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문화가 마켓센싱 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학습의 조절효과

        임동우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1

        The sources of corporate survival and developm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usiness innov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management paradigm. Its starting point begins with the reinforcement of the individual capabilities, and the marketing activities of the employee, the marketing activities can be the basis for the individual capabilities. This study classified organizational culture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market sensing capability, and analyzed its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ere four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ir market-sensing capacity level(7-point scale) and organizational learning level(5-point scale) were measured as clan culture(4.235, 2.288), hierarchy culture(4.542, 2.869), market culture(4.894, 2.869), and adhocracy culture(5.259, 4.400). It has been confirmed that adhocracy culture types have the highest market-sensing capacit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level. Upon verification of the hypotheses, First, clan culture in relation to market sensing capacity was not identified any relationship, and the hierarchy culture was confirmed to the market-sensing capacity with negative relationship. Market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to market-sensing capac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culture is confirmed to be relatively higher to market-sensing level compared to adhocracy culture. Second, the market-sensing capacity was identified a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is the same result as prior research, supporting the rationale that market-sensing capabiliti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Third, after verifying the coordin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market-sensing capabilit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significant adjustment effect was confirmed. However, while the adjustment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by type of organization was not confirmed after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controlling organizational learning by organization culture, the adjustment effect of positive in strengthening market-sensing capability was confirmed in market-oriented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Organizational learning levels also identified the positive adjustment effect of market-sensing capabil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showed greater control over financial performance compared to non-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upport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strengthening internal capabilities. The establishment of a new management paradigm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take precedence in establishing a platform for marketing activities through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learning. Thus,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market and adhocracy culture, and by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the establishment of a platform to enhance market-sensing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will be required.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업생존과 발전의 근원은 경영혁신과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의 구축이다. 이의 출발점은 조직구성원의 개인역량 강화로부터 시작되며, 조직구성원의 마케팅활동인 마켓센싱역량은 개인역량의 기준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문화유형과 마켓센싱역량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고,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조직학습수준이 이들 관계성에 미치는 조절효과도 확인함으로써 기업성장과 시장선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조직구성원의 마케팅활동인 마켓센싱역량의 플랫폼 구축 방안 모색에 연구목적을 둔다. 연구결과 조직문화 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마켓센싱역량(7점 척도)과 조직학습(5점 척도) 수준은 각각 관계지향문화(4.235, 2.288), 위계지향문화(4.542, 2.869), 시장지향문화(4.894, 2.869), 혁신지향문화(5.259, 4.400)로 측정되었다. 4가지 기업 문화유형 중 혁신지향문화유형이 마켓센싱역량과 조직학습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한 결과 첫 번째, 조직문화유형별 마켓센싱역량의 관계성에서 ①관계지향문화는 유의미한 관계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②위계지향문화는 마켓센싱역량에 음(-)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③시장지향문화와 ④혁신지향문화는 마켓센싱역량에 정(+)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시장지향문화는 혁신지향문화에 비해 마켓센싱역량 수준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정(+)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 마켓센싱역량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 간 정(+)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로 마켓센싱역량은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력이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하고 있다. 세 번째, 조직문화유형과 마켓센싱역량 그리고 경영성과 간 조직학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정(+)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조직문화유형별 조직학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계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시장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에서는 조직학습 수준이 마켓센싱역량 강화에 정(+)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학습 수준은 마켓센싱역량과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 간 정(+)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비재무성과에 비해 재무성과에 더 큰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학습이 가진 내부역량 강화의 긍정적 효과성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 구축은 조직학습 강화를 통한 마케팅활동 플랫폼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조직문화유형은 시장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로 전환시켜야 하며, 조직학습을 통해 조직문화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직구성원의 마켓센싱역량과 경영성과를 높이는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

      • KCI등재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체육 실천 탐색

        주성순(Ju, Sung-Soon),임현주(Im, Hy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 함양 위한 학교체육 실천 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 조사는 다문화사회와 다문화 역량, 다문화 스포츠교육 개념, 다문화 역량중심 스포츠교육 목표, 다문화 역량중심 스포츠교육 내용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017년 5월 8일부터 6월 30일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체육활동 유형 및 적합성,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체육 활동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체육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실천 비전과 실천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핵심 과제로는 다름을 인정하고 배려하는 학교 환경 조성, 협력과 배려로 건강한 공동체 형성, 스포츠맨십과 스포츠가치 함양, 국제적 스포츠지식 함양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은 크게 ‘지적 역량’, ‘방법적 역량’, ‘사회적 역량’, ‘인성적 역량’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실천 영역으로서, 단위 학교 다문화 체육활동 편성 및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sport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ompetence, which is one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future, and presented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n, it aim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way to cultivate multicultural competence in school sport. The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survey. That is, conceptual analysi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on sports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nd literature study for deriving theories of multicultural sports educ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literature analysis and Delphi survey results, I proposed a school physical education practice plan to cultivat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students. As a core part of this study, this study proposed a school sport practice plan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ompetence of students . As a vision of practice, this study set up cultivating global talents in the multicultural age . The goal of the program was to improve international sports awareness, raise multicultural competencies, and raise awareness of global citizenship. The core task that this study proposed was to establish a school environment that acknowledged and considered differences, to form a healthy community through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to cultivate sportsmanship and sports value, and to improve international sports knowledge. The multicultural competencies of students are categorized by cognitive competence, methodic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human personality competence. For practices, types of multicultural activities and cont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및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수역량간의 관계

        문태형 ( Moon Tai-hy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186명을 대상으로 하여 긍정심리자본,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수역량에 대한 일반적 경향성과 이들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도구로는 다문화수용성 척도, 긍정심리자본 척도, 다문화교수역량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 t-검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긍정심리자본,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수역량간 상관분석 결과, 이들 세 변인의 대부분의 하위요인들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 및 다문화수용성의 다문화교수역량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다문화교수역량의 인지적 역량에는 긍정심리자본의 희망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성 하위요인이, 기능적 역량에는 긍정심리자본의 희망과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이, 그리고, 정의적 역량에는 긍정심리자본의 희망 및 낙관주의 하위요인과 다문화 수용성의 다양성 하위요인이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연수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의 경우에는 희망 하위요인이 다문화교수역량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연수경험이 없는 유아교사에게는 다문화교수역량의 개인차가 희망, 낙관주의, 자기효능감, 다양성, 관계성 등 다양한 변인들에 의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A total of 186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awareness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all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was significant. Especially, the hope sub-factor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lationship sub-factor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gnitive competency sub-factor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The hope and self-efficacy sub-factor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functional competency sub-factor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Furthermore, the hope and optimism sub-factor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diversity sub-factor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ffective competency sub-factor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hope sub-factor was significant on all thre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out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self-efficacy, optimism, diversity, relationship sub-factors as well as hope sub-factor were significant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 KCI등재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진광영(Kwang Young Jin),문병준(Byeong-Joon Moon)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경영경제연구 Vol.43 No.2

        기업간 경쟁이 치열한 현실에서 마케팅역량을 구축하고 적절한 마케팅전략을 수립, 실행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은 긴요한 문제이다. 마케팅전략이나 역량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조직문화와 연계하여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케팅역량과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문화에 따라 이들 간의 관계에 어떤 변동이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이론적 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분석하였다.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직문화의 유형은 가족주의적 조직문화, 혁신적 조직문화, 위계질서형 조직문화, 성과지향형 조직문화로 구분하였다. 마케팅역량은 정보, 지식, 자원 등의 기획, 관리와 관련된 기본적 마케팅역량과 가격관리, 제품개발, 유통관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판매관리 등 마케팅 믹스를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분야별 마케팅역량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기본적 마케팅역량이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혁신적/성과지향형 조직문화가 가족주의적/위계질서형 조직문화보다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분야별 마케팅역량 중 제품개발 역량은 혁신적 조직문화에서, 판매관리 역량은 성과지향형 조직문화에서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으로써 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의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마케팅역량이 혁신적 조직문화와 성과지향형 조직문화에서 더 높은 마케팅전략 실행 효과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성과 제고에 기여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Currently, most corporations face cutthroat competi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build marketing capabilities, establish and implement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equently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been extensively conducted on the impact of marketing strategies or capabil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findings so far are insufficient to fully understand the effects of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MSIE) in connection with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nd presented theoretical models and hypotheses while conducting empirical analyses to find out organizational culture’s moderating effect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e study employe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categorized into clan organizational cultures,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s, hierarchy organizational cultures, and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s. Marketing capability is classified into two capabilities, firstly architectural marketing capabilities planning and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 knowledge, and resources; and secondly specialized marketing capabilities implementing mixes of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pricing, product development, channel management, marketing communication, and selling. The findings from the study show that marketing capabilit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in the effects of architectural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the adhocracy/market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stronger moderating effect than the clan/hierarchy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effects of specialized marketing capabilities on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when a marketer is capable of product development in an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 the measured effect of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when a marketer is capable of selling in a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 the size of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the highest. Namely,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is significant. To sum up,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nationwide and show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adhocracy organizational cultures and market organizational cultures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s higher than other organizational cultures. Ultimately, it contributes to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 일본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 문화적 역량에 관한 담론연구를 중심으로 -

        김성숙(Sung-Sook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에서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담론연구를 중심으로, 일본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다음의 여러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1) 문화개념 및 문화적 역량, 2) ‘문화심의회 중간보고’에 대한 각계전문가들의 논의, 3) competency로 대표되는「능력」관 논의, 그리고 4) 일본의 2008년 개정교육과정에서의 역량(competency). 또한, 조사연구에서는 1) 일본의 문화예술․교육행사, 2) 미술관교육, 3) 설문조사에 기초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성과로서, 독자적으로 추출해낸 ‘일본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를 논의별․연구내용별로 종합하여 재정리하고, 이를 다시 1. 다양한 개개인․공동체․혹은 조직에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2. 다양한 개개인, 공동체, 자연 및 사물에 대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3. 구체적 학문분야에 대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사례―미술과 교육과정)로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본은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바람직한 미래의 일본 만들기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기초하여, 양대 목표로 ‘문화예술입국(文化藝術立國)의 실현’과 ‘교육재생’(敎育再生)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문화적 역량에 대한 여러 논의도 실천적이며, 전국적 네트워크를 통해 조건이나 환경 등을 새롭게 재정비하며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ed discourses. The research methodology implemented was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 has investigated such as 1)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y, 2) various discourses and responses on the intermediate report of the cultural council , 3) the discussion on the perspectives of the capacity represented as competency, and 4) the competency involv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8 in Japan. Based on the survey, the researcher has discovered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Those elements have been extracted from 1) the art and cultural events in Japan, 2) education in art gallery, and 3) invented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s articulated the cultural components of competency in Japan based on the domain of contents and discourses of cultural components. In conclusion, Japan drives forward strongly two aims: actualization of nation based on art and culture, revitalization of education. These policies are implemented to make a desirable nation for the coming new era. The discourses on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is quite practical. Thus the policy to increase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is accelerated by nationwide network with a new circumstance and revised system. These findings will give the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cultural policy in Korea.

      • KCI등재후보

        공무원 다문화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를 위한 요구 분석

        이병준,박응희,한현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1

        노동의 세계화와 국제결혼, 다양한 종교의 유입 등 변화하고 글로벌화하는 사회환경에 따른 여러 문제들은 이제 지역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대응을 행정서비스에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의 진입에 따른 직접적인 행정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다문화역량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다문화역량은 다문화학습의 과정을 거쳐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다문화역량의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국가와 연구자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다문화역량은 문화적 의식, 등을 거쳐 습득되는 문화적 역량의 개념으로 이해되어지며, 독일의 경우 다문화역량은 의사소통능력, 갈등관리능력 등의 기초역량에서부터 문화 간의 차이 인정 능력에 이르기까지의 문화적 역량이 포괄된 역량으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는 현재의 공무원들의 다문화역량에 대한 의식수준은 전반적으로 평균수준이며 결핍된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는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적지 않는 공무원들이 자기 자신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한 것은 프로그램의 기획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basic materials of education programs helping competency development for public officials who are conducting public service directly, as the multi-cultural society has come. The variety of issues came after the changeable and globalized social environment such as globalization in labor industry, international marriage and introduction of diverse religion. Those are in need of active responses to public service. We recognize the need of education programs that fit in the multi-cultural paradigm, then it can possibly be used for building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 of multi-cultural competency development as basic materials. We have to promote a learning culture for the proper response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t can be helpful to enter a mature civil society when we recognize and embrace identities of minority groups through an education for public officials who directly provide the multi-cultural public service.

      • KCI등재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통합적 고찰

        손현미,제민지,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4

        This study was to draw the attributes of nursing with cultural competency based on an integrative review and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s for nursing.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multiculture', 'cultural competence', 'nursing', and 'medicine' as key words, the researchers searched relevant studies in three electronic databases. Twelv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full text screeing of related researc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04 to June 2014. Through in-depth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literature, four components emerged; 1) cultural awareness, 2) cultural acceptance (attitude), 3) cultural knowledge, 4) cultural skill (practice).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prospective and basic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program of nursing. Future program for i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hould included these four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tinuous effort is needed to integrat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curriculum of nursing college and continuing nurse education. Repeated study related to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hould be also necessary. 문화적 역량은 다른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편견 없이 다른 문화의 사람들과 적절하고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능력으로, 특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대상자를 접하는 간호사에게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로 다문화 대상자가 증가하면서 국내에서도 이러한 인식이 증가하게 되었다. 문화적 역량을 갖춘 간호사는 다른 문화에 따른 가치나 태도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개별화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문화적 역량과 관련한 간호연구를 통합적 고찰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속성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에 선정된 연구는 총 9편으로 이 중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중재연구는 3편에 불과했다. 모두 2010년 이후에 발표되어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국내 연구가 초기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속성은 문화적 지식, 문화적 인식, 문화적 수용성(태도), 문화적 기술(행위)의 4가지로 확인되었다. 국내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학의 교육과정과 간호사 보수교육에 이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개발 시 4가지 속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의 관계에 대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

        박인숙(Park, I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민감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과의 관계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해,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에 대한 다문화민감성의 영향을 알아보고 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과의 관계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가 어떠한지에 대해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경력 3년 이상의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연구방법을 채 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에 적용할 측정도구를대학원 이상의 학력과 3년 이상의 교사경력을 가진 현직 초등교사 2인에게 1차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 다문화교육역량은 다문화 민감성 의 모든 하위요인인 상호작용 참여, 문화차이 존중, 상호작용 자신감에 의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줌으로써 다문화민감성을 지닌 교사는 타문화에 대한 지식습득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되어 타문화권학생들의 지도역량 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문화민감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원학습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절변수로써 작용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의 교원학습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민감 성을 증진시켜 다문화교육역량을 제고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다문화민감성과 다문화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들이 올바른 신념과 자질을 갖추고 학습자들을 지도하는 것이 관건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teach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1 elementary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of more than 3 years experience in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 region. The research data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of elementary teacher s intercultural sensitivity, teachers’ learning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in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teachers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was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eachers’ learning cultur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In addi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emotional supporting competence were shown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 However, they did not show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 multicultural parent consultation competence. These results sho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of the teacher who has a high sense of teachers’ learning culture has a high Moderating effect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emotional supporting competence due to inter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다문화 경험과 글로벌 역량의 관계

        이은경(LEE Eunkyung),김정덕(KIM Jungdeok),송선영(SONG Sunyou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9 핵심역량교육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global competencie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206 students from universities with or with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ed program. The types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were derived from their formal/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the method of cluster analysis. Five types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were named as educational service type, class and travel type, foreign friend type, foreign travel type, half-hearted type. The level of global competence of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cultural experience. The level of global competence of foreign friends students, study and tour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Among the sub-domains of global competence, flexibility was influenced by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types. The level of flexibility was higher in the types of foreign friends and foreign travel than in other types. The change of global competence level according to 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for example, multi-cultural classes) was not recognized. On the contrary,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foreign friends and foreign travel) increased global competency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discussed the issue of tim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rience-based program for global competence education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글로벌 역량에 대한 관심과 글로벌 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역량과 관련된 요소들 중에서 태도와 관련된 요소들이 어떻게 학습되고 교육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고, 관련 연구결과 수렴도 미비하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교육과정과 같은 형식적 다문화 경험과 친구관계와 같은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글로벌 역량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다문화 교육과정이 있는 대학(A대학)과 그렇지 않은 대학(B대학, C대학)의 대학생 206명으로 하였다. 대표적인 형식적 및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 요소에 따라 군집분석을 시도한 결과, 대학생의 다문화경험 유형을 ‘교육봉사형, 수강및여행형, 외국인친구형, 외국여행형, 소극적관심형’의 다섯 가지로 도출하였다. 대학생의 다문화 경험 다섯 유형에 따라 글로벌 역량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 중 외국인친구형과 수강및여행형의 글로벌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경험 유형에 따라 글로벌 역량의 하위 영역(유연성, 다문화이해 및 수용 능력, 글로벌화 및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별 차이도 다르게 나타났다. 3개의 글로벌 역량 영역 중 유연성 영역에서만 다문화 경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특징적으로 외국인친구형과 외국여행형의 유연성이 높게 나타났다. 개인 배경변인 중에는 성별 및 학교별로 따라 유형별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은 교육봉사형과 외국여행형에서 비율이 높고, 남학생은 외국인친구형과 소극적관심형에서 비율이 높았다. 다문화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대학에서는 수강및여행형, 소극적관심형, 외국인친구형의 비율이 컸고, 그 외 대학에서는 외국여행형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연구에서 교과목과 같은 형식적 다문화 경험에 따른 글로벌 역량 수준의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외국인 친구나 외국 여행과 같은 비형식적 경험들이 글로벌 역량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높이고 학생들이 다문화 관련 경험을 보다 의미있게 체득할 수 있도록 다문화 교육과정 중점 제공 시기와 경험중심의 교육과정 구성 탐색 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유신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2

        Focusing on the job dut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his paper studies competency development details of educators and arts educators in Korea and overseas and suggests ways to develop their job-based competencies. This research first determines the job dut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n conducts basic research on the competenc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ith reference to competencies demanded by arts educators and planners in Korea and overseas. First, competenc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were grouped into the arts expertise competency group, class instruction competency group, planning and research competency group, and general operations competency group based on the job dut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hen within each competency group, groups specific to knowledge, attitude, and functional competencies were determined and used to describe the group competencies proposed using detailed behavioral indicators. Detailed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may contribute to the overall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field. It may also contribute to the training curricula and class manageme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에 기반한 역량 탐색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외의 교육자 및예술교육자 역량 개발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는 예술강사보다 폭넓은 개념이며, 그 직무에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사 고유의 역량을 정의하고 이에 기반하여 문화예술교사의 교육 및 선발, 평가 등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모델 개발에서 예술전문성 역량군, 문화예술교육 역량군, 예술교육 역량군, 기획 및연구 역량군, 일반업무역량군, 등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군을 나누고 이 역량군 내에 구체적인 행동 지표로 제시된 역량을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모델은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반적인 인재개발 및 관리에 도움을 줄 수있으며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및 수업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