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물리 영역 비교 연구

        최설매,한승기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8

        The present study takes 2011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standards in China and the physics field of the 2015 science curriculum standards in South Korea as the research objects, and compares the objectives of science (physics)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contents in the two countr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science (physics) education goals, both countries aim to improve scientific literacy, aiming to cultivate students’ inquiry ability and innovative consciousness on practical issues in nature and life; The curriculum standards in China stress learning basic physics, basic skills, and research method, while the curriculum standards in South Korea stress understanding the core concepts of science. 2. In terms of the content of middle school physics courses, in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breadth and the depth of the content standards, we found that the middle school physics courses in China are more extensive than those of South Korea, but not as deep than those of South Korea. This result reflects the fact that science education in South Korea does not focus on the quantity of knowledge, but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core competence by learning an appropriate number of science core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references for the revision of middle school physics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as sell as useful enlightenment for the further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physics education. 본 연구는 중국의 2011년 중학교 물리 교육과정 표준과 한국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영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양국의 과학 (물리) 교육의 목표와 과학교육의 물리 영역 내용 구성을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물리)교육의 목표에서 양국 모두자연 현상 및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것을 과학 (물리) 교육의 목표로 하는 공통점이 있으나 중국은 물리 기초지식, 기본 기능과 연구 방법을배우는 것을 강조하고, 한국은 과학 핵심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 둘째, 중학교 물리영역 내용 구성의 범위(breadth)와 수준(depth)을 정량적 비교하였을 때, 중국 중학교 물리교육과정의학습 내용의 범위가 한국보다 더 넓은 반면, 수준은 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의 과학교육이지식의 양보다는 적절한 과학 핵심 지식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과학 핵심 역량의 함양을 육성하는 것을강조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학교 물리교육의 개선점과 시사점을 모색하여 향후중학교 물리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중학교 물리 교육과정의 실행에유용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KCI등재

        물리교육학이란 무엇인가?: 새로운 물리교육론 강의에 나타난 예비교사들의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이경호,김홍빈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8

        We ar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age of science. We need to have a deep interest in and do activ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science education, which explores what science is and how scientific knowledge relates to our lives.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develop a new physics education course for helping pre-service teachers to form their own identity.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ing: (1) How di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physics education change through the course? (2) How did Einstein’s TheEvolutionofPhysics (EoP) affect their understanding of physics education? Participants were 11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who took the course in 2018.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1) At the beginning,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physics education as an unidirectional transmission of knowledge about physics. Meanwhile, by the end of the course, their understanding had changed to a new understanding: physics education is a mode of human activity that explores nature and seeks an understanding of nature and human beings based on the knowledge system of physics. (2)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learned the authenticity and practicality way of physics education through the book. 세상의 많은 것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과학기술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과학이 무엇이며, 과학지식이 우리삶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등을 탐구하는 과학교육학의 정체성에 대하여 깊은 관심과 적극적인 연구가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물리교육론 강의를 개발하여 예비물리교사들이 자신의 전공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돕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수업을 통해 예비교사들의물리교육학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 수업에서 아인슈타인의 The Evolution of Physics (EoP)는 예비교사들의 물리교육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본 연구에는 서울 소재사범대학 물리교육과에서 2018년 1학기에 개설된 물리교육론 강의를 수강했던 물리교육 전공 학부생 11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기 초에, 대부분의 예비물리교사들은 물리교육학을 기존의물리학 지식체계를 전달하는 것에 관한 학문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기말에 그들 대부분은 새로운 인식즉, ‘물리교육학은 물리학의 지식체계를 바탕으로 자연을 탐구하여 자연과 인간을 이해하고 세상을 이롭게하는 인간활동의 양태’로 변화하였다. (2) EoP를 통해 많은 예비물리교사들은 물리교육학만의 고유성과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배울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사범대학 물리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예비 교사의 의견과 요구

        조광희 ( Kwang Hee J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2

        이 연구에서는 교사 양성을 위한 전공 교육과정에 관하여 물리교육과 재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사범대학의 물리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15명, 4학년 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자중 24명(86 %)이 고등학교에서 물리 I을 이수하였고, 22명(79%)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물리 I과목에 응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본인에게 현재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고등학교 물리 수준의 이해 (36%), 일반물리학 수준의 이해(29 %) 등이 많이 선택되었다. 또 가장 필요한 신설 강좌로 응답자의 61 %(17명)가 고등학교 물리 수준의 강좌를 지목하였다. 아울러 일반물리학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에 있어 비교적 일관된 의견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학생들은 연습 문제 풀이가 어렵고 이해가 부족하여, 일반물리학 학습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하였다. 일반물리학 강좌의 개선 방안으로는 핵심 개념 이해를 위한 충분한 설명을 가장 우선시하였다. 이처럼 설문에 참여한 예비 교사들은 대체로 고교 물리 및 일반물리학의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방향으로 대학의 전공교육과정이 개정되기를 희망하였다. 다만 고등학교에서 물리 II를 이수한 학생과 전혀 이수하지 않은학생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었다. 새 교육과정의 적용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선택 과목 축소 등에 따라 향후 고등학교에서 물리를 이수하고 물리교육과에 입학하는 학생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학습 수요를 고려하여 전공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physics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hysics education major curriculum. We surveyed 15 junior, and 13 senior college students of physics education major in an university in southern part of Korea. Among them, 24 participants(86 %) took the physics 1 course in high school and 22 participants(79 %) chose the physics 1 in their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The responses showed that the most necessary part in pre-service students` learning was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level physics(36 %), and the understanding of introductory level physics(29 %). In the wish list of courses to be open, high school level physics course was ranked first among seven options by 61 % of respondents. Also, there was some concurrence among respondents in opinion of the necessity for understanding introductory physics. Students felt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t especially owing to the lack of problem solving skill and comprehension. They added that the sufficient explanation of core concepts should be the first action in the innovative plan. Most participants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s hoped to have the revised major curriculum which could help their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level or introductory level of physics. However, there was a gap of opinions between the group of students with completion of the high school physics 1 & 2 course and those with non-completion of them. The approach of changing major curriculum with consideration of learners` needs was recommended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completion of the high school physics course would probably be decreasing rapidly under these circumstances such as the application of new national curriculum,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the elective courses in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so on.

      • KCI등재

        해양경찰 현장 물리력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교육 과정의 발전적 개선방안

        이용삼 한국해양경찰학회 2023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3 No.4

        해양경찰의 업무는 해양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육상의 상황과는 매우 차별적이고 다양하므로 굉장히 제한적이다. 즉, 해양경찰의 업무를 정확하고 실수 없이 수행하려면 현장을 잘 이해하고 해석해야 하는 높은 전문성을 필요로한다. 이처럼 해양경찰의 현장 업무와 경찰관의 물리력 대응 역량은 유의미한 영향관계에 있으나, 현재까지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물리력 대응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교육과정은 미미하게 진행되었고, 관련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어 현재 현장해양경찰관의 물리력 대응의 역량은 전문화된 대응을 담보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의 현장 물리력 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할필요성을 살펴보고, 현직자 대상 물리력 대응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교육과정의 발전적 개선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해양경찰교육원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경찰인재개발원의 물리력 대응 훈련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비교·분석하였으며, 경찰 무도 관련 연구논문과 이론서, 관련 규칙 등을 널리 수집하여 종합하고 분석하는 탐색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직자 대상 전문 교육과정 근접제압술의교과목명을 해양경찰 현장 물리력 대응 훈련으로 개칭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 직장훈련 규칙」상 현장부서 훈련 항목에 무도훈련을 추가하는 규칙의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현장 상황별 전문 교육과정의 추가 개설 및 확대의 필요성이 있다. 넷째, 물리력 대응 전문 교육과정을 현장 출장 교육과정으로 추가개설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무도 마스터 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현장 물리력 대응 전문 교육과정의 교육 인원을 모집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추진할필요성이 있다. 일곱째, 해양경찰교육원의 체포제압술 교수진을 외국 경찰기관의 경찰 물리력 사용 교육과정을 이수하게 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끝으로, 해양경찰 현장물리력 대응 훈련 교관 요원 양성과정의 전문 교육과정 개설이 필요하다. The nature of Coast Guard work takes place in a unique and diverse environmen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land-based situations. As a result, the scope of Coast Guard duties is highly specialized and limited. Accurate and error-free performance of Coast Guard tasks requires a high level of expertise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maritime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al tasks of Coast Guard and the physical response capabilities of police officers. However, to date, there have been insignificant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or related research conducted to enhance the physical response capabilities of Coast Guard Officer. As a result, the current level of physical response capabilities among Coast Guard Officer falls short of ensuring specialized and effective response in the fie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need to enhance the physical response capabilities of Coast Guard and propose progressive improvements in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aimed at strengthening their physical response capabilities. This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training programs for physical response offered by the Poli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which serves a similar function as the Korea Coast Guard Academy(KCGA). An exploratory research method was also utilized, involving a comprehensive collection and analysis of research papers, theoretical works on police martial arts, and relevant regulations. This approach allowed for gathering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conducting a thorough analysis. First, as a research findings, it is necessary to rename the subject of close-range control techniques of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of Coast Guard employees to "Coast Guard On-Site Physical Force Response Training." Second,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Training Rules for Police Officers Employed by Korea Coast Guard" to add martial arts training to the training items for on-site departments. Third, it is necessary of additional opening and expansion of on-site situation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Fourth, there is a need to expand physical force response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by adding on-site field training courses. Fif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of martial arts masters. Sixth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policy to recruit training personnel of the Coast Guard On-Site physical force response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Seventh, it is proposed to allow the instructors of arrest and restraint techniques at KCGA to undergo training in the physical force use education programs of foreign law enforcement agencies. Last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for the training of Coast Guard field physical response instructors.

      • SCOPUSKCI등재

        초융합, 초연결, 초지능의 개념을 통해 살펴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물리교육

        하상우(Sangwoo Ha),조헌국(Hunkoog Jho)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4

        본 연구는 앞으로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물리교육에서는 무엇을 고려해야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 아직까지 잘 정의되지 않은 개념이라는 것에 주목하고, 근 미래 사회가 가지는 특징 중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는 개념인 초융합, 초연결, 초지능의 개념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각 특징별로 물리교육이 해야할 역할이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 첫째, 다양한 산업과 기술, 학문이 융합되는 초융합 시대에 맞춰 물리교육에서도 본연의 경계를 넘어 보다 다양한, 이종 학문과의 융합을 추구하려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둘째,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연결을 통해 각 주체의 경계가 점차 사라지는 초연결 시대에 맞춰 증강현실, 가상현실과 같이 물리적인 한계를 넘어서는 물리교육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물리 학습 능력 관련 종합적 학습자 진단 시스템 개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인공지능이 개발되는 초지능 시대를 맞아 인간 고유의 특성인 창의성 및 감성, 인성을 길러주는 물리교육의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간성 상실의 위기가 예상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인간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물리교육이 해야할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siderations in Physic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ill lead to rapid changes. This study addresses the lack of defini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us, we focused on the features of hyper-convergence, hyper-connection, and super-intelligence, which characterize the future society. First, in the era of hyper-convergence, Physics education must be flexible enough to go beyond its original boundaries and pursue convergence with more diverse and heterogeneous disciplines. Second, in the hyper-connected era, Physics education must involve comprehensive learner diagnosis systems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 well as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Finally, in the era of super-intelligence, Physics education must nurture creativity, sensitivity, and human character, which are unique human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t is imperative to think about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in establishing human identit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hen a loss of humanity is expected.<br/>

      • KCI등재

        한국 및 일본 과학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물리 영역 비교

        강남화,유숙정,이은경 한국물리학회 2017 새물리 Vol.67 No.8

        The curricula in schools change in order to reflect changes in society. Korea has a new curriculum that emphasizes education for competency. New textbook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to implement the curriculum in schools. This study compared the aims, contents and emphases of Korean and Japanese high school physics curricula. Physics textbooks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how the curricula were repres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orean physics curriculum emphasizes recent developments in physics-related technologies and connections between physics and everyday life.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physics curriculum emphasizes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Japanese physics textbooks demonstrated the country's curriculum emphasis, which was exemplified in the topic of electromagnetic wave transfer. These findings provide both a way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hysics curriculum by way of comparing it with that of another country and a basis for Korean physics curriculum implementation, as well as topics for further discussion on physics curriculum revision.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에 발맞추어 한국에서는 내년부터 역량 함양을 중심으로 하는 2015 개정교육과정이 시행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물리 교육 과정과 교과서를 목표, 내용 및 주안점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한국의 2015개정 물리 교육과정과 이에 해당하는 일본의 이과 지도요령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물리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전개한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물리 교육과정은 첨단 과학 기술과 실생활의 연계를 강조하는 반면, 일본의 물리 교육과정은 기본 개념을 강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주안점이 교과서에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고, 그 예로 파동 단원의 전자기파의 발생 부분의 분석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른 나라의 물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물리 교육과정의 특성을 이해하고, 물리 교육과정 실행 및 추후로 진행될 개정에 대한 논의 주제를 제시한다.

      • 대전광역시 고등학교 물리교육의 현황 및 물리교육 방향 제안

        최성용 ( Seong-yong Choi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3 No.2

        2015 개정교육과정이 2018년부터 전국 중, 고등하교에서 시행되면서,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물리 과목 선택 비율은 더욱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대덕고등학교는 대전광역시교육청에서 과학중점학교 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로서 학생들의 물리과목 선택 비율과 물리과목에 대한 흥미와 성취도가 매우 높다. 대덕고등학교는 물리 수업뿐만 아니라 물리실험 교육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이 물리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대덕고등학교의 물리교육 과정을 일반계 고등학교에도 적용하여 보다 많은 학생들이 물리뿐만 아니라 화학, 생물 및 지구과학 과목을 수강하게 하는 것이 학생들의 미래를 위하여 필요하다. ther reduced after the 2015 amendment education course was enforced since 2018. However, students at Deadeok High School in Daejeon choose physics classes with a high ratio, compared to students at other high schools. Since Daedeok High School runs a special program of science priority school, high interest and achievement of physics courses of students are kept. The physics education program including classes and experiments of physics at Daedeok High School provides sufficient opportunity of understanding of physics concepts to students.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at general high schools in Korea to study a similar scienc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of the Daedeok High School for students future.

      • KCI등재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조광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성취 기준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 다룰 내용과 목표 등을 제시하고, 성취 수준을 포괄적으로 진술하여 각종 평가의 근거가 되는 등 과학교육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의 서술어를 중심으로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영역에 관한 성취 기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중에서 물리영역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3~4학년군, 5~6학년군, 중학교 1~3학년군, 고등학교 과학, 물리I, 물리 II의 성취 기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학습 내용에 관한 227개의 분석 대상 서술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동사는 ‘이해한다’로 총 116회(51%)였다. 이어서 ‘안다’가 69회(30%) 사용되었는데, 이 둘을 합치면 전체의 81%에 해당하였다. 이해한다와 안다의 사용 빈도는 학교급별로 차이가 났다. 초등학교 3~4학년 군에서 20개 서술어 중 11회, 5~6학년 군에서 21개 서술어 중 8회가 이해한다 또는 안다였다. 다시 말해 초등학교 4개 학년의 물리영역에서는 이 두 동사 외에 다른 동사로 진술된 서술어가 54%로 동사가 비교적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등학교에서는 이해한다와 안다의 비율이 모두 80% 이상이었다. 중학교 1~3학년 군에서는 총 45개 중 41개(91%)가 이해한다나 안다였고, 고등학교 과학은 29 개 중 27개(93%), 물리I은 64 개중 59 개(92%), 물리 II는 48개 중 39 개(81%)의 빈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는 안다가 2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지만 다른 동사들도 비교적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안다(58%)가,고등학교에서는 이해한다(65%)가 다른 동사에 비해 특히 빈도가 높았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후속 연구 및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play an important role in science education because they contain the content and the goal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They are also used as benchmarks for the many facets of evalu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predicates in the physics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ird and fourth grade of physics par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was analyzed, as was that of the fifth and sixth grades, seventh to ninth grades of physics parts in middle school science, and finally physics part in high school in High School Science, High School Physics 1, and High School Physics 2. The most frequently used verb was 'to understand', occurring 116 times (51%) among 227 verbs. The second most common verb was 'to know', which was used 69 times (30%) in the target sentences of this study. These two verbs, therefore, accounted for 81 percent on average.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however, was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46 percent of the verbs in the curriculum sentences were ‘to understand’ or ‘to know’, and 54 percent were others. The frequency of the same verbs was 41 out of 45 (91%) in the physics sections in middle school science, 27 out of 29 (93%) in the physics se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59 out of 64 (92%) in High School Physics 1, and 39 out of 48 (81%) in High School Physics 2. In addition, thirteen kinds of verbs were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writing of the physics section in elementary science, although they showed some diversity. In secondary school science, however, we found some bias in the use of verbs; for example, ‘to know’ (58%) was the dominant verb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documents but ‘to understand’ (65%) was the dominant one in high school curriculum documents. Finally, some academic or educational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물리 교육과정 중 내용 설명 문장의 서술 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

        조광희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12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descriptiveness of content-explanation sentences in curriculum documents and its application to the high school physics curriculum. Through a literature reviews and discussions with experts, an analytical framework was designed. It was compose of six numerical indicators: number of class hours, number of sentences, number of Korean characters, Korean characters per sentence, class hours per sentence and Korean characters per class hour, and it was applied to the 7th, the 2007 revised and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a for analyzing the curriculum documents of physics I and physics II. On average, the content-explanation part in each curriculum consisted of 34 sentences, 1005.2 Korean characters. The curriculum of physics II tended to be more shortly described than that of physics I.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ad more extensive descriptions than other versions. In addi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설명 문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위한 도구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고등학교 물리 교육과정 문서의 특징을살펴보았다. 먼저 전문가 협의, 선행 연구 검토 등을 거쳐 교육과정문장에 대한 정량적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 분석틀은 서술 양에 관련된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 문장 수, 글자 수와 서술 수준을 나타내는 문장당 글자 수, 문장 당 수업 시간 수, 수업 시간 당 글자 수로 구성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고등학교물리 I, 물리 II의 교과 내용을 설명한 문장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내용 설명 문장은 평균적으로 34문장, 1005.2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체적으로 물리 I이 물리 II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었다. 또 2007 개정교육과정의 문서는 상대적으로 간략하게,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자세하게서술되었다. 아울러 이 결과가 교육과정의 개발 및 활용에 미치는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고찰-국내외 학교공간혁신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보민,양혜진,이경화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0 청소년시설환경 Vol.18 No.2

        Nowadays, due to low fertility index, South Korea is now facing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tudents tends to decrease while the number of unused classrooms tends to increase. In order to quickly respond to this curriculum for Cultivation of Future Talent,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school space is changing.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in the process of applying various plans to create a suitable space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creative education. Thus,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a new aspect of space to support education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by examining theoretical researches o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s well as on changing domestic and foreign school space. About research methods, by referring prior researches and literature reviews, we focused on examining and analyzing the necessity of physical environment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nd spatial attribut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space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Next, based on the four spatial characteristics of future school space innovation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5 domestic schools and 5 foreign schools were analyzed at the same time, the analyzed results have drawn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support the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First, "multiple learning space" must be changed appropriately based on each learning program, user intent, personal learning style, social learning space and independent learning space also needs to be established simultaneously. Second, 'the convergence knowledge sharing space' is the place where different interdisciplinary knowledge exchanges take place and classrooms should not be directional and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knowledge exchange can proceed smoothly by using system furniture that is combined by table, monitor, and blackboard. Third, ‘community connected space’ should be organized as learning space for the region by opening certain parts of the school for sustainable learning. In this way,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epares a variety of learning spaces to cope with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and increasing unused classes. In addition, learning spa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community so that learning connection can be made continuously. 오늘날 우리나라는 낮은 출산율로 인한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유휴공간의 증가,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응하기 위해 학교공간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교육부는 창의융합교육과 창의교육에 적합한 공간 구성을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융합교육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검토하여 창의융합교육을 지원하는 공간의 새로운 방향을 탐구했으며, 국내의 학교공간혁신 사례와 학교 공간에 혁신을 일으킨 해외 사례에 중점을 두고 연구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필요성을 살피고, 창의융합교육의 요소와 공간 속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공간의 특성 요소를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교육부에서 발표한 미래형 학교 공간 혁신의 4가지 공간특성을 기준으로 국내외 사례 10개 학교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통해 창의융합교육을 지원하는 물리적 환경의 특성 중심으로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중적 학습공간’은 다양한 교육과정과 사용자 목적에 따라 유동적으로 공간이 변화되어야 하며, 개별적 학습 스타일에 따라 사회적 학습 공간과 독립적 학습공간이 동시에 존재해야 한다. 둘째, ‘융합적 지식 공유 공간’은 다양한 학제적 지식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교실은 방향성이 없어야 하며, 테이블·모니터·칠판이 결합된 시스템 가구를 통해 지식 교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연계공간’은 지속 가능한 학습을 위해 학교의 일정 부분을 개방하여 지역을 위한 학습공간으로 구성해야 한다. 이처럼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물리적 환경은 학령인구 감소와 유휴공간 증가에 대응할 수 있게 다양한 학습공간을 마련하고, 지역사회에 학습공간을 제공하여 끊임없는 학습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도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