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 풍텐의 우화, 열린 독서를 위하여 - 교훈의 위치를 중심으로 -

        원종익 ( Won Jong Ik )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12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15 No.-

        Selon La Fontaine, la moralité est l'âme de la fable, sans cela toute fable est un oeuvre imparfait. La fable traditionnelle a pour but d'instruire les hommes pour la conduite de la vie. Pour faire ressortir une vérité ou une leçon. les fabulistes comme Ésope donnent une place privilégiée à la moralité et alors la fable est composée de trois parties : titre, histoire et moralité. Cette structure de la fable ressemble à l'emblème qui était en vogue du XVIe au XVIIe siècle. Pour le P. Ménestrier, un emblème bien constitué comporte normalement trois parties : le mot (qui correspond au titre de la fable) la peinture (qui correspond à l'histoire de la fable), les vers (qui correspond à la moralité de la fable). Pour mieux se faire entendre, Ménestrier transforme des fables de La Fontaine en emblème. En générale, l'image comme emblème parfait tire plus d'attention du lecteur que le texte écrit. Mais la fable de La Fontaine surpasse l'emblème. Son génie descriptif, narratif, dramatique lui permet de donner aux personnages plus de vie et plus de relief que le meilleur peintre ne saurait le faire. Il faut remarquer par ailleurs que la fable de La Fontaine a plus de variété dans la présentation de la moralité. Cinq cas peuvent se produire : la moralité termine la fable, la moralité précède la fable, la moralité est insérée dans la fable, la moralité est placée à 2 endroits, la moralité n'est pas formulée. Cette variété montre que La Fontaine n'est plus attaché à ses prédécesseurs chez qui la moralité doit toujours se manifester explicitement. La Fontaine ne veut pas instruire ses lecteurs. Il veut au contraire qu'ils traduisent à leur manière ses fables. Celles-ci doivent être interprétées non pas par l'auteur mais par le lecteur.

      • KCI등재

        교훈에서 문학으로 - 파이드루스(Phaedrus)의 우화 -

        원종익 ( Won Jong-ik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1 No.-

        파이드루스(Phaedrus)는 아이소포스(Aisopos)와 라 퐁텐(La Fontaine)을 잇는 매우 중요한 우화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사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인물이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파이드루스를 재평가함으로써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우리는 파이드루스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 서양 문학 최초의 우화 작가라고 조심스레 주장한다. 파이드루스 이전의 작가들은 우화를 다른 이야기에 삽입되는 종속적인 장르로 인식했지만, 파이드루스는 당당히 우화를 독립적인 장르로 만든 인물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파이드루스를 우화 작가라기보다는 문학가 혹은 시인으로 바꾸어 말하고자 한다. 파이드루스는 교훈을 전달하는 단순한 이야기로 간주되던 우화를 문학 작품, 정확히 말해서 시의 위치로 끌어올린 작가이다. 따라서 파이드루스는 우화 작가를 넘어서 문학 작품을 쓰는 작가, 즉, 시인으로 불릴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이상(理想)은 호라티우스(Horatius)나 오비디우스(Ovidius)가 이룩한 시적 영역에서 자신의 이름을 남기는 데 있다. 본 논문은 다음의 몇 단계를 거친다. 우선 파이드루스가 최초의 우화 작가임을 증명하기 위해, 그가 이전의 작가들과 어떠한 차별화를 이루는가를 살펴 볼 것이다. 또한 파이드루스가 과연 어떤 인물인지, 그리고 그의 『우화집』의 얼개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덧붙이고자 한다. 이는 아마도 파이드루스가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작가이기 때문에 당연히 수반되어야 하는 작업이라 여겨진다. 다음으로는 파이드루스의 우화가 어떠한 글쓰기를 통해서 문학으로 향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파이드루스는 전통 우화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자신만의 방식으로 우화에 혁신을 가하는데, 이는 우화에서의 혁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화를 문학의 영역으로 접근시키는 작업이 되기도 한다. 특히 우리는 작가가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현실에 매우 민감하게 움직이고 있음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파이드루스는 그의 글쓰기에 즐거움의 개념을 도입하는데, 이는 교훈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우화의 본질을 넘어서 문학의 장을 여는 결정적 요소가 된다. Phaedrus is a very important fable writer who connects Aisopos and La Fontaine, but is rarely know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discussion by reassessing Phaedrus in two respects. First, we cautiously argue that Phaedrus is the first fable writer of Western literature in the true sense. Prior to Phaedrus, writers placed fables as subordinate beings inserted into other stories, but Phaedrus proudly made them an independent genre. Next, we would like to translate Phaedrus into a literary or poet rather than a fable writer. Phaedrus is a writer who raised a fable, which was regarded as a simple story that conveys a lesson, to the position of a literary work, to be precise, a poem. Thus Phaedrus could go beyond a fable writer to be called a writer, or poet, who writes literary works. His ideal is to leave his name in the poetic realm achieved by Horatius or Ovidius. This paper goes through several stages. First of all, to prove that Phaedrus was the first fable writer, we will look at how he differentiates himself from previous authors. I would also like to add a brief description of what kind of person Phaedrus is and how his “Fable book” looks like. This is probably the work that should be accompanied by Phaedrus because he is the first artist to be introduced in Korea. Next, we will take a look at what kind of writing Phaedrus’ fable is heading to literature. Phaedrus innovates on fables in his own way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fable framework, not just innovation in fables, but also the work of bringing fables into the realm of literature. In particular, we note that Phaedrus is very sensitive to the social and political realities of the time. Finally, Phaedrus introduces the concept of pleasure to his writing, which goes beyond the essence of fable aimed at conveying lessons and becomes a decisive factor in opening the literary arena.

      • KCI등재

        네그리튀드에서 미그리튀드로

        원종익(Won, Jong-i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9

        1930년대부터, 즉 식민 시대부터 대부분의 흑인 아프리카 작가들이 작품 활동을 해 온 장소는 아프리카 대륙이 아니라 식민 지배국인 프랑스였다. 이들은 흔히 네그리튀드의 기치 아래서 아프리카 흑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이들에게 아프리카와 프랑스 사이에는 극복하기 어려운 정체성의 문제가 존재한다. 작가들은 비록 프랑스에서 활동하지만 그들의 시선은 늘 아프리카를 향하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특히 1990년대 이후 일단의 젊은 작가들은 더 이상 아프리카를 바라보지 않는다. 이들은 현재의 삶, 즉 프랑스 내에서의 삶에 더 큰 비중을 둔다. 와베리 A. Waberi는 이 작가들을“포스트 식민주의 아이들”이라고 명명하고 대표적 작가로는 베얄라 Calixthe Beyala, 비야울라 Daniel Biyaoula, 마방쿠 Alain Mabanckou, 베쏘라 Bessora, 챡 Sami Tchak, 디옴 Fatou Diome 등을 꼽는다. 와베리가 말하는 포스트 식민주의 아이들의 특징은 몇 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독립 이후 태어났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들은 독립 이후 태어났기 때문에 이전 세대가 겪어야 했던 아프리카와 프랑스의 이중 정체성에 대하여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는다. 정체성의 혼돈에 대하여 별다른 문제의식을 제기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시 말해 자신의 피부가 검다든지 혹은 자신의 뿌리가 아프리카에 있다는 사실을 그다지 중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작가로서의 존재이지 자신의 정체성이 아니다. 결국 이들은 자신들을 국제 사생아로 규정하는데 주저하지 않으며, 선배들이 가졌던 제 3세계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한다. 또한 이들에게 아프리카는 굳이 고국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은 고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프랑스에서의 삶을 더 중시한다. 한편, 슈브리에 J.Chevrier는 작품의 주제와 작가들의 위상에 고려하여 미그리튀드migritude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낸다. 그는 우선 미그리튀드 문학은 현대 아프리카 작품의 중심 주제를 이루고 있는 이주 immigration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작가들의 대부분은 망명자 expatrié의 처지에 있고 이들은 아프리카의 공간보다는 파리와 같은 프랑스의 공간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미그리튀드는 끊임없는 공간 이동을 가정한다. 따라서 그 공간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유동적이고, ‘비껴나 있고’ ‘비정상적’이기 마련이다. 이주민이란 자체가 이미 어떤 사회의 중심에서 벗어난 존재이고, 이들은 그 어느 누구보다도 공간 이동에 민감한 탈중심적 존재일 수밖에 없다. 미그리튀드 문학의 글쓰기를 흔히 탈중심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쉽게 말하자면 미그리튀드 문학은 거주 공간의 이동으로 인하여 겪게 되는 정체성의 혼돈을 우선적으로 다루며 또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등 제반 분야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소외를 주제로 한다. Migritude writing is produced for the main by novelists from sub-Saharan Francophone Africa who are sometimes children of first-generation immigrants or who moved independently to Paris as teenagers and now have very vague memories of Africa. Aboudouraman Ali Waberi, a novelist and one of the most visible members of this new generation, has suggested that these new writers be called “les enfants de la post colonie”(children of the postcolony). For him “children of the postcolony or the transcontinental generation” are a generational phenomenon. He remarks the fact that most of the writers in question were born after 1960, the year of most african countries' polotical independence from Europe. In his list of children of postcolony, include Daniel Biyaoula, Alain Mabanckou, Bessora, Sami Tchak, Fatou Diome, etc. From 1960, the number of sub-Saharan Africans residing in Paris practically exploded. According Bennetta Jules-Rosette, The writing of the young novelist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political pressure to liberalize legal and social attitude toward immigration in France and to combat xenophobic sentiments. The rising African migration to France introduced new concern into African writing, and France saw the emergence of a new category of black writers. The new generation of Africans writers in France initiated a critical rupture with négritude. Négritud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frican-French identity discourses emerging during the mid-20th century. Négritude reaffirmed the integrity of African cultures and was a necessary philosophical tool for establishing the legitimacy of Afriacan literatures. Négritude writers, residing in France, was rooted on the African continent. But, migritude writers focus their novel on the lives of Africans transplanted in France and on the problems of immigration. Migritude negates the return to source philosophy of the original négritude of Senghor, Césaire and Damas. Migritude, coined by J. Chevrier, this neologism designates both the thematic of immigration that i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African works, but also the expatriate status of most of writer. The writers' inspiration comes from their hybridity and decentered lives. From this, migritude writing emphasize some identity themes ; exile, alienation, exclusion, marginal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긋난 언어, 뒤틀린 역사

        원종익(Jong Ik WON) 프랑스학회 2015 프랑스학연구 Vol.74 No.-

        Monnè, outrages et défis, le titre du deuxième roman d'Ahmadou Kourouma est ambigu et embarrassant. Monnè n'est pas un mot de la langue française, mais un mot malinké. Il y a donc, dans ce titre, une incompatibilité et une infraction. Le titre annonce un malentendu, une confusion, un conflit que le texte comprend. Le texte est parsemé de mots malinké, ce qui provoque la confusion dans la lecture. Parfois, l'auteur ne commente pas les mots malinké et dans ce cas, le lecteur serait en désarroi devant ces mots étrangers. Cependant, il arrive souvent que l'auteur ne laisse pas son lecteur désemparé en face des mots inconnus. C'est ainsi que les mots malinké sont suivis d'une explication sous forme d'apposition ou mise entre parenthèse. Cette glose est quelquefois reprise dans une phrase entière. La confusion est aussi causée par le terme imprononçable. Les mots français qui, mal prononcés par les analphabètes(les Noirs), subissent une altération phonétique telle qu'ils perdent leur sens originaux. Par exemple, les prestataires, terme imprononçable pour les Noirs, devenu pratat : Faiderbe->Fadarba, Allemands->Allamas, liberte-> nabata, etc. Quant à l'incompréhension, le rôle du interprète est le plus déterminant. Soumaré, interprète principal du texte, ne se montre pas disponible à la traduction et à une compréhension des volontés de l'une ou de l'autre partie. Par sa traduction volontairement infidèle, les mots changent de signification, déforment le message initial du locuteur jusqu'à le rendre obscur et illogique pour l'interlocuteur. Soumaré module la conversation entre colonisateur et colonisé à son gré. Grâce à sa mauvaise traduction, le pays de Soba évite la guerre contre les Blancs et garde sa paix précaire. Mais ici commencent les monnew (forme plurielle de monnè) de l'Afrique. Les Blancs dominent complètement l'Afriqu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상실과 회복의 글쓰기 : 몽고 베티의 『잔인한 도시』

        원종익(Won Jong-Ik) 한국아프리카학회 200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20 No.-

        The Cruel City is Mongo B?ti's first novel, published in 1954 under the name of Eza Boto. The story is centered around Banda's hardship in a cruel city over the course of three days. His downfall begins when he loses all the cacao he sells for living. Although Banda loses all his cacao, he finally overcomes this hardship which signifies his resistance to and triumph over white rulers' exploitation of the African continent. The power imbalance in African nations is explicated in loss when the city of Tanga, divided into two parts, north and south, breaks down into conflict. Here we see the conflict and spilt within African society. This novel, however, does not descend into a predictable pessimism. Rather, Banda's decision to leave Tanga announces new hope and his journey outward can be interpreted as a project of possibility for dissolving conflict among African peoples. In addition, B?ti insists that the African peoples of the African continent, browbeaten by white Western colonists, must become aware of their situation and resist white hegemony. B?ti's novel, The Cruel City, provides us with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Africa and African Literature as B?ti uncovers the dark side of Africa under whit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