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고부갈등 양상: EBS 〈다문화고부열전〉에 나타난 고부갈등을 중심으로

        정선주(Jung, Sun-Jo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고부갈등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EBS 〈다문화고부열전〉의 300회 가량의 분량을 방송을 분석했다. 다문화가정 고부갈등을 다룬 선행연구가 한정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질적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기에 본 연구는 〈다문화고부열전〉 300회 가량의 방송 내용에 나타난 다양한 국적 과 연령, 결혼 형태의 다문화가정 고부갈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고부열전〉에 나타난 갈등은 시어머니의 갈등, 며느리의 갈등, 새롭게 등장하는 갈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 시어머니의 갈등은 역할 기대, 며느리 눈치 보기, 도주 불안, 독박 살림 & 황혼 육아, 헤프게 쓰는 돈, 애타게 기다리는 출산 등이 있었으며 며느리의 대표적 갈등은 시어머니의 방식대로, 이젠 한국 사람처럼, 못 미더움, 일상적인 소비가 낭비라니, 세상에서 제일 큰 목소리, 눈치 보는 친정집 송금 등이 있었다. 그리고 결혼 이주의 역사가 20여 년이 도어가면서 새롭게 등장하는 갈등도 있었다. 프로그램 초기보다는 중·후반에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드러나지 않는 고부갈등 및 가족갈등이기도 했다. 사돈 문제, 며느리 취업 문제, 재혼가정의 전처·전 남편 아이들 교육 및 입양 문제, 며느리의 핸드폰 과몰입, 가장 역할 며느리에 대한 부담, 고부갈등에 낀 남편 등이 이에 해당한다. This study analyzed about approximately 300 episodes of EBS’s EBS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 to find out determine what causes various the types of high-intensity conflicts between mothers-and daughters-in-law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auses. Most Since the prior studies dealing of with the conflicts of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are mainly qualitative and had small sample sizes studies targeting limited participants, limiting the applicability of their findings. However, this featured study is the high qua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composed of people of with various nationalities, ages, marriage form shown in featured in approximately about 300 episodes of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 The conflicts shown featured in 〈Storie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Daughters-in-Law〉are can be divided into conflicts between mothers-in-law, daughters-in-law, and new conflicts. The representative conflict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others-in-law’s arose from conflicts included role expectations, not being able trying to understand the thought processes of their read daughters-in-law’s mind or face, anxiety on the run, single homemaking housekeeping & and providing elder twilight care alone, overspending and daughter-in-law pregnancy while the representative conflicts from the perspectives of daughters-in-law’s representative conflicts included arose from forced compliance with their mother-in-law’s methods preference, one-sided assimilation, distrust of daughters-in-law, over-consumption problems, the volume of their mother-in-law’s loud voice, and remittances to daughter-in-law’s home. And as the history of marriage migration is over has been around for more than 20 years old, but there has been a new conflicts have arisen. These conflicts began to appeared with increasing frequency more frequently in the middle an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program’s run than in the early part of the program, and were more intense it was also a high-flying and family conflict that than those examined was not revealed in previous prior studies. These problems include problems those between in-laws, the daughter-in-law’s employment, education, and adoption of the ex-wife and ex-husband’s children from previous of second marriage families, overuse of her cell phone, the burden placed on of a daughters-in-law as the heads of the household and the husband’s stress between mother and wife’s conflict.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정의 부부 갈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갈등 형성과 대처를 중심으로

        한주리,김인영 한국소통학회 2012 한국소통학보 Vol.19 No.-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나타나는 갈등, 특히 부부 갈등의 양상과 갈등당사자들의 대처방식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에 대한 적절한 지원방안과 정책 등에 대해서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가정의 부부를 심층인터뷰하여 부부의 갈등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부 갈등은 크게 의사소통으로 인한 갈등, 경제적 문제로 인한 갈등, 지역사회 및 문화 갈등,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갈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갈등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다문화 가정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 언어교육을 위한 정책 지원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다문화 가정 부부의 갈등 대처유형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회피와 단절, 인내와 순응, 간섭과 통제, 연대와 소통의 네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대인 커뮤니케이션 상에서 나타나는 갈등 대처 유형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부부 갈등의 경우 문화적 문제에 국한하여 해결하려는 노력에 그칠 것이 아니라, 부부를 동등한 인격체로 보고 일상적인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로 구체적인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부부를 대상으로 한 상담 및 코칭 프로그램, 다문화 가정과 지역사회 간 연대와 소통 프로그램 등을 활성화시키고 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Rapid increasem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caused the conflict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ed the conflict formation and management style between them in order to show the suitable supporting system and policy. To meet this purpose, we took the in-depth interview with multicultural couples. As a result, communication conflict, economic problems, conflict caused in the local community and cultural conflict, and social bias on multicultural family member were shown. Especially communication conflict were shown a lot. It means that of systematic and effective support for the right policy on the communicational aspects for multicultural family were highly needed. Secondly, four different style of the conflict management were revealed. They were avoiding & disconnection, tolerance & obliging, intervention & control, and solidarity & communication. It is really similar with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 in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uch as avoiding, obliging, dominating, and integrating. It means that the cultural problem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problem caused the conflict between the multicultural family. Therefore, we need to help them to solve the communication problem in a daily communication basis. And the support program on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such as counseling program, coaching program, community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program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local community are highly needed.

      • KCI등재

        한,일 기업문화의 비교연구 -갈등관리 관점을 중심으로-

        송재훈 ( Jae Hoon So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4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기업문화가 사내 커뮤니케이션 및 갈등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양국가간 기업문화의 이해와 향후 기업경영의 양호한 전략수립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기업문화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하위변수를 집단문화, 혁신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의 4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하였다. 매개변수로는 사내 커 뮤니케이션과 갈등관리의 2가지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사내커뮤니케이션은 가치관의 공유, 업무커뮤니 케이션, 캠페인의 3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되며, 갈등관리는 예방, 해소, 자극의 3가지 차원으로 설정하 었다. 종속변수는 경영성과로서 비재무적 요인과 재무적 요인으로 구성되며 비재무적 요인은 종업원성과, 프로세스성과, 품질성과, 고객성과의 4가지 차원을, 재무적 요인은 종업원이 인지하고 있는 재무적성과의 단일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모형을 통해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한국과 일본기업 간의 기업문화의 차이를 규명한 결과, 한국기업이 집단문화 성향과 혁신문화, 위계문화 그리고 합리문화의 성향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문화가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기업은 집단문화와 혁신문화의 성향이 높을 때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기업은 혁신문화일때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나, 합리문화일때는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은 오히려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문화가 갈등관리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기업은 집단문화 및 혁신문화, 위계문화일 때 갈등관리 해소에 긍정적으로 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본기업은 집단문화 및 위계문화, 합리문화일 때 갈등관리에 영향을 미치나 합리문화나 위계문화는 오히려 갈등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기업문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기업은 집단문화와 혁신문화일 때 비재무적성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본기업인 경우에도 집단문와와 혁신문화일 때 비재무적성과가 높게 나타났으나, 합리문화와 위계문화일 경우에는 오히려 비재무적성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재무적 성과에도 한국기업과 일본기업 모두 집단문화와 혁신문화일 때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반면에, 일본기업은 합리문화일 경우 재무적 성과에도 역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이 갈등관리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기업은 커뮤니케이션의 하위요인인 가치관의 공유, 업무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이 갈등관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본기업은 커뮤니케이션의 하위 요인 중 캠페인이 가장 많은 부분에서 갈등관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업무커뮤니케이션은 갈등관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기업인 경우는 커뮤니케이션의 하위변수인 가치관의 공유 및 업무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이 경영성과에 고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본기업인 경우는 비재무적성과에는 가치관의 공유 및 캠페인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업무커뮤니케이션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갈등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기업은 갈등관리의 하위변인인 예방이 종업원성과 및 프로세스성과, 품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객성과와 재무적성 과에는 예방 및 자극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본기업인 경우는 예방 및 자극을 통한 갈등관리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해소를 통한 갈등관리는 오히려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학문적 측면에서는 첫째, 조직문화와 사내 커뮤니케이션, 갈등관리, 경영성과의 인과적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관련 이론 및 학문에 경험적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었고, 둘째, 기업문화를 국내의 기업만이 아닌 일본의 기업과의 비교를 통하여 결과를 얻게 되므로 글로벌 시대의 기업운영에 있어서 국가간 문화적 차이에 의한 경영방식의 이해를 도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사내 프로그램 요인 등 간접적이며, 잠재적인 요인들이 경영성과에 깊게 내재될 수 있다는 이론을 더욱 지지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무적 측면에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일본의 기업문화를 이해하고 상호간의 유용한 기업문화를 경영에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과 일본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있어서 해외 현지 경영시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업문화 개선과 조직내 갈등관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기업경영은 경영성과를 위한 직접적인 경영프로세스도 중요하지만 종업원들의 동기기제로서 간접적인 요인들이 작용함을 인식하고 이러한 중요 요인들을 적용하기 위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Korean and Japanese corporate cultures on internal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performance, thereby seeking an understanding of the two countries`` corporate cultures and ways to establish good strategies for future corporate management. To this end, corporate culture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hile group culture, innovative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set as its sub-dimensions. Moreover, internal communic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were used as parameters. Internal communication was composed of shared values, work communications, and campaign, while conflict management consisted of prevention, resolution, and stimulation. Management performance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which was comprised of non-financial and financial factors. The non-financial factors included employee performance, process performance, quality performance and customer performance, while financial performance perceived by employees was used as the only financial fact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model. First,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rporate cultures revealed that Korean companies had stronger tendencies of group culture, innovative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rporate culture on internal communication, Korean companies with group and innovative cultures displayed smooth internal communication. In contrast, Japanese companies with an innovative culture showed smooth internal communication, while those with a rational culture did not.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rporate culture on conflict management, group, innovative, and hierarchical cultu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flict resolution in Korean companies. In Japanese companies, on the other hand, rational and hierarchical cultures negatively influenced conflict management.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rporate culture on management performance revealed that group and innovative cultures led to a high level of non-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n companies. In Japanese companies, group and innovative cultures resulted in a high level of non-financial performance, while rational and hierarchical cultures decreased non-financial performance. When it comes to financial performance, in both Korean and Japanese companies, group and innovative cultures had positive effects, while a rational culture had an adverse effect in Japanese companies. Fifth, the analysis of internal communication on conflict management showed that shared values, work communication, and campaign, which are the sub-factors of internal commun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conflict management in Korean companies. In Japanese companies, however, campaign had a positive effect in many ways, while work communic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conflict management. Six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ternal communica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all of the sub-factors of internal communication―shared values, work communication, and campaign―had posi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n companies. In japanese companies, on the other hand, shared values and campaign positively influenced non-financial performance, while work communication did not have any direct impact. Seven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Korean companies, preven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onflict man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 performance, process performance, and quality performance. Moreover, prevention and stimulation positively influenced customer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contrast, in Japanese companies, conflict management through prevention stimu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stead, conflict management through resolution negatively influenced management performance.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통합관점에서 바라본 간문화 갈등과 간문화 중재

        허영식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intercultural conflict and med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arrive at this aim, the researcher dealt with the following themes: the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society and intercultural conflict, conflict culture and intercultural medi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bottom line of this paper can be formulated as follows:Modern society as a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characterized by a paradox of conflict. To understand the intercultural conflict in multicultural society, one has to refer to the conflict theory regarding its agenda and central themes. In coping with intercultural conflict, not only the ethnic-cultural differences and diversities but also the problems of recognition surrounding the social-structural power have to be duly considered. Regarding the conflict culture for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one has to pay attention to the ambivalence and fundamental point of conflict culture. In relation to the intercultural mediation as a main instrument of conflict culture for social integration, it is desirable to refer to the model of intercultural mediation and to the intercultural mediation competence. Last but not least, intercultural mediation can be interconnected, on a broader horizon of interculturality, with the projects and discourses about the intercultural opening, diversity management, and anti-discrimination. 이 글은 다문화 사회의 통합 관점에서 간문화 갈등 및 간문화 중재의 개념과 함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통합의 문제에 관해 언급하고, 갈등이론을 기초로 삼아 간문화 갈등에 주의를 기울였으며, 이어서 간문화 갈등을 다루기 위한 방책으로서 갈등문화 및 그 주요수단인 간문화 중재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고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명제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다문화 사회로서의 현대사회는 ‘갈등의 역설’이라는 특징을 안고 있다. 다문화 사회는 강력한 갈등을 안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점점 더 사라지고 있다. 둘째, 다문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간문화 갈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갈등의 기능성․역기능성, 그리고 평화로운 갈등해소나 정치적 갈등문화를 가능케 하는 사회구조적․제도적 조건에 관한 의제와 핵심명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셋째, 간문화 갈등과 관련해서는 민족적․문화적 차이 및 다양성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힘의 격차를 둘러싼 인정의 문제도 역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 사회의 통합을 위한 갈등문화와 관련해서는 갈등문화의 양면성을 고려하고, 근본적인 토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다섯째, 사회통합을 위한 갈등문화의 주요수단인 간문화 중재와 관련해서는 간문화 중재 모형과 간문화 중재 능력을 참고할 만하다. 또한 시야를 확대하여 간문화 개방․다양성 관리․차별 철폐에 대한 담론 및 사업과의 연결고리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이주민의 문화적응에 대한 심리적 접근

        박정하(Jung-Ha Park) 한국글로벌문화학회 2014 글로벌문화연구 Vol.5 No.1

        다문화이주민의 문화적응에 대한 심리적 접근을 살펴보고 그러한 접근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가족간 갈등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향은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갈등이 가족관계 포기 의사결정과 가족관계 갈등이 심리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관계 갈등과 심리적 안정성이 가족관계 포기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적응 갈등은 심리적 안정성을 매개로 가족관계 포기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및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갈등은 가족관계 갈등을 매개로 가족관계 포기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갈등은 심리적 안정성을 거쳐 가족관계 갈등을 매개로 가족관계 포기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 가족구성원으로서 결혼생활과 일상생활에서 남편과 성격차이, 의사소통 장애, 주거환경, 음식문화 등 결혼생활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결국 가족관계 갈등은 가족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This study is an approach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family and ultimately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a multi-cultural and psychological acculturation of immigrants. This paper have the following theoretical background direction were determined. First, the 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between family relationship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decision-making and family to look at the psychological impact on the stability. Second, married immigrant women in conflic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family relationships give decisions impact on family relationships. Cultural adaptation of marriage and family life of immigrant woman depend on personality differences, communication disorders, living environment, food and culture throughout the marriage was strugg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amily members of migrant women are faced with constant change in life, and she must seek to adapt to the impact of these changes on the family, either positive or negative, of family conflict, physical and psychologically. Family relationships or family conflicts due to disorder of circumstances, changes in the family system. In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lict within the family might effect on positive aspects also on negatively affect.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갈등해소를 위한 교회의 실천방안

        박진우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6

        Today, our church is conducting various research under the themes of immigrant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rried women. In this context,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ac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merely multicultural. The study seeks to explore the conflict experience they face through meetings with young multicultural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conflict as part of efforts to re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confirm the meaning and essence of conflict experience of the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organized using intentional sampling methods to select teenagers who experienced psychosocial conflicts among the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nsequently,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8 women and 7 men whose foreign mothers are from Japan(3), Philippines(4), China(3), Vietnam(4), and Thai(1).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analysis method of Collage (1978). The main topic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ear of exposure due to discrimination, hiding identity due to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families, conflicting with national identity, supporting of surrounding people for their conflicts, redefining conflicts positively, and trying to control conflicts. The conclusions revealed in the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begin due to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of Koreans. Second, the role of an unbiased support system in resolving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among multicultural youths is important. Third, it is important to take active measures against foreigners to resolv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among multicultural you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urch's practical measures need the implementation of understanding and awareness education for church members, multicultural education involving pastors and teachers, reception education of multiculture and peer group counseling for sunday school students, and the faith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ability of foreign mothers. 오늘날 우리 교회는 이주민, 다문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등의 주제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맥락을 같이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단지 다문화가정이라는 사실에 기인한 심리사회적 갈등에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갈등을 경험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과의 면담을 통해 그들이 직면한 갈등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직면한 갈등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더불어 다문화가정 청소년 중 심리사회적 갈등을 경험한 청소년을 선정하기 위해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여성 8인, 남성 7인이며, 모의 출신국은 일본 3인, 필리핀 4인, 중국 3인, 베트남 4인, 태국 1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꼴라이지의 분석방법을 활용해서 면담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드러난 대 주제는 차별로 인해 노출에 두려움을 가짐, 다문화가정에 관한 시선으로 인해 정체성을 숨김, 국가정체성으로 갈등함, 갈등에 주변사람이 지지해 줌, 갈등을 긍정적으로 재정의함, 갈등을 통제하려고 노력함 등으로 나타났다. 면담을 통해 드러난 결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심리사회적 갈등이 시작된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갈등해소에 편견이 없는 지지체계의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갈등해소에 외국인 모의 능동적인 대처가 중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교회의 실천방안은 일반 성도를 대상으로 하는 각 나라의 이해 및 인식 교육, 목회자 및 교사가 참여하는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교회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수용 및 또래상담 교육실시, 외국인 모의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신앙교육의 실시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중 문화갈등 해소를 위한 문화콘텐츠 역할의 고찰

        이동배이동배(Dongbei Li)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4

        It has now been 3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but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s not warm. Ra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deteriorating due to extreme anti-China and anti-Korea sentiments between the publics of the two countries. The two countries, as neighbors in Northeast Asia, have grown through repeated exchanges and conflic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complex intertwined interests despite similar cultural backgrounds. nowaday,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 and China have become economically important partners as the largest trading partners, and neighbors with common tasks to cooperate for peace in Northeast Asia.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has been mainly done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but here we will examine the conflict in the cultural aspect. In order to overcome this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would like to seek positive ways of cultural exchange, such as understanding different values and mutual communication, as well as identifying the conflict.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role of cultural contents in resolving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s well as organizing the factors of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지 이제 30주년이 되었지만 지금의 한중관계에는 좀처럼 온기가 돌지 않고 있다. 오히려 양국 대중들 간의 극단적인 반중, 반한 정서로 인해 양국관계는 악화 일로에 있다. 한중 두 나라는 동북아 이웃 국가로 유사한 문화권 속에서도 복잡하게 얽혀있는 이해관계로 인해 오랜 기간 교류와 갈등을 반복해오며 성장해왔다. 오늘날 한국과 중국은 최대의 교역국가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파트너가 되었으며, 동북아 평화를 위해 서로 협력해야 하는 공통된 과제를 안고 있다. 서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양국 간의 관계에 대해 그동안 정치⋅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여기서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갈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양국의 문화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갈등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상이한 가치관에 대해 이해, 상호 간의 소통 등 긍정적인 문화교류 방안에 대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은 한중 갈등의 요인을 정리함과 동시에 한중문화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문화콘텐츠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지역사회의 정체성이 문화적 갈등 해소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김학용(Kim Hag Yong) 한국갈등관리학회 2014 한국갈등관리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논산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정체성 및 문화적 갈등의 해소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도출을 위한 실증적 연구로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의 정체성 인식은 예학 충절지역과 도농복합적 특화지역, 정체성의 필요성은 자긍심 고취와 상생?협력의 기반, 정체성 약화ㆍ훼손이유는 세대간 인식격차와 도시화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민의 문화적 갈등 분야는 사회생활분야와 지역개발분야, 갈등 야기요인은 지역간 불균형 개발사업과 학연ㆍ지연ㆍ특정화 등 분파적 갈등, 문화적 갈등의 영향은 주체성 약화와 시민 자긍심 훼손과 세대간 소통단절, 문화적 갈등의 해소ㆍ극복방안은 상호 이해ㆍ절충노력과 대화ㆍ소통 활성화, 갈등해소ㆍ극복을 위한 주체는 지역사회와 시민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갈등이 많이 존재할수록 정체성이 필요하며, 문화적 갈등이 심각하다고 느낄수록 정체성이 지역사회 발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정체성 관련 시사점은 의식 행태 차원에서는 애향심 내지는 자긍심 고취, 시민참여와 협력, 상호존중과 시민의식 개선이, 제도 정책 차원에서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역특성화, 정체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미래비전과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적 갈등 및 해소 인식 관련 시사점은 의식 행태 차원에서는 소통?공감 및 상호이해, 시민생활화 운동 전개, 상생?협력의 지역 문화 조성이, 제도 정책 차원에서는 지역균형발전 추진, 교육(학습) 강화 및 협의체 구성, 문화적 갈등의 조정 해소 메카니즘 구축이 필요하다. 한편, 지방정부의 문화정책의 체계적 진단?분석 및 합리적 발전방안 수립, 제3의 갈등전문가의 참여와 역할을 위한 공공갈등관리 차원의 접근, 논산시와인접하고 있는 계룡시, 공주시, 부여군 및 익산시 등과 지역간 협력이 요구된다. This paper summarized the main results as empirical research for impact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on the cancellation of a focus on community and identity, and cultural conflict Nonsan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the citizen awareness, ritual study and loyalty complex urban and rural areas and specific areas, the need for identity and self-esteem and cooperation based on mutual inspiration, weakening and undermining of identity was recognized because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urbanization net. Second, the cultural conflict areas and sectors of civil society living area development, conflict factors causing regional imbalance development and Gakken and characterize such delay and sectarian conflict, the impact of cultural identity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weakening and undermining civic pride communication disconnected, the elimination of cultural conflict and ways to overcom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and dialogue and communication efforts enabled, the subject for conflict resolution and overcoming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community and the citizens. Third, there are many more cultural conflict requires identity was more serious cultural conflict feel that identity is perceiv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Fourth, identity-related implications is the consciousness, behavior-dimensional aehyangsim and inspire pride, civic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mutual respect and civic consciousness improvement, institutions, policy-dimensional area characterized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identity strengthening programs, future vision and sustainability possible regional development is needed.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cultural conflict and resolving related implications in consciousness, behavior-dimensional communication. Empathy and understanding, civic development exercise daily life, local culture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institutions,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dimension in policy, education(learning) strengthening and the council, the adjustment of cultural conflict, resolving mechanism is needed to build. On the other hand, a systematic diagnosis of the local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nalysis and rational development plan in place, a third of the conflict expert involvement and conflict management dimension to the role of public access, Nonsan and in adjacent Gyeryong City, Gongju City, Buye-gun, Iksan City as regional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is required.

      • KCI등재

        다문화 동화에 나타난 상호 이해의 양상

        이혜미(Lee, Hye Mi)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1 글로벌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다문화 현상이 다문화 동화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0년까지 다문화 현상을 직접적인 소재로 하여 출판된 다문화 동화 20권, 38편의 이야기 속에 전개되어 있는 갈등의 요소 및 해결 방식을 중심으로 상호 이해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등장인물의 유형은 크게 한국인과 이주노동자, 국제결혼이주여성, 그들의 2세이다. 갈등의 유형은 정체성의 혼란, 가정 내 갈등, 이웃과의 갈등, 학교에서의 갈등, 직장에서의 갈등, 사회와의 갈등으로, 문제 해결 방식은 능동적 해결, 수동적 해결, 절충적 해결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동화에 나타나는 한국인은 전형적으로 착한 한국인과 나쁜 한국인으로 이분화되어 나타나는데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그릇된 인식에 대한 위험성을 지적하고,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둘째, 다문화 동화에 나타나는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이주여성, 그들의 2세는 모국의 정체성과 전통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주류사회와의 문화와도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는 통합 유형, 모국문화의 가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주류사회 문화에 대해서만 관계형성을 추구하는 동화유형, 모국의 문화적 가치와 정체성은 강하게 유지하지만 새로운 주류사회의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받아들이려고도 하지 않는 분리 유형, 모국 문화 유지와 주류사회 문화와의 관계형성 모두에 어려움을 겪는 주변화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셋째, 다문화 동화에 나타난 갈등의 유형은 정체성의 혼란, 가정 내 갈등, 이웃과의 갈등, 학교에서의 갈등, 직장에서의 갈등, 사회와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넷째, 다문화 동화에 나타는 문제해결 방식은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이주 여성, 그들의 2세가 타자이며 사회적 약자로 여겨지기 때문에 수동적 해결의 양상이 많았는데 특히 이주노동자의 문제가 어린 아이들을 통해서 해결되는 양상은 이들의 사회적 위치가 어린아이보다 무기력하게 비춰지고 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섯째, 다문화 동화에서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이주여성, 그들의 2세가 겪는 갈등의 대부분은 사회에서 경험하는 편견 및 차별로 인해 야기되며, 그들이 경험하는 갈등의 유형은 특별하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문제 해결 방식에서 통합유형의 경우 능동적 해결 및 절충적 해결의 빈도가 다른 세 유형에 비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동화유형의 경우 절충적 해결의 빈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how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 which becomes one of important social issues - plays out in the multicultural stories and to get some implications from it. In order for that, the aspects of mutual understandings in the multicultural stories are analyzed in light of the elements of conflicts and the problem-solving processes. The subjects of this analysis are 20 children’s books and stories on multicultural issues published during 2003 to 2010. And the main discussion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different types of Koreans illustrated in those multicultural stories; the Good and the Bad. Second, three types of Migrant workers, Foreign brides and their next generation are illustrated in the multicultural stories; integration type, assimilation type, separation type, marginalisation type. Third, the types of conflicts presented in the multicultural stories are; Identity confusion,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Conflicts with neighbours, Conflicts in Working place and Conflicts with the society. Fourth, the problem-solving process presented in the multicultural stories is quite passive ones for most of the conflicts arise from prejudices and disregards toward them. Fifth, the conflicts facing Migrant workers, Foreign brides and their next generation in the multicultural stories mostly generated by the Bad Koreans who have prejudices and act on those prejudices. There are no such distinc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conflicts that Migrant workers, Foreign brides and their next generation experience. As for the problem-solving processes, however, in the case of integration type, the prevalence of so called ‘Proactive solution’ and ‘Compromising solution’ is higher than the other types. Regarding assimilation type,‘Compromising solution’ is salient.

      • KCI등재

        韓-伊 이문화 갈등의 유형에 대한 분석 - 이탈리아 중·남부지역의 한인사회를 중심으로 -

        김정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2

        This paper aims to set up a research base for getting rid of crosscultural problem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ultural problems and their types between Korean and Italian. For this, I did research survey to Korean and Italian in Italy, 2006 summer. In conclusion of survey, types of crosscultural conflict from two nationals mainly divide lifestyle crosscultural conflict and professional one. The former covers some aspects of cultural fact for Korean who lives long or short in Italy, the latter, indirect crosscultural conflict, is found in young people in Korean families especially took birth in the local. They usually confused their identity in the middle of family and local society. Professional crosscultural conflict, on the other side, includes a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n and Italian employees in the situation of closing international relation. In this case, Korean employees manage and control to Italian employe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competent language skill and broadly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In reality, a result from cultural conflict between workers in company appears in the interest rates of company. 이 글의 목적은 이탈리아인과 한국인이 경험하는 문화적 갈등의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문화갈등 해소를 위한 방안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인은 지난 2006년 이탈리아 현지에서 양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양 국민 문화갈등의 유형은 크게 라이프스타일 문화갈등과 프로페셔널 문화갈등으로 구분된다. 전자를 구성하는 직접적인 문화갈등이 이탈리아 현지에 장·단기로 거주하는 한국인이 현지생활을 통해 겪게 되는 갈등의 문화적 단면을 포괄한다면 간접적인 문화갈등은 한국인 가정의 나이어린 자녀들, 특히 현지에서 출생한 자녀들이 부모와 이탈리아 사회의 중간에서 경험하는 문화복합주의적인 갈등을 말한다. 특히 후자의 간접적인 문화갈등은 최근 이탈리아에 장기체류하는 한국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프로페셔널 문화갈등은 국제관계가 긴밀해지는 상황에서 이탈리아의 지사에 파견되는 한국인 직원과 현지직원들 간의 문화적인 갈등을 포괄한다. 이 경우 한국인 직원은 상사의 입장에서 현지 이탈리아 직원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따라서 현지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능숙한 언어가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며, 직장문화의 상이함에서 빚어지는 갈등의 결과는 주로 기업의 수익률 또는 영업실적에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