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약 민중신학의 재발견: 김찬국 신학을 중심으로

        박신배(Park Shin-B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4

        이 논문에서는 김찬국의 민중신학을 연구하였다. 기존에는 안병무, 서남동만이 민중신학자(문익환 포함)로서 자리매김이 되어 있었는데, 또 한 명의 실천적 민중신학자인 김찬국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다. 그래서 3대 민중신학자로서 안병무, 서남동, 김찬국이 삼각형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고 본다. 사변적 신학이 아닌 운동으로서 살아 있는 신학을 추구한 학자, 행동하는 예언자, 민중을 대변한 진정한 예언자가 바로 김찬국이라는 면이다. 사변적인 신학을 위한 신학은 죽은 신학적 요소가 많다고 볼 때 김찬국의 신학은 영혼을 살리고 삶의 현장에서 절규하는 민중의 한을 대변하고 풀어준산 신학이었다. 김찬국은 군사정권 시대에 짓밟히는 민중의 인권을 대변하는 시대의 예언자였다. 그는 눈물의 예언자 예레미야처럼 시대의 아픔을 괴로워하며 고난의 현장에서 같이 눈물 흘리는, 운동으로서의 신학을 전개하였다. 제2이사야를 가장 좋아한 김찬국은, 구약 시대 중 어두운 시대 중 하나였던 바빌론 포로시대를 연구함으로써 한국인의 고난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나라의 주권이 없이 포로의 상황, 가장 비극적 상황이 바로 제2이사야 시대이다. 이 시대는 한국의 박정희 정권 시대, 그 후의 군사정권 시대에 비견할 수 있다. 김찬국은 창조적 신학자로서, 외치는 예언자로서, 고난 받는 선지자로서, 고난의 삶을 산 시대의 증인이었다. 김찬국은 많은 제자들에게 진정한 예언자는 누구인지를 삶으로 보여주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가르쳐 주었다. 그는 민중신학의 정신적 지주로서 역할을 보이며, 이를 삶으로 보여준 학자였다. 이 때문에 그를 민중신학적 이념제공자, 민중신학의 근거를 구약학적으로 제공한 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김찬국의 독특한 민중신학적 방법론을 탐구하였고, 김찬국의 민중신학에서 새롭게 민중신학을 재발견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Old Testament Scholar, Kim Chan-Kook who is a Minjung Theologian. Although he died in the year 2009, he and his ideas are still alive among many people. As a genuine prophet, he propagated how to live for the oppressed people. Up to the present, there were a few research paper’s on the O.T. Minjung theology. This article is presenting three big scholars of the Minjung Theology. The First scholar is Suh Nang-Dong, a systematic Theologian. The Second scholar is An Byung-Moo, and the third scholar is Kim Chan-Kook, an Old Testament theologian. The first two scholars were renowned by many people, but the third was little known. My argument is concerning Minjung Theology, for the practical theology. Kim Chan-Kook’s doctrines are always in keeping with his deeds. Just Kim Chan-Kook is not a speculative theologian, but emphasizes the Doing theology. His purpose of doing theology is like a movement, a living theology. He is a genuine prophet among the poor people as well as a spokesman for the Minjung theology. Otherwise, Kim, Chan-Kook tried to show an integral theology which is a prophetic theology, a living theology. Academic theology is transformed into the participation in the historical event. Prophet theology is a flower of OT theology. He lived as an acting and a genuine prophet. In the same time, he is a Minjung Theologian. Today, Minjung theology is disappearing, and Kim Chan-Kook’s Theology is covered with Historical documents. While Minjung theology is disappearing in the memory of people, Kim Chan-Kook’s OT Minjung Theology and his propagation are getting popular among the people. His OT Minjung Theology and Korean theology are filled with the dynamic power of God which will bring about the revival of Christian community. It is my desire and hope that Korean Culture Theology is revived again.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행위자`와 민중신학의 `민중`

        이인미(Inmee Lee) 한국사회이론학회 2017 사회이론 Vol.- No.51

        이 논문은 두 가지 작업을 추진한다. 첫째, 민중신학이 추구한 민중 개념이 다만 빈자(貧者)가 아니라, 현존체제에 저항하는 ‘행위자’라는 점을 밝힌다. 여기서 행위자란 한나 아렌트의 행위 이론이 가리키는 정치적 주체를 뜻하되 특별히 ‘패리아(Pariah)’의 의미를 지목하며, 행위자로서 민중이 현존체제에 저항하는 까닭은 민중이 체제로부터 배제되는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임을 규명한다. 둘째, 아렌트의 주체 즉 행위자 개념을 따라 ‘민중이 어떤 행위자(주체)인가?’라는 질문을 구성하고 그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분류하면,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전체 민중신학계를 세 유형(해방 집중형, 구원 집중형, 변혁 집중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보인다. 그 과정에서 민중신학에 대한 기존하는 선입견을 재고하고 새로운 이해를 공고히 한다. 위의 두 가지 작업을 추진하며 도달하고자 하는 이 논문의 목적과 의의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민중신학이 처음부터 다만 빈자가 아니라 주체를 추구해온 신학이라는 사실을 입증한다. 이는 출범 이후 40여 년 남짓 각종 섣부른 오해들을 감수하며 체계화를 더디 진행해온 민중신학 내부의 반성을 겸한다. 실천을 이론보다 더 중시해왔기 때문이라는 해명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면서 민중신학에 대한 변증을 시도하는 가운데 민중신학 내외부 모두에서 재평가가 촉진될 수 있다. 둘째, 민중신학과 민중주의적 정치 이론가 아렌트의 정치 이론이 구축한 주체의 의미가 ‘행위자’이며, 두 이론의 주체 추구가 서양 근대의 ‘주체’의 의미를 계승, 확장하는 것임과 동시에 전복하고 해체하는 철학적 정치적 그리고 신학적 작업이었음을 규명한다. 이는 민중신학의 유산을 철학적으로 정당하게 평가하는 일이며, 아렌트의 정치 이론과 협력 가능한 실천적 정치 신학 이론의 체계로서 민중신학의 재발견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s to examine and reinterpret what does ‘Subject’ mean in Minjung theology. In 1970’s Minjung theology was launched, which proclaimed “Minjung is the historical subject!” with another critical studies in those days. Minjung theology expressed ‘the people and the subject’ as ‘Minjung.’ In Minjung theology, Minjung means Subject. The term Minjung does not mean the people or the poor automatically. We need pay attention to that Minjung theology does not have ptokos (Greek: the poor) theory, but ochlos (Greek: the excluded) theory. In Minjung theology, ochloi (Plural form of ochlos) are always identified as Minjung and as actors with Jesus Christ. The author, as a little Minjung theologian, asserts that the term Minjung is identical to actor who offers resistance against the established system, and, that’s why Minjung is suitable for the term “Actor” by Hannah Arendt, a political thinker. This paper has two processes. First, as H. R. Niebuhr, the author classifies Minjung theology into three types: Liberation-Centered type, Salvation-Centered type, and Revolution-Centered type. Second, Minjung theologians and Arendt have rejected the Narcissist-Subject, which is the meaning of the Occidental world. While Minjung theologians see the tradition of the Occidental modern academic study excludes the Oriental Christian life and action, Arendt considers academic tradition despises political action and speech. Finally, Minjung theology and Arendt’s political theory were able to unfold meaning of ‘Subject’ which is not yet unknown modern Western world, and to deny the tradition of the Occidental study. In these two theories, “Actor” appears as ‘Subject’ in the public realm wherein spectators attend together, be not narcissistic self. So we could say that Arendt’s action theory and Minjung theology both persue the alternative meaning of the Subject autonomously.

      • KCI등재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과 이웃사랑 : 한나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에 견주어 살펴보는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

        이인미 한국조직신학회 2019 組織神學論叢 Vol.56 No.-

        In this essay, the author attempts to prove that so-called 1st generation Minjung theologians were as storytellers when Minjung were as a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in 1970-80’s. The author’s attention is what was Minjung theologians’ inner motives of becoming storytellers at that time. As we know, 1st generation Minjung theologians were actors too. But then they didn’t call themselves as Minjung, i.e. the subject of history which means actors. Of course Minjung theologians went into the site of many Minjung events and acted together with Minjung, however they didn’t identify themselves with actors or the subject of history in those days. The author sees that’s right for political. Because they faithfully admitted that their priority was storytell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Hannah Arendt, a political thinker, actually Minjung theologians always have been trying to sit “inbetween”(Arendt’s term) Minjung. For them, Minjung theologians, that was spontaneous, proper, and relevant to their Christianity. The author considers that Minjung theologians have carried out ‘love of neighbor,’ one of the greatest commandments that Jesus Christ have told his disciples. According to Story theory by Arendt, that’s for very sure. Therefore the author emphasizes that Minjung theologians’ Iyagi(Story) theology was a love theory, and was an expression of “acting in concert”(Arendt’s term) as spectators at Minjung events. 이 논문은 1970-80년대 한국사회에서 민중이 행위자로 나섰던 때 그민중의 행위를 이야기로 열심히 전파한 민중신학자들의 신앙적 동기에 관심을 둔다. 물론 민중신학자들은 민중사건 현장에 직접 뛰어든 사람들이었다. 그런데 민중신학자들은 스스로를 민중이나 역사적 주체로 부르지 않았다. 민중신학자들은 자신들을 민중에 동일시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그들이 정치적으로 또 신앙적으로 올바랐다고 평가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우선적 역할이 ‘이야기하기’ 임을 정직하게 수용했기 때문이다. 정치이론가 한나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에 비추어볼 때 민중신학자들은 민중의 “틈새”(아렌트의 용어)에 항상 충실히 앉아있었다. 아렌트의 용어로 설명하면 관찰자이자 이야기꾼 노릇을 제대로 감당하기 위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민중신학자들에게 자연스럽고 적합한 것이었으며 기독교 신앙에 비추어볼 때 타당한 것이었다. 이 논문은 민중신학자들의 그 같은 활동의 동기를 예수의 두 계명 중 하나인 ‘이웃사랑’에 연결한다. 즉,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은 민중신학자들이 민중과 “함께 행위한”(아렌트의 용어) 사랑의 행위를 종합적으로 그려낸 이론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은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이 지닌 그 같은 장점을 아주잘 드러내어준다.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을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각도로살펴보는 이 논문의 학술적 의의는 첫째, 그간 민중신학이 자주 다루지 않았던 ‘민중미화의 위험성’ 문제를 민중신학의 원칙과 기치와목적을 훼손하지 않으며 다룬 진지한 접근이라는 데에 있을 것이다. 둘째로는, 이 논문이 언어 ‧ 문학, 혹은 정신분석학 영역에 관한 지식을 ‘신학에 적용하는’ 게 아니라 매순간 역사로 지어져가는 우리의일상과 민중사건 현장을 ‘독자적으로 관찰하고 성찰하는’ 방법론으로서 행위중심의 이야기를 강조하였다는 데에 있다. 마지막으로 이논문은 이야기를 이웃사랑 행위에 연결하여 풀이하는 새로운 시도를 감행하였다. 이 논문은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을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각도로 살펴보며 새로운 논쟁거리를 제시함으로써 민중신학계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들뢰즈 사상의 민중신학적 이해

        한정헌(Jung?Hun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0 No.-

        이 논문은 들뢰즈의 사후 20주년을 기념하여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들뢰즈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들뢰즈 사상의 민중신학적 전유 가능성, 특별히 소수자신학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민중신학은 1970년대 한국의 당대적 상황에서 생성된 ‘민중’을 증언하고자 ‘반신학’이라는 기획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반신학’이라는 문제제기는 탈서구적, 탈형이상학적, 탈근대적 신학으로의 지향점을 함축하는데, 이것은 최근 위기론이나 무용론 등에 직면한 민중신학이 보편적인 소수자 신학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관점이라 여겨진다. 반신학으로서의 민중신학은 전통 형이상학에 대립하는 생성존재론의 입장에 가까울 뿐 아니라 유물론적이고 외부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런 점에서 들뢰즈의 사상은 민중신학과 많은 부분에서 강도 높은 교차점을 형성하고 있고, 민중신학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다고 여겨진다. 들뢰즈는 서구의 전통 형이상학과 근대성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을 바탕으로 대안적인 사유를 전개한 철학자라는 점에서 반신학적 기획에서 출발한 민중신학의 문제의식을 상당부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니체–베르그손–화이트헤드–하이데거 등으로 이어지는 생성존재론을 계승하는 대표적인 탈구조주의 사상가로서 수많은 개념들을 창안하였다. 그중에서도 들뢰즈가 가타리와 함께 구성한 소수자론은 민중신학에 이미 내포되어 있는 소수자신학의 잠재성을 현실화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통찰들을 제공해줄 것이다. This paper commemo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eleuze aims to examine the thought of Deleuze from a perspective of Minjung theology seeking for a possibility of minority theology. Minjung theology began as a project of counter–theology in order to testify to Minjung brought into the world in the 1970’s in Korea. The stance of counter–theology suggests its orientation toward a post–Western, post–metaphysical, and post–modern theology. This is an important aspect with which Minjung theology could position itself as a universal minority theology. Minjung theology as a counter–theology not only resembles the ontology of becoming opposed to the traditional metaphysics, but is materialistic and external. In this sense, Deleuze’s thought and Minjung theology intensively cross each other on certain junctures, which leads to extend the outer edges of the latter. As a philosopher who developed an alternative thought on the basis of a radical criticism against the Western traditional metaphysics and modernity, Deleuze shares a lot with Minjung theology began as a counter–theology. He is a prominent post–structuralist who inherited the ontology of becoming after Nietzsche–Bergçon–Whitehead–Heidegger, and has invented a lot of concepts. Among others, the theory of the minority (where Deleuze cooperated with Guattri) would give us an important insight that makes us realize the potential of minority theology already contained in Minjung theology.

      • KCI등재

        민중신학적 구약신학을 위한 서론적 탐구 - 욥기의 하나님 이해를 중심으로: 민중신학적 구약신학을 위한 서론적 탐구

        이영미(Lee Yeong-M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5 신학사상 Vol.0 No.131

          1960-70년대 한국의 억압상황에서 출발한 민중신학은 꾸준히 신학적인 발전을 꾀해 왔다. 그러나 민중신학은 신학의 전거를 민중의 역사, 문화, 그리고 성서에 나타난 민중의 사회전기로 표방하면서도 성서에 나타난 민중의 사회전기와 그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를 성서 전체를 꿰뚫어 신학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출애굽이나 예언서, 그리고 복음서 등에 한정되어 살펴온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구약성서 전체를 경전적 틀에 따라 그 신학적 의미를 밝히는 민중신학적 구약신학의 정립을 위한 서론적인 탐구를 시도하였다. 또한 민중신학이 민중의 사회전기에만 초점을 맞추고 그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와 민중들의 하나님 고백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다고 보아 이 글에서는 민중신학적 하나님 이해의 심화를 위한 한 실례로 욥의 하나님 이해를 통해 민중신학의 하나님 이해의 지평 확대를 시도해 보았다.   Minjung theology, which had started in Korea during 1960-70, has been theologically developed and became Korean contextual theology. It uses Minjung history, culture, and the Bible for its theological references. Yet, Minjung theology highlights some parts of the Bible such as Exodus, Prophets, and Gospels, but failed in examining the Bible as a whole for seeking Minjung social biography and God"s revelation within it. Thus, the present article presents overture for a Minjung Old Testament Theology that investigates throughout the Bible as a whole. Also Minjung theology tends to focus on social biography of Minjung but has not articulate Minjung"s understanding of G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injung. Here, this article provides Job"s understanding of God as an example study of Minjung understanding of God.

      • KCI등재

        과정신학의 범재신론 지평에서 본 안병무의 민중 메시아론

        김희헌(Kim Hi-He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8 신학사상 Vol.0 No.140

          이 글은 안병무에 의해 완성된 모습으로 나타난 〈민중 메시아론〉을 과정신학의 범재신론으로 재해석한다. 역사적으로 〈민중 메시아론〉은 그 진정한 의미가 왜곡된 채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그것은 〈민중 메시아론〉이 민중을 메시아로 이해하는 급진적 인간론으로 전통적인 기독론과 속죄론을 대체하려 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은 근본적인 해석학적 자기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즉, 전통적인 기독론이 전제하고 있었던 메시아와 피구원자 사이의 절대적 간격이라는 신학적 이원론은 하나님과 민중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해명하려 하였던 〈민중 메시아론〉의 비이원론적인 사상을 오해할 수밖에 없도록 하였고, 그 형이상학적 토대인 실체론적 철학은 신학적 이원론을 심화시킴으로써 〈민중 메시아론〉에 대한 정당한 이해를 불가능하도록 만들었던 것이다. 어떻게 전통적 서구 신학의 근본문제인 신학적 이원론을 극복하고, 〈민중 메시아론〉에 함축된 의미를 밝혀 낼 것인가?   이 글은 과정신학의 범재신론이라는 새로운 신학적 지평 위에 〈민중 메시아론〉을 위치시켜 그 포괄적 신학사상을 드러내려고 한다. 다시 말해, 범재신론이라는 역동적인 신학적 세계관을 제시함으로써 이원론적 신학 방법론을 극복하고, 과정사상이라는 유기체적 형이상학을 통해 신학적 이원론의 뿌리가 되었던 실체론적 철학의 문제를 걷어 내고자 하는 것이다. 과정 범재신론과의 신학적 대화는 〈민중 메시아론〉이 유사 기독론이 아니라, 하나님과 민중의 관계에 대한 관계론적 이해였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 글은 〈민중 메시아론〉에 쏟아진 비판에 대한 변론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민중 메시아론〉이 21세기의 신학적 논의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대안사상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reaffirm the legacy of Korean minjung theology by reinterpreting its essential idea of minjung messiah in a philosophical dialogue with process thought. In a minimum sense, this study is a theological defense of the idea of minjung messiah, probably,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minjung theology, through which fundamental insights of the theology are conveyed. Historically, the idea of minjung messiah has suffered from a misunderstanding that minjung theology conceived of minjung as the messiah and substituted the radical minjung anthropology for Christian doctrines of christology/soteriology. This erroneous conception has often occurred when the idea of minjung messiah was placed within the philosophically dualistic framework of traditional doctrines. In order to avoid such a mistake, this study consciously makes a turn to a broader discussion with process panentheism in which the idea of minjung messiah should be reinterpreted, not as a quasichristology, but as a non-dualistic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injung.

      • KCI등재

        Minjung Perspective in the Theology of Suh Nam-dong Revisited

        Pak Ung Kyu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ACTS 신학저널 Vol.29 No.-

        민중신학은 1970년대 중반에 군사독재 정권의 정치적 탄압과 근대화 과정에서 빚어진 농민과 도시 노동자들에 대한 경제적 수탈을 배경으로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한국교회들은 가난한자들과 압제받는 자들에 대해 관심을 갖지 못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그러나 1975년을 기점으로 소수의 진보적 신학자들에 의해 가난한 자들과 압제받는 자들을 민중의 주체로 삼아 민중신학을 전개하였다. 그 중의 대표적인 인물이 서남동 교수이다. 본고에서 서남동의 신학적 특성을 살피면서 민중 관점 혹은 개념에 대해 그의 신학적 관심과 구조, 그리고 방법론적 틀을 고려하면서 복음주의적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민중신학에 대한 서남동의 저술들을 고찰한 결과, 그는 민중의 상황과 성경적 관점을 거의 동등하게 간주하고 있으며, 성경 자체도 그에게는 부차적인 참고서, 즉 정치적 교과서이지 믿음과 삶의 절대적규범으로서 받아들이고 있지 않다. 성경은 우리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구속역사이자 계시이다. 민중신학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하나가 성경에서 비롯된 신학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전거들을 근거로 시작된다는 점이다. 서남동을 비롯한 민중신학자들에게는 성경은 민중의 책이요, 민중을 위한 책일 뿐만 아니라, 민중을 위한 사회적전기로 간주된다. 서남동은 성경에 기록된 출애굽,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등과 같은 주요한 사건들을 고난 받는 민중의 정치적 해방에 초점을 둔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배타적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민중이 역사의 주체로서 가지는 자의식과 동일시한다. 이런 면에서 그의 민중관점이나 주요한 신학적 논제들이 과연 기독교 신학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지 심각한 질문이 제기될수밖에 없다. Minjung theology arose in the middle of the 1970s against background of the political oppression of the dictatorial military regime and the economic deprivation of urban workers and rural peasants in South Korea. In this situation, most of Korean churches were not concerned with the poor and the oppressed. Beginning in 1975, however, some progressive theologians unified their references to the poor and oppressed as Minjung and began to develop Minjung theology. One of them is Suh Nam-dong. In this article, his way of theologizing is analyzed within Suh Nam-dong`s own theological interest and structures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and criticized in terms of evangelical perspec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his writings on Minjung theology, one cannot but notice that in Suh the context of Minjung is on par with the text of the Bible or even the Bible takes a secondary position as a “reference book.” It is clearly denied that the Bible is the absolute standard for faith and practice. He does not accept the Bible as the absolute standard, instead regards it as a political textbook. The Bible is the revelation of God`s redemptive history for our salvation. One of serious problems in Minjung theology, is that all the theologies start not from the Bible, but from the various social references. To Minjung theologians, including Suh, the Bible is the book of Minjung, only for Minjung, and take it as a social biography for Minjung. According to Suh, the major events of the Bible like Exodus, cross, resurrection and others are to be re-interpreted exclusively in terms of socio-economic perspective, centering on the political liberation of the oppressed Minjung. They are said to have been concrete historical reference points and nothing else. Jesus` resurrection, for example, loses its uniqueness in that Jesus` resurrection is identified with the self-conscious awareness of Minjung as the subject of history. In this sense, we have to ask this question, “Is Minjung theology really a Christian theology?”

      • 기독교 민중해방운동과 영성

        강원돈(Won Don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교회 Vol.15 No.-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에서 전개된 기독교 민중해방운동에서 형성된 영성을 분석했다.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를 잡지 못한 한국에서 기독교 민중해방운동은 민중이 주체가 되어 전개하는 해방운동에 기독교인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나타났고, 그러한 기독교인들이 민중해방운동에 참여한 경험에서 비롯된 신학이 민중신학이다. 1970년대에 하나님의 선교의 틀에서 민주화-인권운동과 민중운동에 개입한 현영학, 안병무, 서남동, 김용복 등 민중신학자들은 역사 안에서 펼쳐지는 메시아 통치에 민중이 주체로서 참여한다는 점을 부각했고, 민중의 역사 주체성을 사건의 신학, 증언의 신학, 성령론적-공시적 해석, 민중의 사회전기 등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민중신학은 메시아 통치의 역사성을 중시했다. 그것은 출애굽 사건, 원시 이스라엘, 예언자 운동, 묵시운동, 예수 운동 등을 통하여 또렷하게 드러났고, 그 운동의 기억을 전승하면서 오늘의 민중의 고난과 죽임당함과 저항에 온 몸으로 연대하는 기독교인들의 운동을 통하여 계속 실증되고 있다. 메시아 통치의 역사적 기억을 전승하면서 민중과 더불어 투쟁하는 기독교인들의 영성은 메시아적 영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것은 예언자적 영성이고, 묵시적 영성이고, 정치적 영성이고, 참여적 영성이다. 1980년대의 한국 민중해방운동에 대응하면서 민중신학은 소장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급진화하였고, 민중해방운동의 필요 불가결한 일부를 이루는 기독교인 운동을 뒷받침하는 이론과 신학적 담론을 제공하였다. 소장파 신학자들의 민중신학은 역사적 현실관계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과 신학적 성찰을 해방실천의 맥락에서 통합하고자 했고, 실천과 유물론에 굳게 선 신학을 모색하고자 했다. 유물론적 신학은 메시아 통치의 역사성과 물질성을 중시하기에 메시아 통치를 관념론과 형이상학의 언어로 서술하는 것을 단호하게 거부한다. 그것은 유물론의 합리적 핵심을 지키고자 한다. 따라서 유물론적 신학은 역사적 현실관계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현실관계들을 은폐하고 왜곡하는 갖가지 이데올로기를 가차 없이 비판하고, 민중해방운동의 전망과 전략을 명확하게 인식하고자 한다. 유물론적 신학은 유물론적 영성을 제시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정치에 충실한 메시아적 영성이지만,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이 형성하는 관계들의 망상구조를 체화한 신독의 영성, 사회적 영성, 생태학적 영성을 통합하는 형식과 내용을 갖는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spirituality which has been formed in Christian movement for minjung liberation in Korea. In Korea, in which Christianity has not established itself as the dominant religion, the Christian movement for minjung liberation appeared as a mode of Christians’ participation in the liberation movement of minjung as subjects. Minjung theology was born from the experience of Christians who participated in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70s Minjung theologians, such as Hyun Young-hak, Ahn Byeong-mu, Suh Nam-dong, and Kim Yong-bok, intervened in the democratization-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minjung movement in the framework of God’s mission(mission Dei). They focused that minjung participated as the subject in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They attempted to explain the minjung as subject of history through theology of events, theology of testimony, spiritual-synchronic interpretation, and social biography of minjung. Minjung theology emphasized the historicity of the messianic rule. It was evident through the Exodus event, the primitive Israel, the prophetic movement, the apocalyptic movement, and the Jesus movement. It continues to be demonstrated through the movement of Christians who transfer the memory of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struggle in solidarity with the minjung who suffer, are brought unceasingly to death and resist. The spirituality of the Christians can be defined as messianic because they are oriented to the messianic rule in history and struggle with minjung. It is prophetic spirituality, apocalyptic spirituality, political spirituality, and participatory spirituality. In response to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80s, Minjung theology of younger generation has radicalized. It provided theories and theological discourse to support the Christian movement, which was an integral part of the minjung liberation movement. Such a Minjung theology attempted to integrate social scientific analysis and theological reflection in the context of liberation practice. It sought to seek a theology firmly founded on liberation practice and materialism. This theology has been called materialistic theology. It accentuates the historicity and materiality of the messianic rule, therefore it adamantly rejects to describe it in the language of idealism and metaphysics. It endeavors to keep the rational core of materialism. Therefore, materialistic theology scientifically analyzes historical relations of reality. It relentlessly criticizes various ideologies that conceal and distort real relations. It seeks to clearly recognize the prospects and strategies of minjung liberation movement. Materialistic theology presents materialistic spirituality. It is a sort of messianic spirituality that is faithful to God’s government in history. It has a form and content that unites personal spirituality before God(coram Deo), social spirituality, and ecological spirituality. It is because the materialistic spirituality is open to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which God, human beings, and nature form.

      • KCI등재

        안병무가 꿈꾼 산실(産室), 품 공동체 ― 여성민중신학을 중심으로

        김나경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2 신학사상 Vol.- No.199

        이 논문은 안병무의 여성민중신학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민중신학은 대부분 성서적-사회학적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안병무의 신학 사상은 삶의 여정과 함께 점진적으로 발전하면서 그 깊이와 넓이가 확대되었다. 안병무는 초기에 매우 가부장적 사고를 가지고 있었지만 급진적으로 여성민중신학적 사고로 전환하고, 말기에는 여성, 생태와 생명에 관심을 가지며 ‘품의 신학’으로서의 여성민중신학에 집중했다. 그것은어린 시절에 성 프란체스코의 영향, 루이제 린저와의 만남과 교류, 서구적 사고에서 동양적 사고로의 전환, 마가복음보다 요한복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무엇보다 어머니 정원숙의 영향 때문이었다.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안병무의 여성민중신학의 저변에는 켈트-게르만 신앙과 영성이 도도히 흐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 글은 안병무 신학 사상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기존의 안병무의 민중신학에 대한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여성민중신학의 성격을 밝히고, 그 신학적 특징과 성격을 켈트-게르만 신앙과의 연관성 속에서 분석한 것이다.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한국 민중교회

        황홍렬(Hong Eyoul Hwang)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이 글은 한국교회에서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선교적 교회에 대해 북미 교회 위기의 상황에서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삼자대화를 통해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제기된 문제와 대안을 배우고, 그런 관점에서 한국의 민중교회를 살핌으로써 양쪽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상호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교회 뿐 아니라 북미 교회에서도 선교적 교회를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신학적으로 깊이 있는 논의이기 때문이어서 이해가 쉽지 않은 측면이 있고, 목회자들이 결국은 교회중심적 선교관을 포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은 선교적 교회론이 태동된 배경과 신학적 전제와 정의,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가 지역교회를 강조하기 때문에 선교적 지역교회에서 신학함을 다루고, 지역교회로서의 선교활동이 갖고 있는 내용이 앞에서 언급했던 신학적 방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려 한다. 그리고 선교적 공동체를 육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또 선교적 리더십이 선교적 공동체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선교적 리더십의 기초와 형태를 다룬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론의 장점과 한계를 지적한다. 이런 선교적 교회론을 민중교회에 적용해 보면 우선 신학적 회심과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북미교회가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대화를 한다면, 민중교회는 시대적 과제와 씨름하려 했기 때문에 삼자대화가 큰 의미를 갖기보다는 민중교회에 대한 민중의 반응이 초래한 민중에 대한 부정적 이해가 민중교회와 목회자의 정체성을 변화시키고, 이전보다 더 확대된 민중선교를 하게 됨을 본다. 그리고 민중교회에서 선교적 교회의 구성요소와 신학함, 그리고 선교활동을 살펴본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민중교회의 장점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main points of the missional church of the North America and to apply them to the Minjung church in South Korea so that the merits of both churches,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Minjung church could complement each other. It is not easy for us to understand the missional church, for the missional church is produced by the results of the theological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in depth. Even though we agree with th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new orientations such as the Trinity, the reign of God and the missio Dei, it is almost impossible for us to be liberated from the attractional church. In other words, unless the mind-set of the attractional church is dead the missional church cannot be born. That is the reason why so many pastors looking for the missional church turn out to be satisfied with new mission strategies rather than to keep those theological orientation in mind. As the local church is the focal point of the missional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local church is necessary for the missional church. There are three types of doing theology, community theology, prophetic theology and outsider theology. The local church should participate in the missio Dei for the sake of the reign of God through identifying the boundary-breaking activities of the Holy Spirit, becoming a witness to the reign of God and challenging to the current unjust system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Foundations of the missional leadership are Jesus Christ who confronts the current power of the world, the Holy Spirit who leads the people of God toward the reign of God, and the recovered eschatology. The Minjung church aims at the reign of Go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missio Dei,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As the Minjung church wrestles with the signs of the times the Minjung church is beyond the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the Minjung church on its theological orientation was radical enough to accept thos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orientation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njung mission became diversified from the mid-nineties for Minjung pastors who participated in the boundary-breaking mission of the Holy Spirit. This resulted in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the Minjung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Minjung church, however, is limited to Minjung pastors so laity and women of the Minjung church must involve in doing theology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