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적 방법론으로서 몽타주 기법의 구성원리와 세계관

        이기주(Lee, Ki-ju)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8 No.-

        본 연구는 문학적 방법론으로서 몽타주와 그 세계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몽타주는 20세기 초 나타난 예술적 기법인데, 몽타주의 세계관을 설명하기 위하여 유기체적 세계관과 은유가 내포한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유기체적 세계관은 조화로운 세계를 추구하고자 한다. 전통적 은유의 세계관은 공통성과 차이성을 토대로 차이를 가진 두 세계를 화해시키는 것이다. 전통적인 은유는 추상적인 것을 경험된 구체적 세계를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이처럼 은유의 세계관은 화해와 통합을 바탕으로 하며, 이는 인간이 본래부터 가진 속성이다. 이에 반해 몽타주는 유기성과 통일성의 세계를 잘라내고 덧붙이는 편집의 과정에서 파편화된 세계를 드러낸다. 몽타주는 기술문명의 발달과 큰 연관성이 있다. 산업혁명 이후에 대두된 근대 산업사회는 전통적 시·공간관을 붕괴시켰다. 몽타주는 자본주의와 산업화가 초래한 근대 사회의 파편화된 시·공간과 사물을 조합함으로써 독자나 관객에게 근대의 인상과 이면, 의미를 깨닫게 하는 정서적인 효과를 거둔다. 몽타주는 현실 반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80년대의 모더니즘 시의 몽타주는 기존의 문학적 체계와 문법, 사회역사적인 권력을 해체하고자 하는 실험적 측면이 강했다. 이에 반해 21세기는 다원성과 혼종성의 세계를 보여준다. 21세기 시의 몽타주는 현대인의 자아분열 현상과 불안감을 표상하며 가상과 실재가 혼합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21세기의 현대시는해체와 균열을 전혀의식, 의도하지 않는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21세기의 매체는 20세기의 미학과는 전혀 다르다. 근대 예술의 몽타주 미학에서 보였던 부조화의 미학은 자연화되어 사용자에게 침투한다. 이러한 몽타주는 자연적 유기성과는 차별화된 것이며, 고전적인 통일성보다는 혼합성에 가까운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to investigate montage and its world view as literary methodology. The montage is an artistic technique that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order to explain the world view of the montage, we have examined the worldview of the organic world and the worldview that the metaphor implies. saw. The organic world view seeks a harmonious world. The world view of the traditional metaphor is to reconcile the two worlds with differences based on commonality and difference. The traditional metaphor seeks to understand the abstract through the concrete world experienced. Thus, the worldview of metaphors is based on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which is an inherent property of human beings. The montage, on the other hand, cuts out the world of organicity and unity, and exposes the fragmented world in the process of compilation. Montage is high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civilizatio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at emerged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ollapsed the traditional poetry and space. The montage brings emotional effects to the readers and audiences by bringing together the fragmented poems, spaces and objects of modern society brought about by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to make the modern impression and the meaning behind it. Montage is closely related to reality reflection. The montage of the poetry of modernism in the 1980s was strong in the experimental aspect to dismantle the existing literary system, grammar, social history and power. The 21st century, on the other hand, shows a world of pluralism and hybridity. The montage of the 21st century poem shows the self-fragmentation phenomenon and anxiety of the modern man and shows a mixture of virtual reality and reality. In addition, modern city of the 21st century does not consciously and intention of disassembly and crack. The media of the 21st century, based on computers and the Interne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aesthetics of the 20th century. The aesthetics of disharmony that have been seen in the montage aesthetics of modern art are naturalized and infiltrate users. This montage is different from the natural organism and is closer to the mix than the classical unity.

      • KCI등재

        연상 몽타주에서 나타난 수직적 몽타주 분석

        임운주(Woon-Joo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파프리카〉 작품을 통하여 연상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수직적 몽타주에 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몽타주는 프도프킨, 에이젠슈테인, 자끄 오몽 등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몽타주를 시각적 이미지에 보다 더 비중을 두었다. 영상은 시각과 청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두 관계는 서로 상호 작용을 하여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앞서 연구한 시각 영상을 분석한 연상 몽타주에 기초하여 청각적 요소를 분석한다면, 좀 더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수직적 몽타주는 논리적 몽타주와 충돌 몽타주에서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어떠한 의미를 생성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수직적 몽타주는 논리적 몽타주와 충돌 몽타주에서 전체적으로는 자연적인 일치로 시각 영상에 대한 보완을 하고 선율적 일치로 전체적인 정서를 반영하게 하는 연결 관계를 보였다. 또한 시간과 장소, 그리고 명확하지 않은 공간들에서 운율적 일치를 나타낸다면, 그 요소들이 서로 관계적으로 이어지게 하는 연속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그 연속성을 끊어내는 역할, 즉 부분적으로 관객을 몰입하게 하는 음조적 요소가 공간과 시간을 뒤집거나 변화할 때 적절하게 사용된다면,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사건의 전환점을 나타내며 등장인물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interpretation of vertical montage expressed in assoziation montage focused on animation, Paprika. Montage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by Pudovkin, Eisenstein, Jacques Aumont and others till now. However,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visual image of montage. Image is made of visual element and aural element. These tw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maximize the effect. It is believed that the study subject can be approached in more depth, if aural elements would be analyzed based on the assoziation montage which analyzed visual image in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how vertical montage has been used in logical montage and optical conflict montage and what meanings they generated. The analysis results suggested followings. In logical montage and optical conflict montage, vertical montage complemented visual image by natural concurrence as a whole. Vertical montage also showed linked relationship, which reflects overall emotion by melodious concurrence. In addition, when there was melodious concurrence at certain time, place or unclear space, the elements showed continuity which made them link with relationship. However, when the role that cuts that continuity, in other words, when the tonal element, which let audience partially immerse, would be properly used when the space and time would change or get reversed, the effect was maximized. It also expressed a turning point of an event and enhanced the concentration of audience on the characters.

      • KCI등재

        백색소음 중심의 몽타주 효과 연구 - 작품 <누구지>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정우용 ( Jung¸ Woo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몽타주 제작에 있어서 백색소음의 긍정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색소음을 몽타주의 청각콘텐츠로 사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의 작품 <누구 지>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작품의 내러티브와는 무관한 백색소음을 몽타주에 개입시켰을 때. 백색소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영상의 특징과 몽타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백색소음의 몽타주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백색소음의 구체적 성과에 접근하기 위해 샷별 구분에 의한 콘텐츠 구성의 내용과 몽타주 효과를 분석한다. 분석에 의하면, <누구지>의 몽타주에서 백색소 음은 다음과 같은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첫째, 현장음만으로는 충족하기 어려운 청각 미장센의 완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 둘째, 관객의 감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보편성과 개방성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현장음, 음악과는 별개로 독자적인 톤을 유지하며 영상전반의 지배음으로써 활용 가능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백색소음이 몽타주를 통해 영상의 미장센을 강화하는데 쓰여질 수 있는 청각콘텐츠로써 관객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보편성 있는 개방적 이미지이며, 영상전반 에 절대적으로 관여하는 지배음으로써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백색소음이 몽타주의 개념확장에 긍정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청각콘텐츠로서 논의해 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백색소음을 활용한 몽타주 실험을 지속한다면, 불특정 다수의 인간들에게 적용 가능한 보편성에 근거하여 작가의 의도를 증폭시키고 관객의 자유로운 해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itive effects of white noise in montage prod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white noise as a montage auditory content, the researchers’ work < Who Are You? > was selected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when white noise is used as a montage's auditory content, the researcher's work < Who are you? > is the subject of analysis. When the method of research involves white noise, which is irrelevant to the narrative of the work, in the montag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nd the montage effect caused by white noise, we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white noise as a montage. In order to approach the concrete performance of white noise that appears in the montage, we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ontent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the montage by division by shot. According to the analysis, white noise in the montage of < Who are you? > showed the following possibilities.. Firs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mpleteness of the auditory mise-en-scene, which is difficult to satisfy with only the spot sound.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universality and openness that can actively intervene in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Third, it could be used as the dominant sound of the overall image while maintaining its own tone independent of the field sound and musi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white noise is an auditory content that can be used to reinforce the mise-en-scene of an image through a montage. It is a universal, open image that can actively stimulate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and as a dominant sound that is absolutely involved in the overall image. You can see that the role is possible. Based on this fact, there will be a need to discuss white noise as an auditory content that can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ontage. If the montage experiment using white noise continu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amplify the artist's intention and contribute to the fre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based on the universality applicable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humans.

      • KCI등재

        사운드몽타주 기법을 활용한 작품제작 연구 - <오사카의 크리스마스>를 중심으로 -

        정우용 ( Jung Woo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조형예술분야에서 인간내면의 섬세하고 복합적인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어 왔다. 영상분야에서는 편집기술을 계승한 몽타주 기법을 활용하여 인간의 다면적 본질에 접근하고자 하는 장면구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소비에트의 대표적 몽타주 감독인 푸도프킨과 에이젠슈타인 등은 비일치논리와 사운드대위법을 통해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몽타주의 근본적인 원리와 방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연구대상인 <오사카의 크리스마스>는 시각과 청각의 의도적 불일치에 의한 몽타주 효과를 통해 인간의 복합적인 감성을 전달하고자 한 연구자의 영상작품이다. <오사카의 크리스마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이미지와 청각이미지가 의도된 재구성에 의해 각각의 의미를 증폭시키거나, 새로운 의미로 거듭나게 되는개념은 소비에트 몽타주 감독들의 몽타주 이론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시각이미지와 청각이미지의 불일치에 의한 사운드몽타주 사례는 현대의 개성적이고 영향력 높은 감독들의 영화에 의해 그 합목적성이 꾸준히 증명되고 있다. 사운드몽타주에ᅠ의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되는 장면은ᅠ사물과ᅠ상황에ᅠ내재되어ᅠ있는ᅠ속성을ᅠ온전히 노출시킨다.ᅠ그로 인해 사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몽타주는 시간의ᅠ흐름에ᅠ의한ᅠ평면적인ᅠ내용전달의ᅠ차원을 극복할 수ᅠ있는ᅠ동력으로ᅠ작용한다. 청각이미지가 시각이미지와 곱해지고, 나누어지면서 관객들에게 흥미로운 상상력을 부여할 수 있는 사운드몽타주의 특성은 조형예술의 다양한분야에서 활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연구에 의하면 몽타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백색소음을 청각이미지의 지배적 장치로 사용하는 것이 조형표현의 새로운 영역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에 접근할 수 있었다. 사운드를 활용한 몽타주실험을 지속해 나간다면 단편적으로 묘사하기 어려운 미묘한 상황과 인간들의 복잡한 생각을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개념을 구체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formative arts field, efforts to express human’s delicate and complex sensibility have been constantly presented various ways. In the moving image field, using montage techniques, which have inherited editing continues to study the composition of scenes trying to approach multi-phasic essence of human being. Pudovkin, Sergei Eisenstein, most famous Soviet montage film directors were demonstrated fundamental principle and direction of montage that actively utilize sound through inconsistent logic and sound counterpoint. Christmas in Osaka, subject of study is a video work a researcher who attempts to communicate multifaceted human emotions through montage effects based on the intentional discrepancy of sight and hearing. The concept of inconsistency in visual and auditory images that can be seen in Christmas in Osaka amplifies meanings or born again by deliberate reconstruction. It connected with theory of soviet montages by montage directors. The case of sound montages based on discrepancies between visual and auditory images is confirm that its purpose has been steadily demonstrated by the films of contemporary, unique and influential directors. Particular scenes, with new meanings added by sound montages, fully exposes the motivations behind objects and situations. It acts as a power that can overcome the dimension of the planar content delivery by flow. The characteristic of sound montage add interesting imagination to the audience by adding, multiplying, and dividing the auditory image with the visual image. It can be established as a concept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of formative art. Research has shown that the use of white noise as the tonal montage in auditory image as a way to maximize the montage effect can extend new areas in the art expression. Expect to continue the montage experiment using sound to establish a concept that can effectively express the complicate thoughts and situations that are difficult to describe in fragments.

      • KCI등재

        몽타주의 사운드 역할 연구 - <블루 벨벳>을 중심으로 -

        정우용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This study suggests that editing using the discrepancies in sound in films is an efficient way to express rationality and complex psychology in human being that can compose rich narrative. The montage research in the early 20th century mainly focused on the production and research of montage work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visual images, but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of montages including Eisenstein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visual expression area using sound. The fact that early montage researchers recognized auditory images as important contents for constructing montages and regarded them as the subjects of research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montages by sound forms as an important axis of montage art. In order to verify the non-matching effect using sound montage, highly relevant papers were reviewed by searching 'image', 'montage' and 'sound montage' among thesis and academic papers. Through the peer review of the representative sound montage scenes of Stanley Kubrick's films, <A Clockwork Orange > and <2001:A Space Odyssey>, the montage technique caused by the inconsistency of sound turned out to be largely 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established by Soviet montage researchers, which showed that the existing sound montage theory research played a meaningful role.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e film's <Blue Velvet> scene was divided into shots to examine the specific montage effects, and the similar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uleshov effect> and <Blue Velvet> ‘lip sync’ scenes were analyzed. Thesis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expanded expression of sound montage by sound mismatch, which can maximize the director's expressive power and simultaneously stimulate the audience's imagination indefinitely. 본 연구는 영화에서 사운드의 불일치를 활용한 몽타주가 내러티브를 한층 풍성하게 구성할 수 있는 합리성과인간내면의 복잡다단한 심리를 표현하기 위한 효율적 방법이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20세기 초반의 몽타주연구는 시각이미지들의 조합에 의한 몽타주 작품제작과 연구가 주를 이루었지만, 에이젠슈타인을 비롯한 몽타주의대표적 감독들이 사운드를 활용한 표현영역의 확장 가능성을 이론으로 제시하였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초창기 몽타주 연구가들이 청각이미지를 몽타주 구성을 위한 중요한 콘텐츠로 인식하고 연구대상으로 생각하였던 사실은 사운드에 의한 몽타주 표현이 몽타주 예술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운드몽타주를 활용한 비일치 효과의 검증을 위해 학위 논문과 학회 논문 중 ‘영상’, ‘몽타주’, ‘사운드몽타주’ 로 검색한 연관성 높은 논문을 참고하였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 <2001년의 우주여행>의 대표적인 사운드몽타주 씬의 고찰을 통해 사운드의 불일치에 의한 몽타주 기법이 현대에 이르기까지 소비에트 몽타주 연구가들이 정립한 이론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기존의 사운드몽타주 이론연구가 의미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영화 <블루 벨벳>의 ‘립 싱크’ 씬을 쇼트별로 나누어 구체적인 몽타주 효과를 살펴보고 <쿨레쇼프 효과>와 <블루 벨벳>의 립싱크 씬이 갖는 유사점과특징을 분석하였다. 사운드 불일치에 의한 효과적인 몽타주 씬이 감독의 표현력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관객의 상상력을 무한대로 자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사운드몽타주의 확장된 표현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들뢰즈의 <시네마>에서 변증법적 몽타주와 영화의 이념

        유윤영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들뢰즈는 <시네마>에서 운동과 지속에 대한 베르그손의 테제를 프레임(frame)과 쇼트(shot), 그리고 몽타주(montage)와 연결시킨다. 운동은 언제나 전체와의 관계에서 파악되어야 하며 전체의 변화를 표현한다. 들뢰즈에게 전체의 변화는 쇼트의 연결과 절단, 그리고 잘못된 연결을 통해 규정된다. 전체는 몽타주를 통해 드러나는 어떤 이념이다. 들뢰즈는 두 권의 <시네마> 요소요소에서 에이젠슈테인을 인용하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에이젠슈테인이 몽타주를 통해 사유에 충격을 가하고 사유로 하여금 이념을 사유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몽따주는 운동의 연속성을 절단하고, 상이한 시간과 지속의 블록들을 하나의 단위로 통합함으로써 이념의 차원을 제시한다. 비록 몽타주가 이념을 드러내기 위해 운동-이미지에 가해지는 작용일지라도 이념은 쇼트의 단위로 환원될 수 없는 낯선, 이질적인 것이다. 고전영화에서 몽타주는 시간의 간접적 재현인 반면 현대영화에서 몽타주는 시간을 그 자체로 제시한다. 몽타주는 잘못된 연결을 통해 전체를 규정하지만 동시에 몽타주는 간격이자 틈이 되고 전체는 외부라는 새로운 지위를 얻는다. 몽타주가 고전영화와 현대영화에서 각각 상이한 지위를 가지는 것은 몽타주의 이중성에 근거한다. 몽타주는 중심화 경향과 탈중심화 경향을 동시에 보여준다. 에이젠슈테인의 변증법적 몽타주는 대립과 모순을 통해 발전하는 거대한 나선의 운동이다. 들뢰즈에 의하면 나선의 상승운동은 스스로를 둘로 나누고 새로운 통일을 재형성하는 일자(l’Un)의 운동이다. 나선의 운동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이행이 발생하는데, 양적인 과정에서 질적 비약으로의 이행이 그것이다. 파토스를 규정하는 것은 질적 비약이다. 에이젠슈테인의 변증법적 몽타주를 통해 발생하는 파토스는 이러한 정서가 어떻게 관객의 의식에 작용하고 관객의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래서 파토스는 영화의 이념이다. In this paper I try to show that montage expresses the thought and an idea,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Eisenstein's notion of dialectic montage and thought. Deleuze quotes him in his two books on cinema, Cinema I: TheMovement-Image and Cinema 2: TheTime-Image, first of all the shock of the montage forced through it thought to think the Idea. The montage presents the dimension of the idea by unifying the different blocks of duration. Montage is the operation which bears on the movement-images to release the idea, and it is heterogeneous not reduced to the shots. What originates from montage is a indirect image of time, the idea. Deleuze argues that the idea is not able to be determined, instead it may be grasped in a range of affective tones. Eisenstein considered the form of as a great spiral growing through oppositions or contradictions. That is the movement of the One, which divides itself in two and recreates a new unity. There is a transition from one point to another on the spiral, it marks the jump or qualitative leap, this is the pathetic. What determines the pathetic is a qualitative leap. Deleuze relates the pathetic to the thinking, it is the idea of cinema.

      • KCI등재

        콜라주(몽타주)의 두 가지 양식과 현대미술의 단면

        이영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If contemporary art is taken for granted to integrate with everyday life in the commercial culture, what could the political collage(montage) speak for? This paper aims to examine two layers of collage(montage) of modern art, one is the function of collage(montage) in the aesthetic and historical Avant-Garde, while the other is its function and its ambivalen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xplore the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collage(montage) from the geopolitical perspective. For a better explanation, this study would start with redefining collage and montage in the comparison of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n, it will observe the features of collage(montage) in the context of different types of artistic works, they are: 1) the radicalization and subversion of modern collage(montage) in the historical Avant-Garde, 2) the conservation of commercial fragments between the commodities and the artworks, 3) the critique of collage(montage) against the commercial culture. These features are formed based on collage(montage)’s ambivalen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 question should be asked: what kind of strategy should collage(montage) be followed since it embodies the ambivalence between its critique and conservation and its radicalization and degeneration. In other words, what should the artistic works function in the commercial culture? Because today the signs of art become the commercial fragments, and the commercial fragments are transformed into the fragments of art in the contemporary era. It means that art itself could not be transcended, neither could art be merged into the realm of commercial culture (since it would be another illusion). Hence, in such a dilemmatic situation, more dialectical discussions about the ambivalence of collage and montage will be called for. 상품문화의 논리 속에서 동시대미술이 삶과 예술의 “통합”을 주장한다면 정치적 콜라주(몽타주)는 의당 어떤 발화를 하여야만 할까. 아울러 본고는 우선 먼저 콜라주(몽타주)로 현대미술의 두 개의 지층을 읽고자 하였다. 즉미적아방가르드와 역사적 아방가르드에서의 콜라주(몽타주)의 기능을 각각 살펴보고 현대미술과 동시대미술에서의 콜라주(몽타주)의 기능과 양가성에 그 초점을 모았다. 이는 현대미술에서 콜라주(몽타주)의 발생과 변화와갈래에 대한 지정학적 탐사에 해당될 것이다. 동시에 논의를 실용성을 위하여 콜라주와 몽타주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관련 작품을 세 가지 계열로 나누어서 더 깊이 있는분석을 기하였다. 즉 1) 역사적 아방가르드에서의 모더니즘의 콜라주(몽타주)의 일련의 급진성과 전복성 2) 상품과 예술작품사이에서의 상품조각으로서의 콜라주(몽타주)의 유사보수성 3) 상품문화논리에 저항하는 콜라주(몽타주)의 비판성이 그것이다. 아울러 상기 세가지 계열의 구체적인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콜라주(몽타주)의 특징들은 그것의 양가적 속성으로 말미암은 것이겠다. 현대미술과 동시대미술에서 콜라주(몽타주)는 양가적인 특점을 기저로 비판성과 보수성, 급진성과 “퇴행”성 사이에서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인가의 문제는, 상품문화의 논리 속에서 예술작품의 유사기능에 대한 물음이기도 할 것이다. 예술기호가 상품조각이 되고 상품조각이 예술조각이 되는 동시대미술의 상황 속에서 예술작품은 초월에로의 환상을 벗는 동시에 상품문화논리와도 그 궤를 같이 해서도 아니 될 것이라면(이 또한 “환상”일수 있다), 몽타주와 콜라주의 기능에 대한 양가적이고 “변증”법적인 사유가 요청될 것이며 콜라주와 몽타주에 대한 보다 세미하고 내밀한 논의가 요청될 것이다. 본고는그에 상응한 담론의 한부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장경린 시에 나타난 시·공간 몽타주

        이기주(Lee, Ki-Ju)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4

        이 논문은 장경린의 시에 나타난 시·공간의 몽타주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시인의 역사 인식과 현실 인식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장경린 시에 대한 기존 논의가 산업화의 비인간화에 따른 소외감의 표출이라는 결론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장경린 시가 당대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자 하는 의도가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장경린 시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몽타주가 역사적 사건과 1980년대의 정치·사회적 현실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는 사회적 전위시로서의 장경린 시가 가진 특이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전위시의 주된 목표인 ‘세계의 재구성’을 그의 시가 어떻게 수행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먼저 몽타주의 한 방법으로서의 앙장브망(Enjambment)의 역할을 통해 장경린 시의 문법적 특성과 몽타주와의 연계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로버트 험프리의 시간 몽타주(Time Montage)와 공간 몽타주(Space Montage) 기법을 참고하여 장경린의 시의 역사 인식과 현실 인식이 일상성의 아이러니를 드러낸다는 사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간 몽타주와 공간 몽타주 기법은 역사적 사건과 일상적 사건의 급속한 충돌을 통해 세계의 재구성을 꾀하는 방식이며, 장경린은 시간·공간의 몽타주로 아이러니를 발생시키고, 그 아이러니로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자기 자신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비판은 현대사회에서 소외된 자아로 나타난다. 이처럼 장경린의 시가 갖는 특이점은 역사적 사건과 일상적 사건의 병치를 통해 나타나는 모순성이 그대로 역사와 일상을 동시에 비판하고 그 시대에 살고 있는 자신까지 비판한다는 점이다. This writing tries to discover ‘Time Montage’ and ‘Space Montage’ techniques which are appeared in Jang, Kyung-Rin"s poetry. Through this, it also attempts to reveal the poet"s perception of history and reality. The reason why previous studies on Jang, Kyung-Rin"s poetry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it expresses alienation caused by dehumanization of industrialization is that its intention to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is obviously presented in his poetry. This study tries to analyze how ‘Time Montage’ and ‘Space Montage’ are describing political․social realities in 1980"s and historical events in Jang, Kyung-Rin"s poetry. This discussion is for figuring out the particularity of Jang, Kyung-Rin"s poetry as the avant -garde and how his poetry is performing ‘reconstruction of the world’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avant-garde poetry. To begin with, this writing looks into a connection between grammatical features of Jang, Kyung-Rin"s poetry and ‘Montage’ techniques through the role of ‘Enjambment’ as one of ‘Montage’ techniques. Also on the basis of ‘Time Montage’ and ‘Space Montage’ techniques of ‘Robert Humphrey’, this writing tries to discover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of history and reality of Jang, Kyung-Rin"s poetry reveals the ‘Irony’ of everyday life. ‘Time Montage’ and ‘Space Montage’ techniques are the ways of reconstructing the world by rapid collision between historical events and everyday routines. Jang, Kyung-Rin creates irony with ‘Time·Space Montage’ techniques in his works and he criticize not only the era he lives in but also himself who lives in that era. This self-criticism is presented as an alienated ego in modern society. The particularity of Jang, Kyung-Rin"s poetry is that the irony is resulted from the juxtaposition of historical events and everyday routines and this irony is used to criticize history and everyday life at the same time and also criticize himself who lives in the era.

      • KCI등재

        김준오·이승훈 시론에 나타난 몽타주의 원리

        이기주 ( Lee Ki-ju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의 몽타주 기법의 이론화를 모색했던 김준오와 이승훈의 시론을 탐구함으로써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모더니즘 시의 창작원리와 몽타주 기법의 이론화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김준오와 이승훈은 당대의 시를 유형화하면서 그 현재성을 탐구하고 이론적 근거를 찾아가고자 했다. 김준오는 시가 근본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동일성’이라고 보았다. 그가 동일성과 비동일성을 함께 설명하는 이유는 시학 안에 이 둘의 원리가 같이 구축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근대 이후 인간은 근대성의 경험을 통해 철저히 분열되고 해체된 시·공간의 양상을 느낀다. 이때 김준오는 자아와 세계가 대결하는 방식인 ‘비동일성’의 원리를 강조한다. 1930년대와 1950년대 몽타주와 달리 1980년대의 몽타주는 전혀 새로운 세계관을 보여준다. 1980년대 몽타주 기법의 시는 소외된 자들의 목소리를 동시적으로 들려줌으로써 산업사회의 현실과 비인간화 현상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를 지녔다. 김준오는 인간은 비동일성의 세계를 경험하면서 동일성의 회복을 추구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졌다. 김준오는 서정시의 근본적 원리인 동일성이 21세기에도 여전히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할 것이라고 믿었다. 김준오가 바라본 미래의 ‘서정’은 인간성의 양면성으로부터 보이는 양상에서 비롯된다. 이승훈은 파편적 시쓰기인 몽타주가 후기 현대의 삶을 그대로 나타내는 것이며, 현대인이 느끼는 소외와 불안이 몽타주 기법으로 표현되었다고 본다. 그는 몽타주가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새로운 시적 모험이라고 보고 현대시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김준오와 이승훈의 작업은 몽타주의 원리를 탐색함으로써 몽타주 기법을 이론화 시켰다고 평가된다. 이는 몽타주 기법을 사용한 작품들이 오랜 시간을 거쳐 누적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김준오와 이승훈은 몽타주의 원리를 분석하고 지성의 영역으로 끌어올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ories of modernism and the theory of montage technique from the 1930s to the 1980s by exploring the poems of Kim Jun oh and Lee Seung hun. Kim jun oh and Lee seung hun, who sought to theorize the contemporary poetry of Korean modern poetry. Kim Jun oh and Lee Seung hun tri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and to find the rationale while typifying poetry of the time. Kim Jun oh considered that what the city intends to pursue is 'identity'. The reason why he explains identity and inequality is because he saw that these two principles are being built together in poetry. Since the modern era, human beings feel the aspect of the poetry and space which are thoroughly divided and disintegra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modernity. At this time Kim Jun oh emphasizes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as a way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Unlike the 1930s and 1950s montages, the montage of the 1980s shows a whole new world view. In the 1980s, the poetry of montage technique was intended to show the reality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phenomenon of dehumanization by simultaneous voices of the alienated people. Kim Joon-oh had a position to pursue the recovery of identity while experiencing the world of non-identities. Kim Jun oh believed that identity,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lyric poetry, would still be an important concept in the 21st century. The future 'lyricism' seen by Kim Jun oh comes from the aspect seen in both sides of humanity. Lee Seung hun shows that the montage of the fragmented poetry represents the life in the late modern period, and the alienation and anxiety felt by the modern man is expressed by the montage technique. He sees the possibility of modern poetry as a montage as a new poetic adventure to overcome human limitations. The work of Kim Jun oh and Lee Seung hun is evaluated as theorizing the montage technique by analyzing the accumulated influence of modernism poetry and exploring the principle of montage.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works using the montage technique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Kim Jun oh and Lee Seung hun analyzed the principle of montage and brought it into the realm of intellect.

      • KCI등재

        Die Entdeckung des Dazwischen -Sergej Eisensteins Panzerkreuzer Potemkin und der Russische Formalismus-

        ( Matthis Kepser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08 독일어문화권연구 Vol.17 No.-

        영화사의 `고전`인 <전함 포템킨>은 세 가지 의미에서 혁명영화다. 첫째, 이 영화는 러시아혁명 후의 제반 여건 속에서-영화가 공산주의혁명에 이바지하는 가장 중요한 예술형식으로 부각된 후-제작되었다. 둘째, 이 영화는 1905년 오데사에서 차르 정권에 반대하여 발생한 첫 번째 군인과 농민봉기를 다루고 있다. 셋째, 이 영화의 미학은 영화사의 혁명으로 기록된다. <전함 포템킨>의 미학은 러시아 형식주의라는 언어 및 문학비평 학파의 영향을 받았다. 빅토르 슈클로프스키를 위시한 형식주의 문예학자들은 문학이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알아내려 하였다. 이들은 문학적인 것이란 바로 운율이나 리듬, 비유, 서사기술 등 문학 텍스트가 가지는, 일상 텍스트와 다른 형식적인 차이들이라고 보았다. 슈클로프스키와 친교가 있었던 영화제작자 레프 쿨레소프는 형식주의의 정신으로 영화미학의 법칙성, 특히 몽타주의 가능성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그와 그의 동료들이 여러 실험들을 통해서 알아낸 비밀은 내용보다는 형식, 즉 장면을 조합하는 방식이 관객이 보는 바를 결정한다는 것이었다. 즉 영화의 미학이란 장면을 특별하게 몽타주하는 것이다. 에이젠슈테인은 기본적으로는 쿨레소프의 견해를 따랐지만 쿨레소프와는 달리 몽타주를-그 당시 미국 영화들에서 볼 수 있듯-이야기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관객으로 하여금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해주는데, 즉 관객의 일상적인 관찰방식을 파괴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이는 <전함 포템킨>에서도 잘 드러난다. 내용보다 형식을 중시했던 형식주의 문예학이 소비에트 공화국에서는 비정치적인 운동으로 보여, 20년대 말에는 후퇴의 길을 걷게 된 것과는 반대로 에이젠슈테인의 형식주의 영화미학은 영화가 관객들을 계급투쟁에로 유도하는 목적에 이바지한다는 이념과 배치되지 않았다. 에이젠슈테인은 1923/24년 『매혹의 몽타주』에서 행동학적으로 정향된 몽타주이론을 발전시켰다. 일종의 자극-반사 모델인 이 이론에 따르면 영화는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고 이 자극은 시청자들의 반응을 유도한다. 하지만 이 이론은 <전함 포템킨>의 복합적인 그림언어를 제대로 평가하지는 못했다. 에이젠슈테인은 죽을 때까지 이 영화의 그림언어들을 이론적으로 파악하는데 몰두하였다. 그의 마지막 이론서인 『몽타주의 다섯 가지 기법들』은 완결된 이론은 아니지만 그의 영화창작, 나아가 다른 초기소비에트 영화제작자들의 작업을 해석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그는 여기에서 몽타주 기법을 다섯 가지로 분류해서 설명한다. 첫 번째 몽타주 기법은 운율적 몽타주인데, 이는 장면의 길이를 염두에 둔 편집이다. <전함 포템킨>에서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장면이 바뀌는데 이는 영화를 역동적으로 만든다. 운율적 몽타주가 장면의 양적인 길이라는 객관적인 크기를 두고 편집하는 것이라면, 두 번째 몽타주 기법인 리듬적 몽타주는 시간의 흐름에 대한 관객의 주관적인 인지를 고려하여 편집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와 네 번째 몽타주 방법은 음악에서 빌려온 용어를 사용하여 각각 조성적 원리에 따른 몽타주, 초조성적 원리에 따른 몽타주라고 부른다. 운율적, 리듬적 몽타주가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라면, 이들은 장면들 내의 그림의 구조와 그 질을 조절하는 것이다. 연속되는 여러 장면의 조성, 즉 톤을 결정하는 것은 명암, 선의 종류와 배열 등이다. 초조성적인 몽타주는, 음악에서 그러하듯, 분위기를 중요시한다. 다섯 번째 몽타주 기법은 지적인 몽타주인데, 이는 장면을 논리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관객의 지적인 능력에 호소하는 기법이다. 에이젠슈테인과 그의 동료들이 형식주의 정신으로 틈새의 비밀, 즉 몽타주의 비밀을 알아내려 한 이후로 영화에 대한 이해는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이들은 영화가 고유의 언어, 고유의 코드, 고유의 `문법`, 고유의 작법을 갖고 있음을 천명했다. 영화 언어는 지난 세기 동안 급속하게 발전하였으며 그 다양한 얼굴들을 이론적으로 다 파악하는 일은 아직 요원하다. 어쨌거나 형식주의자들의 아이디어와 방법론은 예나 지금이나 유효하다. 문예학자들과 언어학자들이 영화예술을 이론적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의 큰 관심사였듯이, 이는 미래 독문학의 과제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