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참동학 위상정립을 위한 미래관 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future prospects for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The True Donghak refers to ‘the future prospect of having a true life, true thinking, and true living’ in which enjoying the world in a state of good fortune became a true reality after the death of Suwun,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ding to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prospect of achieving the Daesoonist transformation into energy to gain true life and re-cre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Nourishing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Attending to Study and Attending to Law” in Daesoon show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reason into true thinking and renewing.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ity is Divine” in Donghak and “The Salvation of Humanity is the Will of Heaven” in Daesoon show transformation into the practice of Daesoon for the true living and renewing. This investigation utilizes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generation theory of life-philosophy to examine revelations regarding the conversation between Spirit and Mind. This is the future prospect for the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It consists of a threefold connection among life, thinking, and living. The “public-centered spirituality of Daesoon Truth” whic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he true life through the ‘renewal of active, energetic power’ bestowed by Gucheon Sangje.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thinking through the “renewal via freedom from delusion”. Thir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newal of true mind”. To bring about the creation of true Donghak, Gucheon Sangje incarn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of Suwun and the salvation of the world salvation now centers on Korea with regards to the threefold connection future prospect. Gucheon Sangje’s revelation addresses and solves the postscript problem of Chosun and further establishes a Utopia. Suwun established Donghak but failed later on due to his lankiness. At last the true Donghak has been opened for the future by Gucheon Sangje and Jeongsan’s fifty years of religious accomplishments. In the long run, it has been developed further by Woodang’s Daesoon Jinrihoe. 본 연구는 대순사상의 참동학 위상정립을 위한 미래관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참동학은 ‘수운의 사후 구천상제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참생명ㆍ참생각ㆍ참생활의 미래상을 구현하여 세상복록과 선경복락을 함께 누리는 새 동학’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동학의 시천주와 대순의 천지공사는 상관연동으로 참생명 밝힘의 대순기화 전망을 나타냈고, 동학의 양천주와 대순의 시학시법은 상관연동으로 참생각 밝힘의 대순이화 전망을 드러냈으며, 동학의 인내천과 대순의 천운구인은 상관연동으로 참생활 밝힘의 대순실화 전망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동학사상과 대순사상 관련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조사 방법과 영성(Spirit)과 마음(Mind)의 상통에서 드러난 대순사상 참동학의 미래전망을 모색하고자 생명철학 생성론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대순사상 참동학의 미래전망은 생명(生命)ㆍ생각(生覺)ㆍ생활(生活)의 삼차연동으로 이루어진다. 사람사이를 이어주고 매개하는 ‘대순진리의 공공(公共)하는 영성(靈性)’은 세 양상으로 드러난다. 먼저 구천상제 믿음의 ‘활명개신(活命開新)’에 의한 ‘참생명 밝힘’의 대순기화 전망, 구천상제ㆍ개체생명의 상관연동성을 깨닫는 ‘무심개신(無心開新)’에 의한 ‘참생각 밝힘’의 대순이화 전망, 일상생활 변화의 ‘지성개신(至誠開新)’에 의한 참생활 밝힘의 대순실화 전망으로 집약된다. 참동학은 수운을 대신한 구천상제의 인신강세와 구천상제 강세지에 해당하는 남조선 중심 세계구원이 공공차원으로 작동하여 새 밝힘을 이룬다. 대순기화는 천지공사로서 ‘영혼의 영토화’를 기화차원에서 치유하고, 대순이화는 시학시법으로 ‘영혼의 식민지화’를 이화차원에서 치유하며, 대순실화는 천운구인으로 ‘영혼의 사물화’를 실화차원에서 치유하기에, ‘대순진리의 공공하는 영성’은 삼차원 상관연동으로 미래전망을 밝힌다. 결국 삼차원 상관연동의 영성치유를 통해 참동학은 자타(自他) 사이의 원한ㆍ원망ㆍ원증을 공공으로 치유하며 상생사회로 발전시킨다. 참동학은 대순종통의 계승자, 정산(鼎山)ㆍ우당(牛堂)에 의해 계승되어 삼차연동을 구현했다. 한민족과 인류미래를 향한 위대한 세계시민성 선언은 ‘만국활계남조선’ 선언으로 나타났으며, 개체생명과 구천상제, 우주생명과 상관연동으로 생명ㆍ생각ㆍ생활의 유기체를 이루어 미래전망을 밝힌다. 생명과학 인식론에서는 생명을 ‘물(物=대상ㆍ객체ㆍ실체)’로 관찰ㆍ분석ㆍ조작(操作)’한다면, 생명철학 생성론에서는 생명을 ‘사(事=주체적으로 자각ㆍ각성ㆍ체인하는 사건ㆍ사태ㆍ동태)’로 체득한다. 이 글에서는 생명철학 생성론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참동학을 규명함으로써 개체생명과 구천상제의 우주생명이 함께ㆍ더불어ㆍ서로서로를 열어 삼차연동으로 개신(開新)하는 미래전망의 새 밝힘을 다루고자 한다. 대순사상의 참동학은 ‘공공하는 영성’을 생명지(生命知)ㆍ체험지(體驗知)ㆍ실천지(實踐知)의 삼차연동으로 작동시킴으로 고품격의 영성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영성작용의 충실도를 높여 보다 넓고 보다 깊게 미래지향의 전망으로 거듭나게 한다.

      • 군산지역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특징 및 현황과 활동거점 연구

        김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24 동학농민혁명 연구 Vol.2 No.-

        이 논문은 연구자의 2019년 발표한 “군산지역 동학농민혁명 전개 과정과 특징”과 연계된 군산의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논문이다. 주요 내용은 동학농민혁명 기간 군산 지역에서 동학농민군으로 활동한 참여자의 성격 규명과 참여자 현황 및 그들이 활동 한 중요거점을 확인하고 있다. 연구결과 군산지역 참여자의 특징은 이들이 동학의 남,북접 측면에서는 옥구와 임피지역은 북접계열로 확인되며 군산진은 남북접 구분이 어렵다. 또한 참여자의 성씨로 본 신분계층 확인의 경우 옥구와 임피지역은 지배계층의 참여가 많아 보이지 않는다. 다만 군산진은 상업 및 수군기지라는 환경 때문인지 중인 이상 계층의 참여 가 많은 측면을 보였다. 동학농민혁명군의 주요 활동 거주지는 옥구의 경우 옥구와 임피의 경계지역인 대야면과 지경리 일대, 임피는 충청남도 서천군과 접하고 있는 금강변 포구와 나루터, 군산진은 경포리 지역이 주요 활동지역으로 추정된다. 군산지역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는 50명이다. 이들을 1894 년 행정구역에 따라 거주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옥구지역은 5명, 임피지역이 30명, 군산진지역은 15명이다. 그런데 그중에서 군산진 좌수 문규선의 경우는 특별한 사례 이다. 그 이유는 좌수라는 직책이 조선시대 지방의 자치기구인 유향소의 가장 높은 지위이기 때문이다. 좌수는 그 지방의 권력자들인 양반 중에서 나이가 많고 덕망이 높은 사람을 유림들이 선출하였기에, 좌수 문규선이 동학에 오랫동안 물든 자라서 총살하였다는 내용은 동학 참여자들에 대한 신분계층의 다양성 측면에서 볼 때 놀라 운 내용이다. 이처럼 좌수가 동학군에 참여한 사례는 전북지역에서도 그 세력이 컸던 남원 지역에서나 가능한 일이었다. 또한 서산군수 성하영의 보고에 의하면 군산진은 1894년 6월부터 11월까지 동학군의 세력이 유지되는 몇 안되는 지역 중 한 곳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산지역이 향후 동학농민혁명 연구에 있어 의미 있는 지역으로 주목받는 이유가 될 수 있다. 이글에서는 군산지역 농민군이 활동한 중요거점을 총 7개소로 특정하고 있다. 거점지역 7개소를 살펴보면 옥구지역은 2개소이다. 첫 장소는 “구 옥구현 관아터”이 다. 이곳은 허진이 이끄는 옥구동학농민군이 옥구현의 무기를 탈취하여 백산봉기에 참여한 장소로서의 의미가 있다. 두 번째 거점은 옥구지역 동학 참여자들이 많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야 지경리와 천도교 옥구교구 교당”이다. 임피지역의 주요거점은 3개소이다. 첫 장소는 “나포면 원나포리 공주산 일대”이 다. 이곳은 이두황의 진압군에게 나포 동학군 14명이 포살 당한 곳이다. 두 번째 장소는 김문화 접주가 활약한 “성산면 성동마을 일대”이다. 세번째 장소는 김준홍접 주가 1900년 동학 재기를 꿈꾼 “오성산 동편 기슭 조씨제각 인근 산막”이다. 군산진 은 중요 거점지역이 2곳이다 첫 장소는 1894년 경군 초토사 홍계훈의 진압군이 상륙한 “군산진 성터 (내항 수덕공원)”이다. 그리고 다른 한 곳은 군산진에서 가장 활발하게 동학군의 활동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중동 경포천변 (서래당산)”이다. 이 논문은 도탄에 빠진 나라를 구하고, 간악한 외세를 물리치겠다는 일념으로 일어난 힘 없는 백성들의 진정 어린 마음을 위로하고 되살리는 방법은 그들의 백성과 국가를 향한 진정한 사랑을 인정해주고 명예와 자존심을 회복해 주는 일에서 부터 시작됨을 지적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업의 시작은 참여자의 이름을 기록하고, 그들이 자신들의 소망을 소리높여 외친 장소를 기억하는 일에서부터 임을 말하고 있다. This writing is the second research paper delving into the second phas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unsan, following the first paper titled “The Develop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Gunsan Region”. This research primarily revolves arou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participants and key operational bas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ithin the Gunsan region during the revoluti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conducted around the Gunsan region show noticeabl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mong participants. When it comes to their alignment with the southern and northern jeopju, the regions of Okgu and Impi are categorized as dominated by the northern jeopju, while Gunsan-jin shows any meaningful distinction between them. Furthermore, when considering social status based on the surnames of the participants, it appears that the dominant class is less represented in the Okgu and Impi regions compared with Gunsan-jin, in which a significant number of the middle class and above are detected, likely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its commercial and naval infrastructure. It is presumed that the focal points of activity for the Donghak Revolutionary Army include Daeya-myeon and Jigyeong-ri areas in the case of Okgu, bordering Okgu and Impi, and ports and ferry terminals along the Geumgang River bordering Seocheon-gun and finally, the Gyeongpo-ri area in the case of Gunsan-jin. Rigorous research has confirmed that fift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ary action in the Gunsan region. In terms of geography, these individuals were distributed as follows: five in the Okgu area, thirty in the Impi area, and fifteen in the Gunsanjion area. Particularly, a case study of Jwasu Moon Kyu-seon attracts attention. The reason is that he served as jwasu, which was the highest position in yuhangso, a civic autonomous organization in the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Moon’s involvement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underscores the diversity of social classes within the ranks of the participants of the revolution given the fact that he was executed by firing. Such instances of participation by members of the elite in the Donghak army were uncommon, except in the Namwon area where Donghak's influence was particularly strong. Additionally, reports from Seong Ha-yeong, the head officer of Seosan-gun, suggest that Gunsan-jin was one of the few areas where Donghak's influence persisted from June to November 1894.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growing recognition of the Gunsan region as a significant area for future research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is writing also identifies seven different key bases of military action for the peasant army in the Gunsan region, distributed across different areas. Important locations include the former OKgu-hyun Regional Office site, where weapons were seized for the Backsan Uprising and the second key base was located in Daeya Jigyeong-ri and Cheongdogyo Okgu District Church, which accommodated numerous participants of the revolution. In the Impi area, three main bases are highlighted, including the Gongju Mountain area where Donghak soldiers were executed, The second location is the Seongdong Village in Seongsan-myoen, where Kim Mun-hwa, as jeopju, a director of a regional headquarter, participated. The third location was found in a mountain hut near the Cho clan where Donghak resurgence was envisioned. Two significant stronghold areas are identified in Gunsan-jin: the Gunsanjin Castle Site (Sudeok Park in the Inner Port), where suppressing forces led by Hong Gyeo-hun, a general responsible for supprerssing the revolution, landed in 1894, and the Middle East Gyeongpo area (Seorae Dangsan), believed to be a hub of Donghak military activities. This author hopes that given the fact that fifty participants and seven major activity locations are identified in this paper at the beginning of research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Gunsan region, continuous research supplement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The writer also expects that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so that the record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rogress in the Gunsan region (Table 1) will be filled with new research results. This writing aims for a method to console and rejuvenate the sincere aspirations of disenfranchised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with the singular goal of safeguarding their nation from collapse and resisting malevolent foreign forces. It suggests that the first step towards achieving this objective is to acknowledge their genuine devotion to their nation and its people, and to reinstate their dignity and sense of national pride. This pap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itiating this process through tangible actions,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documenting the identities of participants and commemorating the sites where they fervently voiced their aspirations.

      • KCI등재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과 성격

        이병규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60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경기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매우 활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경기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있었던 지역은 연천현, 양주목, 양근군, 지평현, 광주목, 여주목, 이천부, 음죽현, 용인현, 수원부, 죽산부, 안성군, 양성현, 진위현 등 평택현(충청도)을 포함하여 총 15개 군현이다. 대략 경기도의 반에 가까운 군현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강원도나 경상도 그리고 충청도에 비해 규모나 활동 면에서 뒤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지역적으로 보면, 주로 충청도와 인접한 진위현, 양성현, 안성군, 죽산부, 수원부, 용인현, 음죽현 등 남부와 강원도와 인접한 연천현, 양주목, 양근군, 지평현, 광주목, 여주목, 이천부 등 동부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활발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경기지역 동학농민군들이 충청도 북부지역 및 강원도 서부지역과 교류하고 영향을 주고 받았음을 의미한다.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 과정에서 활동은 거의 포착되지 않는다. 이들이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한 것은 2차 봉기 직전인 8월부터이다. 이후 2차 봉기 과정에서 대대적인 활동을 전개하여 결국 많은 동학농민군들이 체포되거나 목숨을 잃었다. 경기지역 동학농민군은 대부분 최시형의 동학 교단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그런데 이들은 이미 1890년 초반부터 동학도로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것은 이들의 조직이 단순히 1894년 2차 봉기과정에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조직화되어 있었다는 의미이다. 경기도 각 지역의 동학농민군 지도자들은 대부분 대접주, 수접주, 접주, 접사 등 동학 조직의 책임자였다. 경기 지역 동학농민군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이들이 사대부 자제, 마름, 관포군, 농민 등 매우 다양한 출신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동학농민군 진압과 관련하여 동학농민군으로 참여하였다가 피신한 경우,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는 상황이 실제로 확인된다는 점이다. In 1894, it was confirmed that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very active in the Gyeonggi area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yeonggi Area, there were about 15 counties and prefectures where Donghak Peasant Army were active including Yeoncheon-hyeon, Yangju-mok, Yanggeun-gun, Jipyeong-hyeon, Gwangju-mok, Yeoju-mok, Icheon-bu, Eumjuk-hyeon, Yongin-hyeon, Suwon-bu, Juksan-bu, Anseong-gun, Yangseong-hyeon, Jinwi-hyeon and Pyeongtaek-hyeon (Chungcheong-do).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have been confirmed nearly half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Gyeonggi-do. This means that compared to Gangwon-do,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they were not behind in terms of scale and activities. Geographically, Donghak Peasant Army was active Jinwi-hyeon, Yangseong-hyeon, Anseong-gun, Juksan-bu, Suwon-bu, Yongin-hyeon, Eumjuk-hyeon and other southern regions adjacent to Chungcheong-do, and Yeoncheon-hyeon, Yangju-mok, Yanggeun-gun, Jipyeong-hyeon, Gwangju-mok, Yeoju-mok, Icheon-bu and other eastern regions adjacent to Gangwon-do. This fact means that the Donghak Peasant Army in the Gyeonggi area exchanged and influenced the northern regions of Chungcheong-do and the western regions of Gangwon-do.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gi area during the first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were hardly captured. They started their activities in August, just before the second uprising. Afterwards, during the second uprising, large-scale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in the end, many Donghak Peasant soldiers were arrested or lost their lives. Mos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Gyeonggi area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Donghak organization of Si-hyeong Choe. However, they had already been participated in Donghak Movement since the early 1890s. This means that their organizations were not simply formed during the second uprising in 1894, but had been organized for a long time. Most of the lead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each region of Gyeonggi-do were in charge of Donghak organizations such as Daejeopju, Soujeopju, Jeopju, Jeopsa and other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Donghak Peasant Army's activities in the Gyeonggi area, firs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y are composed of very diverse backgrounds, such as nobleman’s children, the supervisor of a tenant farm, Gwanpo army, and farmers. At the same time, in relation to the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t was confirmed that their property and possessions were confiscated when they were found to be participating in Donghak Peasant Army even after they escaped.

      • KCI등재

        현대시에서 동학 공간과 인물의 형상화 양상 ―『황토현에 부치는 노래』를 중심으로

        지현배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3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현대시에서 동학 관련 공간과 인물이 형상화 되는양상을 탐구하기 위함이다. 동학농민혁명의 과정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는 현장이나 동학의 주요 인물과 관련된 지리적 공간이 작품 속에 반영된 특징을살피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동학 관련 작품들을 모아 편찬한『 황토현에 부치는 노래』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 한다. 지역의 행정 단위 혹은 산이나 강등 자연물의 이름과 관련된 공간은 주로 동학농민혁명의 현장이 되었던 전라도와 충청도가 중심이 된다. 작품에는 동학의 역사적 현장에 대해서 당대의 실상을 그리는 내용이 있었다. 그리고 동학의 역사적 공간을 현재의 관점에서 변화상을 비교하는 내용도 있었다. 또한 동학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과 동학의 교리 혹은 정신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들 작품에는 민중의 고난이 강조되었다. 이것은 동학농민혁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작용한다. 변화를 위한열망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동학농민혁명의 확산과 추진 동력을 증거하는 것이다. 작품에는 동학 혁명의 실패가 그려졌다. 이것은 시대적 여건과 역사적가치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다.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공간이 현대시 작품으로 형상화 되는 과정에서 민중의 고난과 변화를 위한 당대 민중의 열망, 그리고 실패의 참상이 그려졌다. 이들의 기저에는 각각 안타까움과 더불어 점철되는 한과 눈물, 좌절 속에서의희망, 역사적 연속성과 미래에 대한 동력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는 동학농민혁명과 동학의 현장, 그리고 인물에 대한 시인의 인식이 드러난 것이다. 시인들은 동학의 공간을 통해서 당대 민중에 대한 연민, 당대인이 놓지 않았던 희망을 그렸다. 그리고 이들은 동학 정신의 연속성을 통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terns that spaces andpeople have shaped in Donghak-related Korean modern Poetry. It revealscharacteristics of that fields of historical significance or geographic places relatedto major figures of Donghak in the course of Donghak revolution reflectedin the wor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works on 'Ode toHwangtohyun' that compiled Donghak-related works. The spaces related tonames of natural objects such as the local administrative unit or mountains orrivers are mainly Jeolla and Chungcheong Provinces which were major scenesof Donghak revolution. There were some comments that draw a contemporary reality about thehistorical sites of Donghak. And the historic spaces of Donghak were alsoto compare the changing features on the current viewpoint. Also includedare informations relating to Donghak-related historical figures and Donghakdoctrine or spirit. In these works, emphasis was placed on people's suffering. Itacts as support the need and justification of Donghak revolution. The desire forchange was found. This proves spread and propulsion power of Donghak. Thefailure of Donghak was described on the works. This led to discussions aboutthe contemporary conditions and historical value. People's suffering, contemporary mass desire for change and horrors offailure were drew in the process of Donghak-related spaces being shaped intomodern poetry. In the bases of these were located not only sadness but alsocompassion, hopes in frustration, power of historical continuity and the future,respectively. This reveals recognitions of the poets about Donghak revolution and it's scenes and figures. The poets drew compassion for contemporarypeople and hopes that they did not lose through Donghak spaces. And theycould find that leads to the current through the continuity of Donghak spirit.

      • KCI등재

        东学思想的再思考 - 东西方思想的 “融合” 与 “超越” -

        방호범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2

        19세기 중엽 조선조는 서양 세력의 침입으로 인해 한민족은 역사상으로 매우 심각한 위기를 직면하게 되었다. 그 당시 동학사상(東學思想)·개화사상(開 化思想)·위정청사(衛正斥邪) 등 사상들은 한국정신의 맥을 이어왔다. 그러나 동학사상의 창조성·독창성은 다른 사상과 다르다. 왜냐하면 동학사상은 한민족 특유의 무속신앙과 유불도 등 각 종교와 사상을 혼합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서양의 영향도 받았기 때문이다. 그 바탕과 맥락은 한반도에 뿌리를두고 있다. 한국 근대사에서 동학은 민족자립과 국가부강을 주장하고 한국 현대문명의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과 영향을 미쳤다. ‘천주(天主)’를 주체개념으로 삼는 동학사상은 한민족이 근대로 이어질 때 시작했다. 비록 서양의 ‘천주(天主)’ 를 반대했지만 또한 서학에서 합리적인 사상과 개념을 받아들인 것은 부정할수 없다. 따라서 동학은 동서양 사상을 융합했을 뿐만 아니라 동서양을 초월하고 독창적인 새로운 사상을 창조하려고 시도했다. 더 중요한 것은 동학이유학(儒學)·서학(西學)과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다고 하여 한국 근대사회 특히 근대화 과정에 대한 동학의 역할과 영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동학의 원전『 동경대전(東經大典)』을 예를 들면 일정한 역사적 의미와 현실적 가치가 있다. 따라서 동학은 동서양 사상에 대한 융합과 초월이다. 동학은 한국의 국학이고 동학이 주장하는 이념은 매우 유구한 새로운 사상이다. 이런 새로움은 현대성에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탈근대성을 포함하고있는 것이다. 즉 동학은 근대에서 기원했지만 근대를 초월했다. 다시 말해 동학의 창립은 근대문명의 발전과정에서 현대문명의 부정적인 영향과 역할을극복하기 위해 창립한 사상이다. 그러므로 동학의 근대성과 초근대성은 우연한 것이 아니라 필연적인 것이다. 동학은 단순한 사조가 아니라 동학혁명으로까지 발전했다. 동학혁명 투쟁을 통해 조선왕조의 봉건통치를 타파하고 외래의 침략을 극복했다. 한국 근대사에서 동학농민운동은 민족주의 발전단계의 전 과정을 거쳤고 그 시대 중요한 역사문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Joseon Dynasty was invaded by Western forces outside the peninsula, and the Korean nation was faced with a very profound crisis in its history. The thoughts of Donghak, Enlightenment and Protectionism at that time all inherited the spirit of Korea. But the thought of Donghak is different from other thoughts in creativity and originality. Because it mixes various religions and thoughts, such as witchcraft belief an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ch are unique to the Korean nation, and to a certain extent influenced by the West, but its roots and veins are root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e thought of Donghak has become the guiding ideology of advocating national independence and national prosperity, and has played a vital role and influence in the process of Korean modern civilization. The concept of “God” as the main concept of the thought of Donghak originated when the Korean nation entered the threshold of modern times. Although it opposed the Western “God”, it had to admit that it absorbed reasonable ideas and concepts from Western learning. Therefore, the thought of Donghak is an original “new” thought that “integrates”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and tries to “transcend”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Importantly, we should not weaken the role and influence of Donghak thought on Korean modern society,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ecause Donghak thought may be related to Confucianism and Western Studies. As far as the original classic of Donghak thought Dongjing dadian(東經大典) is concerned, I think it has certain historical significance and practical value, regardless of any relevant factors. Donghak thought is Korea’s traditional learning. The concept advocated by Donghak thought is “a new thought with a long history”, which is not only embodied in modernity, but also implies de-modernity, that is, Donghak thought originated from modern times but surpassed modern times. That is to say, the founding of Donghak thought i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and it is to overcome the negative impact and role of modern civilization. Therefore, the modernity and super-modernity of Donghak thought are not accidental, but inevitable. Donghak thought is not only an idea or trend of thought, but also a kind of “revolution”- the “Donghak thought revolution”. Through the revolutionary struggle of Donghak thought, the feudal rule of the Korean Dynasty was broken and the foreign aggression was overcome. The Donghak thought Peasant Movement experienced the whole process of nationalism development in Korean modern history,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important historical issues of that era.

      • 동학의 사회개혁사상과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최혜경 한국동학학회 2002 동학연구 Vol.12 No.-

        동학의 기본사상인 侍天 開關思想에 대해서 살펴보고 동학의 사회개혁사상이 바탕이 되어 봉기한 제1차, 제2차 동학농민혁명의 전개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水運이 제시한 개벽은 변혁에 중점을 둔 혁명사상으로 民의 개혁을 유도하였으며 지배계층에게는 반성과 새로운 의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즉 동학사상 안데 내재되어 있던 사회개혁의 원리, 정치혁명의 원리가 민중의 의식성장과 더불어 표출된 것이 동학농민혁명이었다. 동학의 사회개혁사상은 南接과 北接이 뜻을 같이 하는 가운데 동학농민혁명 전 시기를 통해서 그 원동력으로 작용하였으며 동학사상의 보급은 全琫準의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The social reform thought of Donghak which was formed by SuWoon(水雲) Choi Jae Woo(崔濟愚) acted as a basic one during the period of its peasants' revolution. At that time of Donghak peasants' revolution, Chon Bong Jun(全琫準) at southern party(南接) and Choi Shi Yung(崔時亨) at northern party(北接) were not in an opposition. The spread of thought of Donghak had a great influence Chon Bong Jun on his activity.

      • KCI등재

        동학사상과 증산교사상 비교 연구 -『대순전경』초판을 중심으로-

        배문규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onghak(東學) founded by Choe Je-u(崔濟愚, 1824~1864) is represented in Jeungsangyo, a religious movement founded by Gang Il-sun(姜一淳, 1871~1909) by comparing major thoughts of the two movements. The thoughts of Donghak and Jeungsangyo were compared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y involve the thought of Gyeongcheon(敬天; revering Heaven). It was an indigenous ethnic idea of Korea to respect the sky itself. Donghak is one of the modern thoughts that reflect this idea of revering Heaven, and Jeungsangyo also reveals the thought as it is. Second, they both use incantations(呪文). Incantation has long been a religious behavior and used widely in religious rituals. It is Choi Je-u who used incantations in respect of new modern religions. The followers of Jeungsangyo have used the incantations of Donghak as they are or created their own ones. Next, they represent the thought of human respect(人間尊重). Donghak was a movement strongly against foreign invasions and feudalism. Anti-feudalism can be embodied by human respect and human equality. This thought was extremely progressive in the hierarchical society of those days. Human respect and human equality are found in all new religions after Donghak such as Jeungsangyo. Last, they tell of Gaebyeok(開闢). Gaebyeok means that another world of the Latter Heaven(後天),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Heaven(先天),will appear. This kind of thought is found in all of the new modern religions. Among them, Donghak was the first to introduce the idea and make it widely known to the public. Donghak’s thought of Great Opening became more concrete in Jeungsangyo. No thought has been established single-handed. The history of thoughts was a history of influencing or embracing critically other thoughts. The same is true for Jeungsangyo founded by Gang Il-sun. It is thought that Jeungsangyo, although founded under the influence of diverse ideas, was affected the most by the thoughts of Donghak. 이 연구의 목적은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창시한 동학(東學)사상이 강일순(姜一淳, 1871~1909)의 증산교(甑山敎) 사상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다음 내용들을 중심으로 동학사상과 증산교 사상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경천사상(敬天思想)이다. 경천사상은 하늘 자체를 존중하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민족사상이다. 이 경천사상이 강하게 투영된 근대 민족사상이 동학이다. 증산교도 이러한 경천사상이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난다. 둘째, 주문(呪文)이다. 주문은 오래전부터 있어 온 종교 행태이다. 근대 신종교에서는 최제우가 주문을 사용하였다. 주문은 주로 종교 의식에 사용되고있는데, 증산교에서도 동학의 주문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자신들의 주문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셋째, 인간존중사상(人間尊重思想)이다. 동학은 반외세·반봉건적인 모습이강하게 나타났다. 반봉건적인 모습의 대표적인 것이 인간존중과 인간평등이다. 이것은 당시 신분사회에서는 매우 진보적인 생각이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인간존중과 인간평등은 동학 이후 증산교를 비롯한 모든 신종교에서 그 모습이 나타난다. 넷째, 개벽사상(開闢思想)이다. 개벽은 선천(先天)과는 다른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는 뜻으로 후천(後天)개벽을 말한다. 후천개벽은 근대 신종교에서 모두 나타나는 사상이다. 하지만 후천개벽사상을 최초로 도입하여 널리 알린 신종교는 동학이었다. 동학의 후천개벽은 증산교에서 더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오랜 역사에서 어떤 사상이라도 혼자 뚝 떨어진 사상은 없었다. 어떤 사상의 영향을 받거나 어떤 사상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만들어지는 것이 사상의 역사였다. 강일순의 증산교 사상도 마찬가지이다. 다양한 사상의 영향을받아서 증산교 사상이 형성되었지만, 무엇보다 동학사상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계급에 따른 전승자의 말하기 방식

        박현숙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7

        이 글은 동학농민혁명담 증언록을 통해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에 대한 말하기 방식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에 대한 전승자의 말하기 방식과 태도가 계급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드러난다. 첫째, 전승자는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한 전봉준과 참여자의 연계성을 부각시키거나 후대 권위가 있는 역사가의 참여자에 대한 평가를 내세워 자랑스러운 참여자의 면모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증언자의 이러한 말하기 방식은 참여자 계급과 관계없이 나타난다. 둘째, 전승자가 참여자에 대해 사실적 정보 위주로 객관화시켜서 증언함으로써 참여자의 능력과 권위의 신뢰성을 높이려는 말하기 방식을 쓴다. 혈육조차가 참여자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말하기 방식은 참여자가 만인이 존경할만한 인물임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주로 양반 계급의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에 대한 증언자에게서 나타나는 말하기 방식이다. 셋째, 증언자와 참여자 주변인물의 주관적인 평가에 기반하여 참여자의 권위와 능력을 부각시키는 말하기 방식을 쓴다. 참여자의 외형, 지식수준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통해 참여자가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할 만한 뛰어난 인물임을 부각시킨다. 그리고 참여자 주변 인물들의 증언을 반영하여 참여자의 동학농민혁명 참여 여부와 능력을 확인시킨다. 이는 농민 계급의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에 대한 증언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말하는 방식이다. 전승자들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에 대한 자긍심을 드러내고, 역사적 재평가를 위해 다양한 말하기 방식으로 참여자의 행적을 증언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담, 증언록, 말하기 방식, 계급성, 농민군, 동학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verbal style abou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ticipant and figure out its meaning based on the testimon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stories. The witnesses’ speaking method and attitude to the participant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are reveal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ir hierarchy as follow. First, the witness highlights the connectivity between participants and Jeon BongJun who le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r intends to emphasize participants’ proud side by using an authoritative historian’s evaluation about the participants. This witness’s speaking style appears regardless of participants’ class. Second, the witnesses use the speaking method that inten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articipants’ competence and prestige by testifying the participant objectively with the factual information. Even the kin, the speaking method objectively evaluating the participants is to emphasize that the participant is a respectable person. It is a speaking method that appears in witnesses who atteste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ticipants of mainly nobleman classes. Third, based on the subjective evaluation from the witness and the people around the participants, they use a speaking method that emphasizes the authority and ability of the participant. The witnesses underline that the participant is an excellent person to participate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rough the subjective evaluation about participant’s appearance and knowledge level. Also, it reflects the testimony of the people around the participant and confirms participant’s ability and participation or absent in regar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is is a noticeable speaking method from the witnesses who testified about the participant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o belong to the peasant class. The witnesses express their pride about participan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estify the participants’ achievements in various speaking ways for historical reevaluation

      • 군산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과 성격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24 동학농민혁명 연구 Vol.2 No.-

        이 논문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군산·임피·옥구 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과 성격을 고찰한 글이다.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 초기과정에서 옥구, 임피, 군산지역 에서 동학농민군의 움직임은 거의 없었다. 1894년 6월부터 군산진에서 동학농민군 의 활동이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10월까지 군산진의 좌수 문규선과 동학농민군은 군산진을 장악하고 활동을 전개하였다. 수세(收稅) 활동을 하기도 하고 배의 이동을 통제하기도 하는 등 군산진은 완전히 동학농민군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조선정부는 동학농민군이 장악한 군산진에 대해 최건수를 군산첨사로 임명하여 조직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최건수는 군기와 아전을 점고하고 수성군을 조직하였다. 그는 성하영의 진압부대를 통해 군산진을 동학농민군으로부터 회복하고, 이를 지켜 나가기 위해 수성군 조직을 강화하였다. 한편 임피지역은 세 지역 중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었다. 김해룡과 김문화가 대표적인 지도자로 이들은 2차 봉기 과정에서 임피 북일면 성동 리를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하였다. 옥구지역에서도 많은 동학농민군들이 활동을 전개하였다. 고진호는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옥구관아에서 처형되 었으며, 최중여 역시 전주감영에서 처형되었다. This essay examines the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the regions of Gunsan, Impi, and Okgu regions, which were not well known until now. In the early stages of the 1st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re was almost no movemen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the regions of Okgu, Impi, and Gunsan.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began in Gunsanjin (military organization at Gunsan) in June 1894. Starting from this time until October, Mun Kyuseon, the Jwasu (a position at Gunsanjin) of Gunsanjin,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took control of Gunsanjin and carried out their activities. Their activities included taxation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boats and ships, indicating that Gunsanjin was complete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Donghak Peasant Army. The government of Joseon sought to recover the organization of Gunsanjin by appointing Choi Geonsu as a military attaché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Gunsanjin by the Donghak Peasant Army. Choi Geonsu organized the defense militia, thoroughly investigating their numbers as he individually marked every military standard and official. He recovered Gunsanjin from the Donghak Peasant Army through a suppression force under Sung Hayoung and reinforced the defense militia to defend it. Meanwhile, the Impi region was where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the most active among the three regions. Kim Haeryong and Kim Moonhwa, two key leaders, carried out their activities during the 2nd uprising centered around Seongdong-ri, Bukil-myeon, Impi. The Donghak Peasant Army also carried out much of their activities in the Okgu region. Ko Jin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but was arrested and later executed in the Okgu government office, with Choe Joongyeo also being executed in the Jeonju provincial office.

      • KCI등재

        3.1운동 전후 동학농민전쟁 인식의 변화와 확산

        홍동현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5

        The studies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1894 are based on historical narratives called “Pioneering of the Modern People’s Liberation Movement” leading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s a people-led anti-feudal and anti-imperialist reform movement. These narratives were formed around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nd could be spread in conjunction with popular cul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version of intellectuals’ perceptions of the peasant war and the process of spreading such perceptions to the public, and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national movement process since 1919 along with the meaning of it. First of all,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memory of the Donghak peasant war was summoned in earnest and began to be recognized again, which was due to the intellectuals’ expectations of the people’s capabilities demonstr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addition,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actively summoned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process of political empowerment of the Cheondogyo groups centered on them. To this end, ‘Gaebyeok’, a publication of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actively summoned the memory of the Donghak Peasant War, and sought to secure their political status and legitimacy within the nationalist forces. In the process, the Donghak Peasant War was reinterpreted as a people’s movement, and could be sprea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popular cultures. In particular, with the spread of “待望論,” looking forward to the emergence of heroes since the mid-1920s, Jeon Bong-Joon could emerge as the leader of the people. Jeon Bong-Joon’s biography, which was published at the time, was commercialized based on such popularity, and Lim Sun-gyu, the greatest star of the time, also gained considerable popularity by performing the drama “Donghakdang”.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formed during this period was still limited, and did not escape the framework of civilization in the 1900s. Although evaluated as a people’s movement, the Donghak peasant war was led by the people who were converted (enlightened) by Donghak, and was a political reform movement developed by the guidance of the pioneers such as Jeon Bong-Joon and Choi Si Hyung. This recognition did not deviate greatly from the logic that civilization rehabilitationists in the 1900s attempted to embrace the Donghak Peasant War as part of the political reform movement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Therefore, ‘斥倭倡義’ that was raised during the Donghak Peasant War was still out of their view. Rather, “斥倭” is nothing but outdated anti-foreignism and was evaluated not only as the lack of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but also as a cause of the failure of the Donghak Peasant War. However, this limitation of the perception seems to have acted as a factor in which various attempts of the Cheondogyo forces who tried to consolidate the national movement forces through the Donghak Peasant War were frustrated. 1894년 동학농민전쟁 연구는 민중 주도의 반봉건·반제국주의 변혁운동으로서 1919년 3.1운동으로까지 이어지는 ‘근대민족해방운동사의 선구’라는 운동사적 서사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서사는 1919년 3.1운동을 전후로 형성되었으며, 대중문화와 결합되어 확산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의 전환과 확산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미와 함께 1919년 이후 민족운동 과정에서 동학농민전쟁이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3.1운동 직후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기억이 본격적으로 소환되어 재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3.1운동에서 보여준 민중적 역량에 대한 지식인들의 기대감 때문이었다. 또한 3.1운동 이후 천도교 청년회를 중심으로 한 천도교세력의 정치세력화 과정에서 이들은 동학농민전쟁을 적극적으로 소환하였다. 이를 위해 천도교청년회 기관지인 『개벽』은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기억을 적극적으로 소환하였으며, 민족주의 세력 내 자신들의 정치적 위상과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동학농민전쟁은 민중운동으로서 재해석되었으며, 다양한 대중문화와 결합되어 확산될 수 있었다. 특히 1920년대 중반 이후 영웅의 출현을 고대하는 ‘待望論’이 확산되는 가운데 전봉준은 민중의 지도자로 부각될 수 있었다. 당시 출간 되었던 전봉준위인전은 이러한 대중적 인기를 기반으로 상업성을 띄고 있었으며, 당대 최고 스타였던 임선규는 연극 「동학당」을 공연하여 상당한 인기를 끌기도 했다. 하지만 이시기 형성된 동학농민전쟁 인식은 여전히 제한적이었으며, 1900년대 문명론적 인식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비록 민중운동으로서 평가되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동학에 의해서 개조(계몽)된 민중이 주도한 것이었으며, 전봉준이나 최시형과 같은 선각자의 지도에 의해 전개된 정치개혁운동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1900년대 문명개화론자들이 조선의 문명화를 위한 정치개혁운동의 일부로 동학농민전쟁을 포섭하고자 했던 논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들의 시야에서는 동학농민전쟁 당시 제기되었던 ‘斥倭倡義’는 여전히 벗어나 있었다. 오히려 ‘척왜’는 시대에 뒤쳐진 배외주의에 불과한 것으로, 민중의 정치의식 부재로 평가받았뿐 아니라 동학농민전쟁의 실패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의 한계는 오히려 동학농민전쟁을 매개로 민족운동 세력을 결집하고자 했던 천도교 세력들의 다양한 시도들이 좌절되는 한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