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매체 접촉 경험과 수용자 선유경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무료신문 수용자 변인 및 유료신문에 대한 평가 변인을 중심으로

        김성훈(Kim Sunghun),권수미(Kwon Soome) 한국옥외광고학회 2007 OOH광고학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전통적인 신문매체에 적용되던 준거틀을 벗어나 무료신문 자체의 정체성을 이루는 준거틀을 분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무료신문을 요약된 정보 전달, 연예/스포츠 기사특화 매체로 규정한 과거의 연구결과를 첫 번째 독립변인으로 하였다. 또한 무료신문이라는 매체의 선택에 유료신문에 대한 낮은 만족도가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의 결론으로부터, 유료신문에 대한 수용자 인식이 무료신문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계량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유료신문에 대한 만족도는 유료신문에 대한 신뢰도와 전문성 인식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두 번째 독립변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매체접촉횟수, 매체 접촉의사, 매체이용 만족도, 광고관심도를 세 번째 독립변인으로 하였다. 각 독립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방식을 이용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 수용자의 요약된 정보탐색 욕구는 유료신문의 접촉횟수와 접촉의사를 대체로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무료신문에 대한 접촉횟수와 접촉의사 역시 요약된 정보탐색 욕구가 클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요약된 정보제공 매체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예/스포츠 정보에 관심을 가진 집단일수록 무료신문을 자주 접촉한다는 것이 확인되어 선행연구에서 무료신문의 오락/연예/스포츠 면을 즐겨본다고 밝혔던 피험자 태도와 일치된다. 이는 TV 수용자에게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여, 무료신문과 TV는 오락성을 추구하는 매체이용자에게 선택되기 좋은 대안으로 확인되었다. 수용자에 의한 유료신문의 신뢰성, 전문성 인식수준은 유료신문 매체 접촉도 및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유료신문의 신뢰성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무료신문의 접촉도는 낮아졌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유료신문에 대한 만족도가 무료신문 선택에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ertify non-paid newspaper-related variables which have the effects on audiences' media use experiences, excluding some bia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paid newspaper-related variables. And there was the other purpose to determine wether the evaluation of paid newspapers gives the influences on the media including non-paid newspapers. The variables in regard of non-paid newspaper were divided into the briefed news property and the entertainment/sports news property. And the items for the evaluation of paid newspapers were divided into the credibility and professionalism.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it was resulted that audiences' pursuit for the briefed news plays role to lesson the desire of usage toward paid newspaper and non-paid newspapers. This findings showed that audiences of non-paid newspapers don't recognize them as the briefed news messengers. Therefore, it means that the marketers and staffs of the non-paid newspapers should try to extend the characteristics as the information messengers. And also the more interests in entertainment/sports news audiences have, the more frequently they tend to use non-paid newspapers. Finally, the recognition level of paid newspapers' credibility and professionalism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udiences' frequency in us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paid newspapers' credibility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udiences' frequency in use.

      • KCI등재

        The Impact of the Mere Presence of a Free Version in the Freemium Strategy: Bidirectional Effects of a Free Version on Consumers’ Preference for the Premium Option

        Sang Kyu Park(박상규),Jongwon Park(박종원) 한국마케팅학회 2021 마케팅연구 Vol.36 No.1

        프리미엄(freemium)은 기능이 제한된 무료 제품을 고급화된 프리미엄(premium) 유료 제품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유료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다. 프리미엄(freemium) 전략은 특히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구매와 같이 디지털 시장에서 소비자를 매혹시키는 수단으로 빈번히 이용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무료제품의 제공이 소비자의 유료 제품 구매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제품 시용 및 시연 여부와 무관하게 무료 제품의 존재 자체가 유료 제품 평가 및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입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일곱 개의 실험을 통해 기능이 제한된 무료 제품을 제공하는 프리미엄(freemium) 전략을 택한 기업과 무료 제품을 제공하지 않는 경쟁사를 비교하여 무료 제품의 존제 자체가 소비자의 유료 제품 구매 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프리미엄(freemium) 전략의 일부로 무료 제품을 제공하는 것은 프리미엄(premium) 유료 제품 구매 의사에 양(兩)방향적, 즉, 긍정적 및 부정적 효과를 미쳤다. 이 효과의 방향성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각된 위험 유무에 따라 결정되며, 소비자는 지각된 위험에 따라 무료 제품의 존재를 다르게 해석하였다. 인지된 위험이 높을 경우, 소비자는 무료 제품 제공을 기업이 프리미엄(premium) 유료 제품 품질을 보장하는 것으로 해석, 높은 구매 의사를 보였다. 반면, 인지된 위험이 낮을 경우, 무료 제품은 프리미엄(premium) 제품의 희소성을 감소시켜 유료 제품 구매에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리미엄(freemium) 전략이 의사 결정 상황, 맥락, 개인차 변인에 따라 인지된 위험이 높아질 경우에 한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덧붙여 이 효과는 기능이 제한된 제품을 무료로 제공할 경우에 한해 나타나며, 단순히 유료 제품 대비 낮은 가격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사라진다는 점에서 프리미엄(freemium) 전략의 특수성을 시사한다. In the freemium strategy, a free, basic version of a product is offered to promote a non-free premium version. Although the freemium strategy has become prevalent in the market, little research has investigated its impact on individuals’ purchase decisions.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onsumers are influenced by the mere presence of a free version (i.e., without engaging in an actual trial) when evaluating and choosing between premium products. Eight studies (N = 1,012) provide converging evidence that when consumers consider a premium purchase, the presence of a feature-limited free version can either increase or decrease the choice share of the target premium product (i.e., the product with a free version) relative to a standalone premium product (i.e., without a free version). The direction of the influence depends on whether the free version serves primarily as a quality assurance cue or a uniqueness dilution cue, which is ultimately determined by the perceived risk associated with the decision: high (low) perceived risk leads consumers to construe the presence of a free version as a quality assurance cue (uniqueness dilution cue), thereby increasing (decreasing) the preference for the target premium product over a standalone premium product. Consequently, we find that the mere presence of a free version acts in the company’s favor when consumers perceive a high decision risk, regardless of whether the risk is heightened by decision characteristics (use of regular income vs. windfall money for the purchase), contextual differences (negative vs. positive mood), or individual differences (prevention focus vs. promotion focus, and low vs. high need for uniqueness). The bidirectional effects occur only when the basic version is offered free of charge, not when it is offered for a lower pric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 The Case for the Pass-Through License Model

        Christopher J. Clugston(크리스토퍼 제이 클럭스톤)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法學硏究 Vol.18 No.1

        무료.공개 소프트웨어가 광범위한 관심을 얻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소유권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개발방식에 성공적인 경쟁자가 되고 있다. 동시에 모든 컴퓨터 산업은 전례 없는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 이유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지난 세대 동안 인터넷이 얼마나 멀리 변화해 왔는지를 검토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빠른 발전은 비록 유익하기는 하지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사용자들은 이제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빠른 출시와 구 소프트웨어의 문제점에 대한 빠른 시정에 익숙해지고 있다. 이는 컴퓨터 산업으로 하여금 더 빠르고 좋은 소프트웨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게 하고 있다. 이런 방법에 대한 해결점이 바로 무료.공개 소프트웨어이다. 그러나 무료.공개 소프트웨어 공동체에서도 철학적 문제에 대한 다툼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 다툼은 거대한 경제적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다툼의 핵심은 공개 모델 하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상업화될 수 있는지 하는 점과 상업화된다면 그 방법이 무엇인가이다. 이 논문의 1부에서는 무료.공개 소프트웨어의 역사적, 철학적 및 법적 측면에 대해서 다루며 이를 둘러싼 논쟁을 요약하고 있다. 2부에서는 무료.공개 소프트웨어에 의해 개발된 서로 상이한 영업모델과 이의 이행에 관한 회사의 정책을 기술하고 있다. 3부에서는 통과 라이센스가 공개 모델의 계속적 실행가능성을 위하여 선호되는 유형의 라이센스라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무료.공개 소프트웨어 운동이 계속되고 초기의 성공을 바탕으로 성장한다면 무제한적인 라이센스와 저작권을 반대하는 유형의 라이센스 사이에서 균형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물론 하향의 개발자가 타인의 코드를 상업적 목적을 위하여 일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하향 개발자가 변형되거나 결합된 소스코드를 상업화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하여 제한이 가해져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제한을 가하는 것은 무료.공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의욕을 저해하면서 무료.공개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소유권을 바탕으로 한 개발자 사이에 직접적인 경제적 경쟁을 금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저작권 반대 유형의 요건들은, 특히 모든 하향 소프트왜어가 무료.공개 소프트웨어로서 공개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는 요건들은 회피되어야 한다. 진실로 하향 개발자들은 변형된 소프트웨어의 상업화만이 아니라 자신의 영업모델에 가장 맞는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이를 배포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

      • KCI등재

        바람직성 혹은 실행가능성이 높은 무료 증정품이 판매촉진 제품 패키지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우섭(Wooseop Lee),이진용(Jinyong Lee) 한국경영학회 2018 Korea Business Review Vol.22 No.2

        본 연구는 판매촉진 전략이 적용된 제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무료 증정품의 특성이 판매촉진 제품 패키지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가격할인과 무료 증정품의 차이에만 집중한 선행 연구들과 달리, 무료 증정품의 특성을 바람직성과 실행가능성 차이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가격할인을 포함한 3가지 유형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현재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구매 시점까지의 시간적 거리에 따라 바람직성 혹은 실행가능성이 높은 무료 증정품이 포함되거나 가격할인이 적용된 제품 패키지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가 달라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무료증정품의 특성에 따라서 시간적 거리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2개의 실험디자인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체로 예측과 일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바람직성이 높은 무료증정품을 포함한 제품패키지는 구매시점이 가까운 미래일 때에 비하여 먼 미래일 때에 태도 및 구매의도가 높았다. 하지만, 실행가능성이 높은 무료 증정품을 포함한 패키지는 먼 미래에 비하여 가까운 미래에 구매하는 상황에서 태도 및 구매의도가 높아져서, 가격할인 판매촉진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가설이 예측한 바와 같이 대부분 분석결과에서 구매 시점의 시간적 거리에 따라 태도와 구매의도의 이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바람직성이 높은 증정품을 포함한 패키지와 가격할인 제품의 시간적 거리에 따른 차이가 명확하였고 판매촉진 유형 x 시간적 거리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예측한 바와 같이 실행가능성이 높은 증정품을 포함한 패키지와 가격할인 제품의 시간적 거리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지, 바람직성이 높은 증정품 패키지와 실행가능성이 높은 패키지에 대한 시간적 거리에 따른 선호도는 실험 2의 카메라 등에서 일부 상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방향성은 가설의 예측과 일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먼저, 가격할인과 무료 증정품의 단순한 이분법적인 분류에 의존하지 않고 무료 증정품의 특성(바람직성 혹은 실행가능성)에 따라서 시간적 거리에 따라 나타나는 판매촉진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증정품의 특성에 따라서 판매촉진 프로그램의 효과가 시간적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free gifts or premiums 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 promotion packages in buying situations. Extending previous studies which dealt with the difference between price discounts and free gifts, we classify free gifts into either desirability-centered and feasibility-centered ones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promotion packages of desirability free gifts, feasibility free gifts and price discounts may be moderated by temporal distance – either near or distant future. We predict tha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depend on temporal distance. The empirical results of 2 experiments are mostly consistent to our predictions. The evaluations of promotion packages with desirability free gifts tend to be more favorable in distant future than they do in near future. In contrast, the evaluations of promotion packages with feasibility free gifts show opposite directions, similarly to those of promotion packages of price discounts, in that they tend to be more favorable in near future than they do in distant future. In most circumstances,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omotion type x temporal dista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we may observe evident interaction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x promotion types of desirable free gift package vs. price discounts indicating differential ratings across temporal distance, and no interaction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x promotion types of feasible gift package vs. price discounts revealing the similar patterns across time.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Promotion packages with free gifts may show distinct properties across temporal distance, depending on desirability- or feasibility- centered aspects. Promotion packages need to match consumers’ purchasing situations since they may show divergent evaluations across time.

      • KCI등재

        내용분석을 통해 본 무료일간지 광고 특성

        강미선 한국방송광고공사 2005 광고연구 Vol.0 No.66

        ‘메트로’로 대표되는 무료일간지가 새로운 광고매체로 부상하면서 유료신문의 경쟁적 대안재가 될 수 있는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번 연구는 무료일간지에 게재된 3,300개 광고물을 내용분석 하여 무료일간지가 광고매체로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코자 했다. 구체적으로 무료일간지에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와 제품 특성, 광고물의 형식과 내용 상의 특징을 분석했다(<연구문제 1>). 두 번째 연구문제는 무료일간지 내에서도 신문사별로 고유한 특성(차별성)이 존재하는가와 신문사별로 광고의 중복게재 정도를 분석코자 했다. 이를 통해 무료일간지 내에서 신문사별로 독자적인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가와 향후 생존 가능한 무료신문사의 수는 얼마나 될지를 가늠코자 했다. As free newspapers have emerged as new advertising media, existing paper companies have been worrying about the phenomenon. Both advertising field and academic circles started to take interest in free papers’ possibility as competitive alternative to paid newspaper. In the context, the researcher took content analysis about 3,300 advertisements of four papers ; Metro, Daily Focus, AM7, Good Morning Seoul. To put it concretely, the researcher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ser, product item, external form and internal values of advertisements. With this process, the research wanted to examine two topics :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ree newspapers as ad media. And second, among many free papers, whether individual paper has unique specialty and difference from other papers or not. In addition, If possible, I’d like to forecast which paper is survival in the ad market and that the total size of market for free papers, even though it’s superficial.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관련시장과 시장지배력 판단기준에 대한 고찰

        주진열 법무부 2023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101

        This article addressed some legal and political issues concerning monopolistic power over zero-price goods in European Union, Germany, U.S., and South Korea.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established concept of market power under the Korean competition law has presumed positive-price goods rather than zero-price goods. The Korean Constitution has also presumed market power over positive-price goods. But some argues that big online platforms may have monopolistic power over zero-price goods such as internet search services. In December 2021,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KFTC) sanctioned Google for the reason of its abuse of monopolistic power over zero-price goods. In January 2023, the KFTC introduced its new guidelines on monopolistice power over zero-price goods.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zero-price goods as well as the jurisprudence of the Korean Constitution and competition law, this article concluded that a misleading concept of monopolistic power over zero-price goods should not be accepted in South Korea. 본고는 헌법상 독과점 규제 및 시장지배 남용 방지 조항과 독점규제법상 시장지배력 관련 조항의 연혁 및 체계적 해석 그리고 포스코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시장지배력은 유료상품 또는 유료시장과 관련한 시장지배력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상품시장에는 유료상품시장 외에 무료상품시장도 있을 수 있지만, 독점규제법상 시장지배력 남용 금지의 목적상 시장지배력 대상이 되는 상품은 유료상품으로만 제한된다. 이러한 해석은 통상적인 시장지배력 의미를 뛰어 넘어서거나 시장지배력 남용 금지 목적에 비추어 무리하게 해석하는 것도 아니며 헌법상 시장지배 남용 방지 의미를 지나치게 좁히는 것도 아니다.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료상품의 경우 유료상품과 달리 생산량 감소를 통한 가격인상이 불가능하고 가격인상에 의한 초과이윤 획득도 불가능하다. 무료상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경우 부정적 교차효과 때문에 오히려 유료상품 판매가 감소할 수 있어 무료상품 품질저하로 추가이윤을 얻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 더욱이 현실에서 플랫폼 무료상품의 품질은 계속 향상되는 경향이 목격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무료상품 시장지배력을 인정할 수 있다는 입장인데, 이는 자의적 해석일 뿐 독점규제법에 합치되지 않는다. 독일의 제9차 GWB 개정처럼 한국 독점규제법을 개정하여 무료상품 시장지배력을 특별히 인정할 필요가 있는지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찬반론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입법론과는 별론, 독점규제법의 해석상 시장지배력은 유료상품에 대한 것이므로 무료상품 또는 무료시장과 관련한 시장지배력 인정은 불가하다고 본다.

      • KCI등재

        무료 재생교체-비재생수리보증이 종료된 이후의 교체모형

        정기문,Jung, Ki-Mun 한국통계학회 2011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8 No.6

        본 논문에서는 수리가 가능한 시스템에 대하여 무료 재생교체-비재생수리보증이 종료된 이후의 최적의 교체정책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무료재생교체-비재생수리보증을 정의하고, 사용자 측면에서 무료재생교체-비재생수리보증이 종료된 이후의 보전모형을 고려한다. 최적의 보전정책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는 사용자 측면의 단위시간당 기대비용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단위시간당 기대비용을 구하기 위해서 사용자측면의 기대순환길이와 총기대비용을 각각 유도한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무료 재생교체-비재생수리 보증이 종료된 이후의 최적의 교체정책을 설명하기 위해서 수치적 예를 살펴본다. This paper proposes an optimal replacement policy following the expiration of a free renewing replacement-non-renewing minimal repair warranty. To do so, the free renewing replacement-non-renewing minimal repair warranty is defined and then the maintenance model following the expiration of free renewing replacement-non-renewing minimal repair warrant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s studied. As the criteria to determine the optimality of the maintenance policy, we consider the expected cost rate per unit time from the user's perspective. We derive the expressions for the expected cycle length and the expected total cost to obtain the expected cost rate per unit time. Finally, the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for illustrative purposes.

      • KCI등재

        무료입장정책에 따른 관람객 수 변화에 대한 이론적 연구

        서영덕(Young-Doc Seo),신형덕(Hyung-Deok Shin),박주연(JuYeon Park),박지현(Ji Hyon Park) 한국문화경제학회 2019 문화경제연구 Vol.22 No.1

        문화복지정책 중 무료정책은 문화예술분야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향유 계층을 확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문화예술분야의 무료정책이 관람객 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실증 하는 연구도 있지만 효과가 거의 없음을 주장하는 연구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학적 측면에서 문화예술 상품의 주요 특성에 해당하는 1) 경험재 적 속성에 따른 가격의 신호효과와 2) 소비(향유)에 드는 시간 등 높은 거래비용을 반 영하여, 무료정책이 오히려 역효과(관람객 감소)를 초래할 수도 있음을 수학적으로 분 석한다. 그간 문화예술경영 분야에서 거의 활용되지 않았던 수리모형 분석 방법을 통 해 문화예술경영 연구 분야를 확장시키고, 문화복지 측면에서 무료정책의 역효과 가능 성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비용이 낮은 일반 상품의 경우 무료정책이 유 효(구매자 증가)할 수 있으나, 거래비용이 높은 문화예술 상품의 경우 무료정책이 오히려 역 효과(관람객 감소)를 초래할 수도 있다. 둘째, 문화예술 상품 중에서도 고급문화 상품이 대 중문화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료정책의 역효과(관람객 감소)가 더 클 가능성이 높다 Free entry policy is one of the popular cultural welfare policies that pursue lowering barriers to enjoyment. However, the research on the impact of free entry policy to the number of entrants shows quite mixed results. While some studies showed positive impact of free entry policy on the number of entrants(Cowell, 2007; Martin, 2002; Evans, 1983), other studies were skeptical to the positive impact of free entry policy(Gall-Elly, et al., 2008; Brida, et al., 2012; O Hagan, 1995). Thus, this study assumed that people would consider price signals and other expenses beyond entry fee, and investigated if free entry policy can decrease intention of art museum visit using modeling tools. We found that free entry policy increases the number of entrants for low-transaction cost cultural products(popular cultural products), but decreases the number of entrants for high-trasnaction cost cultural products(high-rank cultrual product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negative effects of free entry policy is greater for high-rank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수요 측면에서 바라본 무료 디지털 서비스 가치 추정 - 문화산업, 스마트홈 산업, 인적자본 축적을 중심으로

        조하영,김병수,송헌재 서강대학교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2019 시장경제연구 Vol.48 No.1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료 디지털 서비스가 일상화되면서 소비자들은 원하는 때에 원하는 만큼의 시간을 투자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정보획득 비용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소비자들의 생활양식이 변화하였고, 이는 수요의 변화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이를 고려하여 무료디지털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수요 측면에서 추정해 보았다. 즉, 무료 디지털서비스 사용시간이 전반적인 생활과 산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무료 디지털서비스가 창출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무료디지털 서비스가 5년간(2009년∼2014년) 창출한 문화산업의 경제적 가치는 6.75조, 스마트홈산업은 2014년 한 해 857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무료 디지털서비스를 이용하여 축적된 인적자본으로 인해 향상된 노동생산성이 야기한노동비용의 감소는 연간 5조원으로 추정되었다. Using a time-use survey, this study estimates the economic value of free digital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The estim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ed economic value added of the cultural industry for a period of five years (2009-2014) was estimated at 6.75 trillion Korean won. Second, the created economic value of the smart home industry was 86.7 billion Korean won in 2014. Third, the labor cost decrease caused by improved labor productivity was estimated at 5 trillion Korean won annually.

      • KCI등재

        미국 시민권으로의 길: 뉴욕 한인 변호사의 무료법률서비스

        김현희 ( Hyun Hee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1

        이 논문은 뉴욕 지역 한인 사회에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인 변호사들의 ‘무료법률서비스’ 또는 프로 보노 서비스(pro bono service)를 통해 한인 변호사들의 직업적 정체성 및 종족성의 재정의·재구성과 시민권에 대한 상상과 실천의 일면을 살펴본다. 이 논문은 2000년대 초반 뉴욕 지역에서의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진 민족지적 연구에 기반하고 있다. 한인 이민사회에서 미국 주류사회에 진출하는 데 선도적 역할이 부여되는 한인 변호사들의 무료법률서비스는 이민 집단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태도가 중심이 된다. 변호사들의 무료법률서비스의 의미는 한인이라는 것, 법률전문직(legal professional)이란 것, 이민자 출신으로서 미국시민이 되는 것 등의 다각적 측면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이 연구는 무료법률서비스를 소수민족 변호사들의 직업적 지위 및 정체성, 종족관계에 대한 갈등과 협상이 소수민족으로서 미국에 속하고자 하는 문화적 시민권 실천의 문제로서 나타나는 지점으로 바라본다. 한인 변호사들의 무료법률서비스 양상은 이민사회에 대한 변호사들의 소명의식과 책임감이 현실적 제약 속에서 단편적 또는 간헐적으로 실현되는 기회이기도 하고 이상적인 법전문 프로페셔널의 모습에 다가가는 길이기도 한다. 한인 변호사들의 무료법률서비스를 둘러싼 갈등과 협상은 한인 사회와 주류사회의 경계를 만들고 해체하고 넘나들면서 직업적, 종족적 의미를 재구성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인 변호사의 무료 법률서비스는 소수민족 변호사가 이민자들과 미국 제도 사이의 간극을 가로지르는 노력을 표상하며 궁극적으로 소수민족에서 미국 시민권으로 가는 중간 지대로 나타난다. This article examines Korean American legal professionals`` “free legal service,” or pro bono service, by which they redefine themselves, reconstitute their professional and ethnic identities, and find themselves to imagine the ways of obtaining and practicing U.S. citizenship. The research is based upon an ethnographic study which consis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carried out in the New York City area during the early 2000s. The New York Korean community’ s discourses often remind Korean American lawyers of their leadership role in assisting co.ethnic immigrants to join the mainstream society. However, Korean American lawyers’ free legal services are shaped by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immigrant community. Free legal service activities are connected with various meanings such as being Korean American or a legal professional, and an immigrant’s becoming a U.S. citizen. This study locates free legal services in the context in which Korean ethnic lawyers negotiate their professional membership and status, as well as their ethnicity. Through free legal services, they experience short.lived moments of fulfilling their professional and ethnic duties and realizing an idealized model of the legal professional, despite the constraints of real life. The lawyers’ conflicts and negotiations with free legal services reveal how they deconstruct and reconstitute the boundary between the Korean ethnic community and the mainstream society. Therefore, free legal service provided by Korean American lawyers symbolizes their efforts to cross over the division between an immigrant community and U.S. mainstream institutions, and it emerges as a pathway towards U.S.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