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용 스마트 메시지 서비스 플랫폼

        김남윤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5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으로 보안 공격에 안전하고 통합적인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3G/WiFi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보안 정책을 통해 안전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고, 카메라와 GPS를 통해 수집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증, 메시지에 대한 기밀성 및 무결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위치, 사진, 문자 메시지를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한다. 그리고 플랫폼의 기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아이폰 앱과 메시지 전송 서버를 구축한 사례를 소개하고 구현 결과를 보인다. With increasing use of smartphone, users require a new message service to prevent security attack and provide integrated messages. Since smartphone uses data services such as 3G cell network and WiFi, it can provide reliable message transfer through various security policies. In addition, it can transfer various data collected using built-in camera and GPS. This paper proposes a smart message service platform which can provide security services such as authentication,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as well as transfer the integrated message including location, picture and text. To verity the functionality of the platform, this paper implements an iPhone app and message transfer server, and then shows the implementation results.

      • KCI등재

        이공지능 : 에이전트들 간의 밀접한 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에이전트 메시지 전송 구조

        장혜진 ( Hai Jin Ch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3 No.3

        본 논문은 에이전트들 간의 긴밀한 협력을 위해 신속한 메시지 통신을 필요로 하는 응용 분야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에이전트 메시지 전송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구조는 FIPA(Foundation of Intelligent Physical Agents) 표준 에이전트 플랫폼 규격에서 에이전트들에게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소인 ACC(Agent Communication Channel)를 MTSA(Message Transfer Service Agent)라는 에이전트들의 집합으로 표현한다. MTSA는 비동기 메시지 통신을 지원하며, 메시지 수신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반응자 패턴(reactor pattern)을 사용하며, 메시지 송신 에이전트와 수신 에이전트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에이전트들 간에 최적의 통신 수단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전송하여 에이전트들 간의 긴밀한 협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안된 메시지 전송 구조에 따라 구현된 다중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SMAF(Small Multi-Agent Framework)는 잘 알려진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JADE(Java Agent Development Environment)와 비교하였을 때 향상된 메시지 전송 능력을 보인다. 다중 에이전트 구조의 메시지 통신 속도가 고속화되면 될수록 그 다중 에이전트 구조는 더 다양한 응용 분야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a multi-agent message transport architecture to support application areas which need fast message communications for close collaboration among agents. In the FIPA(Foundation of Intelligent Physical Agents) agent platform, all message transfer services among agents are in charge of a conceptual entity named ACC(Agent Communication Channel). In our multi-agent message transport architecture, the ACC is represented as a set of system agents named MTSA(Message Transfer Service Agent). The MTSA enables close collaboration among agents by supporting asynchronous communication, by using Reactor pattern to handle agent input messages efficiently, and by selecting optimal message transfer protocols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s of sender agents and receiver agents. The multi-agent framework SMAF(Small Multi-Agent Framework), which is implemented on the proposed multi-agent message transport architecture, shows better performance on message transfer among agents than JADE(Java Agent Development Environment) which is a well-known FIPA-compliant multi-agent framework. The faster the speed of message transfer of a multi-agent architecture becomes, the wider application areas the architecture can support.

      • KCI등재

        차량동위그룹을 이용한 차량 간 긴급 메시지 전파 방법

        유석대(Sukdea Yu),조기환(Gihwan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4 No.5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 사이에서 사고, 긴급정지, 장애물 출현 등의 안전과 관련된 긴급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간 통신기술은 차량안전통신서비스의 기반이 된다. 차량안전통신은 상호 연계성이 없는 차량들 사이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형태의 전파방법을 사용한다. 순수 브로드캐스팅 서비스를 사용했을 때는 잦은 메시지 충돌과 그에 따르는 전송 지연으로 차량안전통신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안전통신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다중홉 전송을 위하여 그룹 기반 전송방법을 제안한다. 차량의 위치정보와 무선전송범위를 고려하여 그룹헤더를 선출하고, 그 헤더를 중심으로 같은 전송범위 안의 차량들을 차량동위그룹으로 묶는다. 헤더에 의해서만 긴급메시지를 전파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송을 최소화하고 메시지 충돌의 가능성 낮춘다. 차량동위그룹을 적용하면 차량 밀집도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긴급메시지 전파 성능을 보인다. Vehicle safety service can be effectively achieved with inter-vehic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which moving vehicles transmit a safety related urgency information such as traffic accidents, sudden stops, obstacle appearance etc. They usually utilize a broadcast of message propagation method because the communicating vehicles are not known each other. The pure broadcasting scheme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vehicle safety communication service due to the transmission delay with frequent message collisions.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a group based propagation method for the multi-hop transmission, in order to deliver an urgency message to the reasonable size of vehicle troop. A group header is elected in considering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vehicles and radio transmission range. And a vehicle equivalent group is formed with the header. With benefits of the group based 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nnecessary transmission and the possibility of message collision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essage propagation performance is so stable regardless of vehicle's congestion degree.

      • KCI등재

        MIM을 활용한 기회적 동시전송 방법

        강영명(Young-myoung Kang),이준수(Joonsoo Lee),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8 No.4

        IEEE802.11 MAC 프로토콜인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는 CSMA/CA에 기반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동시전송(concurrent transmission)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패킷끼리의 간섭을 줄이고 충돌을 막는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반면에 공간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는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어렵게 한다. 실제로 무선 환경에서는 동시에 전송된 두 개 이상의 패킷도 성공적으로 받아지는 캡쳐효과(Capture Effect)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최근의 무선랜카드의 경우 MIM(Message In Message)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패킷의 캡쳐 확률이 더 높아졌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MIM 기능을 사용하여 동시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OMCT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OMCT는 주변 노드들의 전송을 듣고 MAC 헤더 정보를 통해 링크(AP-STA pair)를 식별한 다음 SINR값에 기반하여 MIM 캡쳐가 가능한 경우에만 기회적으로 동시전송 한다. 또한, OMCT는 개별큐를 사용하여 동시전송 기회를 극대화한다. MATLAB시물레이터를 통한 성능평가 결과 OMCT가 DCF에 비해서 60% 이상의 시스템 처리율을 보여 주었다.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 of IEEE 802.11 prohibits concurrent transmissions since it operates based on CSMA/CA. While DCF avoids packet collisions or interferences by admitting single transmission only, this conservative transmission mechanism makes it hard to fully utilize the wireless capacity in terms of spatial reuse. It is well known that a packet can survive the collision and can be decoded successfully by the receiver. We call this physical layer Capture Effect. A new wireless PHY technology, namely, MIM (Message In Message) augments the probability of the PHY capture by adopting the enhanced preamble detection fun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MCT (opportunistic MIM-aware concurrent transmission) protocol which exploits MIM functionality to maximize the system throughput of IEEE 802.11 WLANs. The key idea of our approach is that when a node overhears the transmissions of other nodes, it identifies the link identity by examining the MAC header information. Then, it sends a packet to its receiver concurrently if the MIM capture threshold requirements are satisfied. In addition, OMCT increased the concurrent transmission opportunities by adapting the per-station queue. Our MATLAB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outperforms DCF up to 60% in terms of the system throughput.

      • KCI등재

        파워제어를 통한 Message In Message 기반의 동시전송

        강영명,김종권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9 No.4

        기존의 무선 랜카드의 경우 두 개 이상의 신호가 동시에 전송된 경우 수신하고자 하는 신호가 간섭신호의 preamble 시간 안에 도착하면 물리계층의 캡쳐효과(PHY layer capture effect)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신이 가능하였다. 이와는 달리 Message In Message기능을 구현한 최신 무선 랜카드의 경우 향상된 preamble 탐지 기술을 바탕으로 의도한 신호가 간섭신호의 preamble시간보다 늦게 도착해도 높은 SINR값을 가지면 캡쳐(capture)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파워제어를 통한 MIM기반의 동시전송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내 및 외부 환경에 다양한 토폴로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 파워제어를 통한 동시전송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revious wireless NICs (Network Interface Card) enable the PHY capture when the intended signal arrives within the preamble time of an interference signal. Meanwhile, modern Message in Message-capable NICs can capture the intended signal with higher SINR even when the intended signal arrives after the preamble time of an interference signal.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athematical model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power control for enabling the MIM-aware concurrent transmissions and analyzed the results. Analyzing the numerical results with various topologies in both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we verified that power control is feasible for supporting the MIM-aware concurrent transmissions in most cases.

      • KCI등재후보

        병원 전단계 모바일 응급의료 서비스를 위한 XML 기반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

        김흥식,Kim, Heung Shik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5 스마트미디어저널 Vol.4 No.3

        갑자기 마주친 응급상황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고, 신고 시 정확한 메시지 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최근 일상화된 스마트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개인의 응급상황을 정확하고 구조화된 형태로 전송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주위의 여타 응급상황에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응급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이고 구조화된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빠르고 정확한 XML-기반 메시지 전송 기술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도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For suddenly encountered emergencies, most people embarrass, and can not often deliver the correct message when they report. Recently in the commonplace smart software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hat they can transmit the correct individual emergency situation efficiently and can receive the best service, and can provide the efficient emergency medical services to real-time around the other emergencies. In this paper, we design a standard protocol for the rapid and accurate technology for transmitting XML-based structured messages to provide an efficient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offers a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tocol to make them available more efficiently.

      • KCI등재

        High Performance Computing Classes (HPCC) for Parallel Fortran Programs using Message Passing

        김영태(Youngta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8 No.2

        HPCC (High Performance Computing Class)는 Fortran90으로 구현된 객체지향형 클래스로서 FDM (Finite Difference Method) 모델 프로그램을 메시지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병렬 프로그램으로의 구현을 지원한다. HPCC는 병렬프로그램에서 메시지 전송 방식의 사용을 단순화하고, HPCC에 의해 정의 된 객체는 실행 시간에 병렬처리에 관련된 데이터와 관련 메소드를 제공한다. 또한 HPCC는 순차프로그램의 인덱스 전환을 위하여 매크로를 제공한다. HPCC를 사용하여 병렬화를 할 경우에는 병렬화 기간이 현격히 단축될 수 있으며, 메시지 전송을 직접 사용하는 것보다 효율적인 성능을 보인다. HPCC의 유용성과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Fortran으로 구현된 3개의 레거시 모델 코드를 병렬화하였으며 PC 클러스터를 사용하여 성능의 효율성을 알아보았다. High Performance Computing Classes (HPCC) is a group of portable object-oriented classes designed with following objectives: (1) to simply the parallelizing process of the Fortran programs based on the FDM (Finite Difference Method) model and (2) to enhance performance of the parallel programs. The objects defined by HPCC provide the parallel programs with the information and the methods required for parallel processing at run-time. HPCC also provides the macros for the index transformation of the sequential programs. To show usefulness and efficiency of HPCC, three different legacy FDM models were parallelized with HPCC, and performance results were presented on a cluster of PC's.

      • KCI등재

        순열함수를 이용한 AR.Drone 2.0 제어메시지 암호화 프로토콜

        정석원(Seok Won Ju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7 No.3

        드론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서비스 분야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환경은 드론의 제어메시지를 그래도 노출하고 이에 따라 공격자에게 드론의 제어권을 넘겨주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범용 암호알고리즘에 비해 속도 면에서 효율적인 순열함수를 제어 메시지의 암호화를 위해 사용한다. AR.Drone 2.0에 대한 통신프로토콜 중 제어 메시지에 대해 키 발급, 세션 키 등록, 제어 메시지 암호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도청공격, 제어 메시지 생성, 메시지 재전송 공격이 가능하지 않음을 보인다. As develop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drones are wide applied to various service areas. Under the wireless environment, control messages for a drone are ease revealed to everyone and attacker can get the control privilege of a drone. In this paper, permutation functions are used to encrypt control messages, it is more efficient compare to performance than that of general purpose encryption algorithms. This paper suggests a key issuing protocol, a registration protocol of session key, and encryption protocol for control messages of the AR. Drone 2.0 communication protocols. It shows that eavesdropping attack, generation of control messages and message reply attack are not applied to eth suggested protocol.

      • KCI등재

        에너지 효율적인 격자형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비 중복 방향성 메시징 프로토콜

        길아라(A Ra Khil)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40 No.1

        저 전력 기술은 제한된 자원을 가진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생존기간 연장을 위하여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노드들의 중복된 메시지 송수신 및 불필요한 통신 참여를 줄이는 방법은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이다. 방향성 메시징(Directional Messaging: DM) 프로토콜은 방향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의 특정 영역으로만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노드들의 불필요한 통신 참여를 줄이는 에너지 효율적인 메시지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방향성 메시징 프로토콜은 탐색 영역 경계선 주변에 위치한 노드들이 중복된 메시지를 송·수신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격자형 토폴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방향성 메시징 프로토콜의 탐색 영역의 경계선 근접 노드들의 중복된 메시지 송수신을 줄임으로써 전체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하는 비 중복 방향성 메시징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의 기존의 방향성 메시징에 비하여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은 NS-2를 이용한 모의실험 결과로써 나타내 보인다. The low-power technology is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required to prolong the network lifetime of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limited resources. Especially, reducing redundant message transmission and unnecessary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s the core of the low-power wireless sensor network. The Directional Messaging (DM) protocol is the energy efficient message protocol which reduces unnecessary communication participation by sending messages with directional information only to the specified area in a network. However, there is the problem in the DM that the border nodes of search areas receive and send redundant mess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on-redundant directional messaging protocol which improves the energy efficiency of wireless sensor network by reducing redundant message transmission on the border nodes of search areas in the DM protocol. We also show the improved energy efficiency of the proposed protocol comparing with the Directed-Messaging protocol by the simulated results using NS-2 simulator.

      • 병렬처리를 위한 고성능 라이브러리의 구현과 성능 평가

        김영태,이용권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1 No.7

        본 연구에서는 병렬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고 병렬처리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식성을 갖는 고성능 병렬 라이브러리인 HPCL(High Performance Computing Library)을 구현하였다. HPCL은 C 언어와 Fortran 언어로 구현되었으며, Fortran 프로그램에서 메시지 전송 인터페이스인 MPI(Message Passing Interface)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능 분석은 PC 클러스터와 상업용 슈퍼컴퓨터인 IBM SP4를 이용하여 병렬프로그램의 성능 향상 및 통신 오버헤드 등에 대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We designed a portable parallel library HPCL(High Performance Computing Library) with following objectives: (1) to provid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llel code and the original sequential code that will help future versions of the sequential code and (2) to enhance performance of the parallel code. The library is an interface written in C and Fortran programming languages between MPI(Message Passing Interface) and parallel programs in Fortran. Performance results were determined on clusters of PC's and IBM SP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