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 형제’ 이야기의 원형과 현대적 변용

        김만수(Mansu Kim)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4

        Anti Aarne and Stith Thomson have classified story types of ‘The Twin or blood brothers’ as Type No.303. “The Twin or blood brothers” can be transformed into different relations: Two Sisters, Two Siblings, Two Pseudo Brothers, Two Friends. The basic story of “Two Brothers” is based on the contest between the two. In myths and folk tales, the competition between brother and sister remains in their original form. These stories are Isis/Osiris in Egyptian mythology, Big Star King(대별왕)/Small Star King(소별왕) in the folk tales of Jeju Island, Izanagi/Izanami in Japanese mythology, Cain/Abel in the Holy Bible. In these stories, we can find negative feelings such as murder, jealousy, incest and lies besides competitions. The second pattern of “Two Brothers” is ba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Two brothers cooperate each other for a common goal. They are in competition at first, but gradually understand the other brother and help him. The poet <Two Saints at Southern White Moon Mountain(남백월이성)> written by Seo Jeong-ju(서정주) tells the competition between two friends who wish to be the Buddha through the hard mental discipline at Southern White Moon Mountain. At first, they intended to be a Buddha by winning the other rival friend. But they learn to know that the best way to be a Buddha is to help each other. The third pattern of “Two Brothers” can be found at the stories of the ‘twin’. They resemble each other in appearance but are different in the own characters. Karl Gustav Jung defined the psychological types of human mind. Of course, they have their own “shadow” in their deep level minds. Sometimes twin brothers can have the opposite characters. The heroes of both movies in <The Iron Mask(아이언마스크> and <Masquerade(광해, 왕이 된 남자)> are twin kings. In those movies, one is real a King, and the other is a pseudo King. The half of the real King’s characters which are suppressed can be represented at the other characters of twin brothers. The twin personalities can be the supplement each other. It is the universal law that the elder brother is good and younger is evil in the folk tales: Nolbu(놀부)/Heungbu(흥부), Big Star King(대별왕)/Small Star King(소별왕) Isis/Seth, Thor/Loki. According to Bettelheim’s theory, Sibling rivalry such as jealousy, competition, fighting between siblings are based on the struggle between past(conservative-, stable-) and future(progressive-, adventurous-). The additional opposed features such as fool/clever, male/female, good/evil, thinking/felling which are found at the type of “The Twin and Blood Brothers” mean that the narrow “Ego” can be cooperated into the “Whole Self” in the process of their lives. ‘두 형제(Two Brothers)’ 이야기는 아르네-톰슨에 의해 유형 303으로 분류된 바 있다. 두 형제의 경쟁과 협동을 담은 이러한 ‘형제 서사’ 유형은 형제 대신 자매, 남매, 유사 형제, 친구 등의 관계로 변용될 수도 있다. ‘두 형제’ 이야기의 기본은 형제 사이의 경쟁담이다. 신화와 민담에서는 형제/자매의 경쟁담, 남매의 결혼담 등이 원형으로 남아 있는데. 이집트 신화 속의 이시스/오시리스, 제주도 설화 속의 대별왕/소별왕, 일본 신화 속의 이자나기/이자나미, 성경 속의 카인과 아벨, 야곱과 에서, 탕자의 비유 등에서 광범위하게 확인된다. 여기에는 경쟁이라는 요소 외에도 살인, 질투, 근친상간, 거짓말 등의 부정적인 요소들도 자주 등장한다. 또 하나의 패턴은 형제 사이의 협력담이다. 형제들은 공통의 목표를 두고 협력하는 관계에 놓이는데, 처음에는 경쟁 관계에 있다가 점차 이해와 공존, 보완의 관계에 도달한다. 서정주의 시 「남백월이성」는 친형제의 이야기가 아니라 유사 형제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이 시에서 두 스님은 성불(成佛)을 목표로 경쟁하는 관계에서 출발하나, 점차 큰 깨달음으로 향하는 존재로 변하게 된다. 셋째 패턴은 그야말로 ‘쌍둥이’를 다룬 텍스트에서 발견된다. 쌍둥이 모티브는 한 인격에 내재된 모순된 두 측면의 충돌, 카를 융의 용어에 의하면 두 대립적 심리유형 사이의 상보성을 가장 전형적으로 드러내는 사례에 해당한다. 영화 <아이언마스크>와 <광해, 왕이 된 남자>는 현실에 존재하는 왕 뒤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쌍둥이, 즉 ‘상보성’으로서의 왕이 존재한다는 가설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들 숨겨진 왕은 현실에 존재하는 왕의 대립적인 인격을 대표하고 있으며, 왕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제시된다. 형이 착하고 동생이 영악하다는 설정은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데, 놀부/흥부, 대별왕/소별왕, 이시스/세트, 토르/로키 등의 형상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형제 싸움은 과거(보수, 안정)와 미래(진보, 모험)의 싸움, 혹은 의존하려는 경향과 자립하려는 경향 사이의 갈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옛이야기에서는 바보/현자, 남성/여성, 선/악, 이성/감성 등의 이항대립이 발견되는데, 결국 이항대립에 근거한 ‘두 형제’ 이야기는 서로 상반되는 인격의 두 측면이 내적 통합에 이르는 과정을 형상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KCI등재

        A Psychoanalytic Reading of Love in Chaucer’s Knight’s Tale and Shakespeare’s The Two Noble Kinsmen

        윤주옥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0 셰익스피어 비평 Vol.46 No.2

        사랑과 우정 사이의 갈등이 제프리 초서의 『기사 이야기』와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그의 동료인 존 플레처가 『기사 이야기』를 바탕으로 공동으로 쓴 극인 『두 귀족 사촌 형제』의 주된 플롯을 구성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로망스로서 이 텍스트들은 젊은 주인공들이 이성과 형성하는 사랑의 관계를 통하여 사회의 새 구성원으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 가에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두 텍스트가 보이는 이런 주제의 유사성과 분명한 상호텍스트성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사랑을 어떻게 재현하는가라는 문제에 있어서 초서와 셰익스피어는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인다. 『기사 이야기』에서 초서는 남성 중심적이고 또 이성간의 사랑을 전제로 하는 궁정 사랑 (courtly love)을 다분히 전통적으로 수용하여 팔라몬과 알싸이트라는 남성 주체들이 에밀리라는 여성 대상에 대하여 느끼는 이성적인 사랑의 감정과 자신들이 서로에게 맹세한 우정 사이에서 어떻게 갈등하는 가를 주로 묘사한다. 『두 귀족 사촌 형제』에서 셰익스피어와 플레처는 초서가 『기사 이야기』에서 제시한 이런 궁정 사랑을 기본적인 텍스트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초서가 인물들이 사랑을 함으로써 겪는 심리적인 갈등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반면에, 셰익스피어는 사랑을 함으로써 젊은 남성과 여성들이 겪는 심리적 변화를 추적하고 해부한다. 그는 이성간의 사랑을 전제로 하는 궁정 사랑의 전통 뿐만 아니라, 사랑을 경험하는 주체들이 같은 성을 가진 대상에 대하여 갖는 동성애적인 경향에도 많은 관심을 보인다. 프로이드는 사랑의 대상을 얻을 수 없을 때 생기는 결과물로 사랑을 정의 하면서, 주체가 동일화 (identification) 과정을 통하여 그 대상을 자신의 자아 이상(the ego ideal)의 자리에 놓게 되면, 전에는 얻을 수 없었던 그 대상을 주체가 소유하게 된다고 이론화한다. 라캉은 주체의 자아를 그가 바라보는 대상에 비친 어떤 것으로 보면서, 대상을 사랑하는 주체는 이상적 자아(the ideal ego)인 대상 안에 반영된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개념화한다. 즉, 프로이드와 라캉은 사랑을 대상의 성에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자기애(self-love), 혹은 나르시시즘(narcissism)의 표현이라고 본다. 본 논문은 『기사 이야기』와 『두 귀족 사촌 형제』에서 그리고 있는 젊은 주인공들이 표출하는 다양한 사랑의 양상들을 이와 같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사랑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개념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재외한인을 위한 한국전통공연예술교육의현황과 과제 연구: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양민아 ( Mina Ya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4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전통무용을비롯하여 한국문화교육의 현황과 그 변화과정을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 난(蘭) >과 한국전통무용단< 소운(小雲) >의 활동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먼저,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의 한국전통무용 활동의 중요성과 특수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2012년 초연 한 러시아어로 하는 마당놀이 < 두 형제와 마술호박이야기 >의 한국전통공연예술의 현지화 교육모델로써의 가능성을 진단해 볼 것이다. 이와 함께, 다문화 사회에서 대한민국과 거주국 양국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양국의 발전을 위해서 활약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의 양성과 한국문화의 적극적 향유를 위한 재외한인들의 한국전통공연예술교육의 현황과 그 과제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life and culture of ethic Koreans living in St. Petersburg, Russia. And also the current status and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well as Korean cultural education were studied with the activities of ‘Nan’ a Korean Youth Cultural-Educational Center and ‘Soun’, a Korean traditional dance compan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and uniquenes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ethic Koreans living in St. Petersburg. As an glocalizational educa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possibility of a Korean traditional outdoor performance ‘the story of two brothers and a magic pumpkin’ (premiere 2012) in the Russian language will be checked out. Furthermore,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cessity and task of the educa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 overseas Koreans to foster global talents who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oth Korea and the Russia as well as to arouse their interests in Korean culture.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 AT 613 두 여행자 > 설화 비교 연구: 서사 구조와 모티프를 중심으로

        김환희 ( Kim Hwan Hee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이 글의 목적은 세계광포설화인 < AT 613 두 여행자: 진실과 거짓 > 유형에 속하는 한국 각편들과 프랑스 각편들을 비교해서 두 나라의 설화가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아직 국내에서 연구된 적이 없는 < AT 613 > 유형은 1897년부터 지금까지 채록된 구전 자료가 약 27편에 이를 정도로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어온 설화이다. 스티스 톰슨은 < AT 613 > 유형의 기본 서사 구조를 (1) 실명한 남자, (2)비밀 대화 엿듣기, (3) 비밀을 활용하기, (4) 벌 받은 악인으로 요약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유형에 속하는 27편의 한국 각편과 13편의 프랑스 각편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 글에서 프랑스 각편을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외국학자들이 소개한 수많은 외국 각편들 가운데서 프랑스 각편이 한국 각편과 가장 유사한 서사 구조와 공통 모티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프랑스 각편들이 보여주는 공통모티프는 거지, 실명, 유기, 치유의 물, 신성한나무, 물줄기 탐색, 여성의 치유, 결혼 등으로 간추릴 수 있다. 한국과 프랑스 각편들의 대다수는 거지 모티프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두 거지는 자신의 힘으로 살아갈 능력을 갖추지 못해서 동냥하면서 목숨을 연명한다. 질투심 또는 탐욕 때문에, 한 사람이 다른사람의 눈을 멀게 한 후 숲 속에 유기한다. 주인공은 나무 위에 올라가서 동물 또는 정령들의 비밀 대화를 엿들은 후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한다. 세 가지 과제는 신성한나무의 잎으로 눈을 비비거나 신이한 약물을 사용해서 눈을 치유하는 것, 가뭄으로 고생하는 마을 사람들을 위해 물줄기를 찾아주는 것, 악독한 동물 때문에 병든 부잣집 딸 또는 공주를 치유하는 것이다. 이 세 과제를 완수한 착한 아우(동료)는 자신이 치유한 여성과 결혼을 한다. 악인은 주인공의 성공을 시기해서 같은 장소에 가서 동물이나 정령들의 대화를 엿듣지만 끔찍한 최후를 맞이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서사 구조가 한국과 프랑스의 각편에 공통으로 발견된다. 한국과 프랑스의 < AT 613 > 설화는 서사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는 공통점이 크지만 세부 화소에 있어서는 여러 차이점을 보여준다. 한국 설화에서는 맹인이 된 주인공이 도깨비나 호랑이의 대화를 엿듣고, 프랑스 각편에서는 늑대나 여우의 대화를 엿듣는다. 한국 설화에서는 치유의 힘을 지닌 신성한 나무가 복숭아나무, 프랑스 설화에서는 참나무로 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성을 병들게 한 동물이 한국 설화에서는 부잣집지붕 밑에 사는 지네, 프랑스 설화에서는 공주의 침대 밑에 있는 두꺼비이다. 특히 두꺼비는 한국과 프랑스의 상징체계의 차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한국의 <지네 장터>설화에서는 박해받는 여성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는 조력자로 나타나는 두꺼비가 프랑스 설화에서는 여성을 괴롭히는 악독한 동물로 등장한다. 한국 각편에 나타나는 금은보화 모티프도 프랑스 각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악인의 징치도 한국 각편보다는 프랑스 각편에서 더 철저하게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Versions of "AT 613 the Two Travelers" with its French counterparts and comprehe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between the versions from each country. Stith Thompson defines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s of AT 613: (1) The Blind Man, (2) The Secrets, (3) Use of the Secrets, (4) The companion Punished. I have analyzed 27 Korean versions and 13 French versions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AT 613. Both Korean and French versions have the following common motifs: beggars, blindness, abandonment, healing water, sacred tree, lack of water, healing sick princess, marriage, and so on. In the majority of Korean and French versions the story begins with the motif of beggars. Two brothers (or companions) live off the charity of others. For jealousy or greed, one puts out the other`s eyes and abandons him in the forest. The blind man climbs into the branches of a tree and overhears the secrets of animals or spirits. The good one performs the three tasks by using the secrets: (1) he restores his eyes by rubbing the leaves of the sacred tree or by using magic water; (2) opens a dried-up well or new spring by cutting the tree in a certain village whose people have suffered from the lack of water; (3) heals a rich man`s daughter (princess) who has been sick because of a demonic animal. After completing these three tasks, the good brother(companion) marries the woman who he has healed. The wicked man goes to the same place and attempts to overhear the secret from animals. He is severely punished. These basic narrative structures can be very commonly found in most of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etails between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In most of the Korean versions, the blind man overhears the secrets of Dokkaebies(Korean demonic spirits) or tigers whereas in its French counterparts he overhears the secrets of wolves or foxes. In the Korean versions, the sacred tree having healing power is a peach tree whereas in the French ones an oak tree. In the Korean versions, the demonic animal that makes the maiden get sick is a centipede under the roof or ceiling while in the French ones it is a toad hidden under the princess`s bed. This symbolism of the toad in Franc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ne in Korea. In the Korean tradition, the toad appears not as an evil creature but as a helper or savior who sacrifices himself/herself to emancipate the persecuted heroine. The motif of unearthing the treasures of gold and silver can be commonly found in the Korean versions, but it is hardly found in the French versions. The punishment of the evil man is more severe in the French than in the Korean tales.

      • KCI등재

        고전소설 영화화와 다시 쓰기 ―상호미디어성과 「흥부: 글로 세상을 바꾼 자」를 중심으로―

        임형택 ( Im Hyeong-taek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1

        이 논문은 고전소설의 영화화를 원작과 영화의 서사적 상동성을 기준으로, ‘그대로 쓰기’, ‘다시 쓰기’, ‘새로 쓰기’의 세 단계로 구별한 후 ‘다시 쓰기’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때 상호미디어성을 중심적 방법론으로, 「흥부: 글로 세상을 바꾼자」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20세기의 고전소설 영화화는 거의 모두가 ‘그대로 쓰기’를 벗어나지 않았다. 여기에는 일찍이 고전소설 영화화의 전범으로 자리 잡은 「춘향전」(1955)과 「성춘향」(1961)의 영향도 있었으나, 고전소설의 영화적 미디어 번역을 어렵게 하는 기술적·기법적 요인이 더욱 본질적이었다. 그러나 한국영화의 수준은 밀레니엄 전환기에 전반적으로 크게 향상하였고 고전소설 영화화에서도 새로운 영화들이 속속 등장했다. 그것들은 ‘다시 쓰기’와 ‘새로 쓰기’에 해당하며 특히 ‘새로 쓰기’ 유형이 대다수였다. 그중에서 「흥부」는 두 유형이 복합된 영화로서, 작가 흥부가 새로운 흥부전을 쓰는 서사와 두쌍의 두 형제 서사가 중심축을 이룬 복잡한 구조였다. 게다가 고전 기반 영화들의 성공적 사례를 다수 흡수하고자 했으므로 그 복잡성이 한층 심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이 영화는 전반부에서 복잡한 구조를 성공적으로 제시했다. 문제는 후반부로 갈수록 그 복잡한 서사를 수렴하지 못한 채 영화의 영상적 서술 문법보다는 메시지의 구술적 전달에 의존한 것이었다. 그 결과 영상의 서술자 역할이 약화했고 비약과 우연이 난무하는 서사로 흘러갔으며 미려한 영상과 서사가 합치되지 못하는 난맥상이 노정됐다. 이는 애초에 제시했던 두 가지의 중심 서사를 영상적 서술 방식으로 꾸준히 발전시켜갔다면 도달하지 않았을 사태였다. 「흥부」는 고전소설 다시 쓰기에 대한 야심이 컸던 영화로서 완성도 면에서는 미흡했으나 고전소설 영화화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문제점을 환기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영화의 고전소설 ‘다시 쓰기’는 앞으로도 더 다양한 양상으로 시도될 필요가 있으며, 그중에서 고전소설(구술서사)의 성격에 근사한 영화가 나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이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영화의 개시이며 고전소설은 현대 서사의 모태로서 그 모험을 늘 환영할 것이기 때문이다. This thesis divided the classic novel into a film based on the narrative homology of the original and the film into three stages: ‘write as is’, ‘rewrite’, and ‘newly write’, and then discuss ‘rewrite’. At this time, as the central methodology of mutual mediaity, Heung-boo: The Revolutionist was the target of analysis. Almost everyone in the filmization of classic novels of the 20th century did not go beyond ‘writing as it is’. This was influenced by Chunhyangjeon (1955) and Seongchunhyang (1961), which were previously established as legend of the filmization of classic novels, but the technological and technical factors that made it difficult to translate classical novels into cinematic media were more essential. However, the level of Korean cinema greatly improved during the millennium transition, and new films appeared one after another in the classic novel filmization. They corresponded to ‘rewrite’ and ‘newly write’, especially the ‘newly write’ type. Among them, Heung-boo is a film in which two types are combined, and it is a complex structure in which the narrative of the author Heungbu writes a new Heungbujeon and the narrative of two brothers formed the central axis. In addition, since we wanted to absorb many successful examples of classic-based films, the complexity was inevitably increased. However, the film successfully presented a complex structure in the first half. The problem was that the more complex narratives could not be converged toward the second half, the more depended on the oral delivery of the message rather than the visual narrative grammar of the film. As a result, the role of the narrator of the video was weakened, and the narrative was filled with leaps and chances, and the beautiful video and the narrative could not match. This was a situation that would not have been reached if the two central narratives suggested at the beginning had been steadily developed in a visual narrative method. Heung-boo was a film that had a great ambition to rewrite classical novel, and although it was insufficient in terms of completeness, its significance could be found in that it presented various possibilities for filmization of classical novels and recalled the problems. The classic novel ‘rewriting’ of a movie like this needs to be tried in more diverse ways in the future, and it would be better if a movie that is close to the character of the classic novel comes out. This is the beginning of a new movi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ast, and classic novels are the mother of modern narratives and will always welcome their adventures.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 문학의 남성 이미지 연구 -전근대, 근대, 탈근대적 남성상을 중심으로

        오세은 ( Oh Se-eun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5 No.-

        어린이 문학은 모든 어린이들에게 즐거운 장르적 체험을 안겨준다. 어린이 문학 속의 여러 이야기는 어린이가 이 세상을 다양하게 경험하도록 한다. 어린이 문학의 독서 체험에서 남아는 남성성에 대한 이미지를 규정받고, 여아 는 여성성에 대한 이미지를 규정받는다. 이 때 남성성과 여성성이란 사회적 변화에 따라 일정한 기능 변화를 동반한다. 본고에서는 전통 사회에서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남성성의 변모가 어린이 문학 안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각각의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전근대, 근대, 탈근대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남성상이 어떻게 변모하게 되었는가를 밝히고 있다. 남성상의 변화란 어린이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남성 이미지를 유형화하는 과정에서 드러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 문학에 나타난 전통적인 남성상, 근대적인 남성상, 탈근대적인 남성상의 특성이 각각 어떻게 드러나며 차별화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회학적으로 남성상의 변화는 강인함에서 부드러움으로 변화되어 갔다. 어린이 문학 작품에서 전근대적 남성 이미지는 아비 부재의 현실 속에서 강 인한 남성적 모험을 감행하거나, 어머니 둥지로부터 강력한 이탈의 충동과 모험을 감행하는 것으로 재현되었다. 근대적인 남성 이미지는 남성간의 우정을 동성사회적 욕망의 실현으로 재현해 내거나, 아버지의 세계를 권위에서 사랑의 주제로 재현함으로써 남성성에 감성의 철학을 가미시켰다. 탈근대적 인 남성 이미지는 남성 육체와 정신에 대한 고정관념으로부터 자유로운 모습을 재현해 내거나, 성별 특성을 초월한 자율적인 인간상을 제시함으로써 현 대 사회에 적합한 이상적인 남성성을 제시해 주고 있었다. 어린이 문학 속에 나타난 남성의 이미지가 전통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보이는 것 은 우리 사회의 단면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현대 어린이 문학 작품에서 이상적인 주인공이 탄생될 수 있도록 다양한 창작과 이론적 접근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Children`s literature gives joyful genre experiences to all children. Through many stories in children`s literature, children experience the world in various ways. In reading of children`s literature, male children are imbued with masculinity and female children are with femininity. Here,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accompanied with certain functional changes resulting from social transitions. The present study analyzed how masculinity has been developed in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history from traditional society to contemporary on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men`s image in the course of transition from pre-modern to modern and post-modern age. Changes in men`s image can be found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patterns of men`s image in children`s literature. For this, we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n`s image, modern men`s image and post-modern men`s image observed in children`s literature were manifested and distinguished. Sociologically, men`s image has evolved from toughness to softness. As the strong and curious masculine nature experienced gradual change through the growth of male children,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ppropriate environment in accord to the stage of change. For this, there must be overall change in the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role of the mother, who is a woman, and the father, who is a man. When the father is involved adequately and actively in child rearing, we can expect ideal men and women transcending gender. This will be the ultimate image of human beings demanded in this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