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외 해체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 해체에 관한 연구

        권다영,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9 No.3

        방사선은 의료 분야 뿐 아니라 공업 분야, 농업 및 식품생명 분야 등에 이용되고,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의 운영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의 해체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고, 시설 해체 시 발생될 문제점에 대해 예측해 볼 필요성이 있다. 원자력발전소 등의 대형방사선이용시설의 해체에 대한 대비는 진행되고 있으 나,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적은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의 해체에 대해서는 대비가 부족한 상황이다. 사이클로트론의 방 사화나 브라질 고이아니아의 방사성물질 누출사고를 생각해보면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의 사고 시 그 영향은 대형 방 사선이용시설에 비해 작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 해체 사례 가 많은 국외의 사례 중 국내에서 많이 가동되고 있는 사이클로트론, 방사선치료시설 등 시설별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 다. 또한,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 해체 시 각 시설별 또는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시설과 선원의 재사용, 공간 부족, 이해 당사자의 개입, 대중의 방사선 노출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 해체 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RI & RG are used in various field such as medical field, industrial field, agricultural and food&life field. The number of small nuclear facilities is on the increase. We need to take an interest in decommissioning of small nuclear facility and predict the occurring problem from facility decommissioning. Because of the relatively low radiation risk, the preparation of the small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is often neglected. As the accident in Goiania, Brazil showed, the impact of the decommissioning of small nuclear facilities is not less than the large nuclear facilities although it may seem dangerless. Therefore, we analyzed the each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ecommissioning of small nuclear facilities through foreign case study on this research. Also, we proposed several considerations on decommissioning such as reuse of facility and source, lack of space, stakeholder involvement and failures of protection. Through these study, we tried to make guideline of the small 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 SCOPUSKCI등재

        두개내 배아종의 방사선치료

        장세경(Sei Kyung Chang),서창옥(Chang Ok Suh),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4

        목 적 : 두개내 배아종은 방사선에 매우 예민하여 방사선치료만으로 높은 완치율을 기대할 수 있는 종양중의 하나이지만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데에 있어서 적절한 방사선량과 치료용적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두개내 배아종의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적정 방사선량과 적정 치료용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1년부터 1992년까지 연세암센타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두개내 배아종 환자 4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17.2세 이었고 남녀의 성비는 2.2:1 이었다. 병변의 위치는 송과체 부위가 14예, 안상 (suprasellar) 부위가 12예이었고 다발성 병변은 12예였다. 방사선치료용적은 국소조사를 시행한 경우가 10예, 전뇌조사를 시행한 경우가 7예, 두개척수조사를 시행한 경우가 28예 이었으며 1982년 이후에는 모든 환자들에서 두개척수조사가 시행되었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원발병소에는 41∼59 Gy (중앙값 48.5 Gy), 척수축에는 19.5∼36 Gy (중앙값 24 Gy)이었다. 추적관찰기간은 2∼260개월로 중앙값은 82개월 이었다. 결 과 : 방사선치료 후 모든 환자들이 완전관해를 보였으나 이 중 4예에서는 14, 65, 76, 170개월에 각각 재발하였다. 또한, 추적관찰기간 중 2예는 병발 질환으로 사망하였다. 5년과 10년 전체생존율은 각각 95.3%와 84.7%이고, 5년과 10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97.6%와 88.8%이었다. 재발이 있었던 4예를 살펴보면 국소조사를 시행한 환자들에서 3예, 전뇌조사를 시행한 환자들에서 1예가 재발하였고 조사된 방사선량은 48∼50 Gy 이었다. 두개척수조사를 시행한 28예 중 재발한 경우는 없었는데 이 중 15예는 원발병소에 조사된 방사선량이 45 Gy 이하였고 18예는 두개척수조사를 통해 척수축에 조사된 방사선량이 24 Gy 이하였다(6예는 19.5 Gy). 결 론 : 두개내 배아종에서 100%의 완치율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두개척수조사의 시행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며 방사 선량은 원발병소에는 45 Gy 이하, 척수축에는 19.5 Gy 까지 낮추어도 배아종을 충분히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decrea sing the radiation dose and to determine optimum treatment volume in intracranial germinomas. Materials and Methods : Forty fiv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verified or presumed germinomas by a radiosensitivity test who had been treated with radiotherapy (RT) alone between 1971 and 1992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average age was 17.2 years with 68.9% of the patients being between the ages of 10 ∼20. The male and female ratio was 2.2:1. The locations of the primary tumors were at the pineal regions i n 14 patients; the suprasellar regions in 12 patients; and multiple sites in 12 patients. Treatment volumes varied from a small local field (10) to the whole brain (7) or entire neuroaxis irradiation(28). All the cases after 1982 received craniospinal irradiation (CSI). Radiation doses were 41 - 59 Gy (median 48.5 Gy) to the primary tumor site and 19.5∼36 Gy (median 24 Gy) to the neuroaxi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82 months with a range of 2∼260 months. Results : All the patients showed complete response after RT. Four patients sufferred from recurrence 14, 65, 76, and 170 months after RT, respe ctively, and two patients died with intercurrent disease. One of four recurrent cases was salvaged by re -irradiation. Therefore, a 5 and 10 year overall survival was 95.3 % and 84.7 % respectively. Five and ten year disease-free survival was 97.6 % and 88.8 % respectively. All the recurrences occurred in the patients who received local RT (3/10) or whole brain RT (1/7) with a radiation dose of 48 -50 Gy. None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CSI suffered recurrence. There was no recurrence among the 15 patient s who received ≤45 Gy to the primary site and the 18 patients who received ≤24 Gy (6 patients received 19.5 Gy) to the neuroaxis. Conclusion : CSI is recommended for the treatment of intracranial germinomas. The radiation dose can be safely decreased to ≤45 Gy on a primay tumor site and 19.5 Gy on the spine.

      • KCI등재

        여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요인 분석

        이주영(Ju young Lee),박훈희(Hoon Hee Park)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2

        본 연구는 핵의학 분야의 방사선종사자에 대해 방사선 피폭선량을 지식, 인식, 행태 및 이와 관련된 요인으로 분석하고, 특히 여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를 중심으로 피폭선량과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핵의학과에 근무하는 방사선종사자 106명(여성 : 42명, 남성 : 64명)을 대상으로 방사선 피폭선량과 일반적 특성, 지식, 인식, 행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핵의학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지식, 인식, 행태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여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에서 피폭선량과 지식 점수는 – 0.221, 피폭선량과 행태 점수는 – 0.512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남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는 피폭선량과 행태 점수는 – 0.248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신 경험 유무에 따른 여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지식, 인식, 행태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임신 경험이 없는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과 지식 점수는 – 0.238, 피폭선량과 행태 점수는 – 0.511이었으며, 임신 경험이 있는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과 인식 점수는 – 0.540, 피폭선량과 행태 점수는 – 0.643으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핵의학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의 관련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성별 요인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의 피폭선량이 3.272 mSv 낮았다. 여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의 관련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행태 요인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으며, 임신 경험이 없는 방사선종사자에 비해 임신 경험이 있는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이 0.332 mSv 낮았다. 핵의학 방사선종사자 중 여성은 방사선 지식정도에 비례하여 행태에 반영하고 방사선 방어에 대해 실질적으로 노력하는 반면 남성은 방사선 지식을 행태적으로 거의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남성은 보다 적극적인 방사선 방어에 대한 교육을 통해 피폭선량 저감을 위한 활동이 요구된다. 또한 여성 핵의학 방사선종사자 중임신 경험이 없는 방사선종사자는 방사선 방호와 관련하여 지식 정도에 비례하여 행태에 반영하지만, 임신 경험이 있는 방사선종사자는 지식 정도와는 관계없이 인식 정도가 행태에 반영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임신 경험이 없는 방사선종사자는 방사선 방어에 대한 인식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임신 경험이 있는 방사선종사자는 지식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의 적용이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radiation workers who work in nuclear medicine department were analyzed to find the cause of differences of radiation exposure from General Characteristic, Knowledge, Recognition and Conduct, especially females working on nuclear medicine radiation, in order to pave the way for positive defense against radiation exposure. The subjects were 106 radiation worker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sixty-four males and forty- two females answered questions ab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 Knowledge, Recognition, Conduct, and radiation exposure dose which was measured by TLD (Thermo Luminescence Dosime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as the higher score of knowledge and conduct was shown, the radiation exposure decreased in female groups, and as the higher score of conduct was shown, the radiation exposure decreased in male group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female groups, the non-experienced in pregnancy showed decreasing amount of radiation exposure as the score of knowledge and conduct was higher and the experienced in pregnancy showed decreasing amount of radiation exposure as the score of recognition and conduct was higher. In the 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factors of radiation exposure dose of nuclear medicine radiation workers, the gender caused the meaningful result and the amount of radiation exposure of female groups compared to male groups. In the 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factors of radiation exposure dose of female groups, the factor of conduct showed a meaningful result and the amount of radiation exposure of the experienced in pregnancy was lower compared to the non-experienc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revealed that radiation exposure of female groups was lower than that of male groups. Therefore, male groups need to more actively defend themselves against radiation exposure. Among the female groups, the experienced in pregnancy who have an active defense tendency showed a lower radiation exposure. Thus, those who have never been pregnant need to have a more active defensive conduct for the future possibility of pregnancy.

      • KCI등재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내/외) 화장실의 외부선량률

        조용귀(Yong Gwi Cho),안성민(Seong Min A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2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외 화장실 표면 방사선량률과 공간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화장실을 이용하는 환자 이외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환자보호자 등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방사선 방어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시 하고자 한다. 2014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인천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외 화장실 4곳의 공간 방사선량률과 작업 전/후 표면 방사선량률을 각각 측정하였다. 의료기관별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 화장실 이용 실태조사 결과 환자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 일부 방사선 작업종사자까지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었다. 화장실 내 공간 방사선량률 측정 결과 핵의학적 검사 중 감마촬영실을 이용하는 화장실의 누적 공간선량률은 8.86 mSv/hr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방사성옥소 치료실 화장실은 7.31 mSv/hr, PET촬영실 화장실 2.29 mSv/hr, 외래 진료과 화장실 0.26 mSv/hr 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방사성동위원소 작업 전/후 화장실 내 표면 방사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환자 배설물이 직접 닫는 변기 앞에서 표면 방사선량률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화장실 내 중앙, 입구 순으로 측정되었다. 개봉선원은 물리적 반감기가 짧고 에너지가 낮아 비교적 안전하여 방사선 관리구역에서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에너지 이며 짧은 반감기의 방사선원이라 하더라도 환자에게 투여되면 그 이후 환자는 움직이는 방사선원이 되며 환자가 이용하는 장소는 배설물에 의한 방사선 오염 장소가 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유효선량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해 방사성동위원소 투여 후 충분한 수분 섭취를 독려하여 생물학적 반감기를 낮추고, 물리적 반감기가 허용 선량이하로 될 때까지 주변인은 환자로부터 가급적 멀리 떨어져 생활하도록 권고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herefore aimed at measuring the surface dose rate and the spatial dose rate in and outside the radionuclide facility in order to ensure safety of the patients, radiation workers and family care-givers in their use of such equipment and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further research on radiation prote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t 4 restrooms in and outside the radionuclide facility of a general hospital in Incheon between May 1 and July 31, 2014.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patial contamination dose rate and the surface contamination dose rate before and after radiation use were measured at the 4 places− thyroid therapy room, PET center, gamma camera room, and outpatient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troom use survey by hospitals, restrooms in the radionuclide facility were used not only by patients but also by family care-givers and some of radiation workers. The highest cumulative spatial radiation dose rate was 8.86 mSv/hr at camera room restroom, followed by 7.31 mSv/hr at radioactive iodine therapy room restroom, 2.29 mSv/hr at PET center restroom, and 0.26 mSv/hr at outpatient department restroom, respectively. The surface radiation dose rate measured before and after radiation use was the highest at toilets, which are in direct contact with patient's excretion, followed by the center and the entrance of restrooms. Unsealed radioactive sources used in nuclear medicine are relatively safe due to short half lives and low energy. A patient who received those radioactive sources, however, may become a mobile radioactive source and contaminate areas the patient contacts−camera room, sedation room, and restroom−through secretion and excretion. Therefore, patients administered radionuclides should be advised to drink sufficient amounts of water to efficiently minimize radiation exposure to others by reducing the biological half-life, and members of the public−family care-givers, pregnant women, and children−be as far away from the patients until the dose remains below the permitted dose limit.

      • 자궁경부암에서 방사선치료 중 혈중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값의 변화

        윤형근(Hyong Geun Yun),박석건(Seok Kun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방사선치료 중에 혈중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값의 변화를 관찰하여 치료에 대한 반응을 감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 특히 치료중 원격전이 등으로 인한 치료실패가 발생할 경우에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단국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원발성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13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치료전 및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중 매주 1회씩, 그리고 치료 후에 혈중 SCC 치를 측정, 분석하였다. 결 과 : 13례 중 9례에서는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후에 시행한 검사상 원격전이의 소견이 없어서 자궁강내 근접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었다. 이들 9례 중 7례는 방사선치료 전에 혈중 SCC 치가 상승되어 있었다. 이 7례중 6례에서 치료 후 완전 관해의 소견을 보였는데 그중 5례에서는 혈중 SCC 치가 정상화되었다. 부분관해를 보인1례에서는 혈중 SCC 치가 치료전보다 낮아졌으나 정상범위보다는 높았다. 13례 중 나머지 4례에서는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시점에 원격전이가 확인되어서 자궁강내 근접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못하였다. 이 중 3례는 방사선치료 전에 혈중 SCC 치가 상승되어 있었는데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직후 시행한 흉부단순촬영 사진상 원격전이의 소견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 때의 혈중 SCC 치는 감소하였다. 치료 전에 혈중 SCC가 상승되어 있었던 10례 중 7례에서 9 Gy 치료 후에 혈중 SCC 값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였다. 18 Gy 시행한 후의 값은 9 Gy 시행한 경우에 비해서는 3례에서 증가하였고 7예에서 감소하였으며 치료 전에 비해서는 4례에서 증가하였고 6례에서 감소하였다. 18 Gy 이후에는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혈중 SCC 치가 감소하여 종양이 완전 관해에 이르면 정상범위에 도달하였다. 결 론 :방사선치료 중에 혈중 SCC 치는 9 Gy까지는 치료 전에 비해서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18 Gy에서는 치료전의 값과 비슷해지며 그 후에는 빠르게 감소해서 종양이 완전 관해에 이르면 정상치에 도달하였다.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종료 후 흉부단순촬영 사진상 폐 전이의 소견을 보인 경우들도 혈중 SCC 치는 주로 자궁경부의 주종양의 관해도에 따라 감소하여 주종양의 완전관해시 정상화되었고 폐 전이의 발현에도 불구하고 증가하지 않았다. Purpose : To evaluate the s ignificance of serum SCC for the monitoring of treatment response and the early detection of distant metastas is during radiotherapy (RT). Mate ria ls and Me thods : In 13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serum SCC values were checked in pre- RT point, weekly during RT, and in post- RT point. Results : In 4 of 13 cases , metastas is appeared at the end of external RT, so that intracavita ry radiation couldn't be performed. Of these 4 cases , 3 with elevated pre- RT SCC level, who resulted in lung metastas is on chest PA at the end of external RT showed decreased post- RT SCC value despite of metastas is . Of all 10 cases with elevated pre- RT SCC value (including 3 with metastas is at the end of external RT), SCC value was higher than pre- RT value in 7 at 9 G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 ignifica nt. At 18 Gy, SCC was higher in 4 and lower in 6 than pre- RT va lue. After 18 Gy, SCC value decreased continuous ly to the end of RT in all 10 cases . Conclusion : During RT, SCC value increased initially at 9 Gy. To 18 Gy, SCC value decreased to the nearly same with pre- RT va lue. After 18 Gy, to the end of RT, SCC value decreased continuous ly and normalized in completely responded cases . In cases with appearance of lung metastas is , SCC value also decreased with the disa ppearance of main mass of uterine cervix despite of metastas is .

      • KCI등재

        Mechanism of Radioresistance Induced by Low-Dose Irradiation

        Park,Sanghee,Yoo,Seong Yul,Cho,Chul Koo,Lee,Yeonhee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1996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1 No.2

        림프구와 림프종에 고준위 방사선(8 Gy)을 조사했을 때, 저준위 방사선을 먼저 조사한 경우 세포 생존률이 3.7배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세포생존률은 고준위 방사선 조사로 발생되는 산소라디칼의 제거, 변성된 유전자와 단백질의 제거, 변화된 세포의 제거 등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준위 방사선 조사로 유도되는 방사선 저항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준위 방사선 조사시 발생되는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는 효소들의 활성과 방사선 보호제로 알려진 glutathione의 양을 측정하였다. 림프종의 경우 저준위 방사선 조사시 peroxidase의 활성이 133.3%로 증가하였다. 림프구의 경우는 superoxide dismkutase, glucose-6-phoshpate dehydrogenase 와 gluathione의 활성이 각각 138.5%, 122.4%,120.8%로 증가하였으며, 이들 효소들의 활성은 저준위방사선 조사간격이 7 시간일때 가장 증가되었다. After high-does irradiation(8 Gy), the viability of lymjphocyte with a prior low-dose irradiation was 3.7-fold higher than that without a paior low-dose irradiation. The viability could be increased by tyhre reeuction of oxygen radicals or the rmoval of damaged molecules-DNA. protein, lipid membrane,or the rmoval of damaged cells.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radioresistance mechanism in lymphocytes and lymphoma cells by examining the activities of radical scavengers(catalase,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nd a radical protector(glutathione). Different enzymes were induced in lymphocyte and lymphoma with ow-dose irradiation. The activikty of peroxidase increased most(133.3%) in lymphoma, while the enzymes increased most in lymphocyte were superoxide dismutase(138.5%). glucose-6-phosphate degydrogenase9122.4%) and glutathione(120.8%). The activities of these enzymes were highest when the interval was 7 hours between low-dose and high-dose irradiation.

      • KCI등재

        방사선피폭관리시스템를 위한 D-Shuttle 선량계의 방사선 선량측정

        권대철(Dae Cheol Kweon) 한국방사선학회 2017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5

        D-Shuttle (Chiyoda Technol Corporation, Tokyo, Japan) 선량계를 이용하여 개인피폭관리 및 자연방사선량 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D-Shuttle을 이용하여 선량을 산출하였다. 선량보고서에서 400 일 노출되었을 때에 1.346 mSv 이었고, 연간선량 (annual dose per year)은 1.228 mSv/ye ar, 평균시간선량 (average dose per hour)은 0.014 μSv/hr 이었다. 국내의 개인 외부피폭선량 (1.295 mSv/year =Korea average natural individual external dose), 국내의 연간부가선량 (additional dose per year)은 -0.0663 mSv /year 이다. D-Shuttle은 방사선모니터링을 위한 개인선량계로 방사선의 검출성능 우수한 기능, 실시간 방사선 피폭관리, 방사선 작업의 경보 기능, 효율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개인 방사선선량의 피폭관리로 ALARA 에 매우 유용한 선량계로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와 지역주민의 방사선모니터링 측정기기로 병원, 산업, 의료현장, 원전사고 지역과 비파괴 분야의 위험한 지역에서 방사선모니터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exposure and the monitoring of natural radiation dose using D-Shuttle dosimeter (Chiyoda Technol Corporation, Tokyo, Japan). The dose was calculated using D-Shuttle dosimeter. The dose was 1.346 mSv when exposed for 400 days, the annual dose per year was 1.228 mSv/year and the average dose per hour was 0.014 μSv/hr. Domestic individual external dose (1.295 mSv/year = Korea average natural individual external dose) and domestic additional dose per year is –0.0663 mSv/year. D-Shuttle is a personal dosimeter for radiation monitoring. It can be used as a very useful dosimeter for ALARA because of its excellent detection capability of radiation, real-time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alarm function of radiation work, and efficient and easy to use personal radiation dose management.. Radiation monitoring equipment for radiation workers and local residents can be used for radiation monitoring in hospitals, industry, medical sites, nuclear accident areas and hazardous areas in non-destructive areas.

      • SCOPUSKCI등재

        흰쥐의 위점막에 Paclitaxel (Taxol)과 방사선조사의 효과

        이경자(Kyung-Ja Lee),구혜수(Heasoo Ko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4

        목 적 : Paclitaxel (Taxol)은 미소관의 집합을 촉진시키고 분해를 방지하는 미소관 억제제로서 이 작용은 세포주기 중 방사선에 예민한 G2/M 시기에 일어나기 때문에 방사선조사와 병용할 경우 방사선감작제 가능성이 있다. Paclitaxel과 방사선조사를 병용하여 흰쥐의 위점막에서 paclitaxel이 방사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군은 paclitaxel 단독군, 방사선조사 단독군 및 paclitaxel과 방사선조사 병용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여 paclitaxel 단독군은 paclitaxel (10 mg/kg)을 복강내 1회 주입하였고, 방사조사 단독군은 8 Gy를 전복부에 단일조사하였으며, paclitaxel과 방사선조사 병용군은 paclitaxel (10 mg/kg)을 복강내 주입 후 24시간에 방사선조사 단독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사선조사하였다. 실험 완료 후 위점막 내 유사분열수, apoptosis 와 기타 점막의 변화를 시간별로(6, 24시간, 3일 및 5일) 비교관찰하였다. 결 과 : Paclitaxel 주입 후 위점막 내 유사분열은 증가하지 않았고 apoptosis는 6시간에 5.75%였고 3일까지 비슷하게 지속되었다. Paclitaxel 주입 후 경미한 위선의 확장이 24시간에 관찰되었고, 세포의 비정형이 24시간과 3일에 보였으나 5일에는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방사선조사 단독군에서 apoptosis 는 6시간에 6.0%로 가장 많았으며 24시간에 1.25%로 감소되었고 5일까지 지속되었다. 위선의 확장과 세포의 비정형은 방사선조사 후 6시간부터 5일까지 계속해서 경미하게 보였다. Paclitaxel과 방사선조사 병용군은 apoptosis가 6, 24시간, 3일 및 5일에 각각 5.5, 4.5, 4.0, 4.0%로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하여 24시간부터 많아졌고 3일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선의 확장과 세포의 비정형은 palcitaxel과 방사선조사 병용군에서 방사선조사 단독군에 비하여 증가되지 않았다. 결 론 : 흰쥐의 위점막은 paclitaxel 주입 후 24시간에 방사선조사를 시행한 결과 apoptosis를 종말점으로 볼 때 paclitaxel의 첨가효과만을 보여 주었다. Purpose : Paclitaxel is a chemotherapeutic agent with potent microtubule stabilizing activity that arrests cells in G2- M phase. Because G2 and M are the most radiosensitive phase of the cel l cycle, paclitaxel has potential role as a cell-cycle specific radiosensitiz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the effects of paclitaxel on the radiation-induced damage of gastric mucosa of the rat. Materials and Methods :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i.e., paclitaxel alone group, radiation alone group and, a combination of paclitaxel and radiation in combined group. A single intraperitoneal infusion of paclitaxel (10 mg/kg) was done in paclitaxel alone group. In radiation alone group, a si ngle fraction of irradiation (8 Gy, x-ray) to the whole abdomen and, a combination of a single fraction of irradiation (8 Gy, x -ray) to the whole abdomen was given 24 hrs after paclitaxel infusion in combined group of paclitaxel and radiation. The inciden ce of mitosis and apoptosis as well as histologic changes of the gastric mucosa were evaluated at 6 hrs, 24 hrs, 3 days and 5 days after treatment. Results : The number of the mitosis was not increased by paclitaxel infusion. The incidence of the apoptosis was similar from 6 hrs to 3 days after paclitaxel infusion and was decreased at 5 days. Paclitaxel induced minimal glandular dilatation and cellular atypia of gastric mucosa at 24 hrs and 3 days. In irradiation group, the incidence of apoptosis was 6.0% in 6 hrs and 1.25% in 24 hrs after irradiation and minimal glandular dilatation and cellular atypia were not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he incidence of apoptosis in the combined group of paclitaxel and irradiation (4.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rradiation alone group (1.25%) at 3 days ( p<0.05). Conclusion : Paclitaxel had no effect on mitotic arrest in gastric mucosa of the rat. Increased number of apoptosis in combined paclitaxel and irradiation group suggested the additive effects of paclitaxel on irradiation.

      • 양성자 치료 시 방사선 작업 종사자에게 미치는 방사선 피폭에 대한 평가

        이승현,장요종,김태윤,정도형,최계숙,Lee, Seung-Hyun,Jang, Yo-Jong,Kim, Tae-Yoon,Jeong, Do-Hyung,Choi, Gye-Suk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2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4 No.2

        목 적: 기존의 광자선을 이용한 선형가속기와는 달리, 양성자 치료의 경우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발생되는 중성자를 비롯한 여러 핵종 등으로 인해 다량의 이차방사선이 생성되기 때문에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은 더욱 주의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 이에 방사선 측정 시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하여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양성자 치료 시 방사선 피폭선량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의 양성자 치료실에서 근무한 방사선 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열형광선량계 뱃지를 이용해 피폭현황을 측정한 데이터를 비교했다. 양성자의 빔 라인 주변에서 발생하는 이차방사선의 신체부위별 피폭선량 분포를 알아보고자 신체부위(외안각, 목, 유두점, 배꼽, 등, 손목)에 가로, 세로가 각각 3 mm인 정사각형 모양의 열형광선량계를 부착하여 일일 8시간의 근무시간동안 유지하도록 하였고 총 80시간 측정하여 평균 데이터를 얻었다. 그리고 치료실 내 공간적인 방사선량의 분포를 보기 위하여 빔 사출구, PPS (Patient Positioning System), Pendant, 차폐체보관장, DIPS (Digital Image Positioning System) Console, 출입통로에 각각 열형광선랑계를 부착하고 일일 근무시간 동안의 평균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열형광선량계 뱃지로 측정된 피폭량을 조사한 결과 분기별 평균 0.174 mSv, 연평균 0.543 mSv로 나타났고 신체부위별로 측정한 결과에서 가장 많은 피폭량을 보인 곳은 목이였으며 가장 적은 피폭량을 보인 곳은 등(양견갑골 상각을 이은 선의 중간 지점)으로 나타났다. 작업 동선에 따른 공간적 방사선량을 알아본 결과에서는 빔 사출구 근처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줄어들었다. 결 론: 적은 양의 피폭일지라도 동일 장소에서 장기 근무하게 되면 피폭 누적량은 증가할 수밖에 없고 특정 부위의 누적량은 건강상의 위험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그러므로 국제 방사선 방어 위원회가 권고하는 ALARA의 원칙에 따라 가능한 합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스스로 개인별 피폭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피폭을 최소화시키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Purpose: Unlike the existing linear accelerator with photon, proton therapy produces a number of second radiation due to the kinds of nuclide including neutron that is produced from the interaction with matter, and more attention must be paid on the exposure level of radiation workers for this reason. Therefore,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 that is being widely used to measure radiation was utilized to analyze the exposure level of the radiation workers and propose a basic data about the radiation exposure level during the prot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radiation workers who worked at the proton therapy center of National Cancer Center and TLD Badge was used to compare the measured data of exposure level. In order to check the dispersion of exposure dose on body parts from the second radiation coming out surrounding the beam line of proton, TLD (width and length: 3 mm each) was attached to on the body spots (lateral canthi, neck, nipples, umbilicus, back, wrists) and retained them for 8 working hours, and the average data was obtained after measuring them for 80 hours. Moreover, in order to look into the dispersion of spatial exposure in the treatment room, TLD was attached on the snout, PPS (Patient Positioning System), Pendant, block closet, DIPS (Digital Image Positioning System), Console, doors and measured its exposure dose level during the working hours per day. Results: As a result of measuring exposure level of TLD Badge of radiation workers, quarterly average was 0.174 mSv, yearly average was 0.543 mSv, and after measuring the exposure level of body spots, it showed that the highest exposed body spot was neck and the lowest exposed body spot was back (the middle point of a line connecting both scapula superior angles).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exposure according to the workers' movement revealed that the exposure level was highest near the snout and as the distance becomes distant, it went lower. Conclusion: Even a small amount of exposure will eventually increase cumulative dose and exposure dose on a specific body part can bring health risks if one works in a same location for a long period. Therefore, radiation workers must thoroughly manage exposure dose and try their best to minimize it according to ALARA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as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recommends.

      • KCI등재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 우각부 영상확대 및 이의 보정에 관한 3차원 CT영상 연구

        황현식,,은춘선,황정현,임회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4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은 작은 크기의 방사선원에서 방사상으로 방사선이 퍼져나감으로써 피사체의 확대와 왜곡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두 장의 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방사선의 기하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좌우 우각부간 폭경을 계산할 경우 실제 폭경의 산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측모사진과 정모사진에서의 확대율을 이용하여 실제 우각부 폭경을 산출한 다음, 계측치 및 산출치를 3차원 CT영상에서의 계측치와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우각부 폭경은, 작게는 7.92 mm 크게는 11.31 mm까지. 평균 9.10 mm의 확대를 보였다.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얻은 우각부 폭경 보정치를 3차원 CT영상에서 얻은 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평균 0.14 mm의 작은 오차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 시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서로 직각으로 촬영할 경우 실제 우각부 폭경을 계산을 통해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부편위량과 보정오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아 안면비대칭이 심한 경우에도 본 보정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Enlargement is an inherent property of X-rays which occurs when straight lines diverge from small a focal spo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ldity of the correction of gonial angle width enlarged on frontal cephalogram, using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taken orthogonally from each other. In 40 adult individuals,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at a 90℃ angle using the Head Posture Aligner. The angle width was measured on the frontal cephalogram and subsequently, the corrected angle width was calculated using the magnification rate of two cephalograms. Measured and corrected angle widths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 from the 3D CT image. The measurement on the frontal cephalogram showed a 9.10 mm of enlargement on average, ranging from 7.92 to 11.31 mm. Corrected angle width measurement showed a 0.14 mm difference with the 3D CT image measurement,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ctual angle width can be approached through calculation using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taken orthogonally with the help of the Head Posture Aligner.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correction err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menton deviation, and it suggests that the present correction method is valid even in individuals with severe facial asymm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