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츠쿄(大津京)의 비극, 텐치천황(天智天皇)과 아리마왕자(有間皇子)

        최광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학연구 Vol.57 No.-

        만요슈(萬葉集) 4500여수의 노래들 중에는 역사적인 사건을 배경으로 한 노래들이 많이 보인다. 만요슈에 있어 정치적으로 여러 가지 사건들이 일어났던 7세기 중반부터 후반에는 동아시아의 질서를 움직이게 하는 큰 사건들이 있었다. 그 중의 하나가 나당(羅唐) 연합군에 의한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멸망이었고, 일본도 나당 연합군의 침공을 우려해 도읍을 이곳저곳으로 옮기는 등, 역사에 기록 될 많은 일들이 있었다. 또한 645년에 일어났던 다이카개신(大化改新)에 의한 정계 개편은 일본정치사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그 중에 가장 중심에 섰던 인물이, 후에 텐치천황(天智天皇)이 된 나카노오에왕자(中大兄皇子)였다. 죠메이천황(舒明天皇)때부터 시작 된 만요슈의 노래는 여러 정치적 사건과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인 사건은 그대로 문학에 투영되어 만요슈의 노래로 남게 되었다. 고토쿠천황이 결국 654년 59세의 나이로 죽으며, 아들이었던 아리마왕자(有間皇子)의 비극이 시작된다. 나카노오에왕자와 아리마왕자 두 사람의 비극은, 결국 672년의 진신난(壬申亂)의 오토모왕자(大友皇子)의 자살로 끝을 맺는다. 나카노오에왕자는 후에 텐치천황으로 화려하게 즉위하지만 결국 아리마왕자를 죽인 텐치천황의 결말은, 아리마왕자(有間皇子)가 죽은 것처럼 텐치천황의 아들인 오토모왕자의 죽음으로 끝을 맺는다. 이러한 정치적 사건의 결말이 있었던 곳이 오츠쿄(大津京)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둘러싼 사건 속에, 만요슈에 아리마왕자와 관련된 노래와 텐치천황의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관련된 노래들을 개략적이나마 살펴보려 한다. 또한 그 중심이었던 오츠쿄의 역사적 의미가 어떠한지를 살펴보려 한다. Many of the 4,500 songs of Manyoshu show songs set in historical events. In the mid to late 7th century, when political events occurred in Manyoshu, there were big events that moved the order of East Asia. One of them was the fall of Baekje and Goguryeo by the Nadang allied forces, and Japan moved the capital from one place to another for fear of invasion by the Nadang allied forces. Also, the reformation of politics by the DaikanogaeShin, which occurred in 645, has caused a major change in the history of Japanese politic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was Prince Nakanooe, who later became Emperor Tenchi. The song of Manyoshu, which began during the reign of Emperor Jomei, is set in various political and historical events. This historical event was projected into literature and remained a song by Manyoshu. Emperor Kotoku eventually dies in 654 at the age of 59, and the tragedy of his son Prince Arima begins. The tragedy of the two princes, Prince Nakanooe and Prince Arima, ends with the suicide of Prince Otomo of Jinshinnonan in 672. The end of Tenchicheonwang, which later ascended to the throne splendidly to Tenchicheon, but eventually killed Prince Arima, ended up with the death of Prince Otomo, the son of Emperor Tenchi, just as Prince Arima died. It was in Otsukyo that the political scandal ended. This paper, in the midst of the events surrounding this historical background, tries to outline the songs related to Prince Arima in Manyoshu and to the death of Emperor Tenchic. We will also look 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enter, which wa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tsu.

      • KCI등재

        나라 · 야마토와 『만요슈』

        구정호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 硏究 Vol.0 No.38

        This dissertation is an argument between capital between the ancient Japan and Manyoshu from the presentation from Fall International Symposium of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in Chung Ang University. One of characteristics of Manyoshu is songs(Uta) have many names of region, especially from Nara and Yamato. The ancient Japanese changed their capital around Aska and Nara from the end of 7th to the beginning of AD 8th century. It met with the most important work of Termo. to build a new capital. Therefore, culture of the age was flourished in Nara and Yamato. The capital was settled down in Nara when Heijokyo was founded in AD 710. This dissertation examined transfer of the ancient Japan through the record of Nihonshoki Shoku-nihongi and Manyoshu.

      • KCI등재

        만엽편찬(萬葉編纂)에의 의도 ―오토모노야카모치(大伴家持)를 중심으로―

        최광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3 No.-

        야카모치(家持)는 많은 노래를 만요슈에 남겼고, 많은 족적을 남겼다. 만요슈란 거대한 문집을 편찬했고,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일들도 생겼다. 야카모치는 오토모가(大伴家)의 중심적인 인물이었고, 정신적 지주였다. 가문을 지키며 돌보아야하는 책임과 의무감에 생활하는 가문의 수장이었다. 이러한 정신적 고통을 여성을 통해 채우려 했을지도 모른다. 어머니를 일찍 잃고, 아버지마저 어린 시절에 잃었던 가족에 대한 그리움은 오토모 가문을 지켜야 한다는 강박 관념으로 자리 잡았을 것이다. 야카모치는 가문을 지키기 위해 도성에서의 생활 보다는 정치적 관심이 적은 외곽에서 생활했다. 그러나 이런 것이 결국 동족의 신뢰를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야카모치는 인간의 생은 무상한 것이라 했다. 아버지인 타비토의 노래와 같이 무상을 느꼈던 것이다. 인생의 무상함, 덧없음, 공허, 모든 것을 느낄 나이가 되었고 마지막으로 만요라는 돌파구에서 가집을 편찬해서 남기려 했던 것은 아닌가? 히토마로(人麻呂), 오쿠라(憶良)등과 같이 어깨를 나란히 할 선인들과의 같은 가집을 만들어 후세에 전하려 했던 것이다. 이와 함께 여성들과의 사랑을 통해서 여성들과의 흔적을 만요슈에 남기려 했던 것은 아닌지? 가문을 위하여 남기고 싶어 했던 노래들을 만요라는 가집을 통해 편찬한 것은 아닌지? 가문을 지키려고 최선을 다했던 야카모치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야카모치의 만요편찬 의도를 살펴 본 논문이다. Yakamochi made many songs in Mayoushu. There are many descriptions in Manyōshū and many things have happened in the process. Yakamochi was a central figure in the Ōtomo’ spiritual anchor. He was the head of the family responsible for the family. These mental anguish may have been used to satisfy women. The yearning for a mother who lost his mother early in his childhood and lost his father in childhood would be an obsession to preserve his mother’s family. Yakamochi lived outside the city with less political attention than his life in order to protect his family. However, this resulted in the loss of mutual trust. In the end, Yakamochi said that the human life was free. Like the songs of Tabito, he felt free. Is it the age of life, vanity, emptiness and everything you want to feel and lastly, you were trying to compile. He attempted to make the same fate by creating the same fate as the nobles of the relationship including those who had joined the shoulders of Hitomaro, and Okura. You can read the thoughts of Yakamochi, who tried to do his best to protect his family. This thesis is a treatise on the compilation of the Yakamochi diction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센만요슈(新撰万葉集)』에 있어서 계절 표현의 방법- 『만요슈(万葉集)』의 계승과 선구적 양식화 -

        박일호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8 No.-

        『고킨와카슈』 이후의 가집 편찬의 규범적 형식이 된 사계절 분류는 바로 『신센만요슈』에 의해 정제된 형식으로 시도되고 그 양식적 기초를 갖추게 되었다. 사계의 시간적・미적 경계를 의식하며 이에 근거하여 와카 분류와 배치를 명확히 하는 ‘문예적 계절 분류 방법’의 선구적 양식화는 『신센만요슈』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센만요슈』는 『만요슈』 이래의 전통적 계절어와 서경 표현을 이어받으면서, 이를 하나의 유형으로서 고정화하는 길을 열어 헤이안시대의 와카의 유형적 가어와 이지적 표현의 방법에 대한 선험적 길잡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수사법인 마쿠라코토바의 시학적 종언이면서 동시에 변화의 시발점이 된 가집이 『신센만요슈』이며, 언어의 중층성에 근거하는 가케코토바는 『신센만요슈』에서는 이미 중심적 수사법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고 있다. 물상과 심상 사이의 새로운 관계성을 발견하게 하며 그 이미지의 선명성을 강화하고 공감의 깊이를 더하는 미타테 또한 『신센만요슈』에 서는 가케코토바와 함께 중추적 수사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층적 수사법과 의인화를 통해 구상성과 실재성을 넘어서는 관념적 음영을 만들어 내는 관념화의 방향은 헤이안 시대 와카의 방법적 중심이 되는데, 그 선구적 위상을 가지는 가집이 『신센만요슈』라고 할 수 있다. Seasonal classification has been a standardized form in compiling a collection of poems since Kokinwakashu. Also, its refined style contributes to building the base of stylization, which is attempted by Sinsen Manyoshu. In other words, the leading stylization in the literary seasonal classification methods is made by Sinsen Manyoshu. It helps to clarify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Waka, based on time and aesthetic boundary of four seasons. Furthermore, Sinsen Manyoshu has inherited traditional seasonal and scenery expressions in describing the poems since Manyoshu and it has also served as a leading guide to how the similar lyrics and intelligent expressions were made in Heian period. Sinsen Manyoshu is the origin of the change as well as the poetic closure of traditional rhetoric, Makurakotoba and also Kakekotoba, based on the semantic duplicity of language, is standing as a central rhetoric in Sinsen Manyoshu. Mitate makes us find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mental imagery in the poem, going further to enhance the vivid imagery and deepen the empathic understanding. Thus, It is also being used as a crucial rhetoric along with Kakekotoba in Sinsen Manyoshu. For such a reason, the direction of ideation, which became a methodical center of Waka during Heian period, creates ideological shadowy image beyond concreteness and reality through the reduplicated rhetoric and personification. Therefore, Waka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a collection of poems. This is what we call Sinsen Manyoshu.

      • KCI등재

        기억장치로서의 단카 - 일본사회의 집단기억과 정체성 형성의 기제 -

        박지영 ( Park Jiyoung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5 No.-

        본 연구는 일본의 기억문화에서 단카가 어떤 역할을 하며, 또 그 형식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장르적 본질에 입각하여 탐구한 것이다. 먼저 그 연원인 『만요슈』가 근대 국가 성립기에 정전으로 규정된 이후 집단에 공유되는 ‘문화적 기억’을 담당해 왔다는 점을 확인했다. 『만요슈』에 의해 공유되고 전승되어온 기억은 각 시대의 필요에 따라 재구성되었지만, 변하지 않는 점은 고대 일본인의 삶을 전해주며 기원을 상기시키는 텍스트로서 일본인의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는 점이다. 그 모방으로서 ‘○○만요슈’의 이름으로 지속적으로 기획된 앤솔로지들은 각 시대의 삶을 단카로 집적하여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문화적 기억을 전달해온 『만요슈』의 외피를 입은 ‘기억 저장소’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들이 기억을 보관하고 전승하는 메커니즘은 단카 형식 자체가 지닌 압축성과 기록성, 근대 이후 사생을 창작원리로 삼아온 사실성, 기회시적 특성을 활용한 시사성, 일반인이 널리 참여하는 민중성을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 특히 같은 체험을 기록한 단카들이 집적되고 특정 컨텍스트 아래 배열될 때 중층적인 의미구성이 일어나며, 이러한 서사적 확장가능성을 통해 개인의 기억이 집단 기억으로 전입될 수 있다는 것을 구명했다. This study searches for what role Tanka in Japanese memory culture, and how its form works, based on the essence of the genre.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origin of Manyoshu has been in charge of the ‘cultural memory’ shared by the group since it was designated as a ceasefire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nation. The memories shared and handed down by Manyoshu have been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era, but the point that has not changed is that it has formed the identity of the Japanese as a text that conveys the life of ancient Japanese and reminds us of the origins. As an imitation, the continuously planned anthology was intended to convey the lives of each era by aggregating in a Tanka, it could be understood as a ‘memory store’ in Manyoshu, which has conveyed cultural memories. The mechanism by which they are stored and transmitted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ompressibility and recordability of the Tanka form itself, the factuality that has taken sketching as a creative principle since modern times, the suggestion taken advantage of opportunity poem characteristics, and the popularity with widespread participation by the public. In particular, when the Tanka recorded of such them is accumulated and arranged as a specific context, a multi-layered composition of meaning occurs, and through this narrative expandability, individual memories can be transferred in collective memory.

      • KCI등재
      • KCI등재

        W.G.애스턴의 일본고전문학에 대한 인식 -『일본문학사』를 중심으로-

        한경자 ( Han Kyoung-ja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7 No.-

        영국의 외교관이자 메이지 시대 일본학 3학자 중 한 명인 W. G. 애스턴은 1899년 영국에서 『일본문학사』를 출판하였다. 본 논문은 애스턴이 일본고전문학에 어떠한 평가를 하고 있는지 『일본문학사』를 통해 고찰한 것이다. 애스턴의 『일본문학사』에 대해서는 “애스턴의 『일본문학사』는 영어권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겐지모노가타리』야말로 '일본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이라는 평가를 만드는데 크게 기여했다.”(스즈키 사다미)라고 하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 그러나 애스턴은 편집인의 일본문학사 집필 의뢰 답변에 일본문학을 찬양하는 의견을 갖고 있지 않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애스턴의 『일본문학사』 중에서 주로 『만요슈』와 『겐지모노가타리』에 대한 애스턴의 견해를 검토했다. 애스턴은 항상 유럽 문학과 비교하면서 일본 문학을 평했다. 일본시가 전반에 대해서는 평가가 낮지만 『만요슈』는 작시의 규범을 따르며 세련된 언어를 구사하여 섬세하게 감정표현이 되어있어 그 후의 시가 보다는 우수하다고 보고 있었다. 『겐지모노가타리』에 대해서는 동시대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이야기 전개와 묘사, 일본어의 매력을 크게 끌어낸 탁월한 문장으로 구성됐다고 평한다. 다만, 스즈키 사다미의 말처럼 『만요슈』와 『겐지모노가타리』를 격찬하고 있었다는 점은 확인할 수 없었다. 애스턴의 『일본문학사』를 처음 번역한 시바노의 번역문과 스즈키의 번역문이 원문보다 긍정적인 뉘앙스를 담은 문장으로 되어 있는 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 결과 일본에서는 애스턴이 『겐지모노가타리』에 대해 절찬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W. G. Aston, a British diplomat and one of the three Japanese scholars of the Meiji period, published A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in England in 1899. This paper is a review of Aston's assessment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s for Aston's A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there is a positive assessment that "-Aston's A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has contributed greatly to making Genji Monogatari representative of "Japanese Literature." (Suzuki Sadami) Aston, however, made it clear that he did not have an opinion praising Japanese literature in response to the editor's request to write a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In this paper, Aston's views on Manyoshu and Genji Monogatari were examined mainly among Aston's A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ston always compared to European literature and commented on Japanese literature. Although Japanese poetry has a low overall evaluation, Manyoshu followed the norms of writing and spoke sophisticated language, which was delicately expressed in emotion, which was considered superior to that of the later poetry. Regarding Genji Monogatari, it is said that it consists of excellent sentences that greatly drew the charm of the Japanese and story developmen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the same era. However, as Suzuki Sadami said,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at Manyoshu and Genji Monogatari were highly praised. Shibano's first translation of Aston's A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nd Suzuki's translation seem to be attributed to a more positive nuance than the original, but the result is a widespread perception in Japan that Aston praised Genji Monogata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