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 고분벽화의 성별분류와 여성두식 연구

        김연수(Kim Yeon Soo)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인물의 성별분류 기준을 모색하고 그로인해 판별되는 여성의 두식문화에 대하여 고찰한 글이다. 고구려 고분벽화에는 다양한 두식의 형태가 존재하는데, 그중에서도 여성의 두식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구려 시기의 여성 모습에 대한 개념이 우선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이때 여성의 모습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여성과 남성을 구분하는 성별 분류체계가 필요하며, 이에 필자는 성별분류기준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여성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첫째, 복식의 종류로서 치마, 바지, 그리고 고구려 고분벽화에 자주 등장하는 겉옷인 ‘포(袍)’를 그세 조건으로 삼았다. 둘째, 생리조건으로, 사춘기가 지난 남성에게서만 발견할 수 있는 신체적 특징인 콧수염과 턱수염을 주요한 성별 기준으로 두었다. 셋째, 두식의 형태이며, 이는 첫째, 둘째 조건에 더하여 성별의 특징을 부각시켜주는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그럼에도 여전히 인물의 성별이 분명하지 않을 때, 주변에 있는 인물과의 얼굴선, 체구 등의 비교를 통한 분류 방법이다. 이처럼, 첫째 기준부터 순서대로 적용하면, 벽화가 박락되어 얼굴이 보이지 않거나, 주변 인물들과의 유사성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물의 성별을 최대한 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벽화에 나타나는 여성의 발양과 두식의 특징을 살피기 위해 평양과 집안의 고분벽화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이때 인물들이 많이 등장하는 4세기 중엽에서 5세기 후반까지의 생활풍속을 주제로하는 벽화고분 중에서, 평양지역 4기와 집안지역 4기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평양지역 고구려 고분벽화로는 안악3호분(357), 덕흥리벽화고분(408), 수산리벽화고분(5C후), 쌍영총(5C후)을, 집안지역으로는 각저총(5C초), 무용총(5C중), 장천1호분(5C중), 삼실총(5C중)을 택하여, 각 벽화별로 여성의 발양과 두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성별분류기준에 의해 구분된 여성을 대상으로 발양과 두식을 살펴본 결과, 첫째, 머리모양인 ‘발양(髮樣)’과 둘째, 머리에 쓰는 ‘쓰개’, 셋째, 장신구의 ‘수식(首飾)’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10종류, 3종류, 3종류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연구에 더해 새로 추가한 발양에는 변형고계(變形高髻), 변형상투, 당고머리, 묶은 긴머리가 있으며, 이때 각 발양과 두식의 종류마다 필자가 직접 그린 모사도를 추가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고분에 등장하는 총 인물수와 여성인물의 수 및 여성들이 위치해있는 장소와 추측되는 신분, 그리고 그들이 하고 있는 두식과 발양의 종류 등을 헤아리고 이를 통하여 각 고분의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This is a thesis considring the women’s balyangs(髮樣) and dusiks(頭飾) seen in the mural paintings of the Kokuryo ancient tombs. there are various balyangs(hair styles) and dusiks(hat and hair accessories) seen in mural paintings of Kokuryo ancient tombs. In order to study women’s balyangs(hair styles) and dusiks(hair accessories) among them, the concept of woman’s appearance in Kokuryo age should first be defined. For defnining a woman’s appearance of this age, it needs a classification system dividing the woman and the man, so the author intended ot divide the gender clasification standard into largely four categories in order to sort out the woman gender. First, as the clothe types, Second, as the physical conditions, third as the shpes of dusiks(hair accessories) and balyangs(hair styles), Fourth standard was the comparision against other person(s) in mural paintings. So a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balyangs(hair styles) and the dusiks(hair accessories) of women who were divided by the above mentioned genderclassification standards, there found total 10 kinds of balyangs(hair styles) and total 8 kinds of dusiks(hair accessories) in this study. As the balyangs(hair styles) being added in this study to those found in existing studies, there were byeonhyunggogae(變形高髻), byeonhyung sangtu(transformative hair-topknot), dango hair style, the long pony tail, and as a new dusik(hair accessory), there was the chaek(幘). In the section, the author intended to help the audience’s understanding about these new balyangs(hair styles) and dusik(hair accessory) by adding every kind of balyang and dusik replicas directly pictured directly by the author. Kokuryo women’s feautres of balyangs(hair styles) and dusiks(hair accessories) were analyzed with the mural paintins of 8 Kokuryo ancient tombs in Pyongyang and Jipan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Pyongyang: No 3 tomb in Anak, Mural Tomb in Deokheungri, Mural Tomb in Susanri, and Ssangyongchong; Jipan: Gakjeochong, Muyongchong, No 1 tomb in Jangchun, Samsilchong). Besides, this thesis inserted a table being composed to grasp the number of total figures, the number of women figures, the women’s places and their guessed classes and the kinds of their dusiks(hair accessories) and balyangs(hair styles) at a glace, and also processed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investigated the featues of dusiks(hair accessories) by each ancient tomb.

      • KCI등재
      • 근세 서양복식에 나타난 두식에 관한 연구

        이순홍,이지숙,김정진 誠信女子大學校 生活文化硏究所 2003 生活文化硏究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rend of European headdresses during the period of the 16^th to the 18^th century. The fashion of the headdress, which generally means hairstyle and hat, constitutes a part of the whole fashion style of a time. The fashion style itself represents an aspect of the society at the time. The headdress in the 16^th century, which was also called Renaissance period, had begun to show diversified hairstyles and hats, of men's and women's reflecting the liberal trend of the society of the period. Short hairs and beret represent men's headdress of the period; dyed hairs and various hoods represent women's headdress. The headdress in the 17^th century, Baroque period, showed somewhat exaggerated, complicated and sensitive tendency as a reflection of the trend of the period that tried to express things more artistic ways. Wigs and hats took important position in men's fashion; Fontages hairstyle and tricorn hat partly represent women's headdress. The headdress in the 18^th century, Rococo period, had partly showed the culmination of the fashion in its history in the diversity of style and pursue of beauty. The fashion in the period could almost be called the art itself. Men's wigs evolved more practical style while their hats more decorative; women's headdress became extremely beautiful decorated by corsages and plaits.

      • KCI등재

        혜원 신윤복의 풍속화에 나타난 여성의 두식과 복식에 관한 연구

        오순숙 ( Sun-suk Oh ),김송희 ( Song-hee Kim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09 미용예술경영연구 Vol.3 No.2

        As one of paintings, genre painting is a record to show a social aspect of the era, and reflects humanistic values with vulgar and common materials. It depicts the lifestyle and atmosphere in the era graphically, so there is no doubt that genre paintings revealing realism based on reality are important data to study hair styles and costumes at that time.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eight paintings focusing on delineating characters among Hye-won Shin Yun-bok’s genre paintings to analyze Women’s hair styles and costumes.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ladies depicted in the genre paintings were gisaeng and they were the lowly, but their hair styles and costumes were freer than common women’s ones. For hair styles, most gisaeng put on a lock of false hair-Eonjeunmeori and Teuremeori, and wore a kind of head-dress, Jangot and Chaaek. For costumes, the collar of Jeogori was Mokpangit(Squar-Tray-Collar) with Dangko, the length is very short, the width of a sleeve is very narrow, and the skirt is plentifully flared with cold colors.

      • KCI등재

        일본에 소장된 고려 陽柳觀音圖의 복식 문양 고찰

        박옥련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1

        This research has comparatively analyzed certain patterns emergent from "jewel crown", "veil", "skirt" and "shawl" in "the painting of Willow Guanyin Figure (楊柳觀音圖: yangyukwaneum-do)", through which to examine not only the then period’s characteristics but also these patterns’ explicit expressions and the implicit meanings embedded in them. Clothing patterns appearing from the painting of yangyukwaneum, one of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Koryo era, is really colorful and excessively decorative in contrast to its Chinese and Japanese equivalents. During the Koryo era, Buddhism has been highly revered, resulting in many Buddhist paintings being produced. For instance, there is such a Buddhist painting originating in the palace as that owned by the Kyungshin Temple. In particular, this Buddhist painting is the work of a professional painter, hence quite finely and elaborately painted.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and implicit meanings that the painting of yangyukwaneum has are largely three-fold: [1] various sorts of patterns, [2] rich color and [3] the frequent use of phoenix pattern quite common in royal Buddhist paintings. In this sense, the Koryo people’s all-time desire to be free from restraints can also be detected in the "cloud-pattern" and the "flying phoenix-pattern". In addition to them, what this painting implies is also characteristically multiple. For instance, such objects connotative of Buddhism as the "patterns of po-phase or lotus flowers" has been used, and the "chrysanthemum-pattern" based on Taoism and the "turtle shell-pattern" popular in folk beliefs have been naturally combined. 본 연구는 현존하는 고려불화 중 일본에 소장된 양유관음도의 頭飾, 베일, 裳, 領巾 등에 나타난 문양을 비교・분석해 시대적 특색 및 형태적 표현과 내재된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고려불화 중 양유관음도의 의상에 나타난 문양은 중국이나 일본의 관음도에는 거의 문양이 없는데 비해 의상 전체가 화려한 색채와 문양으로 덮혀 과잉 장식적인 느낌이 들 정도이다. 고려시대는 숭불의 기운이 높았던 시기여서 궁정으로부터 발원된 귀족적인 불화로 鏡神寺 소장품 등이 있으며, 전문화원이 불화를 그려 솜씨도 섬세하고 치밀하다. 고려시대 양유관음도에 나타난 시대적 특색과 내재된 의미를 보면 문양의 종류도 다양하고 색채도 화려하며 특히 귀족적인 문양으로 봉황문을 애용해 궁정불화의 특색을 보인다. 飛雲文이나 봉황의 나는 모습에서 고려인들의 속박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시대적 염원도 나타난다. 그 밖에 내포된 의미도 복합적인 성격을 지녀, 불교적 의미를 함축한 소재로 寶相花나 蓮花文이 사용되며 道歌的 사상을 지닌 국화문, 민간신앙 속에 애호를 받던 龜甲文 등이 자연스럽게 조합되어 있다.

      • KCI등재

        한ㆍ터키 전통복식의 연구

        소황옥(Soh Hwang-Oak)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터키의 역사의 흐름은 시공간적으로 광대하며, 동서 문명의 교류, 이슬람과 카톨릭 등의 종교적 연관성이 다양한 인종과 복합적 양상으로 공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자료의 부족과 언어의 장벽은 복식에 대한 논의를 더욱 힘들게 하고 있어 그동안 터키복식의 다양함과 복합적 특성은 매우 개괄적인 수준에서 이해되고 있었고 복식 연구의 논의 또한 매우 미약하였다.<br/> ??이번 터키 학술답사를 계기로 마련되어진 터키와 한국의 복식문화의 비교는 사실상 모래에서 진주를 찾아야 하는 것과 같은 막연함을 함께 하면서도 한국과 터키 민족은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족에 그 뿌리를 함께 한다는 한가닥 실마리를 갖고 시작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한국과 터키는 그동안 지역적으로나 정치 사회적 환경적 배경 요인이 시간적으로 많은 세월이 지나갔으며, 지역적으로도 지금은 유럽에 속해 있고, 특히 이슬람 국가라는 종교적 차이는 외래문화의 교섭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는 복식에 대하여는 관련된 참고자료를 찾기 힘들 뿐만 아니라 터키복식의 용어가 너무나 혼재되어 일관된 복식연구를 진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본고는 터키 복식과 한국복식의 연결고리를 찾았다는 것에 보다 큰 의미를 둘 수 있다고 본다.<br/> ??복식의 비교연구는 공통성과 차이점의 측면에서 논의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우선 한국복식의 기본형은 카프탄스타일이라는 것에 그 주안점을 두었고, 카프탄은 터키의 복식의 대명사로서 현재까지도 세계에서 다양한 디자인의 카프탄이 패션상품으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오토만제국 술탄의 최고 의례복이었던 카프탄을 터키 카프탄의 원형으로 보고 한국에서는 카프탄스타일의 전개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남자의 의례용포를 한국과 터키의 의례용 남자복식의 비교라는 관점에서 두 나라의 전통 복식을 비교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귀주성 소수민족(中國 貴州省 少數民族)의 민족복식(民族服飾)에 관(關)한 연구(硏究)

        부애진 ( Ae Jin Boo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03 패션 비즈니스 Vol.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stume of the 6 minorities dwelling in Guizhou Province of China.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Guizhou Province yields much silver, most of the minorities used silver ornaments a lot and dyed their garments by using indigo extracted from plants that grow in the area. The headdress was of style that for both men and women a long cloth is wound around a head in various ways. In some cases, women used cow``s horn, pearl and silver ornaments. Most wore a short upper garment such as blouses with overlapping necks or blouses with diagonal on the front, and as a lower garment men and women wore trousers and skirts, respectively. As a way of ornament, embroidering, wax printing and weaving were commonly used, but pattern and color used in the ornament vari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minorities.

      • KCI등재

        고구려 고분벽화 속 남성두식 유형 및 조형미 연구 - 중국과의 관련 및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

        최병길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0 韓中關係硏究 Vol.6 No.3

        고구려 고분 벽화들 중에서 초기와 중기의 것들을 대상으로 특히 인물·생활풍속도에 등장하는 남성두식의 유형 및 조형미를 고찰했다. 첫째, 남성두식의 유형에서 머리모양의 경우에는 피발형, 속발형, 빈발형, 상투형과 삭발형으로 구분해서 논했으며,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상투형을 언급하였다. 그 리고 모자의 경우에는 머리 수건, 두건, 절풍·조우절풍, 책, 소골, 방형소관, 관모로 구분 해서 논했는데,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는 절풍, 책, 관모를 언급하였다. 둘째, 남성두식의 조형미에 대하여 ‘세련된 몰골법과 구륵법 활용’에서는 고구려 고 분벽화의 두 채색 화법이 남성의 머리모양과 모자의 경우에 활용된 사례들을 논했다. ‘역동성 있는 정교한 필체’에서는 머리모양과 모자의 경우에 세련된 필체가 빚어내는 윤곽선의 강약, 두께 조절로 인한 역동성과 정교한 표현이 드러난 사례들을 언급하였 다. 끝으로 ‘입체감 표현’에서는 머리모양과 모자의 경우에 공히 개개 인물의 ¾ 전방형 표현과 그 인물들의 화면 포치에서의 대각선적인 방향성으로 인한 심미적인 특성을 논했다. 결론적으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남성두식은 중국과의 문물교류를 통하여 형 성된 것과 고구려 고유의 것이 혼재했는데, 대부분 중국으로부터 유입한 사례에서도 진일보한 표현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초기로부터 중기로 넘어감에 따라 표현된 수준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진일보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types and plastic beauty of men’s hair and headdress appearing at the people·living cultural paintings depicted on the murals of initial and middle stages in Goguryeo tombs. Firstly, as for hair style in men’s hair type, I discussed types of Pibal, Sokbal, Binbal, Sangtu, and Sakbal perspectively, among which I uttered Sangtu type as that affected from China. And as for hat, I discussed head towel, hood, Jeolpoong·Jowoo Jeolpoong, Chaik, Sogol, Banghyung Sokwan, and Guanmo perspectively, among which I uttered Jeolpung, Chaik, Guanmo as that affected from China. Secondly, as for ‘Usage of Refined Mogufa and Goulefa’ for the plastic beauty of men’s hair type, I discussed the examples used for men’s hair type and hat as two coloring types in Gogyryeo tomb murals. As for men’s hair type and hat in ‘Dynamic and Subtle Brushstroke’, I discussed the examples with dynamic and subtle expressions evoked by the outlines’ intensity and width that are moulded by refined brushstrokes. Finally, as for men’s hair type and hat in ‘Expression of Three-dimensional Effect’, I discuss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evoked by both the three fourth frontality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figure and the positioning of such figures with dialectical directionality in the composition. In conclusion, it showed that men’s hair types appearing in Goguryeo Tomb Mural are mixed with Chinese one, but Goguryeo people established further development even with Chinese one. And I could discover the advanced appearance in the represented level from the initial to the middle st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