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물관 기획전시에서의 공간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안현정(Ahn Hyunj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1

        21세기 박물관이 변화하고 있다. 세계 유수의 박물관들은 유물수집과 단순감상이라는 협의의 개념에서 벗어나,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이른바 교육과 흥미가 강조된 기획전시를 통해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박물관은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미술관·박물관의 이원화라는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열린 박물관으로서의 다양한 전시기획에 스스로 경계를 지어온 것이 사실이다. 수집·보존·연구·소통(교육)·전시라는 박물관의 다양한 기능은 상호 유리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획전시를 통해 새롭고 직접적인 이슈로 거듭나야 한다.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가시화시키는 것이 사람-공간-전시물을 통한 기획전시의 ‘공간디자인’이다. 박물관의 설립초기부터 철저한 계획에 의해 설계된 상설전시와 달리, 기획전시의 공간디자인은 각각의 주제와 기획목적에 따라 관람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획전시의 활성화는 정체된 박물관 문화를 테마 중심의 박물관, 대중들의 열린 휴식공간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 하에, 최근 실험적인 기획전시를 선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박물관을 선정하여 이들 기관의 전시 공간디자인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상설전시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박물관에서의 기획전시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그 결과, 공간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전시공간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계획이 마련되어야 하며, 전시내용을 알리기 위해 마련된 전시패널?캡션?포스터?도록?영상매체(전시보조장치)등의 활용을 넘어 현대화된 다양한 디지털매체가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museum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reformed. World’s renowned museums, breaking from the narrow concept represented by relics collection and a simple appreciation, have been turning over the place for edutainment through the temporary exhibition focusing on education and entertainment mingling with the people. Domestic museums, however, have drawn a sharp dividing line themselves in planning a variety of exhibitions as open museum which results from a dual concept as the art gallery and museum which might be derived from the Japanese ruling era. A various functions of the museum including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communication (education) and exhibition shall be rebuilt to the new and direct issues rather than separated each other. "Space Design" of temporary exhibition is what intended to effectively visualize them by means of people-space-exhibit. In contrast with the permanent exhibition which is designed based on thorough plan from the early establishment stage of the museum, a space deign of the temporary exhibition has the advantage of accommodating the diverse needs of the museumgoers depending on theme and intent. Booming temporary exhibition is expected to bring about the momentum to reform the depressed museum culture today to the people-centered open space for the people. This study, based on such assumption, is intended to view the exhibition design and the use of media at the museums which have been currently leading the experimental exhibition, thereby seeking the way of activating the temporary exhibition for the domestic museums which are heavily dependent on permanent exhibition. Consequently, in space design, a design plan focusing on interaction between exhibition space and spectators needs to be developed as well as the various up-to-date digital media, beyond exhibition panel, caption, poster and video material, shall also be introduced.

      • KCI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와 식민지 조선 문화 -전시 유물을 중심으로-

        김인덕 서울역사편찬원 2010 서울과 역사 Vol.- No.76

        근대 역사학에서 식민지 경험은 각종 현재적 문제를 풀어내는 요소를 제공하며 동시에 발전지상주의적 근대성론이 갖고 있는 정치적 목적지향론에 대한 객관적 시점을 제공한다. 동시에 지역의 다양성에 대한 역사적 경험에 대한 객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시는 미학, 흥미위주의 전시와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 그리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전시 등이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정치적인 의도가 전제된 조직된 왜곡의 현장이었다. 특히 시종일관 관장을 겸임한 藤田亮策과 같이 철저하게 관변학자의 조직적인 지도와 지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전시학적인 차원에서의 합리적인 전시는 오브제들 사이의 유사성과 유전학적 관계 보편성에 기초한 전시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는 본질을 흐리는 전시로밖에 설명이 불가능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위치상으로 볼 때 국가 조선과 조선 황실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데서 출발했다. 황실을 전시공간으로 만들고 역사성이 일탈된 공예품적 관점의 전시를 의도한 것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이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공진회의 미술관을 계승하면서 출발하여 의도된 공간이었다. 조선총독부라는 지배자의 의도가 반영된 전시는 왜곡된 고대사와 축소된 조선시대를 핵심적인 공간으로 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의 상설전시는 불교, 대외관계, 왜곡된 상징성에 주목하여 한민족 문화의 본질, 시민적 요구, 인간중심주의에 벗어난 식민지적 왜곡을 진행한 ‘식민지 근대’를 보여주는 공간이었다. 핵심적인 전시품은 역사, 문예, 종교, 미술, 공예품과 선사시대의 유물이었는데 비교 전시의 방법을 통해 중국과 인도 및 일본의 유물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왜곡된 역사상을 만들어 냈다. 결국 조선총독부박물관의 건립으로 경복궁은 ‘12만여 평의 대박물관’이 되었다. 특히 용도가 바뀐 공진회 미술관을 활용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는 전시 기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적은 공간에 대량의 유물이 무매개적으로 전시되면서 시대별, 종류별, 나열식 비교전시를 했다. 아울러 전시실 구조와 채광, 조명 등의 시설도 절대 문제를 갖고 있었다. 특히 부수적인 전시 공간으로 경복궁 내의 근정전, 사정전, 수정전 등을 사용한 것은 박물관의 조건으로서는 왜곡된 시설의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그 내용을 ‘식민 통치 정치’가 장악하여 타율성과 정체성, 일본 문화 중심적 관점의 심미안에 따른 불교 중심의 조선 문화를 강조하는 공간으로 전락했다. Colonial experiences in modern history provide elements solve present problems also provides objectification about political purposeful process that modern doctrine theory’s development for development’ sake included. At the same time, it requests objectification about diversity and historical experiences in region. Exhibitions are displaying esthetics, interests, information, and exhibition that shows ideas.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s the place where involved political purpose and manipulated distorted museum. In particular, this museum was supported and advised by thorough official scholar such as Fujida Ryosaku who had been director for a long time. Rational exhibition in academic could be explained as exhibition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ies and genetics among objects. Exhibitions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an only be expressed as losing essence. When seeing the loca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started with intention reduce throne and royal authority. Japanese remodeled imperial rooms as exhibition space where displayed relics which lost historical meaning. Indeed, main building exhibi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the intended museum that inherit exhibition art gallery. Exhibition in the museum clearly presented ruler’s purpos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mainly about distorted ancient history and scaled chosun history down. Permanent exhibition in main building of museum took notice of Buddhis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istorted symbols so that this was the place for showing distorted colonial era essence of Korean culture, demand as a citizen, anthropocentricism. Essential exhibits were the time of the prehistoric age such as history, religious, fine art, literature, handicrafts. Throughout compare with Chinese, Indian artifacts, Japanese made distorted history. To conclu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Kyung-bok palace became giant museum that involves 98 acre. Especially, there is an exhibit problem that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untilized from art gallery. While many of relics displayed in limited space, they categorized with era, species. Also, structure of exhibition and lightning, skylight had problem as museum. In particular, using Keunjeong-jun, Sajeong-jun, and Sujeong-jun in Kyong-bok palace as displaying space was example of distorting facility and places. Followed exhibition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ventually determined that Chosun culture as Buddhist in terms of Japanese aesthetic view by colonial ruling in Korea.

      • KCI등재

        공연예술박물관 전시의 체험특성이 관람객의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현나,구자준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2

        With the growing societal appetite for cultural enjoyment, there is also an increasing interest in museums. In addition,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participatory experiences in exhibitions continues to be discussed as the awareness of those seeking such experiences grows. In this context, I want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ganizing and directing the visitor experience at future museum exhibitions. And to empirically establish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on the visitor’s intention of revisiting the museum.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museum exhibitions, concepts,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and revisiting was reviewed. The museum experience was divided into educational, interesting and immersive characteristics. The Museum of Performing Arts, which provides visitors with various experiences, was chose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experiences. Next,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prior research, and exhibition experience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176 visitors at the Museum of Performing Art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est and immer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ing, and that interest had a stronger effect. It is thus understood that visitors wish to feel more joy and fun when they visit an exhibition. Therefore, using interesting elements and immersive media for educational functions when planning experiences at exhibition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visitors to revisit the museum.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the Museum of Performing Arts but can also be used to improve the visitor experience in other museums. 사회적으로 문화 향유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문화 공간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고 박물관에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단순 관람을 벗어나 참여와 경험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인식이 커지면서 전시에서 체험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계속해서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관람 형태의 변화에 맞춰 향후 박물관 전시에서 체험을 구성하고 연출하는데 고려해야 할 체험특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험특성이 관람객의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박물관 전시, 체험의 개념, 전시의 체험특성, 관람객의 재방문 의도에 대한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박물관 전시의 체험특성은 정보 전달의 교육성, 호기심을 자극하는 흥미성, 집중했을 때 몰입성으로 구분하였다. 전시의 체험을 분석할 대상지로 다양한 체험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공연예술박물관을 선택하여 관련전문가와 함께 체험들의 특징을 전시의 체험특성과 연관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전시체험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으로는 공연예술박물관 전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응답한 176부는 SPSS18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흥미성과 몰입성이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며, 흥미성이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전시를 관람할 때 동일한 시간 대비 즐거움과 재미의 감정을 더 느끼고 싶어 한다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시기획자와 전시디자이너가전시에서 체험을 기획할 때 교육 기능에 흥미로운 요소를 가미하고 몰입이 되는 매체를 활용한다면관람객의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박물관 전시의 개념과 기능이공통적이고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공연예술박물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박물관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의 전시경향과 전시주제 연구

        김소영(So-Young Kim),김수현(Soo-Hyun Kim),임종덕(Jong-Deock Lim) 한국고생물학회 2008 고생물학회지 Vol.24 No.1

        본 논문에서는 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의 전시경향과 전시주제를 분석하고 자연사박물관에 있어서 중앙홀 전시가 갖는 역할을 재조명하고, 새로운 전시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최근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COM에 등록된 국외 자연사박물관 중에서 중앙홀이 있는 박물관을 선별하여 전시 내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연사박불관의 중앙흘 전시형태를(1)개념중심 전시(Concept-oriented exhibition) (2) 전시물중심 전시(Object-oriented exhibition) (3) 스토리중심 전시(Story-oriented exhibition)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의 주제는 지구환경의 중요성과생물의 다양성과 보존이 라는 메시지를 강조해 나갈 수 있어야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생대 척추동물에 국한되었던 중앙홀 전시 주제를 46억년 지질시대동안 출현했던 여러 종류의 고생물로 확대하고 이를 다양한 전시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trend and theme of how to exhibit the main hall in major natural history museums. In order to do the analysis, total forty well-known natural history museums all over the world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Those forty natural history museums were selected from one hundred and thirty lists in TCOM, after we excepte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Museums that carry no main hall on the floor plan, the ones that exhibit themes other than natural history theme, and museums that exhibit only one theme-i.e. Dinosaur museum-in natural history. When scrutinizing, the features of main hall exhibitions can be described as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concept-oriented exhibitions, object-oriented exhibitions, and story-oriented exhibitions. The exhibitions that are concept-oriented are systematically structured, which implies several exhibits are composed within one, single unit of natural history. The exhibitions that are object-oriented carry one or more specimens (or replicas) are independently exhibited and symbolized. The exhibitions that are story-oriented are organized as the way in which each exhibit is formulated within a story. 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current exhibition trend is concept-oriented. The limitation of the main exhibitions in various natural history museums is that the theme of those museums is restricted to the Mesozoic vertebrates. The importance of earth's environment and Biodiversity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in the 21 st century. Natural history museums are responsible for building bridges of understanding speci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public.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the ways in which exhibiting main hall should be diversified so that those museums will be able to provide concepts of biodiversity and evolution of our lives.

      •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에 대한 소고

        김인덕(Kim In duck)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1 No.2

        1915년의 공진회는 만들어진 홍보공간이었다. 빛나는 조선 문화 보다는 열등한 조선 문화, 제국에 눌린 조선의 왕권, 일본자본주의를 학습하는 장소였다. 문제는 공진회의 전시가 기본적으로 역사성과 문화성이 결여되었고, 동시에 비교 전시를 통해 현실의 정치와 문화를 상대화시켰으며, 종국적으로 조선총독부의 효율성을 과시하는 공간이 되어 제국의 ‘목적’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공진회 때의 미술관인 석조 건물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이 되었다. 개관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은 박물관 건물로 지어진 것은 아니었다. 기능적으로 미술관이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의 1920년대 전시는 1923년의 내용을 우선 확인할 수 있다. 1923년 전시는 공진회 때의 미술관 1층의 전시 내용, 즉 중앙 홀의 경주 남산 약사불, 석굴암 부조 등과 동실의 고기물, 서실의 각종 미술품 등이 부분적으로만 확인된다. 본관 2층의 전시는 공진회 때의 2층 동실의 조선 회화 중심, 2층 서실의 현대 회화 중심의 전시에 변화가 있었다. 변화의 핵심은 본관 1층 동실에 낙랑, 대방 등에서 발굴된 유물이 전시되었다는 것과 수정전 등에 중국 신강성에서 수집하여 온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는 사실 정도이다. 본격적인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실의 구성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는 1926년으로 보인다. 1926년의 전시는 큰 변화가 있다고 할 수 없지만 유물의 시대순 정리와 분류가 분명해졌다. 1930년대의 전시는 1933년과 1936년의 전시 내용을 통해 확인되는데, 1933년의 전시는 기본적으로 1920년대의 공간 구분의 큰 틀은 그대로 유지했으나, 진열장 내부의 전시 유물이 변했다. 특히 1936년 본관 상설 1층 전시는 진전된 연구가 보인다. 아울러 기초한 진열장과 전시 유물의 순서 변화도 보인다. 이상과 같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시를 볼 때는 공진회 미술관과 큰 차이가 없었다. 동선도 기본적으로 변화가 없어 건춘문을 지나 본관을 구경하고 사정전, 수정전, 경회루를 지나 탑들을 관람하고 박물관 사무실이 있던 자경전 앞을 지나 다시 본관으로 돌아가는 방식이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전시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개편된 것은 사실이다. 특히 1층 중앙 홀의 진열장의 순서와 벽면을 이용하는 전시 방식의 개편은 확인하는데 어렵지 않다. 그리고 2층 회랑 전시의 경우도 독립장의 수치가 변화되었고, 제6실의 경우는 독립장의 사용방식을 바꾸어 내부에 가림판을 넣어서 활용하다가 통장의 형태로 전열장을 사용했다. 특히 1930년대로 가면 학술 조사의 진전과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고분 발굴품의 전시가 보다 정연해지는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전시의 변화는 선수유물이 조선총독부박물관에 들어가면서 부득이 하게 진행되거나 아니면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체 전시의 부분적인 개편 의도가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역사적 진열법’에 의거하고 각 시대의 특질을 보여 주어 ‘문화 발달’의 단계를 인지하는데 편리한 ‘특수 진열법’을 병용하고 있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식민통치를 위해 존재했기 때문에 이러한 논리는 전시 의도를 통해서도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Competitive exhibition in 1915 was formed promoting space where educate interior Chosun culture, oppressed Chosun dynasty, Japanese imperialism rather than excellent Chosun cutlture. The problem was that exhibition was lack of historical and cultural orientation. At the same time, throughout comparative exhibition, which relativizing actual politics and culture. Frequently, exhibition showed the efficien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hich was purpose of Japanese imperialism. Museum of art in 1915 competitive exhibition made of stone became main building for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Primary opened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as not originally built for museum but technically art galler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s exhibition in 1920s was begun from 1923 display. 1923 display involved 1<SUP>st</SUP>floor in museum of art in 1915 competitive exhibition which was Bhaisajyaguru in Namsan, Kyong-ju and carved part of Seokguram. Second floor of main building was displayed with east side of 1915 competitive exhibition paintings of Chosun, west side filled with modem paintings. The major transition was that east side of main building exhibited by relics from Nangnang, Daebang and artifacts from in Xinjiang, China. Earnest period when are able to figure the display of exhibition is 1926. This is the moment that they classified relics in periodic. Exhibitions in 1930s can be verified by 1933 and 1936’s exhibition. Basically, 1933 was kept 1920s’ space but relics been replaced. In particular, 1936s’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progressed with display case and formalities. With this, there were no especial changes betwee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and museum art of competitive exhibition. Also, visitor’s movement was fundamentally same as before; starting from Kunchunmoon and see main building, followed by Sajungjun, Sujungjun, Gyeonghoeru pavilion with pagodas, back to main building in the end. It is true that they reorganized from 1920s. Particularly, orders of display case in main hall on first floor and using the surface of wall were clearly showed their reforming. In add, second floor exhibition differed with the numbers of individual cases. In the case of 6<SUP>th</SUP>room, they utilized whole case which was alternation from previous exhibition using splashback. As time went to 1930s, display of excavations from ancient tomb well-ordered in terms of researches, scientific investigation. These types of transition in exhibition indicate either inevitable effect of new relics or reforming inten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based on historical display principle and showed characters of each period so that using Special display principle jointly which was likely to understand cultural progression. Literall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as built for ruling colonies. In result, this logic clearly can be comprehended by intention of exhibition.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실무 교육 연구

        송만영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2 고문화 Vol.100 No.-

        This essay was written to offer suggestions for practical training for museum exhibitions on the metaverse platform. The term ‘metaverse’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where,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IT technology, the same kinds of social, economic, cultur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as in the actual world are conducted. The museum is also hoping to become a metaverse museum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but this is still only a theoretical idea. I primarily practiced museum exhibitions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SPATIAL, and I'm hoping that by sharing my experience, museum education on the metaverse platform may be sparked. Despite the value of practical training for museum exhibits, colleges and museums need help to conduct practical education due to space and funding constraints actively. The metaverse platform offers a virtual environment and eliminates the need for funding for exhibition practice, making it an alternative to exhibition practical education. However, Open World, Sand Box, and interactive avatar components should be present in the metaverse platform’s exhibition area. It allows visitors to virtual museums to engage, directly participate in exhibitions, and enjoy the same level of presentation and education as visitors to physical museums. The constraints of the platform caused some issues due to the training the exhibition practice mainly in the physical space. Still, the metaverse platform is a substitute for museum education and has effective results, making it highly competitive as an exhibi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reate 3D data of exhibition relics, remains, and relics in addition to additional software designed for museums to create a metaverse platform specialized in museum exhibitions and education. Additionally, several museums must collaborate to develop and use the same platform to construct a Museum Complex in a virtual environment. 이 글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박물관 전시 실무 교육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메타버스는 IT 기술의발달로 현실세계와 동일한 교육, 사회, 경제, 문화, 과학 기술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의 가상공간을 의미한다. 박물관도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메타버스 박물관을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은 원론적인 논의에 그치고 있다. 필자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스페이셜(Spatial)을 활용하여 박물관 전시 실무를 실습 위주로 교육하였는데, 이경험 사례의 공유를 통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박물관 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박물관 전시 실무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학과 박물관은 공간과 예산 때문에 실습 중심의 교육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가상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리고 전시 실습에 소요되는 예산이 필요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전시 실무 교육의 대안이 된다. 다만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전시 공간은 오픈월드(Open World)와 샌드박스(Sand Box), 그리고 상호작용이 가능한 아바타(Avatar)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가상의 박물관에서 관람객은 현실세계와 동일한수준의 전시와 교육을 경험하며, 상호작용하며, 직접적인 전시 참여도 가능해진다. 스페이셜에서 전시 실무를 실습 위주로 교육한 결과, 플랫폼의 한계로 몇 가지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테면 건축 3D 모델링 툴이 제공되지 않아 공간 구성을 할 수 없거나, 조명, 배색 등과 같은 세부적인 공간 세팅이 어려웠다. 하지만 전시 실무의 전 과정을 실습 위주로 경험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메타버스 플랫폼이 박물관 교육의 대안이 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물도 양호하여 전시로서의 경쟁력도 높다고 할 수 있다. 향후에 박물관 전시와 교육에 특화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적인 보완뿐만 아니라 전시 유물 및 유구, 유적의 3D 데이터화가 필요하다. 또한 뮤지엄 컴플렉스(Museums Complex)를 가상공간에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박물관이 공동으로 동일한 플랫폼을 개발, 활용할 필요가있다.

      • KCI등재

        박물관 재현전시를 통한 의미형성(meaning-making)의 교육적 의미 : 특정한 시대의 장소 및 사건을 재현하는 전시를 중심으로

        송한나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2

        박물관은 전시를 통해 전시물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심미적 가치를 전달하여 관 람객이 관람을 통해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교육적 효과를 창출하는 공간이다. 초기 수집 중심 박물관에서의 전시는 전시물 그자체로서 존재하고 의미와 가치를 지니며 이를 보 여주는 것만으로도 그 의미를 전달한다고 여겨졌지만 20세기 후반에 들어 박물관의 교육적 역할이 부각되면서 박물관은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상호적인 관계를 도모하기 시작하였 다. 진정성이 중요시 여겨졌던 전시물은 그래픽, 영상, 모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관 람객의 참여를 이끌어냈고 관람객이 전시물을 만지고 체험하는 직접적인 개념의 체험은 전 시물을 통해 관람객의 감성을 자극하는 간접적인 체험으로까지 그 개념이 확장되었다. 관람 객의 직•간접적인 체험이 박물관의 교육적 효과에 중요한 역할로 작용하면서 전시물과 관 람객 간의 상호적인 소통의 역할이 강조되었고 박물관은 전시물을 통한 정보전달의 의미를 넘어 전시물이 내재하는 개념,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다양한 전시기법을 도입하기 시작하였 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관람객의 감각과 회고적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박물관에서 적용하 고 있는 재현전시 중 특정한 시대의 장소 및 사건을 재현하는 전시를 중심으로 재현전시를 통해 형성되는 관람객의 의미형성(meaning-making)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한다. Museum is an institution that creates educational effects by delivering historical, cultural, and aesthetical significance of objects to visitors through a form of exhibition. For the previous museums in past where ‘c이lecting’ was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museums’ educational r이e was carried out by ‘showing’ as many objects as possible from the belief that the exhibited object itself speaks its own meaning and value. However, as such object-centered museums shift to experience-centered museum in late 20th century, notion of museums’ educational r이e expanded from ‘showing’ to ‘experience’. The museums now strive to allow visitors to create their own unique experiences through exhibition, allowing their own ‘meaning-making’ by stimulating visitors’ senses. In this paper, representational exhibitions that represents specific place and event during certain period are examined to investigate notion of ‘representation’ in museum environment and educational meaning of representational exhibition followed by case studies that adopted such method to augment visitors’ experiences and educational effects.

      • KCI등재

        한국 국립박물관 디지털 융합 전시 매체 현황 분석

        최고운,이정은,강지환,이민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속화로 변화되고 있는 디지털 시대, 박물관 전시에서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융합 전시 매체를 이해하기 위해 국립박물관의 전시 매체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필드조사방법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그 산하박물관 총 14 곳의 박물관을 방문해 상설전시실에 구현되고 있는 디지털 융합 전시 매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립박물관 디지털 융합 전시를 크게 디지털 전시 보조 매체와 디지털 전시 매체로 나누었고, 이것을 일방향 매체와 쌍방향 매체로 다시 구분하였다. 디지털 전시 보조 매체 일방향에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쌍방향에는 터치스크린, 센서미디어, BYOM이 활용되었고, 디지털 전시 매체 일방향에는 프로젝션 맵핑, 미디어 파사드, 4DX가 확인되며, 쌍방향에는 고해상도 영상, 증강현실, 가상현실, 확장현실, 홀로그램, 인터렉티브 미디어가 확인되었다. 둘째, 다수의 국립박물관은 디지털 전시 보조 매체를 활용하는데 이 중에서도 일방향 보조 매체인 영상 중심의 디스플레이가 가장 많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전시 매체의 경우 다수의 박물관이 일방향 성격의 프로젝션 맵핑을 선보이고 있으며 쌍방향의 전시 매체는 국립중앙박물관을 제외한 나머지 박물관들이 아주 간헐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일방향 전시 디지털 보조 매체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박물관이 활용한다고 확인되며, 향후 쌍방향 전시 보조 매체로의 전환이 기대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National Museums of Korea's digital integration exhibition media are currently doing to understand better how digital exhibition in museums is changing in the quickly evolving digital age. The research employed a field survey method, visiting a total of 14 museum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its affiliated museums, and analyzing the digital integration exhibition media implemented in their permanent exhibition hall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he digital integration exhibition at the National Museums of Korea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digital exhibition auxiliary media and digital exhibition media, further distinguishing them into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media. Unidirectional digital exhibition auxiliary media included displays, and projectors, while bidirectional media featured touch screens, sensor media, and BYOM. Unidirectional digital exhibition media included projection mapping, media facades, and 4DX, while bidirectional media encompassed high-resolution videos,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extended reality, holograms, and interactive media. Second, many national museums utilized unidirectional auxiliary media, with video-centric displays being the most prevalent among them. Regarding exhibition media, a majority of museums showcased unidirectional projection mapping, while bidirectional exhibition media was sporadically utilized by museums other tha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unidirectional digital auxiliary media is commonly employed by many museums, with a potential transition towards bidirectional exhibition auxiliary media expe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시각인류학적 접근

        심재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6 고문화 Vol.67 No.-

        This paper is trying to accommodate visual anthropological theory to displaying contents of the museum. The museum is composed of curators, visitors, galleries, and artifacts which are constantly having an interaction among them. Especially, the space of the museum is not an inactive per se. Therefore, the space is conducted and controlled by the curator’s intention and planning. Also visual communication is being made up between visual factors, i.e. artifacts, pictures, panels and other types of audio-visual devices. A curator is planning and arranging space, artifacts, and the movement line for the visitors. Consequently, the formation of space and the arrangement of artifacts can be made by the movement of the visitors. Simple display of artifacts cannot be a successful exhibition. The authentic meanings and the value of exhibition can be judged by the responses of visitors whose experiences of the vivid communication by looking at the exhibition. The roles of the museum should be changed so that the demand of audience is beyond one-way traffic rather than two-way traffic which is promptly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Thanks to the fast 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pproaches to the visual communication process in the museum can be made. This research paper is about the issues of meaning-making in museums through the visual anthropological aspects using visual aids. The visual communication research is focused on not only visual stuffs but artifacts. Another type of displaying artifacts in the gallery can be made communication between an audience and a curator. If we consider the museum exhibition is a sort of visual communication process, that can be a new challenge of the reconceptualisation of the museum vs. audience relationship. 박물관은 큐레이터, 관람객, 전시공간, 전시물에 의한 상호관계(interaction) 속에서 존재하는 공간이다. 특히 박물관 공간은 정지된 형태가 아닌 큐레이터가 의도한 전시의도에 따라 관람객들의 동선을 유도하고 전시물과 전시패널 등을 통한 시각적 소통(visual communication)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러한 시각적 소통을 위해 공간의 배치나 전시물의 배치가 고려되어지며, 동선이 형성되게 된다. 결국 관람객들의 움직임으로 공간의 구성과 전시물의 배치가 이루어지며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전시물의 나열로는 박물관으로서의 제대로 된 기능을 할 수 없다. 관람객들에게 생생 한 정보의 전달과 전달된 정보를 통해 나오는 관람객들의 반응을 통해서 박물관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가 평가될 수 있다. 박물관은 단순한 전시를 통한 일방적인 정보의 전달의 단계를 넘어 관람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들을 제공하는 시대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박물관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각적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에 대한 시도는 한편으로는 디지털 기술 발달이 가장 주된 이유이다. 박물관 전시에 활용되는 각종 시각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전시기법과 메시지의 생산과 연구들이 필요하다. 시각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는 비단 영상매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로 생산된 시각적 자료 (visual artifacts)로서 관람객과 큐레이터와의 소통형태로 나타나며 이런 관점에서 박물관 전시에 대한 관심을 보일 필요성이 있다.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기존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스크린 혹은 전시실에 자리잡고 있는 스크린을 통해서 관람객들이 보고 전달되는 콘텐츠에 대한 분석이 새로운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전시실 내에 설치되고 전시내용을 알리기 위해 활용되는 전시패널, 캡션, 포스터, 도록, 그리고 전시보조장치(시청각기자재)와 같이 기존 박물관 전시에 활용되어진 다양한 매체들에 대한 시각인류학의 관점에서 본 해석은 없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 존의 전시체계와 전시에 활용되어온 각종 매체들을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박물관의 전시가 시각을 통한 소통(communication)의 양식으로 본다면 박물관의 전시를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시각인류학의 가장 정제된 정의는 눈으로 보는 모든 것들에 대한 연구이다. 박물관의 전시가 시각을 통한 소통(communication)의 양식으로 보면서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전시활동에 대한 접근을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시도 해 보았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 구조에 관한 연구

        김연희 한국박물관학회 2011 博物館學報 Vol.- No.21

        박물관은 사회의 변화와 관람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 중 박물관의 주요 기능이자 대중들과 직접적으로 만나고 소통하는 대표적인 기능인 전시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맞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박물관 전시의 다양한 유형 중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박물관 전시에 주목하여 이에 관한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현재 박물관 전시에서의 스토리텔링은 실물인 유물과 그 유물이 갖고 있는 이야 기, 유물을 보여주고 이야기를 펼쳐낼 공간,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를 표현해 내는 다 양한 기법이 적용되며 복잡하고 다양한 콘텐츠들이 함께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기 존의 다른 매체에 적용된 스토리텔링과 달리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다. 스토리텔링 전시는 이야기와 담화의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야기는 전시의 주 제와 내용 즉 시나리오이며 담론은 이를 바탕으로 전시의 공간에 연출하여 구현하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전시 주제는 전시 유물이나 역사적 사실, 사건, 인물, 공간의 역사 등 다양한 요소에서 나오게 되며 이러한 주제를 이야기 구조로 풀게 된다. 이야기는 등장 인물, 사건, 배경의 구성요소를 갖고 기승전결의 서사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야기적 요소 는 주로 전시의 중심인 유물에서 나오게 되며 이는 스토리텔링 전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유물의 이야기는 전시의 시나리오에 영향을 주게 되며 전체적인 전시 공간으로 구현되거나 단편적인 공간으로 구현된다. 전시의 담론은 전시 공간에 전시의 주제 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전시 공간에 표현되며 다양한 연출기법들로 담론화 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 전시에 대해 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특성을 알아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박물관 스토리텔링 전시는 기획자의 의도에 따라 전시의 이 야기와 전시 공간 구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정형화된 구조나 방법으로 정의내리기가 어렵다는데 한계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박물관 스 토리텔링 전시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