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키나와 폭력에 대한 문학적 보복과 `오키나와 리얼리즘` -메도루마 슌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고명철 ( Ko Myeong-cheol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7 탐라문화 Vol.0 No.54

        현재 활동하는 오키나와의 작가 중 오키나와의 독립론을 뚜렷한 정치의식으로 표방하면서 그것을 직접 행동으로 실천하는 메도루마 슌(目取眞俊, 1965~)에 대한 이해는 그의 문학과 분리시켜 생각해서 곤란하다. 이것은 메도루마의 초기 작품부터 매우 중요한 문제의식으로 자리하고 있다. 초기 작품은 메도루마의 문학적 행동주의와 결코 무관할 수 없는바, 오키나와의 폭력 양상과 그에 대한 문학적 대응이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폭력은 오키나와를 덧씌운 전`후`의 위선적 현실-평화 그 자체가 얼마나 폭력을 은폐하고 있는지, 이는 오키나와전에 대한 기억과 투쟁의 정치를 순치시키고 무화시키려는 국민국가의 제도적 폭력을 드러내는 것으로 그려진다. 물론 이 과정에서 메도루마는 오키나와전의 트라우마를 드러내고 천황제를 과감히 비판할 뿐만 아니라 미군점령이 야기한 숱한 폭력에 대한 대항폭력(counter violence), 즉 문학적 보복을 가한다. 뿐만 아니라 그는 오키나와의 일상에 깊숙이 침전된 온갖 폭력의 양상을 응시함으로써 오키나와를 일방적 폭력의 피해자로서 인식하는 것을 넘어 오키나와 내부에 똬리를 틀고 있는 오키나와에 침전/전도된 제국의 폭력의 양상과 이러한 현실 속에서 분열증적 증후를 앓고 있는 오키나와에 대해서도 매서운 비판을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메도루마의 작품 속에서 주목되는 오키나와를 에워싼 폭력의 양상이 그의 문학적 행동주의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메도루마는 그만의 독특한 문학적 보복을 통해 표면상 오키나와의 일상을 위태롭게 하고 있는 미국-미군 기지와 이것의 이해관계에 편승한 일본을 겨냥한 대항폭력을 실천한다. 물론 여기에는 오키나와 폭력의 기제에 대한 발본적 문제제기와 합리적 해결책 없이 일본이 기만적으로 포장하는 평화의 쉼터와는 거리가 먼, 그래서 유무형의 폭력으로 점철된 지옥도가 바로 오키나와의 현실로 도래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한다. 따라서 메도루마의 문학적 보복-대항폭력을 단순히 판단해서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메도루마의 문학적 보복은 `오키나와 리얼리즘`의 한 양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Among the Okinawa`s working novelists what the understanding about Medoruma Shun who has not only independent agenda of Okinawa in terms of absolute political consciousness but also practices directly it for himself can`t be consider being separated from his literature. This has been placed the most important problem from his early works. Medoruma`s works can never be indifferent to his literary activism. It is the literary correspondence on Okinawa`s violence aspects. What the violence emerging in his works is described how to hide violence through hypocritical reality of post war being covered Okinawa, the politics of memory and struggle on Okinawa War tamed are revealed by nation state`s systematic violence. Meanwhile Medoruma does not only criticize the Emperor System of Japan, shows the trauma of Okinawa War, but also performs counter violence i.e. literary revenge on something kinds of violence being influenced by USA dominates. Besides he gazes diverse Okinawa violence aspects sanctioned deeply in Okinawa daily lives that`s why beyond acknowledgement recognition as victim for unilateral violence shows sharp critical position towards Okinawa being troubled schizophrenic symptoms in this reality. Therefore we inspect how to emerge the violence aspects surrounded Okinawa being focused on Medoruma`s works through his literary activism. He practices counter violence against Japan of which is related to the interests with USA-USA military base risking Okinawa`s daily lives. Of course there is a significant watch on what the hell will approach to Okinawa`s reality unless the radical questions and reasonable solutions on the mechanism of violence in Okinawa will be submitted for us. Hence there is the very reason why we don`t simply recognize his literary revenge-counter violence. So, his literary revenge helps the understanding on Okinawa Realism.

      • KCI등재

        메도루마 슌 문학과 미국

        곽형덕(Kwak, Hyoung Duck)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6

        본고에서는 메도루마 슌이 미군과 관련된 세 작품 「희망」 (1999), 『무지개 새』(2006),『눈 깊숙한 곳의 숲』(2009)을 쓰기에 이르는 과정을 1990년대 일본 본토에서의 오키나와 붐(boom) 및 1995년 소녀성폭행 사건과 연관해 살펴봤다. 흔히 메도루마 슌은 오키나와 전이나 오키나와의 풍속 등을 매지컬 리얼리즘 기법으로 쓴 작가로 이해되기 십상이지만, 위 작품군을 분석해 보면 이는 대단히 단편적인 것임을 알게 된다. 메도루마는 전쟁 당시 오키나와에서의 일본군의 만행에 대한 것만큼이나, 전후 오키나와에서의 미군기지 문제를 1995년 이후 중요하게 응시하고 써왔다. 하지만, 메도루마의 이 작품군은 미군에 대한 ‘대항폭력’을 구체적으로 그려서, 일본 본토 독자 및 평자들로부터 외면을 받는 등 온전한 평가의 대상이 되지 못해왔다. 메도루마 슌의 『희망』·『무지개 새』·『눈 깊숙한 곳의 숲』 은 극한의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오키나와 문제의 궁극적인 지점”을 살핀 작품으로 그 ‘대항폭력’은 오키나와 비판으로 이어진다. 이는 메도루마 슌이 행한 오키나와 비판의 궁극적인 지점이다. This research seeks to investigate Medoruma Shun’s writing process through his works relating to the US military base in Okinawa: “Hope”(1999), “Rainbow Bird”(2006) and “Forest at the Back of my Eye”(2009). Medoruma wrote these pieces as a reaction to mainland Japan’s Okinawa Boom of the 1990s, as well as to the 1995 Okinawa rape incident. Medoruma Shun"s literature is generally thought to provide a magical realist depiction of Okinawan customs and of the Battle of Okinawa. However, it becomes apparent when analyzing Medoruma’s intensive body of writing relating to the US military base since the 1995 rape incident, that this perspective reflects only a partial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work. Owing to Medoruma"s plain portrayal of “counter violence” against the US army in his writing surrounding the US military base, this body of work has unfortunately not enjoyed full acceptance in mainland Japan. It follows that these works not only seek to pinpoint the “ultimate place of Okinawan issues” within the scope of literary imagination, but also to provide a sharp critique of an Okinawan society unable to fully cope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1995 rape incident.

      • KCI등재

        메도루마 슌 초기문학에 나타난 ‘타자’

        곽형덕(Kwak, Hyoung Duck)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2

        본고는 메도루마 슌의 초기 작품인 「어군기」와 「마아가 바라본 하늘」을 중심으로 해서 타자(타이완) 형상화 방식을 분석해, 메도루마문학의 서사적 특징을 도출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째, 메도루마의 초기 문학은 공동체로부터 일탈하는 소년을 다루고 있으며, 그 소년은 공동체를 이화시키는 것을 통해서 약자에 대한 폭력의 기원을 밝혀낸다. 둘째, 소년은 그저 폭력의 기원을 밝혀내는 존재만이 아니라, 폭력이 향해진 ‘약자’에게 연대의 감정을 품어서 공동체에 대항해 자신의 죄의식을 속죄하려 한다. 이 두 가지 특징은 다시 말하자면, 오키나와라는 지역 공동체가 행사한 폭력을 내면화하면서도, 그것으로부터 일탈해 지역 공동체를 이화시켜 보편화시키는 방식이다. 만약 메도루마가 오키나와라는 지역에 매몰됐다면 그의 문학은 오키나와를 넘어서 이해되지 못했을 것이다. 그렇기에 메도루마가 초기작품에서부터 오키나와를 타이완 차별이라는 문제를 통해서 상대화해 볼 수 있는 이야기를 구축했다는 것은 주목을 요한다.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how Medoruma Shun’s early work depicts the Other, specifically in stories relating to Taiwan, such as “Record of a Fish Shoal” and “The Sky Ma Saw,” to illuminate themes and motifs that characterize his narratives. Firstly, Medoruma’s early works deal with boys deviating from the local Okinawan community’s norm. The figure of the boy reveals the origin of violence against the “weak” one unable or unwilling to assimilate. Second, the boy invariably tries to atone, not only in the interest of disclosure, but also as resistance against the local community through solidarity with ostensible “weakness.” Medoruma Shun endeavors to observe the local community as a stranger, and is able to successfully write on urgent issues such as Okinawan War and US military base on Okinawa. This study concludes that Medoruma’s writing bespeaks a broader understanding than might have locked his literature in narrow, Okinawan nationalism.

      • KCI등재

        메도루마 문학이 현실에 맞서는 방법― 「평화거리라 이름 붙여진 길을 걸으며」와 「나비떼 나무」를 중심으로 ―

        심정명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3

        Medoruma Shun's novels which deal with the memories of the Battle of Okinawa give the readers a chance to re experience the battle. In addition, his literature often reveals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conflicts in Okinawa society. The present paper, focusing on Walking a Street Named Peace(1986) and Trees of Butterflies(2000), analyzed how Medoruma’s novels have depicted the complicated and difficult reality of Okinawa and imagined how to oppose to it. In each of these two works, Uta and Gozei, an dementia stricken old woman appeared. They are living in a time where past and present are mixed, which showed traumatic memories of the war invading the present. And it suggests that such past overlaps with the present of Okinawa, where continued struggle against military bases still exists. Walking a Street Named Peace is considered to represent resistance to the emperor symbolically; however the work also reveals that there are multiple conflicts. And the work is also critical of talking about Okinawa’s fight easily. The novel Trees of Butterflies shows various conflicts highlighted by Gozei’s presence invading Okinawa's traditional culture, and through Yoshiaki, the focal character, seeks the possibility to relate to Gozei or the pain she represents. Medoruma’s novels ask the readers to establish such a relationship and remind them that reading such literature cannot be irrelevant to the fight that is currently taking place in Okinawa. 오키나와전투의 기억을 다루는 메도루마 슌의 문학은 독자들에게 전쟁을 추체험하게 한다. 또 그의 문학에는 오키나와 사회의 복잡하고 다면적인 갈등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메도루마의 많은 작품들에서 고독한 할머니가 등장하는데, 그러한 작품에서는 등장인물이 그러한 할머니와 만남으로써 과거의 기억과 마주하고 그것과 관계 맺기를 요청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평화거리라 이름 붙여진 길을 걸으며」(1986)와 「나비떼 나무」(2000)에 초점을 맞추어, 메도루마 문학이 어떻게 오키나와의 어려운 현실을 그려내며 거기에 맞서려고 하는지 살펴보았다. 두 작품에서는 우타와 고제이라는 인지증에 걸린 할머니가 등장하는데, 이들이 과거와 현재가 뒤섞인 시간을 살고 있다는 것은 오키나와전투의 트라우마적인 기억이 현재에 침입해 들어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러한 과거가 오키나와의 현재와 겹쳐져 있음을 시사한다. 「평화거리」는 보통 천황제에 대한 상징적인 저항을 그리고 있다고 평가되지만, 그 외에도 우타를 통해 본토와 오키나와라는 대립을 넘어서는 다양한 갈등을 보여준다. 우타가 깨트리는 ‘평화’는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작품은 오키나와의 바깥에 있는 사람들이 손쉽게 대항을 이야기하는 것을 경계하기도 한다. 「나비떼 나무」는 오키나와의 전통문화를 배경으로 고제이가 부각시키는 여러 가지 대립을 드러내면서, 초점인물인 요시아키를 통해 고제이나 그가 대표하는 여러 아픔과 관계 맺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메도루마 문학은 독자들에게도 이 같은 관계 맺기를 요청하는 동시에, 그러한 문학을 읽는 것이 현실의 싸움과 무관할 수 없음을 일깨워준다.

      • KCI등재

        아시아의 ‘상흔’ 겹쳐보기 ―오키나와전투와 한국전쟁을 둘러싼 문학적 응전방식

        손지연 ( Son Jiyoun )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8

        이 글의 관심은 오키나와전투와 한국전쟁으로 인한 상흔에 누구보다 민감하게 반응해 온 메도루마 슌(目取眞俊)과 전상국의 작품을 아시아의 ‘상흔’이라는 점에서 겹쳐보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두 작가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기억의 숲』과 『아베의 가족』, 이 두 작품 사이에는 전쟁이 남긴 상흔, 그 중에서도 미군(미국인)에 의한 자국 여성의 강간사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는 점을 비롯해 여러 유사한 접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것은 무엇보다 나카자토 이사오(仲里效)와 메도루마 슌의 최근 대담에서 환기시킨 바 있는, “식민지적 신체성” 혹은 양석일이 말한 “아시아적 신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는, 오키나와전투(沖繩戰)를 기점으로 선명해진 오키나와 공동체 내부의 균열과 모순을 드러내는 메도루마 식 방식과 한국전쟁이 배태한 우리 안의 균열과 모순을 드러내는 전상국 식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미군(미국인)의 폭력에 대응하는 방식이 그러한데, 메도루마의 경우, 전시-전후로 이어지는 폭력적 전쟁 시스템을 고발하는 ‘미군(미국) 비판’에서 출발하여 ‘오키나와 공동체 비판’이라는 회로를 경유해 전쟁의 상흔이 각인된 전후적 신체에 대한 이해(‘심부통각’)로 사유를 심화·확장시켜 간 반면, 『아베의 가족』의 경우는, 미군(미국인)에 대한 혐오와 경멸을 여과 없이 표출한다거나, 동료 병사와 무고한 민간인을 사살하는 김상만의 행위를 ‘죄의식-구원’이라는 틀 안에 가두어 버림으로써 사사화(私事化)해버린다거나, 미군(미국인)에 의한 폭력(강간)뿐만 아니라 우리 안의 은폐된 폭력(강간) 또한 드러내보이고자 했음에도 성찰의 깊이를 갖지 못한 한계 등을 노정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작품은 아시아의 ‘상흔’이 겹쳐지는 지점과 엇갈리는 지점, 더 나아가 공통의 ‘상흔’을 분유(分有)함으로써 폭력의 가능성을 불가능성으로 바꿔가는 문학적 응전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est of this writing started from attempt to overlap Medoruma Shun’s sensitive response on scar caused by Battle of Okinawa and Korean war more than anyone, and Asia’s ‘Scar’, a work of Jeon, Sang-Gook. A point of contact could be observed among main motives from above two authors’ renowned works, ‘Forest of Memory’ and ‘The Family of Abe’, which described the scar left by war, especially the rape incidents committed by US military. Above all,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looking at it from the aspect of ‘Colonial Physicality’ or ‘Asian body’ as Yang Suk il out it, which were refreshed through recent talk between Nakazato sao and Medoruma Shun. There was a difference, however, in the way of Medoruma, that reveals the crumbling of inner community of Okinawa contradiction became vivid by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 way of Jeon Sang Gook who revealed the crumbling among ourselves by Korean war. The way of responding on American’s violence was especially like that, in case of Medoruma, while initiating the ‘Critisizing US’ that accuses the violent war system after the war-postwar, bypassing the circuit called ‘Critisizing Okinawa Community’ and extended the reason by understanding body carved with scars of war, in case of ‘Family of Abe’, it either expresses hatred towards Americans, personalizes Kim Sang Man’s killing of civilians and comrades by trapping it in the frame of ‘guilt-salvation’, or points out the limits not being able to deeply regret though it tried to reveal not only the violence by the Americans but also the one in us. Despite that, it was meaningful to know where these two works overlap in ‘Asian Scar’ or where they don’t, and further by sharing the common suffering, they showed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responding that changes the possibility of violence into impossibility.

      • KCI등재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目取真俊)의 소설에 나타난 무교(巫敎)의 증언적 기능과 의미 : 현기영의 「목마른 신들」과 메도루마 슌의 「혼 불어넣기(魂込め(まぶいぐみ))」를 중심으로

        이명원(Lee, Myoung W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8 No.-

        본고는 제주 4.3을 문학의 중심주제로 탐구한 현기영과 오키나와 전투를 핵심적 문제의식으로 탐구해 온 오키나와의 소설가 메도루마 슌의 작품을 비교문학적으로 검토한다. 검토할 작품은 현기영의 「목마른 신들」과 메도루마 슌의「혼 불어넣기」이다. 이 작품들은 두 지역의 토착신앙인 무교(巫敎)를 통해서 제주4.3과 오키나와전 과정에서의 주민학살이라는 역사적 비극에 대한 증언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의 소설에서 무교는 현대사의 비극을 ‘증언’하는 역사적 담론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소설의 주인공인 제주의 심방과 오키나와 유타가 어떻게 현대사의 비극을 회고와 동시에 증언하고, 이것이 소설 안에서 어떤 기능과 의미를 낳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을 통해서 필자가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의 소설에서는 무교적 모티프가 역사적 상상력과 결합해, ‘무교적 리얼리즘’이라는 독특한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그러나 소설에서 보여주는 공동체의 정념은 다르다. 현기영은 제주공동체의 무서운 신명을 보여준다. 반면 메도루마 슌은 오키나와 공동체와의 무서운 불화를 보여준다. 셋째,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 소설에서의 무교 모티프는 토착적 문화전통과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를 동반한 국가폭력 사이의 문화충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문학적 장치로 기능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필자는 제주와 오키나와 문학의 정치성과 정체성에 대한 더욱 심화된 논의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works of Hyun Ki-young, who explored Jeju 4.3 as the central theme of literature, and Okinawa novelist Medoruma Shun, who has explored the battle of Okinawa as a core problem consciousness. The works to be reviewed are Hyun Ki-young"s “Thirsty Gods(목마른 신들)” and Medoruma Shun’s “Mabuigumi(魂込め)”. These works show the aspect of testimony to the historical tragedy of the massacre of residents in Jeju 4.3 and Battle of Okinawa through Shamanism(무교, 巫敎), an indigenous belief in the two regions. In the fictions of Hyun Ki-young and Medoruma Shun, shamanism functions as a historical discourse that testifies to the tragedy of modern history. In this paper, the main characters of the fiction, Jeju Shaman(SIMBANG) and Okinawa Shaman(YUTA), testified of the tragedy of modern history at the same time as retrospections, and tried to analyze what functions and meanings it has in the novel. The conclusions I drew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ction of Hyun Ki-young and Medoruma Shun, the shamanic motif combines with historical imagination to show a unique literary trend called "Shamanistic Realism." Second, however, the passion of the community shown in the fiction is different. Hyun Ki-young shows a ‘terrible orgiastic-state’(state at the time of get in high spirit) of the Jeju community. On the other hand, Medoruma Shun shows a ‘terrible disharmony’ with the Okinawa community. Third, Shamanism Motif in the fictions of Hyun Ki-young and Medoruma Shun functions as a literary device that symbolizes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indigenous cultural traditions and national violence accompanied by colonialism and imperialism. Through this analysis, I hope that more in-depth discussions on the politics and identity of Jeju and Okinawa literature can proceed.

      • KCI등재

        국가폭력의 전후적 기억, 국가폭력을 내파하는 문학적 상상력 ─ 메도루마 슌과 오시로 다쓰히로의 대비를 통해 ─

        손지연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6

        이 글의 목적은 지금도 여전히 일상이 전장화되고 있는 현실을 폭로하고, 일상에 내재한 폭력에 맞선 저항의 불/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표출해 온 두 명의 오키나와 출신 작가 메도루마 슌과 오시로 다쓰히로 문학에 초점을 맞춰 제국의 식민지 이후, 전‘후’를 살아가는 마이너리티 민족의 서사적 응전의 가능성과 한계를 짚어보는 데 에 있다. 이 같은 관심은 두 문학자의 공과(功過)를 논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시로의 작품을 보조선으로 삼으면서 메도루마 문학의 특징을 규정짓는 요소가 무엇인지 살 펴보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그 결과, 두 작가의 커다란 입장 차이와 함께 국가폭력의 전후적 기억 혹은 국가 폭력을 내파하는 문학적 상상력이 어디에서부터 배태되었는지 가늠할 수 있었다. 오시로 문학이 ‘오키나와인은 누구인가’ ‘일본인은 누구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 앞에 서 끊임없이 분열하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는 형태를 보였다면, 메도루마 문학은 국가폭력에 타협하지 않고 정면으로 맞서려는 모습이 두드러져 보였다. 특히, 일본 군 ‘위안부’를 테마로 한 『나비떼 나무』 등 일련의 작품들에서 동아시아의 폭력의 상흔, 징후들에 매우 가깝게 그리고 실체적으로 다가서고 있음을 간파할 수 있었다. 국가폭력에 누구보다 강력하게 대응해 온 그의 문학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그의 비판적 사유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그 궁극의 지향점을 사유하는 일은 곧 우리의 문제이기도 한 이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the narrative responses of the minority living during postwar after the Empire was colonized. To this end,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literature of two Okinawaborn writers, Shun Medoruma and Tatsuhiro Ōshiro, who continuously expressed the impossibility/possibility of resistance against the violence immanent in daily life and exposed the reality that daily lives are actually still in the battlefield even today. To note, the current study does not intend to evaluate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two literati, instead, find out the factors that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Medoruma literature using Ōshiro's works as a supplement. Analysis showed that along with a big difference in stance of the two authors, it was possible to guess from where the postwar memory of national violence or the literary imagination of the national violence was conceived. While Ōshiro’s work highlighted th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Who is the Okinawan’ and ‘Who is the Japanese,’ Medoruma’s work stood out in its confronting national violence headon without compromising. Especially from the series of works such as ‘The Tree of Butterflies’ themed on Japan’s ‘Sexual Slavery’, it could be seen that the scars of violence and signs in East Asia were addressed very closely and truthfully.

      • KCI등재

        4,3소설과 오키나와전쟁소설의 대비적 고찰: 김석희와 메도루마 슌의 경우를 중심으로

        김동윤 ( Dong Yun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49

        이 글에서는 4·3문학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서, 그리고 양 지역의 문학적 연대를 위해서 오키나와 작가 메도루마 슌(目取眞俊; 1960- )의 소설(「바람소리」·「물방울」·「혼 불어넣기」·「브라질 할아버지의 술」·「이승의 상처를 이끌고」·「나비떼 나무」)과 제주 작가 김석희(1952- )의 소설(「땅울림」·「고여 있는 불」)을 대비적(對比的)으로 고찰하였다. 김석희의 4·3소설과 메도루마 슌의 오키나와전쟁소설은 참혹한 사태의 양상과 관련하여 지역공동체의 독립을 지향한다는 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반면, 오키나와전쟁소설과는 달리 4·3소설의 경우 독립 지향성은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없는, 4·3 이후에는 시도해 보기도 어려운, 전설과 꿈으로만 여겨질 따름이다. 그래서 「땅울림」의 현용직과 김종민은 죽음에 이를 수밖에 없으며, 「고여 있는 불」에서는 화젯거리로만 떠오를 뿐이다. 이는 메도루마 슌이 초현실적으로 그로테스크하게 접근하는 작품을 주로 쓰는 데 비해, 김석희의 경우 취재와 추리에 근거하는 리얼리즘 방식으로 창작했음에 따른 차이이기도 하다. 정치권력에 의해 오랫동안 금기였던 4·3 담론과 일본·미국의 틈바구니에서 인식의 확대를 지향해온 오키나와전쟁 담론 간에는 그 문학적 형상화 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본다. 지역공동체를 중시하는 두 작가는 문화적 정체성에도 많은 관심을 드러낸다. 전통적 제의(祭儀)를 요긴하게 활용하여 주제를 구현한다는 면에서는 두 작가가 상당히 유사하며, 방언(‘제주어’와 ‘우치나구치’)의 활용에 있어서는 메도루마 슌이 더 적극적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4·3소설의 입장에서 볼 때 오키나와전쟁소설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 오키나와전쟁소설은 4·3을 4·3 자체만으로 애써 한정하려거나 지역적·국내적 범위에 묶어두려는 4·3소설의 일반적 경향에 대해 경종을 울려준다. The constant interest in April 3rd Uprising makes us aware that it is still going on in a variety of forms and that it is not a mere Jeju`s problem, which brings us closer to Okinawa. Okinawa is said to b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Jeju.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the horizon of April 3rd literature and establish literary solidarity,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Okinawan writer Medoruma Shun (1960-) and Jeju`s writer Kim Suk-hee (1952-). The former writer`s works include “The Crying Wind,” “Droplets,” “Spirit Stuffing,” “Old Man Brazil,” “The Suffering of this Life,” and “Tree of Butterflies,” and the latter writer`s works are “Earth Tremor,” and “Stagnant Fire.” Kim Suk-hee`s April 3rd fiction and Medoruma Shun`s Okinawa battle fiction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both orient toward the independence of local communities in relation to dire situations. Unlike Okinawa battle fiction, in the case of April 3rd fiction, orientation toward independence is considered a dream impossible to come true in reality. Therefore, in “Earth Tremor,” Hyun Yong-jik and Kim Jong- min are destined for death, and only talked about in “Stagnant Fire.” This difference stems from the fact that while Medoruma Shun writes his works in a surrealistic and grotesque way, Kim Suk-hee takes realistic approaches based on coverage and reasoning. Thes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literary embodiment are naturally taken because discourse on April 3rd Uprising has long been tabooed while discourse on the battle of Okinawa has found its way to expand awareness, jammed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oth writers who consider local communities important show keen interest in cultural stagnation.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both writers in that they make a good use of ritual ceremonies to embody the motif. However, the difference lies in the use of dielects (the Jeju`s language and Uchinaaguchi). Medoruma Shun uses Uchinaaguchi more aggressively. Seen from the part of April 3rd fiction, Okinawa battle fiction speaks volumes. It sounds an alarm bell over the general tendency of April 3rd fiction that confines April 3rd Uprising to itself or only to local and domestic ranges.

      • KCI등재

        오키나와, 확장되는 폭력의 기억 - 메도루마 슌(目取眞俊)의 『무지개 새』와 『눈 깊숙한 곳의 숲』을 중심으로 -

        심정명 ( Sim Jeong-myou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2

        ‘전후’라는 시대구분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일본과 달리 오키나와에서 전쟁이 끝난 후로서의 전후를 규정하기는 어렵다. 메도루마 슌은 이를 ‘전후 제로년’이라는 말로 표현했는데, 이는 군사기지가 있기 때문에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폭력과도 관계있다. 대표적인 오키나와 문학자로 여겨지는 메도루마 슌의 작품 『무지개새』는 오키나와에 존재하는 이러한 폭력적인 현실을 한 소녀와 그녀를 둘러싼 좁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보여준다. 1995년에 오키나와에서 일어난 소녀 폭행 사건과 이로 인해 촉발된 대대적인 기지 반대 운동을 배경으로 하는 이 소설은, 타인이 겪은 폭력으로 인한 외상적인 경험을 자신의 것처럼 끌어안는 데 따르는 신체적인 아픔을 그리는 동시에, 자신에게 가해진 폭력에 대한 반응으로 터져 나오는 폭력이 바로 이러한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말이기도 함을 보여준다. 오키나와전쟁이 일어난 역사적 시간에 좀 더 밀착하여 이 같은 폭력의 기억이 어떻게 종적, 횡적으로 확장될 수 있을지를 상상하는 메도루마 슌의 또 다른 작품 『눈 깊숙한 곳의 숲』은 말로 간주되지 않는 말이나 이미지가 기억을 통해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매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와 동시에 소설은 이 같은 기억의 연쇄가 아픔을 동반하는 일일 뿐 아니라 폭력을 둘러싼 책임의 문제에서 그누구도 쉽게 벗어날 수 없음을 드러낸다. 두 작품은 물론 메도루마 슌이 만들어낸 허구이지만, 이를 읽는 과정에서 독자들은 이른바 오키나와 문제를 지금 현재 구성하고 있는 역사적 맥락 속에 자신이 존재하고 있음을 깨닫고 이에 개입할 수 있는 관계들을 적극적으로 상상하기를 요청받을 것이다. Unlike Japan, where the word ‘post-war(戰後)’ is generally used, in Okinawa, to determine when this ‘post’-war era begins is difficult because Okinawa as ``the islands of military base`` has never experienced the complete end of the war. Medoruma Shun, Okinawa writer, expresses it as ‘zero year after the end of the war’. It is also concerned with continuing violence caused by the existence of military base in Okinawa. Medoruma’s novel Nijino Tori(Rainbow bird) shows this violent realities through a Okinawa girl Mayu who has traumatic experiences and the small world around her. In this novel, which has the 1995 rape incident and strong protestants against US military it triggered as its background, taking others’ traumatic experiences as one’s own is often accompanied with almost bodily pain. And Mayu’s violent reactions, which finally gets to kill an innocent American kid, can be read as non-verbal words that makes this painful process possible. Meno Okuno Mori(The Forest at the Back of the Eyes), another novel by Medoruma, which is a story about an imaginary but probable Okinawa girl named Sayoko raped by 4 US soldiers during Okinawa war, imagines how this kind of violent experience can extend beyond specific times and spaces. By doing so, it shows that Sayoko’s words, which regarded as non-words or rather as scream, and Seiji’s incoherent muttering makes a kind of chained relationships around the incident.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is kind of sharing of memory can cause pains and not anyone, if she or he is not in Okinawa, is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of that violence. Although these are a fiction constructed by Medoruma, they tells us readers not only that we are liv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around Okinawa, but also that we must imagine another relationships to change this context.

      • KCI등재

        메도루마 슌(目取真俊)의 『무지개새(虹の鳥)』에 나타난 폭력의 구도

        양원혁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9 탐라문화 Vol.0 No.62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e of violence found in Rainbow Bird(206) of Medoruma Shun in nonpolitcal violence and trans-politcal violence. Based on the exploration, this study seks to analyze the trauma of victims who invisbly exist in the reverse side of Okinawa society under the violence of dominance and sub-ordinance. For th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focus on Judith Herman’s psychoanalytical discusion. When the figures from the piece confront the trauma of nonpolitcal violence under the structure of violence, the figures show two diferent types of behaviors. First, the victim gets fetered by the person inflicting the nonpolitcal violence. Second, the figure breaks away from the nonpolitcal violence, becomes trans-politcal figure, and fights against as a counter violence. The background of Rainbow Bird is Okinawa society where a girl was raped on September 195. The overal piece describes the raly ocuring in the public sectors. This emphasizes the invisble world’s violence and existence of victim in the reverse side of the visble world. It also encourages Okinawa society’s reflection on not advancing toward for counter violence. In the piece, the victim existing under the structure of violence composes a counter violence through trans-politcal violence. This brings colapse of inflictor’s existence and the figure seks to reconect to the community. The scene where the figure heads toward Yanbaru Forest sugests the posibilty of recovery through solidarity of victims sharing the memory of violence. This can be sen as the metaphor for the United State as politcized violence and reality of Okinawa society. Through such metaphor, Medoruma Shun sugests that a counter violence is the premise for recovering from Okinawa society’s trauma. 본고는 메도루마 슌의 『무지개 새』(2006)에 나타난 폭력의 구도를 비정치적 폭력과 탈정치적 폭력의 양상으로 나누어 살핀다. 이를 통해 지배와 피지배의 폭력 아래 위치한 오키나와 사회 이면에 비가시적으로 존재하는 피해자의 트라우마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디스 허먼(Judith Herman)의 정신분석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삼고자 한다. 작품에서 폭력의구도 아래 비정치적 폭력의 트라우마를 작중인물이 마주할 때, 크게 두 유형으로 행동이 나타난다. 우선 비정치적 폭력의 가해자에게 피해자 스스로가속박되는 방식, 그리고 비정치적 폭력의 통제를 이탈하여 탈정치적 존재가되어 대항폭력으로서 저항하는 방식이 그러하다.『무지개 새』는 195년 9월소녀 강간 사건이 일어난 오키나와 사회를 배경으로 공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현민궐기대회의 모습을 작품 전반에 배치한다. 이를 통해 가시적 세계이면에 존재하는 비가시적 세계의 폭력과 피해자의 존재를 부각하고 대항폭력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오키나와 사회의 반성을 촉구한다. 작품에서 폭력의 구도 아래 존재하는 피해자는 탈정치적 폭력을 통한 대항폭력을 이룬다. 이를 통해 가해자의 존재는 무너지고 작중인물은 공동체로의 연결의 복구를 모색하게 된다. 작중인물이 얀바루 숲으로 향하는 장면은폭력의 기억을 공유하고 있는 피해자의 연대로서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는 미군이라는 정치화된 폭력과 오키나와 사회 현실에 대한 은유로 볼 수있다. 이를 통해 메도루마 슌은 대항폭력이야말로 오키나와 사회의 트라우마에 대한 치유의 전제임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