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세기 르네상스와 장기 12세기 담론

        이희만 숭실사학회 2018 숭실사학 Vol.0 No.40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twelfth century renaissance and the long twelfth century are closely related,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the twelfth century renaissance, its main research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 twelfth century. The Renaissance of Twelfth Century by Charles Haskins contributed to dispelling the prejudice that the middle ages were dark and stagnant and brought a new understanding of the dynamism and the creativity of the culture of European society in the twelfth century. It was Haskins who established the twelfth century renaissance as a historical term and spread it widely. Haskins defined the twelfth century renaissance not as are revival of classicism from a narrow perspective, but as an intellectual-cultural movement from a broad perspective. He criticized Jacob Burckhardt’s view of renaissance which underlin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discontinuity between the Middle Ages and the Italian Renaissance. The Renaissance and Renewal in the Twelfth Century published in 1982 is also an important book because it showed not only the influence of classicism on architecture, arts, and law, but also the new approaches to the sources of the twelfth century renaissance like positive attitude to nature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owing to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against modernity, the research trends in the twelfth century renaissance changed greatly. Thus, there were changes in three major paradigms. First, there was an increase of interest in women and the social weak which had been neglected because of the interest in the public field such as state and institutions. Second, the interest in the mentalité of people of the middle ages increased. Third, the research of the vernacular renaissance grew. Recently, some historians tried to understand the twelfth century with the terms of the long twelfth century, similar to the longue durée. They understand the twelfth century chronically not from one century merely, but from two or three centuries, that is, considering a long process. They regard the history and culture of twelfth century as a set of cumulative and continuous growths which began in the eleventh century and lasted to the thirteenth century.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se historians is that they view the long twelfth century as the period of transformations. They also recognize significant changes in certain fields such as law, cities, knowledge, and religion as revolution. I consider the long twelfth century as an important case study on how to understand not only the twelfth renaissance and but also the high middle ages in terms of long term and structure. 본 글에서는 12세기 르네상스와 장기 12세기 담론 간에는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인식하에서 12세기 르네상스의 의미, 르네상스 연구의 주요 동향 및 근년에 등장한 장기 12세기 담론의 내용과 특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는 당시까지 지배적이었던 중세가 퇴행적이고, 암흑적인 시대였다는 인식을 불식하고, 12세기의 역사와 문화의 역동성과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져다주었을 뿐만 아니라, 12세기 르네상스라는 개념이 역사적 개념으로 자리 잡고 확산되는데도 크게 기여하였다. 해스킨스는 12세기 르네상스를 라틴 고전의 부활에 한정하지 않고 지적 문화적 운동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중세와 르네상스기의 역사적 문화적 단절을 전제하였던 부르크하르트류의 르네상스 개념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였다.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 간행 50주년을 기념하여 간행된 The Renaissance and Renewal in the Twelfth Century는 건축, 예술, 법률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고전주의의 영향, 12세기 르네상스의 주요 동력, 사회와 자연에 대한 낙관적 태도 등의 새로운 주제와 연구방법론 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저술이다. 한편 근대화 담론을 비판한 포스터모더니즘의 영향으로 12세기 르네상스 연구에서도 중요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었다. 국가, 제도 등의 공적 영역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가려져 있었던 여성, 사회적 약자 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었고, 중세인들의 심성에 대한 연구가 촉진되었으며, 속어 르네상스 연구에서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12세기 르네상스 내지 12세기를 근대적이고 단선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다원적이고 복선적으로 이해하려는 인식이 증가하게 되었다. 근년에 들어와서 르네상스가 일어난 12세기를 단지 한 세기가 아니라 아날학파의 장기 지속을 활용하여 12세기 이전 세기와 12세기 이후 세기에 걸친 장구한 역사적 사회적 과정의 산물로 이해하고자 하는 장기 12세기 담론이 대두하였다. 장기 12세기의 한 가지 특징은 이 같은 일련의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변화를 변혁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특정 영역들에서의 변화를 혁명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이다. 법률 혁명, 도시 혁명, 지적 혁명, 종교 혁명 등이 그것이다. 또한 12세기 담론을 활용하고 있는 학자는 유럽의 변방 내지 경계 지역으로 있던 북유럽과 중유럽이 유럽으로 통합함으로써 유럽의 경계를 확장하고, 그리스도교의 수용 등을 포함한 문화적 통합에도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기 12세기는 12세기 르네상스는 물론 중세 성기를 장기적 구조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연구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할렘 르네상스와 시카고 르네상스의 문학적 연속성

        이영철(Young Cheol Lee)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3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9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literary continuity of the Harlem Renaissance and Chicago Renaissance. In “Blueprint for Negro Writing,” a special issue of New Challenge magazine, Richard Wright declares the beginnings of a new black literary movement called the Chicago Renaissance In the essay, Wright insists that the Chicago Renaissance writers challenge black writers to fuse Marxist principles with black vernacular expression, but warns against creating a ‘simple literary realism’ that depicts black life as ‘devoid of wider social connotations or the revolutionary significance of black nationalist tendencies.’ His declaration means that the Chicago Renaissance writers should put their focus on the black masses more radically than their elder did. However, it does not say that the Chicago Renaissance writers should reject a legacy of the Harlem Renaissance. The Chicago Renaissance shares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Harlem Renaissance. Both renaissance writers emphasize heavily the racial themes, and elaborate upon the popular elements of the black folk. In Native Son, Wright’s critical perspective on whites’ racial oppression is the same as McKay’s and Hughes’s critical perspectives in Banzo, “Poor Little Black Boy” and “Slave on the Block.” And Chicago is also not the earliest nexus of Marxist literary influence. African American Marxist tradition originates in the Harlem Renaissance. Wright does not recognize the cultural and political activism of Harlem Renaissance writers such as McKay and Hughes. The Harlem Renaissance elders begin to cultivate an African Marxist cosmopolitanism that merges black aesthetic and cultural traditions with the Marxist perspective of proletarian art. Considering these facts, Wright’s declaration reflects African Americans’ reality of segregated life, poverty, and racism aggravated by the Great Depression of the 1930s, rather than the Harlem Renaissance writers’ aesthetic and cultural traditions.

      • 문예부흥 운동과 종교개혁 운동

        이양호(Yang ho Lee) 혜암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교회 Vol.5 No.-

        과거에는 계몽주의자들의 영향에 의해 서양의 역사를 고대 문명 시대, 중세 암흑시대, 근대 문명회복 시대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역사관에서 르네상스는 고대 문명을 회복한 것이거나, 아니면 근대 문명을 선취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종교개혁은 중세 시대로 되돌아 간 것으로 평가되고, 그래서 르네상스에서 시작한 근대 문화를 지연시킨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소위 “중세주의자들의 반란”에 의해 중세가 결코 암흑시대가 아닌 것이 드러나면서 계몽주의자들의 역사 해석이 도전을 받게 되었다. 중세주의자들은 “12세기의 르네상스”, “중세의 인문주의”라는 말을 즐겨 사용하였다. 이제 역사가들은 중세를 암흑시대로 폄하하지 않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르네상스의 독특성이 부인되는 것도 아니다. 중세가 그나름으로 활력의 시대였다면, 르네상스도 그 나름의 특성이 있는 시대였다. 샌포드가 주장한 것처럼 르네상스는 세속주의, 개인주의, 기존 권위에 대한 도전이라는 점에서 중세와 구별되는 독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관계에 대해 이 둘은 상반된다는 주장도 있고, 종교개혁은 르네상스의 신학적 성취라는 주장도 있다. 종교개혁자들은 분명히 르네상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영향에 의해 중세 교회를 비판하고 교회 개혁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종교개혁자들은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을 전적으로 따른 것은 아니었다. 종교개혁자들은 인문주의자들의 세속성을 비판하고 신앙적 경건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중세 시대가 교권이 지배하는 타율적 시대였고, 르네상스 시대가 자율을 강조하는 자율의 시대였다면, 종교개혁은 보편적인 하나님의 뜻을 강조하는 신율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ast, by the influence of the Enlightenment, the western history was interpreted as consisting of the period of the ancient civilization, the medieval dark age, and the modern restoration of the civilization. In this perspective, Renaissance was considered as the revival of the ancient culture or the forerunner of the modern culture. And the Reformation was regarded as returning to the medieval age, and the suspension of the modern culture which began with the Renaissance.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Enlightenment of the medieval age was challenged by “the revolt of the medievalists.” The medievalists used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or “the medieval humanism.” Nowadays the historians do not think the medieval period as the dark age. The historians, however, do not deny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naissance. According to Eva Matthews Sanford, secularism, individualism, and criticism of the established authority are much stressed a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Renaissance. Some scholars argued that the Reformation was basically at odds with the Renaissance, and others insisted that the Reformation was the “theological fulfillment of the Renaissance.” The Reformers were influenced by the Renaissance, and they criticized the church and tried to reform the church on the basis of the works of the humanists. The Reformers, however, did not entirely follow the humanists of the Renaissance. They criticized the secularism of the humanists. In short, the medieval age was the period of “heteronomy,” the Renaissance was the period of “autonomy,” and the Reformers emphasized the culture of “theonomy.”

      • KCI등재

        C. H.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에 대한 사학사적 검토

        박민아(Park Min A)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20세기 초 미국의 혁신주의가 현저히 모습을 드러내고 그 중심에는 윌슨주의가 팽배해 있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해스킨스는 현실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역사가였다. 1927년에 출간된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는 미국이 강대국으로 성장해나가는 전환기적 시대 흐름 속에서 요구되었던 강력한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결과물이었다. 해스킨스가 『12세기 르네상스』에서 강조하였던 지식인들의 대두, 관료제와 중앙집권화의 시작, 대학의 형성은 오늘날 근대국가가 탄생하게 된 지적 배경이 되었다. 해스킨스는 12세기 유럽의 지적 혁명과 제도적 변화들을 20세기 미국의 강력한 국가 만들기를 위한 발전 모델로 인식했던 것이다. 『12세기 르네상스』로 대변되는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중세에 대한 근대적 의제를 고취시킴으로써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중세의 근대성을 강조했던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미국 중세사 분야에서 중세주의적 해석의 전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 중세사가 학문으로서 저변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중세사 연구의 초석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해스킨스가 '12세기 르네상스론'을 주장한 배경은 중앙집권적 국가 모델이 되었던 12세기 유럽에서 20세기 미국의 역사적 교훈을 얻고자한데 있었다. 말하자면 해스킨스의 '12세기 르네상스론'은 중세가 없는 젊은 국가 미국의 역사적 기원을 12세기 중세 유럽의 역사를 통해 이어받고자 했던 것으로 목적론적ㆍ현재주의적 역사관이 반영된 해석이었다. During that period of pervasive Progressivism and Wilsonism in America, Haskins was a historian who participated actively in realistic politics. Haskins argued against Jacob Burckhardt' assertion that the Italian Renaissance started in the 14th and 15th century by insisting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While America was growing as 'the Great Powers',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which was published in 1927, was the product of a powerful political ideology. Haskins acknowledged that an intellectual revolu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were essential for the 12th century of Europe development model to make 20th century America the Great Powers. According to Haskins, the birth of a modern state on those times was based upon intellectual backgrounds, such as the appearance of intellectuals, the beginning of bureaucracy and centralization, the formation of the university which Haskins emphasized in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The theory of the 12th-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to stress the modernity of the Middle Ages is recognized as the archetype of the interpretation of Medievalism. During that period Haskins expanded the base of learning into Western Medieval History through it, his theory also laid the foundation of studies of Medieval History.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is full of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y inspiring the agenda of modernity. But the background to claim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is to learn a historical lesson by taking up 12th Europe as the model of a centralized state. Again, Haskins hoped America, which was absent the Middle Ages, to succeed the 12th century history of Europe. That is to say, 'the theory of the 12th century Renaissance' of Haskins is reflected in his teleological-realistic historical view.

      • KCI등재후보

        고대인들의 발자취를 따라서: 르네상스 휴머니즘과 휴머니스트 세계관

        임병철 청람사학회 2020 靑藍史學 Vol.32 No.-

        일반적으로 휴머니즘은 르네상스를 이끈 지적 원동력이자 통합 인자로 간주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르네상스 휴머니즘의 성격이나 의미 그리고 역사적 가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해석들이 난무하고 있다. 이것은 휴머니즘 자체가 어떤 고정된 이념이라기보다 서양의 지적 전통 속에서 변화해 온 역사적 개념이라는 점과, 20세기 르네상스 학계를 주도했던 대표적인 지성사가 가렝과 크리스텔러가 뚜렷이 상반된 입장에서 르네상스 휴머니즘에 대해 해석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사학사적 맥락을 살펴보면서, 소위 가렝과 크리스텔러 등이 대변하는 거인들의 시대가 막을 내린 후 최근 서양의 르네상스학계에서 개진되고 있는 휴머니즘에 대한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그럼으로써 르네상스 휴머니즘이 라틴어를 기초로 고전지식에 헌신했던 지적 태도였고,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통해 인간의 도덕성을 회복하고 위기에 처한 문명을 개선하려 했던 일종의 문화이자 삶의 철학이었다는 점을 해명한다. Humanism has been long considered an intellectual driving force of the Renaissance and its unifying factor as well. Nonetheless, the precise natures of humanism, so to speak its definition, meaning and historical significance etc., have been the sources of huge disagreement among Renaissance scholars. Such an academic confusion concerning how to interpret Renaissance humanism comes from the facts that humanism itself is a historical concept which has been repeatedly transformed in the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and that Eugenio Garin and Paul O. Kristeller, two most conspicuous leading Renaissance intellectual historians of the 20th century, had interpreted the meaning and role of Renaissance humanism from the different or even opposing standpoints. Keeping in mind this historiographical context, the present study critically surveys some scholarly works on Renaissance humanism which has appeared after the so-called ‘age of giants.’ In doing so, this paper argues that Renaissance humanism means an intellectual attitude or practice committed to the classics based on the Latin language, and ultimately elucidates that it was a form of culture or a philosophy as a way of life aiming at man’s moral improvement and restoration of the contemporary civilization in crisis.

      • KCI등재후보

        르네상스, 짜여진 신화에서 파편화된 역사로

        임병철(Lim, Byung-chul) 한국사학사학회 200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1

        Ever since Jacob Burckhardt's pioneering work, the Civilization of the Italian Renaissance, for Renaissance students and the Western people as well the Renaissance has been a myth and fantasy. Indeed, it has been interpreted as a major turning point in European history, so to speak, an age of grand cultural achievements and of flowering individuality. Above all, it has been firmly believed that, as a foundation of our own culture, the Renaissance inaugurated modernity. By critically scrutinizing such traditional notions of the Renaissance, this study surveys how and in what epistemological grounds Renaissance scholarship in the twentieth century has metamorphosed itself, and examines how it will go in the future. In so doing, ultimately, this study aims at rescuing the Renaissance from the realm of myth, by which the Renaissance has been perfunctorily considered a cradle of modern civilization, to that of history in which otherness of Renaissance world can be historically sensed. This study begins with describing contours in that current Renaissancescholarship can emerge. In particular, it argues that social, cultural and women's history and postmodernism.oriented New historicism have had great impact upon correcting the traditional views of the Renaissance. Based upon what they have argued and found both thematically and methodologically, it summarizes the curr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naissance scholarship as an expansion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an increase in micro. historical approaches and accompanying revival of narrative in historical writings. Furthermore, it maintains that, under the influence of them, the old image of the Renaissance as a unified and rejuvenating epoch is now changed into the fragmented portrait of distant, other world. Consequently, pursuit of historicity rather than modernity has occupied current Renaissance historians' major concerns, and, in the process of this gradual change, our understanding of the Renaissance will be more broadened and fragmented in its richness in the arena not of myth but of history.

      • KCI등재

        르네상스와 프랑스 소네트의 탄생

        원종익 ( Won Jong-ik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0 No.-

        프랑스의 소네트는 16세기 르네상스 시대 태동하여 당시 가장 유행하는 시 장르로 자리잡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프랑스 소네트가 이탈리아에서 넘어와서 프랑스의 시 장르로 확립되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관심을 두는 것은 이러한 과정을 단순히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이 과정이 프랑스 르네상스 정신과 어떻게 호응하는지 밝히는 데 있다. 중세의 여러 문학 장르들이 노래와 낭독에 우선권을 부여한다면, 르네상스 시대의 소네트는 진지하게 읽을 것을 요구한다. 다른 장르에서 보기 힘든 정형화된 형태, 그리고 글자 배치에 있어서도 시각적인 몰입을 요구하는 소네트는 독자로 하여금 글자 속에 자신을 묻고 자신을 찾게 만든다. 이미 페트라르카는 소네트를 통하여 자아의 감정을 마음껏 발현하고 스스로 인문주의자임을 인정하였다. 이탈리아의 소네트가 프랑스로 건너와서 꽃을 피운 것은 이미 프랑스에도 자아의식의 발현이라는 근대화가 시작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뒤집어 말하자면, 르네상스라는 새로운 물결은 소네트가 프랑스에서도 가장 활발하게 용틀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 것이며, 이는 결국 소네트는 르네상스의 정신과 호응하는 근대적 장르임을 되새김하는 말로 귀결된다. 이러한 소네트의 르네상스 정신은 프랑스에 와서 더욱 증폭되고, 프랑스적인 것으로 다시 탄생한다. 소네트의 일반적인 르네상스 성격에 덧붙여, 프랑스 소네트는 프랑스 르네상스 정신, 특히 플레이아드의 모방을 통한 시적 창조에 정확하게 호응한다. 플레이아드의 대표주자들이 소네트에 몰두한 것은, 바로 소네트가 그들의 프랑스어 시작법에 너무도 유연하고 나긋하게 반응하였기 때문이다. 시인들은 소네트를 통하여 ‘프랑스어의 옹호와 현양’을 추구하는 애국적 글쓰기를 시도하였고, 프랑스의 시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새로운 시 세계의 문을 열어젖힌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y whom the sonnet, which started in Italy and moved to France, becomes the sonnet of France. However, what this study ultimately pays attention to is not only to track the process of Sonnet’s introduction to France, but also to reveal how this process responds to the French Renaissance spirit. Oppenheimer argues that modern thinking and modern literature accompany the birth of Sonnet. Now, poetry aims not for music, action, or performance, but for silent reading. If various medieval literary genres give priority to singing and reading, Sonnet calls for serious reading. Sonnet, which requires visual immersion in formal forms and text arrangement that are difficult to see in other genres, makes the reader bury himself in the text and find himself. Petrarca has already fully expressed his ego’s feelings through the sonnet and admitted that he is a humanist. The Italian sonnets came to France and blossomed, which means that the modernization of the self-consciousness is already beginning in France. In other words, the new wave of the Renaissance has created the atmosphere in which sonnet can be most actively used in France, which in turn results in a reminder that sonnet is a modern genre that responds to the spirit of the Renaissance. This sonnet’s Renaissance spirit is amplified in France and reborn as a French one. In addition to sonnet’s general Renaissance character, the French sonnet accurately responds to the French Renaissance spirit, especially ‘the poetic creation through imitation’ of Pleiade. Poets attempted to write patriotic writings in pursuit of ‘the advocacy and development of French’ through sonnets, and French poetry establishes its own identity and opens the door to a new world of poetry.

      • KCI등재후보

        역사적 관점에서 본 이탈리아 르네상스

        김차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5 No.1

        Understanding of scholars about Renaissance has some differences from the Age of Enlightenment to the Contemporary Period. Jacob Burckhardt was the great discoverer of the age of the Renaissance and the first master of cultural history. About half of the original edition was devoted to the art of the Renaissance. He defined the Renaissance as the period between Giotto and Michelangelo in Italy, that is, the 14th to mid-16th centuries. He saw in the Renaissance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pirit of individuality, which the Middle Ages had stifled. Johan Huizinga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the Renaissance but questioned whether it was a positive change. In his book The Waning of the Middle Ages, he argued that the Renaissance was a period of decline from the High Middle Ages, destroying much that was important. Medieval scholars of the early 20th century asserted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influenced the Italian Renaissance of the 15th century. But after the mid 20th century some of renaissance scholars refused this opinion. Many historians now prefer to use the term “Early Modern” for the period of the Renaissance, a more neutral designation that highlights the period as a transitional one between the Middle Ages and the modern era. More recently, some historians have been much less keen to define the Renaissance as a historical age, or even as a coherent cultural movement. I assert that the Italian Renaissance of the 15th century was a cultural movement.

      • KCI등재

        피렌체 르네상스와 메디치가 도서관 연구

        윤희윤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3

        Florence is the cradle of the Italian Renaissance. It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medieval humanists’ exploration of ancient Greek and Roman knowledge and culture, the leadership of great monarchs and priests, patronage of the Medici family, etc., free-thinking and creativity of artists, and critic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needs of citizens. However, the Florentine Renaissance could not have blossomed unless the Medici family had collected ancient manuscripts and translations, and built libraries to preserve and provide literature. Based on this logical basis, this study outlined the Florentine renaissance and historic libraries, analyzed the collection and composition of favorite books of the Medici family, and trac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metaphors of the Medici libraries, The San Marco Library (Michelozzo Library), Library of Badia Fiesolana, and the San Lorenzo Library (Laurentian Library) were the priming and birthplace of the Florentine Renaissance despite of many difficulties, including earthquake, fire, restoration, transfer, seizure, and closure. In particular, the San Marco Library, which was opened in 1444 based on the financial support of Cosimo de’ Medici, Michelozzo’s design, and Niccoli’s private collections was the first common library in the Renaissance period. And the architectural highlight of the Laurentian Library, which opened in 1571 under the leadership of Giulio (Papa Clemente Ⅶ), is Michelangelo’s staircase, which symbolizes ‘from ignorance to wisdom’, and the real value of the content is the ancient manuscripts and early printed books, which were collected by the humanist Niccoli and the Medici family. In short, when discussing the Florentine Renaissance, Medici’s collection and historic libraries are very important points. The reason is that the ancient collections were not stuffed products, but syntactic semiotics, and the libraries are telescopes that view the history of human knowledge and culture and microscopes that create knowledge and wisdom. If records dominate memories, libraries accumulate records. Therefore, long breathing and time capsule strategies are also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retroactive books in domestic libraries with a relatively long history. 피렌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요람이다. 그것은 중세 인문주의자들의 고대 그리스․로마의 지식문화 탐구, 위대한 군주와 성직자의 문예적 소양과 리더십, 메디치 가문 등의 문화예술 후원, 예술가의 자유분방한 사유와 창의성, 시민의 비판적 의식과 문화적 욕구 등이 조합된 결과다. 그러나 메디치 가문이 고대 필사본과 중세 번역본을 수집하지 않았다면, 도서관을 건립하여 고전을 보존하고 제공하지 않았으면, 피렌체 르네상스는 개화할 수 없었다. 이러한 논거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피렌체 르네상스와 역사도서관을 개관한 다음에 메디치가의 고전자료 수집․구성을 분석하고, 메디치 도서관의 건축적 특징과 메타포를 추적하였다. 산 마르코 도서관(미켈로초 도서관), 바디아 피에졸라 도서관, 산 로렌츠 도서관(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은 지진, 화재, 복원, 이관, 압수, 폐쇄 등 무수한 난관에도 불구하고 피렌체 르네상스의 마중물이자 산실이었다. 특히 코시모․로렌초의 재정 지원, 미켈로초 설계, 니콜리 개인장서를 기반으로 1444년 개관한 산 마르코 도서관은 르네상스 시대의 최초 공용도서관이었다. 그리고 줄리오 주도 하에 1571년 개관한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의 건축적 백미는 ‘무지에서 지혜로’를 상징하는 미켈란젤로 계단이고, 내용적 진가는 인문주의자 니콜리와 메디치가가 수집한 고대 필사본과 초기 인쇄본이다. 요컨대 피렌체 르네상스를 논할 때 메디치가 장서와 역사도서관은 매우 중시해야 할 포인트다. 고전은 구시대 박제품이 아니라 통시적 기호학이며, 도서관은 인류 지식문화사를 조감하는 망원경이자 지식과 지혜를 창출하는 현미경이기 때문이다.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면 도서관은 기록을 집적한다. 따라서 비교적 역사가 오래된 국내 도서관의 소급장서 개발과 보존에도 긴 호흡과 타임캡슐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16-17세기 이탈리아와 프랑스 정원과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

        황주영 미술사학연구회 2011 美術史學報 Vol.- No.36

        This paper explores the influences of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on the garden art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Italy and France. This work of literature, whose interest ranges from architecture, ancient ruins, fauna and flora to gardens, was then highly accepted by the elite humanist classes. And this reflects the zeitgeist of the Renaissance age of rediscovery of classics. Garden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is book reflect the new vision on nature of that time, and they influenced in garden makings since then. Motifs, narrative, and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and its reflection in the gardens are studied. In the survey of motifs, ‘silva obscura’ in the beginning of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and ‘bosco’ of the Renaissance garden is reviewed in terms of relation and meaning. Various usage and symbolic meaning of water, significant influence of ancient ruins and sculpture on the iconography of garden elements in the Renaissance period can be found. It is noteworthy that the Island of Cythera, where Venus resides,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and described as an ideal garden. Garden makers of the Italian Renaissance, who were seeking new inspiration, welcomed abundant motifs described in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and concerned outward forms rather than iconographic context. Narrative, which covers the pursuit of love of Poliphilo, itself defines the spatial aspects of the gardens. Gardens, which deals ‘the pilgrimage of love’ or ‘tomb of Adonis’ was made in the late 16th century France, for example. Entire structure of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shows the juxtaposition of locus horribilis and locus amoenus, and this influence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enaissance garden in general as well as in detail. Furthermore, the description of rigid proportion and its geometric structure of each space reflects the vision of ideal place of the Renaissance period. Gardens mirror the vision and knowledge on nature of a period, and gardens in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inspire and build a literal foundation of a new ideal garden. Vision on nature, passion for classical architecture, as well as the creation of a new style based on it are summed up in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Various landscapes and ideal garden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Hypnerotomachia Poliphili made great contributions in the history of gardens. 본 연구는 르네상스 시기에 제작된 문학 작품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가 16세기와 17세기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정원 조영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는 건축부터 고대 유적, 동식물학, 정원 등 당대의 지식을 총망라하여 교양과 고전문화에 대한 소양을 갖춘 엘리트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이는 고대를 재발견하고 이를 새롭게 한다는 르네상스의 시대정신을 반영한다. 아울러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작품 속에 묘사된 정원과 삽화는 이후 실제의 정원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소설의 줄거리에 따라 이를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모티브가 실제 정원의 나타난 경우, 소설의 내러티브 자체가 정원 공간의 의미를 규정하는 경우, 공간의 전개와 구상에 반영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에 나타난 모티브가 실제 정원 조성에 나타난 경우에서는 우선 소설의 도입부의 ‘어두운 숲’의 모티브와 르네상스 정원의 총림의 관계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어 르네상스 정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 물의 양상과 상징, 고대 유적과 다양한 조각물이 르네상스 정원의 중요한 요소인 각종 조형물과 건축물의 도상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보았다.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에서는 사랑의 여신 비너스의 섬인 키테라가 처음으로 문헌상에 등장했고, 가장 이상적인 정원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여기에 나타난 풍부한 모티브는 새로운 영감을 찾던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에 적합했고, 작품 내의 도상적 의미보다는 형태가 더 중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필로가 사랑하는 님프 폴리아를 찾아다니는 사랑의 여정을 다룬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의 내러티브 자체가 정원 공간을 규정하기도 하여, ‘사랑의 순례’나 ‘아도니스의 무덤’을 주제로 한 정원이 16세기 말 프랑스에서 조성되기도 한다.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의 전체 구조는 무서움의 장소와 즐거움의 장소가 교차되어 나타나는 구성을 보이는데, 이는 르네상스 정원의 전체와 세부 공간 구성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각 공간의 엄격한 비례와 기하학적 구성 묘사에는 르네상스적 이상공간관이 반영되어 있다. 정원은 자연에 대한 당대의 지식이 총망라된 곳이고, 르네상스 이래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에 묘사된 정원은 새로운 정원에 영감을 주었을 뿐 아니라 이상적 정원의 문헌적 전거를 마련하였다. 당대인들의 자연에 대한 태도와 고대 건축에 대한 열정, 그리고 이에 기초한 새로운 양식의 창조는 『힙네로토마키아 폴리필리』에 집약적으로 나타났고, 여기에 묘사된 다양한 경관과 이상적인 정원을 묘사한 텍스트와 삽화는 새로운 감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