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실산업 활성화 방안 : 광양지역

        이광배,서용일,모수원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5

        전남 광양지역은 전국매실의 28%를 생산하는 전국 제일의 매실주산지로서, 전체 농가의 36.7%가 매실을 재배하고 있으며, 전체 농업소득 중 매실소득이 19.8%를 차지하고 있는 바, 본 논문은 한국의 매실산업 현황을 살펴보고, 전국 최대의 매실산지인 광양지역을 중심으로 매실산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분석을 위하여 1980년부터 2009년까지의 문헌연구 및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매실산업의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매실산업 관계자 그룹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광양지역 매실산업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매실산업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급증하고 있으나, 소품목 위주의 가공시장으로 소비확대가 제한되어 있으며, 둘째, 영세한 경영여건으로 가격경쟁력이 낮아 가공용 제품 생산에 제한되고, 셋째, 매실의 학술적 기능성 및 약리성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고, 넷째, 매실 효능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수준 미흡으로 수요 다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매실산업의 활성화 방안으로서는 먼저,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 및 연구기능 강화로 소비자에게 신뢰성 있는 상품을 제공하여야 하며, 둘째, 영세한 생산여건을 규모화 생력화 정보화를 통해 생산비 절감으로 소비계층 확대를 도모하고, 셋째, 체계적인 상품관리 및 집적화를 위해 광양 순천 하동 등 3대 주산지를 연계한 매실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공동브랜드와 공동물류조직을 확대하여 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달성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매실의 주요 수입국인 일본을 비롯하여 해외시장 개척에도 노력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Prunus mune (Maesil) is vital to the Gwangyang economy. This is because some 28 percent of the Prunus mune is produced in Gwangyang region and one-third of its farmhouses grow the Prunus mune. The Prunus mune products, therefore, approximately account for 20 percent of the agricultural income of this region. This paper, hence, aims at studying how to increase the demand for the Prunus mume products. The consumers, who might be called green consumers, tend to purchase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rather than usual ones. In this respect, we can say that the Prunus mune industry has a good opportunity for enlarging the market, since the Prunus mune begins to be recogn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The paper suggests that something should be done to increase the demand for the Prunus mune items produced in Gwangyang. The Prunus mune products must be differentiated as well as segmented according to the income and the ages of consumer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Prunus mune products as a product mix strategy. The local government should launch a policy for establishing food clusters and make an effort to induce R&D investment and develop new products. Those measures enable the small-sized firms to overcome the deterioration of the competitiveness and enjoy the economies of scale. The cluster-based policy framework is very efficient but should be complemented with infrastructure policies for the better policy-mix.

      • 매실생산관리와 모니터링

        서동민 ( Dong Min Seo ),정연근 ( Yeon Geun Jeong ),성용 ( Yong Sung ),박상범 ( Sang Bum Park ),김혁주 ( Hyuck 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매실의 학명 pruns mume Sieb. 으로써 영어로는 Japanese apricot, plum 라고 불린다. 국내 매실 생산량은 1980년대 900톤이 생산 될 정도로 미미했지만, 1990년부터 생산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7년에는 27,089톤까지 증가하였다. 매실에 가장 큰 피해는 복숭아씨살이좀벌에 의한 낙과피해로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지역의 매실과 살구, 그리고 중국산 복숭아종자에서 확인되었다. 복숭아씨살이좀벌의 적기의 방제 수확적기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최근의 급격한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방제적기 판단이 어려워 농가에서의 수확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복숭아씨살이좀벌은 유충이 매실의 핵 속에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성충을 대상으로 방제를 위해서는 매실의 생육단계별로 크기와 상태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나, 매실의 크기를 직접 측정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영상 모니터링을 통해서 데이터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우리는 매실의 크기를 3가지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순천의 두 포장을 선정하여 측정 하였으며, 그 중 하나는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매실의 폭과 길이를 직접측정하고 전자온도계를 통해서 포장의 온도와 습도를 직접 측정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법은 스마트폰으로 매실을 거리별로 사진을 찍어 기준이 되는 물체를 매실나무에 같이 매달아 기준으로 하고 거리 비를 계산하여 매실의 대략적인 크기를 측정하였다. 스마트카메라를 이용하여 매실을 암실에서 촬영하여 NIVISION 프로그램으로 이동시켜 매실의 X값과 Y값을 구하여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직접측정 한 결과 5월 한 달간 직접 측정 한 결과 매실의 크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였고 어느 정도에 이르자 성장이 더디어 졌다. 온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온은 올라가고 습도는 측정한 날에 따라 매일 변화하였다. 스마트 폰을 이용한 측정은 오차의 범위가 적어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정확도를 더 높이면 누구나 손쉽게 사용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카메라를 이용한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접근이 어려우나 매실의 정확한 크기를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다.

      • 복숭아씨살이좀벌 저감을 위한 낙과매실수집파쇄기 개발

        김복석 ( Bok Seok Kim ),양규원 ( Kyu-won Yang ),조은비 ( Eun Bee Cho ),유현아 ( Hyeon A Ryu ),유명선 ( Myung Seon Yu ),김혁주 ( Hyuck 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매실의 낙과 피해를 일으키는 복숭아씨살이좀벌은 땅에 떨어진 핵과류 속에서 유충상태로 월동하고, 노숙유충은 이듬해 봄에 번데기를 거쳐 성충으로 우화하며, 이 성충은 매실나무의 매실핵이 경화되기 전에 산란관을 통해 산란을 함으로서 매실이 낙과하여 그 피해가 상당하다. 이 피해를 줄이고자 낙과된 매실을 수집하여 파괴하는 기계를 개발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서 씨살이좀벌의 성충을 줄이고, 그 피해를 저감하고자 낙과매실수집파쇄기를 개발하였다. 연구 개발된 낙과매실수집파쇄기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충 구제약제를 살포하지 않은 유기농 매실을 생산하는 농가는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씨살이좀벌에 의한 낙과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매실 과수원에서 어린잡초 위에 낙과 매실을 수집한 결과 평균 수집률이 1차 69.2%와 2차 10.5% 내외를 수집할 수 있어서 개발된 수집파쇄기를 활용하면 씨살이좀벌의 기주를 퇴치하는 기계로 그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3. 수집파쇄기의 동력원으로 소형 2행정기관을 탑재하고, 일정한 기어 감속비에 의해 축출한 동력을 V 벨트풀리를 통해 감속하여 롤 파쇄기를 회전시켜 수집된 매실 핵을 파괴하는 실험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순천 매실의 물리적 특성 분석 및 씨 분리 요인 실험

        구현모 ( Hyunmo Koo ),양규원 ( Kyu-won Yang ),김광심 ( Gwang Shim Kim ),이정두 ( Jeong Du Lee ),공효주 ( Hyo Joo Kong ),조성윤 ( Seong Yoon Cho ),배영환 ( Yeong Hwan Bae ),최병민 ( Byoung-min Choi ),김혁주 ( Hyuck 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최근 매실(Prunus mume, Japanese apricot) 산업은 재배면적 및 생산량의 증가와 소비자 선호도 하락에 의해서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 직면해있어서 매실 가공산업 육성을 통하여 소비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효율적인 매실가공을 위해서는 우선 자동화된 매실씨 분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매실씨 분리시스템 개발의 첫 단계로 매실의 물리적, 기하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씨 분리 요인실험을 실시하였다. 옥영 품종에서 매실의 무게와 기하학적 크기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매실의 무게는 매실의 단경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원형 봉을 이용한 매실씨 분리 실험에서 봉 끝 부분이 오목한 것이 편평한 것보다 성능이 양호했다. 완숙한 매실의 씨분리에서 약해진 과육 경도 때문에 씨가 외과피를 관통하지 못하고 매실 내부에서 회전하는 현상도 발생하였으므로, 익은 매실의 씨 분리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매실 아래 부분의 외과피를 일부절개하여 씨 배출구를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매실씨 분리 봉에 칼날을 부착하여 씨 분리와 과육절단 작업을 동시에 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부외과피 관통, 하부외과피 관통 및 과육 절단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각각의 상태에서 필요한 힘은 4.93 ± 3.00, 14.28 ± 5.18 및 7.48 ± 1.56 kgf으로 측정되었다. 씨 분리 과정에서 봉 단면적과 내과피에 부착된 섬유질의 영향으로 과육손실이 발생하였다. 직경 8 mm의 봉으로 씨 분리를 실시한 경우, 씨 분리 전의 매실 무게와 씨 분리 후의 과육 무게 비율은 옥영, 청축 및 남고 품종에서 각각 65.4 ± 5.7, 66.4 ± 4.4 및 70.6 ± 5.4%이었다.

      • 매실 가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아찌의 품종 및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

        정보미 ( Bomi Jeong ),김기영 ( Giyoung Kim ),서영욱 ( Youngwook Seo ),김용훈 ( Yonghoon Kim ),박종률 ( Jongryul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매실은 유기산, 무기성분 및 항산화성분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피로회복, 항균활성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매실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매실은 주로 음료, 청, 주류 및 장아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하고 있다. 그 중 장아찌는 발효 숙성 과정 중 유익한 성분들이 생성되어 영양소를 보충해주는 밑반찬으로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매실 장아찌 제조 시 세척, 탈수 및 과육과 씨를 분리하는 시간과 비용 및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매실 가공 공정 기계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매실 절임가공 전과정 기계화에 앞서 매실 세척·탈수, 씨제거 및 과육절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매실 장아찌의 품종과 숙성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매실 장아찌를 30일, 90일 동안 숙성한 결과, 수분함량(36.29-39.41%, 36.59-38.36%)과 경도(1.78-7.23, 2.87-4.10 kgf/cm)는 옥영이 가장 높았으며, 당도(9.90-12.60, 9.90-11.30%Brix)의 경우 남고가 12.60%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90일 숙성 후 옥영이 11.30%로 가장 높은 당도를 보였다. pH(2.69-2.84, 2.78-2.83)는 남고가 2.84로 높게 나타났으나 90일 숙성 후 천매가 pH 2.83으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3가지 품종 모두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0.13-0.18 mg/g에서 0.15-0.21mg/g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는 모든 품종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총 유기산 함량은 숙성 기간이 30일에서 90일로 길어지는 동안 옥영(29.98, 28.79 mg/g)과 남고(30.62, 29.05 mg/g)에서 감소된 반면, 천매의 경우 29.55 mg/g에서 30.71 mg/g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80일 숙성한 매실 장아찌의 품질특성 연구로 이어갈 예정이며, 이후 과육과 부재료 계량 및 혼합 기계화 시스템의 품질측정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3D 영상을 활용한 매실 인식 및 크기 추정

        장은채(Eun-Chae Jang),박성진(Seong-Jin Park),박우준(Woo-Jun Park),배영환(Yeonghwan Bae),김혁주(Hyuck-J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매실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복숭아 씨살이좀벌의 방제 적기 안내를 위해 3D 영상을 활용한 매실 인식 및 크기 추정 프로그램을 통해 매실 크기를 예측하였다. 3차원 영상 측정이 가능한 Kinect 2.0 Camera 및 RealSense Depth Camera D415를 사용하여 야간 영상 촬영을 진행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토대로 MATLAB R2018a를 이용하여 영상 전처리, 크기 추정이 가능한 매실 추출, RGB 및 Depth 영상 정합 및 매실 크기 추정의 4단계로 구성된 매실 인식 및 추정 프로그램을 구현해 매실 성장 단계를 고려하여 2018년의 5개 영상 및 2019년의 5개의 영상을 분석하였다. 10개 영상에 대해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얻은 결과를 통해 매실 인식률의 평균 61.9%, 매실 인식 오류율 평균 0.5% 및 크기 측정 오차율 평균 3.6%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매실 인식 및 크기 추정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은 향후 정확한 열매 크기 모니터링 및 복숭아 씨살이좀벌의 적기 방제 시스템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한다. In this study, size of the fruit of Japanese apricot (plum) was estimated through a plum recognition and size estimation program using 3D images in order to control the Eurytoma maslovskii that causes the most damage to plum in a timely manner. In 2018, night shooting was carried out using a Kinect 2.0 Camera. For night shooting in 2019, a RealSense Depth Camera D415 was used. Based on the acquired images, a plum recognition and estimation program consisting of four stages of image preprocessing, sizeable plum extraction, RGB and depth image matching and plum size estimation was implemented using MATLAB R2018a. The results obtained by running the program on 10 images produced an average plum recognition error rate of 61.9%, an average plum recognition error rate of 0.5% and an average size measurement error rate of 3.6%.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se plum recognition and size estimation programs is expected to enable accurate fruit size monitoring in the future and the development of timely control systems for Eurytoma maslovskii.

      • Kinect 3D 영상을 활용한 매실 크기 분석 프로그램 개발

        장경 ( Gyeong Jang ),배영환 ( Yeong-hwan Bae ),홍기정 ( Ki-jeong Hong ),선우훈 ( Hoon Seonwoo ),김혁주 ( Hyuck-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매실에 있어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인 복숭아 씨살이좀벌의 출현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매실 크기측정을 통해 매실의 품질 저하 및 단위생산량의 손실을 줄이고자 영상 처리를 활용한 매실 크기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기존 연구에서의 선명한 매실 영상 획득의 어려움 및 알고리즘 여러 이미지에 적용 불가능 등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영상 처리에 필요한 선명한 매실 영상의 획득을 위해 Kinect 2.0 Camera를 MATLAB으로 구현하는 Kin2 Toolbox를 활용하여 Color, Infrared, Depth 영상을 동시에 모니터링하며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독자적인 MATLAB GUI 기반의 현장 촬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촬영을 실시하였다. 획득한 영상은 MATLAB를 이용한 영상 처리를 하여 매실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을 고안하였고, 이러한 알고리즘에 10개의 매실 영상을 적용한 결과 약 72.6%의 인식 성공율과 약 11.6%의 인식 오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ICT 융합 기반의 스마트 농업은 생산물의 품질 및 생산 효율 증대에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한국 농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기능성 매실 가공품의 구매의사 영향 요인 분석: 순천 매실 사례를 중심으로

        추성민,이상원,안동환,김혁주,김관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농촌경제 Vol.41 No.2

        본 연구는 기능성 매실 가공품에 대한 구매의사 및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 요인을 분석하며, 특히 매실의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정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상가치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지불카드방법 형태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매의사가 없다고 응답한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허들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두 번째 단계인 최대지불의사금액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구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의 매실 기능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기능성 매실 가공품에 대한 구매확률과 최대지불의사금액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매실 생과나 매실 가공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농가의 매실 가공품 구매확률이 더 높은 것을 통해 매실 관련 제품의 소비 간에는 상호보완적인 모습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acceptance and Willingness-to-Pay (WTP) for three functional products of plums. We chose the payment card survey to elicit consumers’ potential behaviors. We used the hurdle model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behavior of respondents who do not have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s. Moreover, we used an interval regression technique in the second stage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WTP.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awareness of the functions of plum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probability to purchase and WTP. Also, we found that consumption of plum products showed complementarity effects in the sense that past experience of purchasing plu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decisions to accept new plum products.

      • 매실 생산성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개발

        서동민 ( Dong Min Seo ),탄지나악터 ( Tangina Akhter ),이종호 ( Jong Ho Lee ),조성윤 ( Seong Yoon Cho ),김광심 ( Gwang Shim Kim ),박홍준 ( Hong Joon Park ),김혁주 ( Hyuck 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매실 생산성 향상 분석을 위해 범용 싱글보드 컴퓨터로 제작한 원격 데이터 수집 장치를 개발하였다.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소형 범용 싱글보드 컴퓨터는 저렴하게 IoT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장치를 쉽게 개발할 수 있어 중소규모 매실 농장의 생육 환경 정보 및 재배 이력을 수집하는데 활용도가 매우 높아 생산성 향상을 위한 데이터 수집 분야에서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매실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생육적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단계에서 이러한 소형 싱글보드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 센싱 및 데이터 수집 장치를 개발하였다. 수집데이터로는 주변 기온과 습도, 토양의 온도와 수분함량 및 pH이다. 1차 프로토타입은 아두이노 MKR1000을 사용하여 주변온도 및 습도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장치를 제작하고 대표적인 통신사인 KT가 운영하는 IoT Makers라는 클라우드 저장소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MKR1000을 사용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장단점을 평가하기 위해 실내 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재는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주변 기온과 습도, 토양의 온도와 수분함량 및 pH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장치를 제작하였다. 최종 개발된 데이터 수집 장치는 2017년 순천인근의 매실 밭에 설치되어 실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며 수집한 데이터는 매실 생산성 향상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데 사용할 것이다. 저가의 범용 IoT 장치를 활용한 원격 데이터 수집을 넓은 범위의 매실포장에 활용한다면, 매실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은 물론 매실의 이력추적관리의 기초 데이터를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매실의 방제적기 결정을 위한 생장 및 재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이정두 ( Jeong Du Lee ),김광심 ( Gwang Shim Kim ),공효주 ( Hyo Joo Kong ),조성윤 ( Seong Yoon Cho ),김혁주 ( Hyuck J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해 매실의 생장과 재배환경도 변화하고있다. 이런 재배환경 변화는 매실 재배력에 실시간으로 반영되지 않으며, 적절한 방제 적기 및 수확 적기를 알 수 없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매실의 생산성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매실의 성장과정과 재배환경을 모니터링하여 매실 생산의 이력관리를 전산으로 실시하고,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 전문가가 분석하여 방제, 수확적기를 결정해주는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전체 시스템은 매실 생장 및 재배환경 데이터를 취득하는 장치,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 전문가 및 소비자용 재배이력 확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매실 농장 내에서도 위치에 따라 환경 조건이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서 한개 이상의 모니터링용데이터 취득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며, 낙뢰와 야외환경을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센서의 측정 항목으로는 대기의 온습도, 토양의 온습도, pH, EC, 광합성 측정 센서로 구성하였다. 매실의 크기는 3D 카메라 촬영 후 영상처리를 통해 측정되며, 측정된 모든 데이터는 농장에 설치된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다, 저장되는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되어 전문가 및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재배환경 모니터링으로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조도를 측정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인 ThingPlus에 업로드 되어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