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대 총선에서 나타난 매니페스토 정책선거의 현실과 한계

        정회옥(Hoi Ok Jeong) 한국정당학회 2012 한국정당학회보 Vol.11 No.2

        본 연구는 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의 매니페스토 운동을 정당, 후보자, 유권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라는 주요 행위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당의 메니페스토에 있어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총선 정당 매니페스토에 소요예산과 재원조달방안이 제시되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그러나 정당의 매니페스토가 선거일 불과 3주 전에 제시되어 선거용으로 급조된 측면이 강하다는 것은 앞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후보자 매니페스토는 개발위주의 공약이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당의 공약 기조가 일자리, 복지, 경제 민주화였던 것과 비교했을 때 공약의 근본적인 기조가 크게 달라 19대 국회에서 얼마나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우려된다. 유권자 차원에서 매니페스토 운동을 살펴본 결과 매니페스토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해 알고 있는 유권자들은 매니페스토 운동을 통해 얻은 정보를 투표 선택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해 알고 있는 유권자들 중 절반은 매니페스토 운동이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덧붙여 역대 선거와 비교했을 때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한 인지도, 매니페스토 운동의 유용성, 매니페스토 운동의 선거 결과에서 영향력 등 모든 측면에 있어서 유권자들은 19대 총선의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해 과거 선거보다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관위의 매니페스토 활동에 대한 유권자 인지도는 대체로 낮았으나 선관위의 활동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유권자들 사이에서 선관위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y of policy-oriented elections based on manifestos in the 19th general election focusing on parties, candidates, voters, and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at were core actors. As for the party manifesto, the positive evaluation is possible in respect that the necessary budget and financing plan were presented to party manifesto in the general election for the first time ever in history. However, it showed the negative aspects that the party manifesto was presented only three weeks before the Election Day, and the manifesto was improvised for election by ignoring democratic procedures. When it comes to the candidate manifesto, there were quite a few development-oriented promises and they differ markedly from the key note of the party manifesto. A review of the manifesto movement at voter level reveals that the voters’ recognition about the manifesto is low, but voters who have known the manifesto movement actively apply data from the movement to their vote choice. Moreover, half of the voters who have known the manifesto movement answered that the movement did not affect the election results. Compared to previous elections, the voters evaluated negatively the manifesto movement of the 19th general election in all respects, including the recognition, usability, and influence over the election results of the manifesto movement. Finally, it showed that the voters’ recognition about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manifesto movement is generally low, however, the voters’ satisfaction about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ctivities is high.

      • KCI등재

        소셜미디어 매개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활성화 방안

        조희정(Hee Jung Cho) 한국정당학회 2012 한국정당학회보 Vol.11 No.2

        2006년부터 논의된 한국의 매니페스토는 선거문화, 후보자, 유권자의 지체 및 매니페스토 담론 자체의 정체적 ? 도덕적 관점 때문에 발전되지 못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매니페스토의 운동성을 강조하며 매니페스토 지체요인에 대한 구조와 행위자 측면에서의 비판과 외국 사례의 시사점 도출을 통해 선거문화발전의 조건, 매니페스토 개념 재정립, 매니페스토 생산의 민주화, 매니페스토 콘텐츠 개선, 과학적인 평가체계 마련이라는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참여ㆍ공유ㆍ개방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 신기술로서의 소셜미디어를 매니페스토 영역에 적용할 경우 매니페스토의 생산ㆍ홍보ㆍ평가모델이 구축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생산모델에서는 유권자를 위임에서 책임의 주체로 부각시킬 수 있고, 정보공개에 기반한 정보의 민주성 확립 및 정치자본의 네트워크 구축 등 민주적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매니페스토 홍보모델은 다차원적인 신기술을 활용하여 입소문과 관심이 형성하는 네트워크 홍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매니페스토 평가모델의 경우는 구현 정도에 대한 상시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하여 시민들과 원활한 소통 구조 확립하고, 책임성 높은 매니페스토 생산ㆍ교육ㆍ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매니페스토에 대한 평가는 추후 매니페스토 작성에 반영되며, 이과정에서 매니페스토 작성자와 평가자의 소통을 통한 정치참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셜매니페스토의 활성화를 통해 시민 중심성, 생산성, 지속성의 정치문화과정에서의 가치를 회복하여 기존의 결과중심적이고 문화외면적인 선거풍토를 개혁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민주주의적 시사점이다. Korean manifesto, which began to be discussed since 2006, has not advanced because of the underdevelopments of election culture, candidates, the electorate, and the perspective of polity and morality of manifesto discourse itself. Existing studies have emphasized the mobility of manifesto and suggested the conditions to develop election cultures,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manifes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process of producing manifesto, the improvement of manifesto cont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scientific estimation system, through critiques from the aspects of structure and actors on the delay factors, and lessons derived from foreign cas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oduction PR estimation model of manifesto could be established if social media, understood as a new technology inherent in the values of participation sharing openness. By the production model, it can bring the electorate into the fore not as the subject of delegation, but as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The manifesto PR model can effectively advertise networks that form word-of-mouth and interests by utilizing a multi-dimensional new technology. The manifesto estimation model aims to establish structures that can constantly estimate the degree of its realization, to build up smooth communication structures with citizens, and to produce/educate/estimate highly reliable manifesto. The estimation for manifesto is reflected in the next process of making manifesto, and it is expected in this process that the invigor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could be done through the communications between manifesto writers and estimators. Through the invigoration of social manifesto that would restore the values of the process of political culture such as the centrality of citizen, productivity, and durability, this study suggests, it could be possible to reform existing election environments, which are results-oriented and culture-disregarded.

      • KCI등재후보

        한국의 지방선거 매니페스토 분석

        류영아 대한지방자치학회 200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지방선거 매니페스토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안을 거버넌스 측면에서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행위자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틀을 구상하고 매니페스토 거버넌스가 구축되어 활성화되는 단계를 거버넌스 미구축기, 성립기, 활성기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매니페스토는 시민사회 중심의 시민운동 성향이 강하고 정당 또는 후보자는 매니페스토 작성에 소극적이며 유권자들이 매니페스토에 큰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선거 이후 매니페스토 실천을 위한 정당, 당선자, 지방자치단체 간의 상호작용이 없다는 점이 매니페스토가 발달한 국가들과의 차이점이다.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한국형 매니페스토’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매니페스토 거버넌스의 구성과 활동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유권자의 관심과 매니페스토에 기반한 투표 활동, 정당과 후보자의 적극적인 매니페스토 작성,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가 매니페스토를 실천하려는 노력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spected the present state and developed a strategy of Korean Local election Manifesto focused on Governance viewpoint. Actors, Interactions and Governance stages were major analysis factor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Korean Manifesto was a kind of citizens' campaign, few party and candidate was eager to draw up Manifesto, and eligible voters were indifferent to Manifesto. And, after election there was few interaction among party, successful candidate, and local government. In future, if the Manifesto Governance compose and get into action well,‘Korean Native Manifesto’which has our speciality will be developed. That is, eligible voters would vote for the Manifesto, party and candidates would draw up Manifesto eagerly, and local government and local assembly together would try hard to practice the Manifesto.

      • KCI등재

        일반논문 : 2010지방선거 매니페스토 평가와 과제

        이현출 ( Hyun Chool Lee ),가상준 ( Sang Joon Ka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地方行政硏究 Vol.25 No.4

        이 논문은 지방선거에 매니페스토가 도입된 후 두 번째로 치르는 2010년 6?2지방선거 에서의 매니페스토 평가사례를 분석하고 매니페스토 평가와 선거결과 간의 관계를 고찰하 는 데에 목적이 있다. 매니페스토 평가는 유권자에게 후보자 선택의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나아가 당선 후 이루어질 이행평가의 전제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정치학회 매니페스토연구회에서 실시한 6?2지방선거 매니페스토 평가과정과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매니페스토 이행평가와 대통령선거 및 총선을 앞 두고 매니페스토 정책선거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후보자들의 공약평가 결과 효율성, 실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합치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역에 있는 후보들의 평가가 다른 후보들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정당 별로 나누어 한나라당과 민주당 후보 간 공약 평가결과를 살 펴보면 실현가능성, 효율성, 비전에 있어서는 한나라당 후보들의 평가가 앞서지만 합치성 측면에서는 민주당 후보들의 평가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난다. 2010 지방선거는 정당간 매니페스토 아젠다가 성장과 복지로 양분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동안 한국의 선거에서 지역, 인물, 현직평가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였지만, 이처럼 정책을 둘러싼 팽팽한 대립 을 보인 경우는 많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방선거에서 매니페스토가 정당간의 차이를 뚜렷하게 보이는 것은 당초 매니페스토 도입 당시의 취지가 정책중심의 선거, 정당중심의 책임정치 구현이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매니페스토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 전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at introducing examples of election manifesto evaluation and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nifesto evaluation and electoral results in the 2010 Local Election. Manifesto evaluation has taken on importance because it provides an object standard in choosing a competent candidate and becomes the premise of fulfillment evaluation on campaign pledges after a candidate gets elected. Thus, we considered carefully the processes and the results of Manifesto evaluation done by the Manifesto Study Group in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Likewise, we tried to draw tasks required to vitalize policy-oriented election prior to the 2012 general election and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of evaluation on candidates` election pledges showed that in general feasibility and efficiency were comparatively Low while their congruency was high. Also, results exhibited that evaluation on incumbents` campaign pledges was much higher than challengers`. Comparing GNP candidates with DP candidates, we found that GNP candidates were better in terms of feasibility, efficiency, and vision; however, DP candidates were better in congruency. In the 2010 Local election, the government party was Likely to focus on economic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main opposition party was likely to place emphasis on social welfare. Before the 2010 Local election, region, political figures, and evaluation on incumbents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voting behavior. But, in the 2010 local election, tensions between political parties to have advantage over policy agenda setting had been mounted. The fact that Manifestos between the parti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is encouraged because the Manifesto Movement, adopted with the purpose of realizing policy-oriented election and responsible party politics, is developed in the desirable direction.

      •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지방선거 매니페스토 발전 방안

        류영아 한국미래행정학회 2014 한국미래행정학회보 Vol.3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지방선거 매니페스토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안을 거버 넌스 측면에서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행위자와 상호작용을 주요 분석요소로 선정하고 각 행위자들의 상호작용 과정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매니페스토는 시민사회 중심의 시민운동 성향이 강하고 정 당 또는 후보자는 매니페스토 작성에 소극적이며 유권자들이 매니페스토에 큰 관심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선거 이후 매니페스토 실천을 위한 정당, 당선 자, 지방자치단체 간의 상호작용이 없다는 점이 매니페스토가 발달한 국가들과의 차 이점이다.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한국형 매니페스토’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매니페스토 거 버넌스의 구성과 활동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정당과 후보자의 적 극적인 매니페스토 작성,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가 매니페스토를 실천하려는 노력, 유권자의 관심과 매니페스토에 기반한 투표 활동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spected the present state and developed a strategy of Korean Local Election Manifesto focused on Governance viewpoint. Actors and Interactions were major analysis factors in this study, and interaction process of acto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Korean Manifesto was a kind of citizens' campaign, few party and candidate was eager to draw up Manifesto, and eligible voters were indifferent to Manifesto. And, after election there was few interaction among party, successful candidate, and local government. In future, if the Manifesto Governance compose and get into action well, ‘Korean Native Manifesto’ which has our speciality will be developed. That is, party and candidates would draw up Manifesto eagerly, local government and local assembly together would try hard to practice the Manifesto, and eligible voters would vote for the Manifesto.

      • KCI등재

        지방선거에서 매니페스토운동의 발전 방안 연구

        차재권(Jaekwon Cha)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16 미래정치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먼저 매니페스토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매니페스토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매니페스토 선진국의 추진 경험과 우리나라의 매니페스토 운동 경험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매니페스토 운동이 어떤 문제점을 안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경험적 분석과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매니페스토 운동을 언론-시민사회 중심에서 정당-후보자 중심으로 옮겨가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개선과제들을 돌아보고 그 함의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언론과 선거관리기관 주도의 정책매니페스토에서 탈피하여 정당과 후보자가 중심이 되고 지역주민이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매니페스토 운동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매니페스토 운동의 추진을 위해 정책공약의 생애주기에 따른 새로운 형식의 매니페스토 참여를 제도화하는 한편으로 매니페스토 평가 결과의 객관성 확보와 선거 영향력 확대를 위한 공익적인 전담추진기구를 설립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Based upon a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and various perspectives of policy manifesto,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main problems of policy manifesto movement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some experiences of policy manifesto among Korea and some othe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Great Britain and Japan. Through such an empirical analysis and problem findings, it aims to find relevant solu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which can help policy manifesto movement to step forward from civil society centered to party-candidate centered system. It draws a conclusion that policy manifest needs to pursue a more systemic way in which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take a lead and thus local electorates become more positively engaged by making public media and electoral management agencies remain in a negative position. It also provides some policy necessity of institutionalizing new forms of policy manifesto engagement in accordance with a life cycle of policy manifesto for more effective commitment of policy manifesto movement as well as establishing a specialized and public-interest-oriented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management of policy manifesto movement in a national scale.

      • KCI등재

        비정부조직(NGO)의 선거참여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매니페스토 운동을 중심으로

        김영래(金永來)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4

          본 논문은 비정부조직(NGO)인 한국시민사회단체들이 선거 시 정치참여의 형태로 전개 하고 있는 매니페스토(Manifesto) 활동을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ㆍ연구한 논문이다. 매니페스토는 지방선거를 비롯하여 각종 선거 시 정당이나 후보자가 발표하는 공약이지만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이며 실현성이 있는 공약으로서 영국에서 1834년 시작되어 2003년 일본 선거에서, 그리고 한국에서는 2006년 5월31일 실시된 제4회 전국 동시 지방선거에서 한국 선거사상 처음으로 적용, 전개된 운동이다. 한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매니페스토 운동은 그 동안 시민운동 차원에서 제기된 네거티브 캠페인(negative campaign)인 낙천ㆍ낙선운동과는 달리 좋은 정책, 바른 정책 제시를 통하여 정책경쟁을 통한 선거를 치루기 위한 포지티브 캠페인(positive campaign)으로서, 지난 해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는 물론 후보자, 정당, 시민사회단체의 최대의 선거 화두가 되었다. 이런 매니페스토 운동은 지난 해 5ㆍ31 지방선거가 유권자의 표 쏠림 현상으로 인하여 기대하는 성과는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선거 후 여론 조사에 의하면 약 45%의 유권자 인지도를 나타내고 있어, 앞으로 있을 2007년 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영항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은 비록 정치체제는 다르기는 하지만 유사한 유교주의적 동앙정치문화권을 가진 한국과 일본에서 시민사회단체가 어떠한 형태로 매니페스토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또한 이에 의한 영향력은 어떠하였는가를 매니페스토 운동의 특성에 대한 비교ㆍ연구를 통하여 고찰한 것이다. 본 논문은 결론에서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매니페스토 운동은 각각 시민사회단체와 정치권에서 별도로 시작되었으며, 또한 시민사회와 정치체제의 상이성으로 그 영항력 행사 정도 역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럼에도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매니페스토 운동은 선거에서의 정책경쟁 선거문화 변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The article is to ai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anifesto movement which was campaigned during the election periods by civil society organiz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Korea, the manifesto movement, as one of contracts or platforms in election by candidates and political parties, introduced in Fourth Local Election, May 31st, 2006. On the hand, in Japan the manifesto movement started in Local Election, 2003.<BR>  Manifesto is more to be concentrated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with specific doing-plan, including timetable and budgets. Manifesto movement is one of positive election campaigns rather than negative election campaign by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Korea. The blacklist campaign by Korean NGOs as a negative campaign was introduced in 16th General Election, 2000.<BR>  The impact of manifesto movement in the local election is not to be effective because of citizen"s one-side voting behavior in Fourth Local Election in Korea. However, by the public opinion poll, many voters are to be recognized as one of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 in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ir vote in the elections.<BR>  In conclusion, the paper emphasiz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anifesto mov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are differentiated by their political traditions, political culture, citizen"s attitudes on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manifesto movement would be expanded its impact in the election, and would be changed the political culture regarding the election campaign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연구논문 :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한 평가 및 정착방안

        은종태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9 No.2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매니페스토(Manifesto)는 한국의 정치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매니페스토 운동이 출범한 지 9년이 지난 현재적 시점에서 한국의 매니페스토 운동은 점진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정착되지 못하고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거문화의 선진화 나아가 정치발전 및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하여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한 평가 및 정착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먼저 매니페스토의 이론적 고찰과 매니페스토 관련 선행연구 및 외국의 성공사례를 살펴 보았다. 이어서 2006년 매니페스토 도입 이후 지금까지 실시된 시기별·선거별로 매니페스토 운동의 성과와 비판적 견해 등 현실적 진단 및 평가를 고찰해 보았다. 본론에서는 향후 매니페스토 정책선거의 활성화 나아가 매니페스토 운동의 정착을 위한 효과적인 추진방안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매니페스토(Manifesto)와 시민운동

        이현출 한국NGO학회 2006 NGO연구 Vol.4 No.1

        5・31지방선거에서 매니페스토 도입은 헛공약이 아닌 목표・우선순위・ 절차・기한・재원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참공약을 제시하게 되었다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다. 구체화된 공약을 제시하게 됨으로써 향후 공약이행 과정과 결과에 대한 검증과 평가가 가능한 체제로 변화되었다는데 무엇보다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지방정치가 매니페스토 사이 클에 기초하여 주민이 주체가 되어 주민의 선호에 반응하고 책임을 물을수 있는 체제로 전환하게 되었다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지방선거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매니페스토 운동이 정책주 체로서의 시민 나아가 시민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고찰한다. 나아가 지방선거에서 매니페스토 운동이 갖는 의미와 시민운동으로서의 매니페스토 운동의 특징을 고찰한다. 다음으로 2003년 이후 일본의 경험과 2006년 5월의 한국의 실험을 분석하면서 매니페스토 운동이 갖는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과 논의를 기초로 시민운동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정책선거와 매니페스토 운동: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평가

        이 동 윤(Lee, Dong-Yoo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0 동서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전개된 매니페스토 운동의 주요 현황과 추진과정을 살펴보고, 정책선거를 위한 매니페스토 운동의 성과와 제반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정책공약의 공급자와 수요자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이번 지방선거에서 정책선거를 위한 매니페스토 운동은 역대 선거과정과 비교하여 점진적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많은 문제점들이 표출되었다. 우선 매니페스토의 공급자 차원에서 정당과 후보자들은 정당의 당내민주화는 불문하고 선거 시기에 즈음한 정당과 정치인들의 잦은 이합집산과 공천 지연이 정책공약 개발과 정책선거 자체를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매니페스토 운동에 직면한 정당 및 후보자들의 정책선거 의지와 태도도 더욱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정책공약을 접하는 수요자로서 유권자들 역시 매니페스토 운동에 대한 참여의식과 태도가 더욱 제고되어야 하며, 매니페스토 운동 자체의 기본 목표와 추진전략 등도 포괄적 차원에서 재정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책선거와 매니 페스토 운동은 그것의 구조적 제약이나 방법론적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직접 적으로 인식하고 실천하는 행위자, 즉 정당과 후보자, 유권자 자신의 인식과 태도가 중요하다는 점이며, 정책공약의 수요자와 공급자 차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교육이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sent state and process of manifesto movement in the 2010 local elections, and to examine its results, several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the dimensions of policy supplier and consumer. As a research result, in this elections, the manifesto movement for policy-centered election is developed very gradually in comparison with a series of recently elections, but also its many problems revealed. First of all, regardless of intra-democratization of political parties, changes in political party alignment and politicians position at the time of election were the core factor to obstruct policy development and policy-based election, and parties and candidates will and attitude for policy-centered election also need to be more improving. As a consumer of policy, voters and ordinary citizens also need to promote participative consciousness and attitude into the manifesto movement. The manifesto movement itself must be improving and realigning its present ways and strategies fitting into fundamental purpose. In conclusion, for the settlement of manifesto and policy-centered election, perception and attitude of actors, namely political parties, candidates, and voters who directly recognize and practice it, is important, not the structural limits and methodological problems. And also it needs continuous concern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dimension of policy supplier and consumer of electoral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