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송통신콘텐츠 심의에 관한 검토: 문제점 및 제언

        노현숙 법제처 2024 법제 Vol.705 No.-

        방송통신콘텐츠의 공공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설립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방송콘텐츠의 공정성과 객관성 등을 사후에 심의하고, 인터넷콘텐츠를 심의하여 삭제하거나 차단한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위원은 정당의 추천에 의한다는 점에서 정치적으로 편향된 심의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다수 발견되어 명확성의 원칙에 위반될 수 있고, 위원의 전문성에 관하여 규정되지 않고 결격사유만을 규정하고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위원에게 제시되는 자료의 내용과 실제 상황 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 공정한 심의가 진행되지 않을 여지가 있다. 그 밖에 방송콘텐츠와 온라인콘텐츠에 대하여 차별적인 규제가 적용되고 심의 기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심의기구 및 심의절차 자체가 사실상 사전검열의 기능을 할 수 있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사실상 행정기관의 성격을 가진다면 국가기관에 의한 표현의 자유 침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 방송통신콘텐츠 심의에 있어서, 방송통신콘텐츠 시장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방송콘텐츠와 인터넷콘텐츠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접근 및 심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의 구성에서 정치적 균형 및 공정성이 보장되도록 하고 전문성 규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콘텐츠의 창작 및 제작 단계로부터 자체적인 자율규제 기준 또는 자체심의 기준을 적용하여, 콘텐츠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자율규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정치적 중립성을 상실하거나 심의기구로 인하여 표현의 자유가 침해될 수 있는 점이 심의절차 및 심의기구 존재의 중대한 문제이지만, 현재 국내 상황에서는 콘텐츠 심의에 의한 표현의 자유 제한보다는 허위조작정보나 가짜뉴스의 유통으로 인한 국민의 알 권리 침해가 더욱 심각하지만 이러한 콘텐츠를 심의하기 쉽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심의를 지연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등 방심위의 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점이 심각한 문제로 보인다. 잘못된 정보를 근거로 형성된 여론은 국민 스스로가 자신에게 피해가 되는 잘못된 선택으로 귀결된다. 그러므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자체적인 기능 회복이 어렵다면, 콘텐츠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적과 자발적인 문제 제기를 통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정상적인 심의를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which was established to ensure the public nature and fairness of broadcast contents, review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broadcast content after broadcasting, and also reviews and deletes or blocks Internet content. Since the members of the Commission are recommended by political parti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politically biased deliberation results. In addition, many parts of the Commission's deliberation standards are found to be unclear, which might violate the principle of clarity, and, therefore,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in that it does not stipulate the expertise of members of the Commission but only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If there would be a difference between the reports presented to the Committee and the actual situations, fair deliberation might not proceed. In addition, discriminatory regulations are applied to broadcast content and Internet content, and no clear basis for review standards is provided. Above all, the deliberation body and deliberation procedure itself could actually function as prior censorship, and if the Commission is considered as an administrative agenc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ight be an infringement on freedom of expression by a state agency. In the review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tent, it is believed that a consistent approach and deliberation to broadcast and Internet content is necessary, reflecting changes in the broadcast and internet content industry environment. There is a need to ensure political balance and fairness in the composition of the Commission and to supplement professionalism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freedom of expression of content and provide motivation for self-regulation by applying self-regulatory standards or self-review standards from the creation and production stage of content.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with the existence of the deliberation procedure and deliberation bodies is that the Commission might lose its political neutrality or the freedom of expression might be infringed due to the deliberation body. However, in the current domestic situation, the lack of review of content rather than the restri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through content deliberation causes false and manipulated disinformation. Although the violation of the public's right to know due to the distribution of fake news is more serious, it is not easy to review such content, and in some cases, it is suspected that review is intentionally delayed, which appears to be a serious problem. Public opinion formed based on incorrect information results in the people making wrong choices that cause harm to themselves. Therefore, now if it is difficult for the Commission to restore its own functions, it seem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ommission can proceed with normal deliberation through citizens' active criticism of content and voluntary raising of issues.

      • KCI등재

        장애인방송 공익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이용자 인식 연구

        진승현(Seunghyun Jin),이영희(Young Hee Lee),박성순(Sung Soon Park),이재진(Jae Jin Lee) 한국언론법학회 2017 언론과 법 Vol.16 No.1

        본 연구는 장애인방송을 통한 방송의 공익성 실현을 위해서는 기존 양적인 제한만을 두고 있는 고시에서 나아가 질적인 부분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고 보고 장애인방송 전문가와 이용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장애인방송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온 전문가들과 실제 장애인방송을 이용하는 시청각장애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방송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화면해설방송 이용자들은 낮 시간과 심야시간대에 집중된 방송 편성과, 미흡한 편성정보 제공, 그리고 수신기 문제를 불편한 점으로 지적했다. 폐쇄자막방송의 경우 가독성이 떨어지는 점과 느린 속도에 대한 부분이, 수화방송은 적은 편성비율과 작은 화면크기, 이해하기 힘든 수화표현이 지적되었다. 또한 장애인방송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화면해설방송의 경우, 편성표 안내와 다시보기 서비스의 통합 시스템 구축, 이용자들의 의견과 전문가 자문 등을 수렴할 수 있는 창구의 마련, 주시청 시간대 편성 및 충실한 화면해설의 제공, 질적 수준을 담보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된 제작가이드라인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작가교육 등이 제기되었다. 폐쇄 자막방송은 가독성을 저하시키는 오탈자와 자막 속도의 문제, 한국수어방송은 5% 편성비율의 한계, 수화화면의 확대 필요성 등이 우선적으로 지적되어있으며, 폐쇄자막방송과 한국수어방송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하여 이용자와 전문가는 공통적으로 장애인방송 이용자 의견 반영시스템 구축, 질적 수준 담보와 평가를 위한 제작 가이드라인 마련, 지속적인 모니터링, 제작인력의 전문교육 및 보수교육 필요 등을 제기하였다. To realize public interest in the broadcasting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WDs), this paper examines the recognition of such service for PWDs by relevant broadcasting experts and users who consider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existing notifications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As a means to analyze the levels of recogn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oth experts who have continued to carry out research on broadcasting services for PWDs and user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who follow broadcasting services for PWDs. According to this paper’s analysis of the use of broadcasting services for PWDs, persons who use the descriptive video service pointed out that most programs are heavily aired during the day and late at night, programming information is not sufficiently provided, and receivers do not work well. In the case of closed captioning, people stated issues with regard to poor legibility and the slow speed of captioning. With respect to the sign language broadcasting service, the people indicated drawbacks such as the low percentage of programming, the small size of the allotted screen, and sign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addition, things to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descriptive video service for PWDs include building systems that integrate programming schedule information with the replay service, creating a window to listen to users’ opinions and experts’ advice, placing programs with sufficient explanations in the prime time, establishing guidelines on the criteria for the quality of broadcasting services, and educating screenwrit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In the case of closed captioning, priorities to be resolved involve preventing misspelled words and improving the low speed of captioning, which may deteriorate legibility, increasing the current percentage of programming with sign language of 5%, and expanding the sign language service screen. Lastly, to increase the qualitative level of Korea’s closed captioning and sign language broadcasting service, the users and experts emphasize in common the needs for developing systems to reflect users’ comments and establishing guidelines to secure and evaluate the quality of broadcasting services for PWDs, in conjunction with continuously monitoring and educating the personnel in charge of producing and maintaining programs for PWDs.

      • KCI등재

        방송산업에서의 경업금지계약에 관한 고찰 -미국의 판례와 이론을 중심으로-

        진도왕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2 스포츠와 법 Vol.15 No.4

        This paper analyzes the U.S. judicial and legislative prohibitions on the enforcement of non-competition contract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The U.S. courts have long tried to provide a legal basis for non-competition contracts specified in broadcasting industry, taking account of uniqueness of that industry. Unlike other industries, broadcasting employers use non-competition contracts to protect investments in their broadcasting employees, rather than intellectual property known as trade secrets. Suppose that an broadcasting employer provides education, training, and advertising in order for a broadcasting employee raise name-recognition and improve the persona in the market. This serves to create the employer’s business legitimate interests by increasing audience ratings. Non-competition contract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are generally designed to enable broadcasting employers to reap the reward of their investments. Considering that viewer and listener trend is rapidly becoming changed, however, enforcing non-competition contracts may cause irreparable harms to broadcasting employees in the sense that their popularity and reputation is likely to be lost during the period of the noncompete unless he takes employment with a competitor. This implies that non-competition contracts may serve to block the entry of broadcasting employees into the market for broadcasting employment. Moreo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at the broadcasting employee’s popularity has been created as a result of his employer’s investment like advertising efforts. Sometimes, it could be attributed to his own personality and ability. In this way, the U.S. judicial trend has moved toward broadcasting employee protection from broadcasting employer protection. This judicial trend has become spread in the U.S. through legislative prohibitions on the enforcement of non-competition contract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이 논문은 미국의 방송산업에서의 경업금지계약 법리를 살펴본다. 미국의 각 법원은 방송산업과 방송 관련 직업의 특징을 감안하여 그에 맞는 경업금지계약의 법리를 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다른 산업분야와 달리, 방송 산업분야에서는 회사의 영업비밀 등의 지식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보다는 인적 자본에 제공한 투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편으로 경업금지계약을 사용한다. 가령, 방송사는 아나운서의 인지도를 높여 청취율・시청률을 올리기 위해 해당 아나운서에 대한 교육, 직업훈련, 홍보 등의 투자를 하는데, 이러한 방송사의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경업금지계약이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방송사의 투자비용 회수라는 이익과 그것을 보호하는 데에 따른 아나운서의 침해되는 이익을 비교형량하게 되는데, 이 지점에서 미국 법원은 아나운서라는 직업의 고유한 특징을 대폭 반영하고 있다. 특히, 아나운서 등과 같은 직업의 경우 이미지나 인지도, 명성 등이 곧 직업의 본질로 작용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빠르게 변하는 대중의 취향이나 기호를 감안해 볼 때, 경업금지계약은 아나운서의 방송 시장으로의 재진입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드는 면이 없지 않다. 게다가 아나운서 등 방송종사자들이 대중으로부터 얻게 되는 인지도나 명성이 오로지 방송사의 투자의 결과라고만 볼 수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나운서 본인의 자질이나 부단한 노력에 따른 부분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몇몇 개별 주들이 방송산업에서의 경업금지계약의 원칙적 금지를 입법화한 이유는 이러한 종류의 계약이 앞서 설명한 방송 관련 직업들의 구체적 특징들을 충분히 반영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는 법적 장치로 판단한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법제도나 그에 관한 법리들은 그 사회의 사회적・경제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므로, 미국 방송 산업분야에서의 경업금지계약에 관한 법리들을 우리 법의 현실에 그대로 옮겨 놓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다만, 우리나라의 방송산업이나 방송시장이 급속도록 확대되는 추세에 놓여 있고 방송사들 간의 경쟁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방송산업이 확장되고 방송사간의 시청률・청취율 경쟁이 치열해지면, 자연히 아나운서 등의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것이고, 앞서 언급한 투자비용의 회수를 담보하기 위해 경업금지계약이라는 법적 장치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방송 산업분야에서의 경업금지계약을 바라보는 시각을 정립할 필요가 있는데, 여기에 미국의 사례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방송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방송저작권의 새로운 파라다임

        하영태 ( Young Tae Ha ) 한국법정책학회 2015 법과 정책연구 Vol.15 No.4

        방송·통신기술의 계속적인 혁신과 방송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방송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극적으로 변화하는 이 시점에서 방통융합시대의 방송과 저작권의 문제를 검토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방송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방송의 대중미디어로서의 공적 성격이 변화하고 있는 점, 과거 방송자원의 희소성에 의거한 논리들이 들어맞지 않게 되어 이제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 방송 저작물도 기존 방송에 국한되지 않고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새로운 공중전달방식에 의하여 전달될 수밖에 없는바, 방송의 개념이 확장되고, 더 나아가 방송 개념이 공중전달에 포섭되어 글로벌화하는 변화를 반영하여 새로운 방송권인 공중송신권의 개념을 정립해야 하는 점, 저작권 집중관리기구의 육성이 필요한 점, 방송저작권의 국제적 보호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방송의 저작권자로서의 지위를 강화하도록 하는 점 등이 앞으로의 방송저작권의 새로운 파라다임의 변화 방향임을 지적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의 저작권법 등 법 제도의 개선과 정책적 논의가 필요함을 강조 하였다. With the globalization of innovation and continuous broadcasts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progress this environment surrounding the broadcast industry make sense to review the issue of broadcasting and copyright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s Convergence Era at this point to change dramatically. Therefore, this paper in terms of public character as the broadcast of the mass media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hanged, is not fit logic are based on the scarcity of past broadcasts resources Now that require access from a new perspective, broadcasting work also It is not meant to be transmitted by the broadcast and communication is fused new air delivery system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raditional broadcast bar, the concept of a broadcast is being extended, and further shows the concept of to reflect the change to the globalization is subsumed in the air passing new broadcast rights that you ne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public transmission rights, that needed nurturing of copyright focused management organizations, strives for the international protection of broadcasting rights point to strengthen its status as proprietor of the broadcast, such as a new paradigm for the future of broadcasting rights pointed out that the change of direction. In this regard, he stressed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discussion of domestic policy, such as legal systems of copyright.

      • KCI등재후보

        영국 ITV Digital의 실패에 관한 연구

        김승수(Seung-S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0 No.-

        디지털방송은 나라마다 전략 산업으로 확정되어 급속히 발전하는 중이다. 디지털 방송은 지상파방송, 위성방송. CATV에 이르기까지 방송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힘을 갖고 있다. 경제적으로 보면 디지털 방송은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사업이다. 그래서 디지털방송정책은 신중히 수립되어야 한다. 디지털방송 사업자 역시 다른 어떤 사업보다 신중한 자세로 사업을 진척시켜야 할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방송의 전도는 지극히 불투명하다. 특히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불투명성은 더 심각하다. 한국에서도 디지털 지상파방송은 총 70조 원까지 들어간다는 예측도 있지만 막대한 자본이 소요되는 사업이어서 정부, 방송사, 수용자 학계 누구하나 디지털 방송사업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보다 먼저 디지털 지상파방송을 실시한 나라를 참고하면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필자는 영국 lTV Ditigal 방송의 실패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발전에 유용한 교훈을 얻으려 할 것이다. This essay provides a critical introduction to some of the major issues relating to ITV Digital. The demise of ITV Digital has hit the economics of broadcasting industry in UK. ITV Digital's failure is seen as digital nightmare. This study approaches to three dimensions of the failed ITV Digital. There are the failure of policy, business strategy, technological debacle. As I have discussed, competitive environment of digital broadcasting squeezed ITV Digital into financial trouble. In order to examine current development of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three questions have been raised. First, What is the government of digital broadcasting? Second, What is the business strategy of ITV Digital? In particular, the failure of business model deserved careful watching. Third, What is the failure of digital technology?

      • KCI등재후보

        방송ㆍ통신 융합서비스의 적정 규제 방안

        이상우(Sang-Woo Lee),곽동균(Dong-Kyun Kwak)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7 No.-

        방송ㆍ통신의 융합이 진전됨에 따라, 방송과 통신이 분리되어 규제되는 현재의 법과 제도는 상당한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통신망과 방송망 허가의 실질적인 권한이 규제기관별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망과 방송망의 융합에 따른 이중규제의 문제뿐만 아니라 새롭게 탄생하고 있는 신규 융합서비스를 어떠한 서비스로 분류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원활한 방송ㆍ통신의 융합을 촉진시키고 기존의 방송과 통신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방송과 통신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차등화 기준과 방송과 통신의 중간영역에 위치한 서비스들에 대한 새로운 규제환경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비록 2004년 3월에 새로운 방송법이 통과되었지만, 통과된 방송법을 살펴보면 방송과 통신의 개념에 대한 논리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보다는 두 기관의 이익을 어느 정도 충족시킨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결론지을 수밖에 없다. 이는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가 도입되었을 때,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가 또다시 소모적인 논쟁을 되풀이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고, 이는 통신방송 융합서비스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일종의 ‘규제의 아노미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 환경 속에서 전통적인 방송과 통신의 개념에 바탕을 둔 서비스의 분류가 어려워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새로운 융합서비스의 개념을 방송과 통신의 공공재적 특성과 양방향적 특성에 기반하여 이해해 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현상에 대한 ‘논의의 정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존의 논의의 틀을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이를 서비스의 본질적 속성이라는 ‘근원적 태생’을 기준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관련 규제 체제의 정비에 지침을 마련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서 시작하였다. 즉, 임기응변적인 자의적 구분을 탈피하여, 기술적 특성과 그로 인해 비롯되는 서비스의 본질적 차이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융합서비스의 적정 규제 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As we know, broadcasting implies a unilateral transmission by one sender to several recipients of information generally produced by third parties. Contrary to that, telecommunications implies an exchange between participants. Participants exchange information they produce during an interaction. However, in the age of convergence betwee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t becomes difficult to determine exactly the boundary between services classified under telecommunications and those classified under broadcasting services. This means that new regulatory regime should be introduced to meet the convergence between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n this article, we try to overcome the existing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regulating convergent services. In order to develop more powerful and useful framework for dealing with new convergent services, we focus on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cast services," which could give us very significant basis for further discussion. "Cast services," such as traditional broadcasting servic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public goods (non-exclusivity and non-rivalry in consumption) and non-interactivity.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these three characteristics, we are able to apply different regulatory regime to those convergent services.

      • KCI등재

        위성DMS의 시장진입에 대응한 공영방송의 역할

        이병섭(Lee Byung Sup)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 No.15

        본 연구는 다매체다채널상황에서 공영방송의 역할과 위성DMB의 지상파재송신에 대한 공영방송의 입장과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공영방송의 역할은 첫째, 시민의식을 고취시키고, 문화의식을 고취하며, 세계화된 시민의 자질을 갖출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며, 둘째, 이 혜택이 모든 사람에게 첨단의 기술까지 사용하여 무료/염가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방송복지의 관점에서, 공영방송 재원의 추가 확보의 관점에서, 국민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공영방송이 위성DMB의 지상파재송신을 수락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지역방송사들의 방송구역을 침해함으로써 법적 정당성을 상실하고, 지역방송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성제고를 약화시키기 때문에 현재의 상황에서는 수락할 수 없는 입장이다. 공영방송은 위성DMB의 분쟁상황하에서는 지상파 DMB의 신속한 시행과 수신 단말기의 개발, 보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분쟁이 해결될 경우, 프로그램을 무료 혹은 유료로 제공하여 방송복지 증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speculate the role of public broadcasting service(PBS) in the multimedia multichannel situation, especially the responses of PBS to the retransmission of program of terrestrial broadcasters by SDMB(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he roles of PBS are delivering various programs that is sustaining citizenship, encouraging cultural spirits, giving global viewpoints, and servicing all freely using the best of current technology. For this, PBS could not accept the suggestion of SDMB's retransmission because of locality infringement, in spite of the benefits of additional fund, enlargement of universal service, and probable economic value. To improve the situation of digital devide, PSB do lead the broadcaster to develop the technology of terrestrial DMB and start the service early. When the debate on the retransmission is over, PSB could supply its programs to SDMB for the access of people to PSB programs easier.

      • KCI등재후보

        방송설립 초기의방송개혁 운동에 대한 담론분석 -미국신문의 보도프레임과 정치적인 함의

        유승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이 연구는 1930년부터 1934년 미국에서의 방송에 대한 정체성을 결정하는 태동기에 신문이 방송개혁운동을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내용분석과 담론분석을 이용한 프레이밍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 신문이 방송개혁운동을 1930년대 방송제도화의 출발시기이자 격동기에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양적, 질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둘째, 이를 통해 신문과 라디오방송의 관계 변화가 방송개혁운동을 다루는데 어떤 변화와 영향을 주었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가장 뚜렷한 특징은 방송개혁운동에 대한 양적 취재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공론의 장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질적으로 보았을 때도 방송개혁운동에 대한 신문의 주된 프레임은 부정적인 것이 많았다. 그리고 라디오가 신문의 경쟁매체가 될 것이라는 인식이 점차 신문과 방송의 공생과 전략적 제휴로 변화되었던 것도 공익적 방송제도의 논의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종합적인 요인들과 함께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볼 때 기존 미디어산업과 관련자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현상유지를 위한 가치와 경향이 미래 미국방송의 소유와 운영 방식을 포함하여 상업방송 이외의 다양한 방송구조에 대한 논의를 촉구하고자 했던 방송개혁운동을 위한 담론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ress covered the broadcasting reform movement during the early 1930s. Specifically, the study, using key word searches of broadcast reform groups, investigated the New York Times from 1930 to 1934 when commercial broadcasting was formally set up. In doing so,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any number of articles covered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s and its related figures and events, and which frames were generally used. Second, it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 and radio affected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newspaper coverage of the broadcast reform debate was neglected. The press covered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very rarely, which also means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drew very little attention from the press even if several groups and intelligentsia tried to seek public support. More seriously, among very scant amount of coverage about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the media did not frame the issue more in-depth by marginalizing important public interest discourse. Consequently, the lack of press coverage for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and unsophisticated media frames stemmed from the press-radio relationship in that era contributed to the prevention of sufficient public debate about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Hence it might well have established the current system of advertising-supported and profit-driven media commercialization of radio broadcasting. The lack of coverage also maintained the status quo of the radio industry being inherently neutral and wholesome for the American public. Also, viewed from the press coverage of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during the early 1930s, the recognition of the press that radio became their strong competitor had not played any positive role in generating support for the broadcast reform movement.

      • KCI등재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에 관한 법적 연구

        이춘구(Lee Choon Goo) 한국언론법학회 2014 언론과 법 Vol.13 No.2

        우리의 공영방송은 늘 정치적 독립성 시비에 휘말리고, 정치적 독립성을 명분으로 노동조합의 파업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연원적으로 공영방송은 권위주의시대의 국영방송 체제를 겪고 난 뒤 태동된 것이다. 이에 따라 국영방송적 법제가 잔존하고, 정치 세력으로부터 지배를 당하며 민주적 여론형성의 본래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방송법과 방송통신위원회법 등을 통해 방송위원회와 공영방송 이사회, 사장 등 지배구조가 망으로 연결돼 있다. 여당과 야당 등 정치세력들은 공영방송이 자신들의 입장을 반영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공영방송 내부적으로는 강력한 노동조합과 기자ㆍPD협회 등이 지배구조를 압박하며 자신들의 의지를 관철하려고 하고 있다. 언론법학계는 공영방송 개념이 법적으로 정립되지 않고,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을 나누는 범주도 제대로 정해지지 않은 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영방송의 개념과 범주를 법학적으로 정립하려고 시도한다. 문화방송을 공영방송으로 존치시켜야 한다는 이론이 강한 게 사실이다. 문화방송이 재원을 주로 광고에 의존하고, 프로그램도 민영방송적 전통이 이어지는 점 등을 고려해 민영으로 환원하는 방안도 제시해본다. 한국방송공사는 KBS 지주회사로 전환하고, KBS 1TV, 2TV, 3TV, 송신공사를 각기 독립회사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1, 2TV는 지금처럼 각기 시사교양과 생활정보ㆍ대중문화 중심 채널로 특성화하고, 교육방송공사를 다시 합쳐서 3TV로 운영하며 1TV와 콘텐츠를 공유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다. 송신공사는 한국방송공사 전 채널의 송신을 전담하면서 효율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이럴 경우 1공영 다민영체제가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여러 이론을 검토하면서 양당 중심의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국민 중심의 다원 구조로 입법을 개혁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우리 사회가 직능단체 등 다원적으로 발전하는 추세를 고려해 독일의 ZDF식 방송위원회를 대안으로 모색해본다. ZDF처럼 방송위원이 50~60명에 이르고, 위원들이 국민대표로서 직분을 성실히 수행한다면 지금처럼 첨예한 갈등구도는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방송의회 형식의 방송위원회가 구성되면 공영방송의 민주적 지배구조와 정치적 독립이 보다 더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정치권과 노동조합ㆍ각종 협회 등 공영방송을 둘러싼 여러 세력들이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에 공감대를 형성 하고 입법 개혁을 이룩하기를 촉구한다. Korean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are criticized because they are not performing duties at their best for political problems. It represents that they are not free from political effects. They have their own control systems which are controlled by politics i.e. government and parties, unions, associations of reporters and PDs. Korean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were born from national broadcasting system of authoritarian government. So the legal vestiges of national broadcasting system are still left and political powers are always trying to control them for the gain power. And unions, associations of reporters and PDs are also trying to show their power to keep powerful effects on leadership of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especially from June 29 Declaration till now. So I try to get over these difficulties in this study and I suggest to define the concept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in law. And I suggest to rebuild the system of public and private broadcasting systems. So it will be natural for MBC to go back to private and commercial broadcasting company for public. MBC has been operated by commercial revenues and is broadcasting mainly the popular entertainments and the sensational programs like SBS. And I suggest to construct KBS holding company to control KBS 1TV and KBS 2TV, KBS 3TV(EBS), Sending Corporation. Then we will have one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nd plural private broadcasting companies. And I suggest that the National Assembly shall revise the broadcasting act for people centered pluralistic system than two parties centered pluralistic system. Korean society has made much development in pluralistic system. So it is better for us to introduce broadcasting committee of the german ZDF style. By this we are to realize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t last I urge the politicians and union leaders, association members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to agree to the need for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public and to revise the broadcasting law.

      • KCI등재후보

        공영방송 PD와 시청자간의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장하용(Jang, Ha Yong),조명희(Cho, Myung-Hee)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2

        이 연구 는 제작 PD들이 방송 공익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방송 공익성에 대한 PD의 인식이 시청자들과 얼마나 다르며, 이런 인식적 괴리에 어떤 요인이 개입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KBS의 제작 PD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해서 방송 공익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에 대한 제작 PD과 시청자들의 평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규범적 공익성에 대한 PD와 시청자의 인식은 상당히 유사한 편이었다. PD와 시청자 모두 방송 공익성을 구성하는 요소로 ‘정치적 독립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었다. 그러나 방송 공익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작 현장에서 필요한 요인들을 의미하는 ‘실천적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PD와 시청자 간에 유사성과 괴리가 함께 존재하는 모습을 보 이고 있었다. PD의 담당 장르와 경력은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과 시청자와의 괴리 모두에게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요인이었다. 경력이 짧은 드라마, 예능 PD와 오랜 경력의 시사교양 PD는 방송 공익성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며, 시청자와의 인식적 괴리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방송 공익성에 대한 PD들의 인식이 서로 다르며, 동시에 시청자들과도 상당한 인식적 괴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방송사는 공익성의 개념과 구현 방법에 대한 내부적인 조정과 합의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외부적으로는 수용자가 생각하는 공영방송의 가치를 파악해서 제작진과 수용자 간의 인식 차이를 좁히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Korean public broadcasting company(cf.KBS) producers’ perception of public interest.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i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normative public interest’ and ‘on-site public interest’. This study also looks into the existence of gaps on the perception of public interest between producers and viewers, and the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thiese perceptual gaps. An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to find the constructing components of ‘on-site public interest’,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is carried out with the KBS producers and viewers. The results shows that the perceptions of ‘normative public interest’ among producers and viewers are quite similar,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erception of ‘onsite public interest’ are found. They both recognize that the important elements of public interest is political independence and autonomy in the production process, but they differ in the aspect of program contents, i. e. the producers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tection of minorities but the viewers emphasize mor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benefits. The producer’s career length and genre in charge are bot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erception of public interest. The producers who had short careers and in charge of drama and entertainment programs are different with other producers in the perception of ‘on-site public interes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exist perceptual gaps among the producers and between viewers and the producers as well. These results imply the possible conflicts on the definition and its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 The Korean public broadcasting company therefore needs to conciliate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among its producers, and makes various efforts to narrow the perceptual gaps between producers and vie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