 다음으로 양호한 배수가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경지정리 된 논에 특히 상습적으로 침수되며 벼의 허용 침수시간을 고려하여 설계된 배수장 구역 내에 원예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므로 신규설치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미 설치되어 경작 중인 시설을 철거하거나 경작을 금지하기는 곤란하므로 시설 경작자에게 최소한의 의무사항을 부과하여 자가 배수시설을 갖추고 침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관리기관에서는 일정범위 내에서 배수능력을 향상 시키고 벼 재배와는 다른 유지관리 패턴을 도입하여 농민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대심도배수시설을 가진 도시유역에서의 치수계획 수립방법

        안정환,권용찬,허준행,정창삼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5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상태변화로 인한 도시유역의 홍수빈도와 규모의 증가는 도시유역 홍수관리에 대한 기존의 개념이 변화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배수펌프장과 대심도배수시설을 가진 도시유역에서의 치수계획 설정방법을 제시하는 연구로 목표 강우상태과 목표 침수특성치를 동시에 고려하여 치수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2010년 9월 21일 목동 빗물펌프장 유역에서 발생한 실제 침수피해규모와 모의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XP-SWMM 2011을 검증하였고, 검증된 모형을 기반으로 현재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대심도배수시설의 설치 전·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설계빈도인 30년 빈도의 강우를 적용한 경우 침수총량과 침수면적은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관로첨두유출량이 증가하고 첨두도달시간이 단축되어 목동 빗물펌프장의 설계규모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배수시설 조도계수 및 목동 빗물펌프장 운영규칙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5가지 Scenario를 구성하였으며, 이러한 변수 고려는 대심도배수시설을 가진 도시유역의 치수계획에 있어 중요한 인자로 이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A conventional concept of the flood management in urban watersheds are forced to be modified/changed since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the urban flood have been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and land use chang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establish a flood management in an urban watershed with pump station and underground sluiceway.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 the design magnitude using an urban inundation model(XP-SWMM 2011), rainfall matrix, and flood characteristic values.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were conducted as regulating the energy loss coefficient of bended conduits and comparing with inundation depth observed on September 21, 2010. As a result of preliminary simulation, the underground sluiceway was effective to decrease inundation, however a peak discharge of pump station was increased.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in Ogeum and Moc-dong pump station basin with 5 scenarios which were composed of combination of sluiceway conditions and pump station operation rules. As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principal parameters which have to be considered for flood management and reasonable operation rules of pump station in an urban watershed with under ground sluiceway.

      • KCI등재

        소규모배수로의 흐름상태를 고려한 저감시설의 설치기준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주진걸(Joo, Jingul),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산지지역, 도시지역 등에 설치된 배수로는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하지만 저감시설이나 유지관리에 대한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소규모배수로의 경우 유입되는 유송잡물이 퇴적되면 통수능력부족에 따라 월류피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배수로의 유송잡물 차단을 위한 저감시설을 개발하고 수리실험을 통해 포착효율을 분석하여 설치기준을고려한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실험조건을 수립하여 총 90조건, 90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유량, Froude Number 등의 흐름상태를 고려한 저감시설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소규모배수로의 설치기준을 고려한 산정식을 개발하기 위해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포착효율이며 독립변수는 유량, Froude Number, 저감시설의 한 칸의 유효단면적을적용하였다. 소규모배수로의 설치기준을 고려한 산정식은 E=1.337-5.074×Q-0.156Fᵣ-132.710A이며 유의성은 높은 것으로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규모배수로를 대상으로 목표 포착효율에 적합한 저감시설의 적용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While drainage installed in mountainous and urban areas play various roles for supplying and draining water, the standards for reduction facilities and maintenance are insufficient. In the case of small drainage, if there is an inflow of deposited debris, overflow damage occurs due to lack of water supply capacity. In this study, a reduction facility was developed to block the transport of debris in a small drainage. The equation considering installation standards was proposed by analyzing capture efficiency through hydraulic experiment. By establishing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a total of 900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90 different conditions. The reduction effect of reduction facilities was analyzed by consideration of flow conditions such as discharge and Froude Numb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quation that considers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a small drainage. The dependent variable was capture efficienc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scharge, Froude Number, and an effective cross sectional area of reduction facilities. The equation considering installation standard of small drainage is E=1.337-5.074×Q-0.156Fᵣ-132.710A and the significance i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reduction facilities suitable for target capture efficiency targeting small drainage.

      • 배수로 막힘방지를 위한 거름시설 개발 연구

        송영석,김익환,임채헌,박무종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최근 설계빈도 이상의 집중호우 발생시 배수로에 퇴적된 토사 및 유송잡물은 배수로의 통수능력을 감소시켜며 배수로 월류로 인한 토양의 습윤량 증가는 산사태의 발생가능성을 향상시킨다. 2011년 우면산과 2014년 부산의 산사태 발생은 토사 및 유송잡물등에 의한 주거지역 및 주요시설물 지역등에 직접적인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비슷한 토사재해의 사례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배수로 설계기준에서는 토사 및 유송잡물 퇴적으로 인한 배수로 통수단면적 감소의 저감기준이나 저감대책등은 전무한 실정이며 배수로 막힘방지를 위한 저감시설이나 침사지등의 시설은 계획되지 않았다. 배수로 설계시 배수로의 단면여유를 20%정도만을 고려하였을 뿐 명확한 토사퇴적에 대한 대비체계는 검토되지 않았다. 산사태 발생시 토사 및 유송잡물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고 배수 및 통수불능에 의한 2차적 피해가 크므로 이에 대한 저감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토사 및 유송잡물등의 퇴적을 고려한 배수로 설계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로 막힘방지를 위한 토사 및 유송잡물의 거름시설의 설치를 통해 배수로로 유입하는 토사 및 유송잡물을 포착하고 배수로의 통수능력을 확보하여 재해예방을 통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저감하고자 한다.

      • 시설원예단지를 위한 논의 배수개선사업 일본사례 연구

        김대식 ( D. S. Kim ),김태철 ( T. C. Kim ),남상운 ( S. W. Nam ),김선주 ( S. J. Kim ),이덕주 ( D. J.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이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일부 추진하고 있는 시설원예를 위한 논의 배수개선 사업에 대하여 일본의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 중에서 배수장이 설치된 사례로서, 일본의 고치현 스사끼시에 있는 이케노우치지구와 고치시에 있는 하루노조사업지구에 대하여 관리부서와 현장을 답사한 결과, 사업의 정책적 방향, 기반정비의 개념에 대하여 우리나라와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사업의 명칭은 경영체육성기반정비 사업으로 1990년대에 들어 시작되었는데, 기존의 수도작 재배에서 벗어나 시설원예작물 재배를 고려하여 포장을 재정비해왔으며, 최종 목표는 정비후에 수도생산조합을 구성하여 대규모 영농을 분업화하는 체제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비는 국비 50%, 현비 35%, 시정촌 5%, 그리고 농민 자부담 10%로 구성되며, 농민의 자부담과 요청이 있을 경우 사업이 성립된다. 기반정비의 방향은 포장은 시설원예에 맞게 재정비하고, 저지대는 대량 객토로 높이고, 배수로는 깊게 파고 넓혀서 즉시 배제가 가능토록 하며, 배수장은 펌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배수용량을 확대하였다. 이케노우치지구에서는 여름철의 포장관수를 예방하기 위해 1975년에 배수장을 설치(1100mm구경 2대)한 후, 경영체육성기반정비사업(1992-2002)으로 용수시설은 파이프라인으로, 배수로는 콘크리트화, 도로겸용 암거화 실시, 그리고 별도사업으로 1000mm 구경 2기의 배수펌프를 증설하였다. 허용담수심 0mm에 즉시배제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사업전 수도작이 15.4ha였으나 사업후 수도작 5.8ha로 감소하고 묘과 10.7ha, 양파 2.5ha, 오이 2.6ha 등 밭작물이 14.0ha로 대폭 증가하였다. 사업전 평균 2년에 1회 침수피해가 사업 후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시설원예에 적합한 양질의 용수를 확보하기위해 지하수 취수원을 확보하고 저류지를 만들어 파이프라인망을 정비하여 효율적인 용수이용을 가능케 하였다. 이와 같이 저지대를 객토하고 배수로를 확대 정비하고 배수장 능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펌프를 추가로 설치한 형태는 고치시 니시하타케지구도 동일하였다.

      • KCI등재

        한말 부산거류 일본인의 상수도시설 확장공사와 그 의미

        김승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4 No.-

        부산의 제1기 상수도공사(1894. 6~1895. 1)는 1908년 8월 준공한 서울의 뚝도(纛島)수원지 제1정수장(경성수도양수공장)보다 앞선 시기에 축조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수도시설로 보아야 할 것이다. 만약 부산의 제1기 상수도공사를 근대 수도시설로서 규정하기에 공학적인 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면 늦어도 제1기 공사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여과시설과 배수시설의 확장, 송수관 및 배수관 등을 모두 철관으로 교체한 제2기 공사(1900. 1~1902. 1)는 한국 최초의 근대 수도시설로 파악하는 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서울의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을 한국 근대 수도시설의 효시로 파악하는 학계의 입장은 정정되어야 할 것이다. 제2기 상수도 공사는 인구 6천 명이 하루 사용할 수 있는 수도시설로 확장하였다. 여기에 들어가는 재원은 일본 본국으로부터 국고지원이 없었기 때문에 일본거류민단 자체에서 재원을 해결해야 하였다. 부산의 제3기 상수도공사(1908. 4~1910. 9)는 제1, 2기 공사 때와는 달리 한국정부에서 35만원의 경비를 지원하였다. 이 지원금은 일본거류민단에서 제3기 공사를 위해 일본흥업은행으로부터 대부받은 117만원에 대한 이자상환금으로 충당되었다. 막대한 경비를 동원한 제3기 공사비의 62%에 해당하는 금액이 성지곡수원지공사(38%)와 배수관공사(24%)에 소용되었다. 제3기 공사는 예상했던 금액보다 21만원을 줄일 수 있었는데 이는 자재운반을 위한 소기관차를 이용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이렇게 공사에 동원된 소기관차와 레일은 공사완료 후 곧바로 부산~동래간 경편철도로 재차 이용되었다. 따라서 제3기 공사는 단순히 수도시설의 확충에 그치지 않고 도시교통의 확장이란 결과를 낳았다. 이점이 도시개발이란 측면에서 다른 도시의 수도 시설공사와 차별성을 갖는 제3기 공사의 또 다른 파급 효과였다. 이때 조성된 복병산배수지는 성지곡수원지와 함께 현재까지 부산을 대표하는 근대적 건축물로서 존속하고 있다. 1911년 부산의 실제 수도사용호수는 전체 거주 호수 중에서 41.3%를 점했고 나머지 59%는 우물과 하천수를 이용하였다. 우물과 하천수의 사용호수 중 93%는 하수를 이용하고 나머지 7%는 우물을 이용했다. 부산에서 하천수의 이용비율이 이처럼 높았던 것은 서울과 비교했을 때 부산의 지형 자체가 해안선을 끼고 배후지가 좁은 지형적 특성 때문이었다. 1911년 부산의 수도보급비율 41.3%는 1912년 서울의 수도보급율 32.1%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한말 부산지역 수도시설의 그 내면을 보면 제3기 공사 당시 배수관이 설치된 대부분의 지역은 과거 초량왜관으로 개항 이후 일본전관거류지로 변경된 일본인 거주 밀집지역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형적 수도시설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한말 부산지역 수도시설의 혜택은 서울과 달리 재부일본인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제공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The first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1894. 6~1895. 1) in Busan may be regarded as the first modern water service in Korea rather than the first filtration plant in Seoul which was completed in 1908. If the first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in Busan is difficult to be regarded as the first modern water service in Korea because of technology, we can regarded the secon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1900. 1~1902. 1) as the first modern water service in Korea. Because the secon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was done with the extension of filtration facilities and supply facilities of water, the change to an iron pipe. In the secon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the new iron pipe which replaced the clay pipe and the iron pipe and the new supply facilities could make 6,000 people use water service for a day. Water supply charge(47,000won 54%), water service improvement and various kinds of taxation(25,448won 30%) were appropriated to the secon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1908. 4~1910. 9) in Busan was funded by the Korea Empire. 62% of the cost of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was appropriated to the construction of Seonjigok reservoir(38%) and the construction of water pipe(24%). The cost of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was cut down by 21,000won because of a small engine for transport of materials. The small engine and rail used for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came to be used for the light railway from Busan to Dongnae. So,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resulted in the extension of the traffic facilities of city as well as the extension of water facilities. The characteristic of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in other city was urban development. The proportion of use of river in Busan was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use of river in Seoul, which was owing to topography of Busan that had a small hinterland. The number of water service, 41.3% in Busan is higher than the number of water, 32.1% in Seoul in 1911. But the supply facilities equipped in the third construction of water service was mostly set up in the Japanese settlement. Therefore, In spite of external extension of water facilities, the benefit of water facilities was mostly given to Japanese in Busan unlike in Seoul.

      • KCI등재

        경복궁(景福宮) 배수시설(排水施設)의 조성원리(造成原理)에 관한 연구

        김태민,남호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4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rainage facility of Gyeongbokgung Palace based on the traces of the relic found during the excavation survey. Historical records indicate that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for smooth drainage facility for the palac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there are no drawings showing the image of early appearance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the founda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it through the drawings prepared after the King Yeongjo’s reign. The image of the palace after reconstruction can be seen through the 「Bukgwoldohyeong」 and other relevant documents. At this present, since the survey intends to determine the image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based on the standard restoration pla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drainage facility of Gyeongbokgung Palace during King Gojong’s reign, particularly on the collecting wells and culverts of six areas including “Chimjeon Hall”, “Taewonjeon Hall”, “Geoncheongung Hall”, “Sojubang Hall”, “Hamhwadang – Jipgyeongdang - Yeonghundang Hall”, and “Heungbokjeon Hall”. Gyeongbokgung Palace is divided into various zones composed of the central halls and surrounding corridors, and the drains also primarily start from each hall and later join the central drain of the zone. The central drain then leads to the "Eo-gu(御溝)"37 and the water led to the "Eo-gu" is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gate. It appears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were basically devised to coordinate artificial drain with the natural drain using the natural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palace. Research showed that the collecting well where the draining begin wa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a large amount of household sewage was generated but mostly in the corners where corridors met or corridors and wall met. This appears to be an arrangement to handle the water falling from the roof and household sewage. Also, “Ju(廚)”38 was installed mainly at the end of the corridor to handle household sewage. The installation of these drainage facilities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drainage of Gyeongbokgung was very compact under a series of plans. 본고의 목적은 유구의 발굴조사로 확인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복궁의 배수시설을 파악해보는 데 있다. 궁궐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여러 노력은 창건기 경복궁에서부터 지속되었음을 사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창건기 당시 경복궁의 모습을 확 인할 수 있는 도형은 남아있지 않지만, 영조대 이후 제작된 도형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으며, 중건 이후의 모습은 「경복궁전도」, 「경복궁도」, 「북궐도형」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이 고종대 중건 경복궁을 복원 기준으로 삼고 있기에, 본고 역시 고종대의 경복궁 배수 시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중 본고에서는 침전, 태원전, 건청궁, 소주방, 함화당·집경당·영훈당, 흥복전 등 여섯 권역의 집수정과 암거를 분석해 보았다. 경복궁은 중심전각과 주변행각으로 구성된 여러 개의 권역으로 구성되는데, 배수 역시 각각의 행각과 전각에서 시작하여 권역별 중심배수로로 합수되는 방식임이 확인되었다. 기본적으로 중심배수로는 개방형 어구로 연결되고 어구로 나온 물은 최종적으로는 수문으로 출수되는 형태가 확인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경복궁의 구지형을 이용한 자연배수와 인공배수를 조화하기 위한 배치로 보인다. 배수가 시작되는 집수정은 생활하수가 다수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행각과 행각, 행각과 담장이 접하는 모퉁이에 주로 설치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는 지붕의 낙수 처리와 생활하수 처리를 고려한 배치로 판단되며, 특히생활하수의 처리를 위해 행각이 끝나는 부분에 주로 주(廚)칸을 설치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배수시설의 설치는 경복궁의 배수가 일련의 계획 하에 매우 치밀하게 구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남한강유역 성곽 내 집수시설과 排水體系

        전혁기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location, structure, and changes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dentified in the fortress adjacent to the Namhan River basin.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fortress's drainage system by exploring the related remains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and operated around the 7th century by Silla. It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square or rectangular (◇) planar forms with diagonal cross-sectional shapes, to square, rectangular, or circular planar forms with vertical or stepped cross-sectional shapes. The unique rectangular shape (◇) is particular to this region. This modification appears to be meant to withstand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more efficiently. The drainage system of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s closely linked to a water source management facility. This system comprises several components, including an aqueduct, protective stonework, drainage channel, pumice stone facility, water collection facility, spillway, and drainage hole (fortress wall). This mechanism is typically found at the bottom of a fortification, on a slope.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here not only reserves collected water in the valley but also slows the flow of water to prevent ground erosion and protect the fortress wall. Building a water collection facility first could have been considered to enhance the moist conditions of the low-lying area and stabilize the foundation. The water collection system in a fortress should be viewed as an essential par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rather than as a separate facility created within a fortress. Therefore,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water collection system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changes of a fortress. 본고에서는 남한강유역 성곽 내 집수시설의 입지와 구조를 분석하고 변천양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집수시설의 附屬 유구를 통해 성내 排水體系에 대해 고찰하였다. 남한강유역 성곽 내 집수시설은 신라가 축성한 성곽에서 7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축조‧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평면 – 방형(◇) + 단면 – 사면형에서 평면 – 방형, 원형, 말각다각형 + 단면 – 수직형, 계단형으로 변화하는 양상이다. 특히 평면 ‘◇’ 형태의 집수시설은 남한강유역에서 확인되는 특징적인 양상으로 성내의 土壓과 水壓을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내 배수체계는 집수시설과 수원관리시설의 조합양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배수체계는 도수로 → 보호석축 → 배수로 → 부석시설 → 집수시설 → 여수로 → 수구(성벽) 등의 순차적인 방식을 택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주로 성곽 내 하단의 계곡부에서 확인된다. 이곳에 축조되는 집수시설은 성내 계곡부로 집중되는 수원을 저장하는 기능뿐 아니라, 유속을 낮추고 地盤의 연약화를 방지하여 성벽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한편 축성 이전의 저습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집수시설을 먼저 축조하여 지반을 안정시키는 공정도 고려되었을 것이다. 이처럼 집수시설은 성곽 내에 축조되는 개별 유구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축성 계획 및 공정 단계에서 고려되는 중요시설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집수시설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성곽의 축성과 운영 그리고 경영변화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GIS 기법을 이용한 광미댐 수문 분석

        송원경(Wonkyong Song),허승(Sung Heo),김태혁(Tae-Heok Kim) 한국암반공학회 2008 터널과지하공간 Vol.18 No.5

        광미적치장 수문 분석은 강우에 의한 유출량 합과 배수처리량을 단순 비교하는 댐과 달리 지하 배수시설 뿐만 아니라 지상배수시설과 비상배수시설 등 여러 종류의 배수처리 시설이 복합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유출량과 배수량을 시공간적으로 비교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다단계 배수시설로 구성된 구 상동광산의 신광미적치장의 배수처리 능력을 GIS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배수시설이 정상 작동할 경우 100년 빈도 1시간 확률강우량인 80.31 ㎜/hr의 강우강도로 1시간 동안 비가 내리더라도 범람의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모든 배수시설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총 강우량이 251.1 ㎜에 도달할 때 광미댐은 범람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Hydraulic analysis in a dam that has a single outlet of water can be made through a simple comparison between the total precipitation and the volume of discharged water. In case of tailing dams this estimation could yield an error because several drainage facilities are worked independently as well as simultaneously. In this research, a capability of the drainage system in the tailing dam of the old Sangdong Mine was analysed by the means of GIS technic.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expected that in the normal working condition of the whole drainage system, the flooding of water over the dam should not occur in spite of the consecutive precipitation during one hour with an intensity of 80.31 ㎜/hr, a probable precipitation within 100 years. It was, however, revealed that, if the drainage system did not work completely, the water could flood over the dam when the total precipitation reached 251.1 ㎜.

      • KCI등재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 5개 시설(하?폐수, 축산?분뇨 및 음식물) 처리장 중심으로

        전준민(Jun-Min Jeon),서윤섭(Yun-Seob Seo),정만호(Man-Ho Jeong),이학성(Hak-Sung Lee),이민도(Min-Do Lee),한진석(Jin-Seok Han),강병욱(Byung-Wook Kang) 한국냄새환경학회 2010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5개 업종의 환경기초시설 중 대표적으로 관리가 우수하거나 미흡한 시설을 각 1개씩 선정하여 악취배출 특성을 파악하고, 시설별?공정별 주요 악취원인물질을 도출함과 아울러, 미흡시설에 대한 적합한 악취저감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초시설별 부지경계선에서 보인 직접 관능도(air direct sensory) 및 복합악취(air dilution value)는 J음식물자원화시설이 다른 기초시설에 비해 높았으며, 복합악취는 391배로서 악취방지법의 배출허용기준(15배)을 초과하고 있었다. 기초시설 중 미흡시설로 구분된 시설들의 직접관능도 및 복합악취는, 음식물자원화 > 축산폐수 > 하수 > 분뇨 > 폐수처리시설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J음식물자원화시설은 모든 공정에서 매우 강한 취기로서 직접관능도 5도, 복합악취는 1,800∼10,000배 범위로서 악취방지법상 배출허용기준(500배)을 초과하였다. 기초시설별 악취배출 특성 및 주요 악취원인물질은, 하?폐수처리시설 경우 1차침전지 및 농축조에서 복합악취도가 높았고, 황화합물과 알데하이드류 성분들이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나타났으며, 축산?분뇨처리시설은 저류조 및 액상부식조에서 복합악취도가 높았고, 황화합물과 암모니아 성분이 주요 악취물질로 검출되었다. 음식물자원화시설은 다른 시설에 비해 전 공정에서 높은 복합악취를 보였고, 황화합물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물질이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작용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ow the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well maintained environment fundamental facility and the poorly maintained environmental facility. It also draws major components of odor emission based on facilities, stages, and suggest the proper way to reduce the level of odor for insufficient facilities. Insufficient facilities' air direct sensory and air dilution value levels are following: foodwaste > livestock > wastewater > night-soil > sewage. For the sewage and waste water facilities,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odor emission on each fundamental facility showed higher air dilution value in depositing reservoir and concentrator. And sulfur and aldehyde compounds came out to be the major odor causing components. In the case of night-soil and livestock facilities, the air dilution value was high in flow equalization tank and liquid erosion tank. And sulfur as well as ammonia component was the major malodorous substance. Foodwaste facility showed higher air dilution value than other facility, which sulfur and acetaldehyde compounds were acting as major malodorous sub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