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인도 회사 특허법 개정이 인도선교에 미친 영향

        유경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3 복음과 선교 Vol.62 No.-

        During the 19th century, India served as a crucial bridgehead for Britain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the Asian market, an endeavor undertaken by the East India Company. The East India Company gained significant economic benefits in India, giving it an edge over its Dutch competitors. To ensure the continued generation of wealth, the company adopted a policy of religious tolerance and non-interference in India unti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owever, in the 19th century, the East India Company went beyond being a simple commercial organization and was elevated to the position of an Indian ruler, resulting in a requested change in the existing policy. During this period, evangelical nonconformists with a passion for mission were active in England, inheriting the faith of the revival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They criticized the East India Company's policy of non-intervention and instead insisted on saving Indians through Christian faith. The East India Company, seeking to further its own interests, and evangelicals advocating for Christian mission coexisted by frequently engaging in cycles of confrontation, conflict, and reconciliation. After the Charter Act 1813(East India Company Act 1813) was amended in 1813 to include a pious clause(missionary clause), the coexistence of company and mission became possible. Despite opposition from the East India Company, amendments aimed at improving the spiritual welfare of Indians received support from British society. In the end, through to the tireless efforts of British evangelicals led by Wilberforce, the Charter Act 1813 was revised, and the modern missions movement expanded significantly. 본 논문은 동인도 회사가 인도 선교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다. 19세기 영국은 인도를 교두보로 아시아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했고 이는 동인도 회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영국 동인도 회사는 네덜란드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며 인도에서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고, 막대한 부의 창출이 계속될 수 있도록 18세기 말엽까지 종교적 관용과 불간섭의 정책을 취하였다. 그러나 19세기 동인도 회사는 단순히 상업 조직을 넘어 인도 통치자의 위치로 격상되며 기존 정책에의 변화가 요청되었다. 이 시기 영국에서는 18세기의 부흥운동의 신앙을 이어받아 선교에 뜨거운 열정을 가진 복음주의 비국교도들이 활동하고 있었다. 그들은 동인도 회사의 비간섭주의를 비판하며 기독교 신앙을 통해 인도의 폐습을 철폐하여 인도인을 구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대 이익을 추구하는 동인도 회사와 기독교 선교를 주장하는 복음주의자들은 대립과 충돌, 연합을 반복하며 공존했다. 기업과 선교의 공존이 가능했던 것은 1813년 동인도 회사 특허법 개정에 의해 동인도 회사에 경건 조항(선교사 조항)이 삽입되면서부터였다. 동인도 회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영국 사회에서는 인도인들의 영적 복지를 위한 개정안이 지지를 받았다. 마침내 윌버포스를 중심으로 한 영국 복음주의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동인도 회사 특허법 개정이 이루어지며 현대 선교 운동의 거대한 확산이 일어났다.

      • KCI등재

        18세기 영국 우스터 자기와 중국수출자기의 영향관계 : 청화백자 풍경문 다호를 중심으로

        이정민(Lee, Jungmi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18세기 영국동인도회사를 통한 중국과의 차와 도자무역은 조지안 사회에 새로운 취향과 소비혁명을 불러 일으켰다. 영국 내 급증하는 차 소비량과 더불어 이에 적합한 다도구의 필요성은 영국자기회사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자본주의와 기술발전의 핵심인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1740년대부터 수도인 런던 주변 지역, 영국 남서부 지역의 세번 벨리(Severn Valley), 중부의 스테퍼드셔(Staffordshire)와 더비셔(Derbyshire), 북서부의 리버풀(Liverpool) 그리고 동부의 서폭(Suffolk) 지역의 중심으로 영국 자기회사들이 설립되었다. 각 지역별 원료의 확보 및 운반 그리고 완성된 자기의 운송이 용이하도록 항구도시나 큰 강 부근에 형성되었다. 반세기에 걸쳐 30여 곳이 넘는 영국 자기회사가 설립, 합병, 폐업 되는 과정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안정적으로 자기개발을 이룩한 독일이나 프랑스와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영국자기의 발전은 지역별 다양하게 채택된 태토의 구성만큼이나 다채롭고 장식요소 역시 회사별로 동일한 주제 속에서도 개별적이고 독특한 취향이 반영되어 영국만의 고유한 특수성이 드러나는 측면이 흥미롭다. 영국 우스터 자기회사는 설립이래 40년간 청화백자 생산량이 총 75%에 달했다. 동시기 영국자기회사들 중 가장 오랜 시간동안 제일 많은 청화백자를 생산하여 경매나 소매업에서 거래되는 비율이 25%를 차지한다. 본고에서는 영국 우스터 자기회사의 풍경문이 시문된 청화백자 다호를 중심으로 중국수출자기의 영향과 영국도자의 독자적 양식과 제작기술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화백자는 중국수출자기로서 가장 많이 수출된 스타일이며 난파선 출수품의 기록을 분석할 때 수량적으로나 보존 상태에서 유행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영국의 동인도회사의 수출입 기록은 부분적으로 유실되고 상세한 주문 목록 또한 구체적인 스타일이 명시 되어 있지 않아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연구방법으로 중국수출자기의 양상과 유행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영국동인도회사의 난파선 및 기타 유럽지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는 난파선 출수품 양상을 분석하였다. 특히 예테보리(Göteborg, 1745), 겔더말슨(Geldermalsen, 1752) 등 기타 유럽지역으로 항해하고 있었던 선박의 출수품들은 영국으로 수출된 것과 비교분석적인자료에서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그리고 영국동인도회사 선박이었던 그리핀(Griffin, 1761)은 영국으로 수출된 중국자기 분석에 중요한 자료이며 특히 1797년에 난파된 시드니 코브(Sydney Cove)의 경우 영국 식민지로의 중국자기수출 활동에 관한 기존 수출품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난파선출수품의 스타일 변화와 동시기 제작된 영국자기와의 상호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출수품 분석은 용도 및 종류의 구분 없이 풍경화의 장식 요소를 중심으로 집중 비교 분석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경제적, 기술적, 지역적인 맥락에서 영국 남서부 지역의 세번 강(River Severn) 부근에 설립된 우스터 자기회사의 청화백자 제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751년 존 월 박사(Dr John Wall, 1708-76)를 비롯해 그 외 14명의 투자자들을 기반으로 설립된 우스터 회사의 강점은 자체적인 원료 개발에 있었다. 동석을 첨가해 연질자기의 기능적인 한계를 극복한 것은 동시기 기타 자기회사, 런던의 첼시, 스테퍼드셔의 롱턴, 그리고 더비회사가 극복하지 못한 문제를 넘어서 중국수출자기에 견줄 만한 내구성을 갖춘 획기적인 일이었다. 또한 장식적인 면에서도 중국수출자기의 단순 모방을 넘어 전사기법을 적극 도입하여 영국식 취향과 시대적인 미감을 반영하여 영국자기 발전사에서 독창적이고 경쟁력 있는 회사로 자리매김 하였다. The establishment of English East India Company and tea and porcelain trade with China brought new tastes and consumer revolutions to Georgian society. The demand of suitable tea wares coupled with the soaring consumption of tea in England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English porcelain factories. The socio-economic features of Industrial capitalism were reflected on formation of English manufactures from around 1740s in London, Severn Valley, Staffordshire, Derbyshire, Liverpool and Suffolk region. It was formed in the port city or near large river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raw materials and shipping ready goods. There were more than thirty English porcelain factories active over half a century which merged, closed, and became successful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y faced. The English porcelain manufacturing context was relatively unpromising compared to Germany or France where they had supports on a national level. However, variations on style and technology were the strength of the English ceramic industry. The Worcester porcelain factory produced blue and white porcelains a total of 75% of its overall porcelain production in the forty years of its establishment. At the same time, Worcester produced the most blue and white porcelain for the longest period in England and now almost 25% of transactions are covered with Worcester porcelains at auctions or reta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nese export porcelain on Worcester blue and white landscape decorated teapots and how Worcester developed its own stylistic features and decorating techniques.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was the most popular exported style among Chinese export porcelains and this clearly illustrate the changes in export trend. As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s records are partly lost and detailed orders are not recorded, there ar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overall backgrou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Chinese export porcelain, I have analyzed the shipwreck founds of Göteborg(1745) and Geldermalsen(1752) in comparison to Griffin(1761) which was owned by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 and Sydney Cove(1797). The shipwreck data is studied with the focus on stylistic changes in landscape decoration. In this paper, I have looked into Worcester blue and white porcelains from economic, technical and regional perspective. Founded in 1751 by Dr. John Wall (1708-76) and 14 other investors, the company"s strength was in developing its own raw materials. Overcoming the functional limitations of soft-paste porcelain with the addition of soapstone was a critical breakthrough that seemed to be difficult by Chelsea in London, Longton Hall, Derby, and other factories. Worcester also adopted the transfer decoration technique and this is regarded as a very significant move to stop mimicking Chinese export decorations and manifest the true British taste and the aesthetics of the time, which marked Worcester as a very revolutionary and competitive porcelain factory in English porcelain history.

      • KCI등재

        네덜란드 개혁교회와 일본 선교

        백종구(Chong Ku Pae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17세기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일본 선교를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erenigde Oost India Compagnie [Dutch East India Company], 이하 VOC)의 현지 일본인 선교와 네덜란드인 회사원들 목회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그 전략을 밝히고, 네덜란드인 회사원들의 종교생활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또 VOC의 일본 선교 전략이 아시아 한인 디아스포라 목회 전략을 결정하는 데 유익한 점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주제와 관련된 시기 일본 막부의 해상무역과 그리스도교 금지 정책과 개혁교회의 일본 선교에 대해 기존 연구를 참고할 것이다. 특히 VOC의 현지 일본인 선교와 네덜란드인 회사원의 목회 전력에 대해서는 네덜란드어 자료를 수집하여 해석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론에 이어 2장에서 16-17세기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탄생과 발전, VOC 해상무역의 일본 진출, 3장에서 VOC의 일본 선교 전략, 4장에서 일본 데지마 체류 VOC 네덜란드인 회사원들의 종교생활을 기술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일본 선교는 해상무역으로 일본에 진출한 VOC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VOC는 상업적 이윤과 종교의무(복음전파)의 두 마리 토끼를 잡기위해 일본 막부의 반그리스도교적 요구와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선교와 목회의 요구를 절충하여 다음과 같은 이중전략을 세웠다. 1) VOC는 상업적 이윤을 위해 상업(해상무역)과 종교(현지 일본인 선교)를 분리시키고, 일본인 선교를 자제한다. 2) VOC는 네덜란드의 신민으로서 종교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신앙생활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구분하고, 공적 영역의 신앙생활을 가능한 자제하게 하고 사적 영역의 신앙생활을 권면한다. 끝으로 동인도회사의 현지 일본인 선교와 네덜란드인 목회 전략이 주는 교훈은 한인 디디아스포라의 목회는 한인 디아스포라의 사업적 성공과 영적 건강 유지를 위해 현지의 상황과 선교를 지원하는 단체(예를 들면 한국 교회나 특정 선교회)의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utch Reformed Church’s mission to Japan through the VOC(Verenigde Oost India Compagnie [Dutch East India Company], below VOC). Specifically it aims to describe the VOC’s strategy of mission to the Japanese and pastoral care of the Dutch in Japan. The VOC,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ommunicating between the Reformed Church and the Shogunate(1609-1799), came to form an strategy of mission to the Japanese and pastoral care by reconciling the Shogunate policy of prohibiting Christianity on the Japanese soil and the Reformed Church’s policy of propagating Calvinism to Japan and preserving VOC’s employee’s faith in Japan.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terary materials provided by previous studies on the Shogunate policy of maritime trade with the Dutch and Christianity in Japan, and the Reformed Church’s idea of foreign mission to Japan. In particular it collects, and interprets, the materials in the Dutch for the Reformed Church’s ideas of foreign mission to Japanese and pastoral care of the Dutch at Dejima in Japan. Following the introduc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Reformed Church in the Netherlands during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VOC’s beginnings of maritime trade with Japan. Then it deals with the discourse by the Reformed Church and the VOC on the issues concerning the Reformed Church’s ideas of mission to the Japanese and pastoral care of VOC’s Dutch employees. Finally it reconstructs the religious life of the Dutch at Dejima in Japan. The study’s results as followed: The Reformed Church’s ideas of mission to the Japanese and pastoral care of VOC’s Dutch employees that materialized in the VOC’s strategy of mission to the Japanese and pastoral care of the Dutch in Japan, which was carried out in terms of the religious life of the Dutch at Dejima in Japan. The VOC created the twofold strategy for its commercial profit and its religious obligation: for its commercial profit the VOC separated its maritime trade with Japan and its foreign mission to Japan; as well for its religious obligation it prohibited the Calvinistic faith in the public sphere but preserved it in private sphere in daily life among its Dutch employees at Dejima in Japan.

      • KCI등재

        동인도 회사와 성경 번역

        유경하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3 복음과 선교 Vol.64 No.4

        17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 경제적 ‧ 종교적 지형도가 급격하게 변화한 시기였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제치고 아시아로 진출한 네덜란드와 영국은 가톨릭 국가였던 두 나라와 구별되는 정책과 조직을 갖추었고 선교방식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였다. 네덜란드와 영국의 아시아 진출은 동인도 회사라는 상업조직을 통해 이루어졌고, 회사의 최대 목표는 주주의 이윤 창출이었지만 자국의 종교적 상황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영국 동인도 회사는 각각 도르트 총회와 영국 부흥운동이라는 신학적 배경과 연결되어 있었고 이러한 상황은 이들이 진출한 아시아 국가들에서 독특한 사역적 결실들을 맺게 하였다. 동인도 회사가 기독교 진리에 충실한 것은 아니었지만, 네덜란드의 개혁주의와 영국의 복음주의의 영향을 받은 목회자와 성도들, 그리고 동인도 회사 내 채플린들과 소수 직원들의 지속적인 연합과 노력으로 아시아의 여러 언어들로 성경 번역이 이루어졌다. 채플린들과 직원들은 온갖 열악한 환경 속에서 말레이어, 힌디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중국어 등의 언어로 성경을 번역했고, 그 과정에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영국 동인도 회사는 소속 채플린들과 직원들의 지위와 안전을 보장하는 보호막이 되었다. 3세기에 걸쳐 진행된 성경 번역은 아시아 지역의 복음 전파에 커다란 디딤돌을 놓으며 선교의 위대한 세기로 연결되었다. The 17th century was a period characterized by significant and rapid transformations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landscapes of both Europe and Asia. Netherlands and England, as they ventured into Asia, surpassing Spain and Portugal, adopted policie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set them apart from the two Catholic countries. Additionally, they exhibited differences in their missionary approaches. The Asian expansion of the Netherlands and England was carried out through commercial organizations known as the Dutch and English East India Companies, with the primary objective of these companies being profit generation for shareholders. However,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the religious circumstances of their respective homelands.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and the English East India Company were each associated with distinct theological backgrounds, such as the Dortsche Synod and the English Revival movement. These circumstances led to unique missionary outcomes in the Asian countries they ventured into. The East India Companies were not steadfast in adhering to Christian truths. However, the Reformers in the Netherlands and Evangelicals in England translated the Bible into various Asian languages through continuous collaboration and effort with a small number of chaplains and employees within the companies. The chaplains and employees of the companies translated the Bible into various languages, including Malay, Hindi, Arabic, Persian, Chinese, and more, amidst challenging environments. In this process, the East India Companies had served as protective shields for their chaplains and employees, ensuring their status and safety. The three centuries-long Bible translations had become significant milestones in the spread of the Gospel in the Asian region and connected to a great era in missionary endeavors.

      • KCI등재

        淸代 廣東行商 怡和行 伍秉鑒 (1769-1843)의 활동과 그 위상 -英國東印度會社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기수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7 No.-

        本稿通過怡和行的發展過程、伍秉鑒在行商中的地位、以及與東印度公司的關係對怡和行的伍秉鑒進行了考察.1783年同文行的帳伍國瑩령立門戶創立了怡和行.1792年伍國瑩將怡和行傳給了次男伍秉鈞,1801年伍秉鈞病逝之後其弟伍秉鑒繼承了怡和行.雖然怡和行的主人幾經更替但是怡和行却依然持續成長,在行商中的地位也不斷提高.1809年伍秉鑒成爲行商代表商總(總商的前身),隨後在1813年成爲名符其實的行商領導者總商,一躍成爲地位最高的行商.伍秉鑒雖然在1826年及1833年將怡和行托付給四男伍受昌(卽伍元華)與五男伍紹榮(卽伍元薇),但是却依然做爲原商來掌控着怡和行.1840年兩廣總督曾說過在所有行商中只有怡和行可以說得上是殷實,到行商制度廢止時,能구一直維持繁榮的也就僅僅怡和行一家而已.爲了考察怡和行在行商集團內部的位置,首先要推算下怡和行在與東印度公司的貿易合約中所占據的貿易比重.在馬士(H.B.Morse)的編年體式的著作(TheChroniclesoftheEastIndiaCompanyTradingtoChina,1635-1834:東印度公司對華貿易編年史)中,可以조出自1801年伍秉鑒接手怡和行起到1833年東印度公司喪失對中國貿易的壟斷權的三十多年中各行商所承擔的其中二十個年분易比重.在整個二十年中可以確定怡和行在各行商中貿易額占據第一的年분14次.二十年間,怡和行每年平均所占據的貿易額比重有17%.因爲這期間行商平均數是9.9個,所以可以知道怡和行至少多承擔了7%的貿易額.比其他行商多承擔貿易額的意義在於怡和行與其他行商相比有了更多的資本積累的機會.從怡和行給其타小行商近50萬兩巨額的貸款的事實中就可以一窺怡和行在行商中的地位.通過這樣的貸款怡和行可以强化其對其타小行商的影響力與統制力.同時可以確定的是怡和行充分發揮了其做爲總商應該爲行商的利益代言與保護行商的作用.령一方面,通過與貿易合作화伴東印度公司的關係還可以考察出怡和行령一個面貌.1813年,東印度公司喪失了對印度貿易的壟斷權,公司經營業績不利,爲此,每當資金窘迫的時候主要是向怡和行貸款.平均每年向行商欠的77萬兩中的60%以上,也就是46萬兩以上的貸款、債務都是從怡和行得到的.不僅如此,每當東印度公司退守澳門的時候,都讓怡和行代爲保管公司的大量資金與財物.結果怡和行的存在對于東印度公司來說就像是銀行.以前雖然都抽象的將怡和行的伍秉鑒췌想爲最高行商、或是最有力的行商,本稿却對怡和行伍秉鑒的貿易比重進行了具體的推算、幷揭示了其與同僚行商及東印度公司間的借貸狀況.因此,這與以往的怡和行伍秉鑒的富者形象相比更加具體化,幷且更容易使我們思考出其在行商集團內部的領導者的地位.

      • 17세기 초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동북아시아지역 차(茶) 무역에 관한 고찰

        이묘희 ( Lee Myohee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7 한국예다학 Vol.5 No.-

        유럽의 동인도회사들은 유럽 대륙으로의 차문화 도입과 차산업의 확산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아시아 차 교역과 관련하여서는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1610년 일본 히라도에서 밴텀을 거쳐 유럽으로 차를 최초 수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히라도 상관을 통해 최초 교역한 차가 일본의 차라고 하더라도 어느 지역의, 어떤 차인지 분명하지 않아서 일본차라고 규정짓기에는 소명되어야 할 사항이 많이 남아있다. 차의 교역 물량 또한 17세기 초 일본의 무역통계구조로 볼 때 소량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반면 히라도 상관을 통해 교역한 차가 중국차라고 유추할 수도 있다. 당시 명과의 교역을 원했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명의 해금정책으로 인해 정식교역을 할 수 없었으나 중국의 물품과 물자를 해상의 밀무역에 의지해 수급에 도움을 받고 있었다. 때문에 밀무역을 통해 중국차를 입수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전쟁을 제외하고 타 문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꼽을 때 거래나 교환과 같은 무역거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무역거래는 다른 문화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술, 과학, 예술, 생활, 사상 등의 변화와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유럽의 차문화 확산에 있어 유럽 동인도회사들의 차 무역 활동이 기여한 바가 크다. East Indian companies in Europ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introduction of tea culture to the continent and the proliferation of the tea industry. In connection with the Asian tea trade,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first exported tea to Europe via Bantam in Hirado, Japan in 1610. However, the exact kind of tea remains unknown, even though it was a Japanese tea.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a Japanese tea. The trade volume of tea was estimated to be a small proportion of Japan's trade statistics in the early 1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tea traded through the Hirado Commerce Hall was a Chinese tea. At the time,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which wanted to trade with the Ming dynasty, was unable to trade officially because of the Sea Prohibition policy. However,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which needed Chinese goods and supplies, was helping to supply goods by relying on maritime merchants. The present study analysis suggests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obtain Chinese tea.

      • KCI등재

        갈등(葛藤)·협력(協力)·예속(隸屬) ― 청대(淸代) 광동대외무역중(廣東對外貿易中)의 행상(行商)과 동인도회사(東印度會社)의 관계(關係)를 중심으로 ―

        박기수 ( Park,Keesoo ) 명청사학회 2011 명청사연구 Vol.0 No.36

        伍浩官(卽伍秉鑒)是個相當成功的行商, 他的財産在1834年已達到2,600万銀元, 成爲世界上最大的富豪。 這與當時大多數行商的情況不同, 据<表1>的分析反映, 從1758年至1843年的八十余年間, 有48家行商從事經營活動, 其中33家都破産了。 三分之二破産的事實, 就使我們反思淸代特權貿易商人的實態。 我認爲行商的破産是由皇帝以及淸代國家權力野蠻掠奪的結果, 同時這也是由于東印度公司等外國商人的債務而重利盤剝。 將淸朝的掠奪和外商的債務數額單純相比后, 檢討那一方面更嚴重直接影響到行商的破産, 是无意義的。 因爲行商的破産是這兩個因素相互作用的結果。 可是, 作爲代辦征稅的行商, 以提高對外商的稅率來把淸朝的掠奪可以進行轉嫁, 借給外商的本利是怎樣償還? 這里行商別无出路就被破産, 可以說行商的債務是行商破産更直接的原因。 因此, 我們探討行商的破産時, 應當更加關注行商和外商的關系。 一般來說, 經濟主體進行經濟活動時, 最重要的動机是利潤追求。 鴉片戰爭前, 廣州是中國唯一的對外貿易港口, 這里進行的對外貿易也不例外。 在廣州對外貿易, 多樣的主體之間進行交易, 爲追求利潤, 他們之間存在着復雜的競爭與對立、妥協與協力。 當時參與貿易的商人大槪分爲四種, 卽行商、行外商人(卽非行商的中國商人)、英國東印度公司、外國散商(卽非東印度公司的外商)。 由此, 他們之間相互競爭可能有出現六個類型, 情況很復雜。 可是, 爲敍述上的便利, 本稿只能以行商和東印度公司的關系爲中心敍述, 有時補充說明與其它商人集團的關系。 通過這樣敍述方式來考察淸代廣州對外貿易的糾紛、協力、隸屬的關系。 本文里, 從糾紛、協力、隸屬等三個方面, 探討了淸代行商與英國東印度公司的關系。 我認爲, 上述三種關系, 不是依次出現的, 而是結合在一起出現的。 偶爾兩種關系幷存, 偶爾一種關系突出地顯現。但是, 大體上行商占主導地位的情況, 漸漸變爲行商隸屬于東印度公司的情況。 在外商和行商最初進行交易時, 行商的地位像是主子似的, 東印度公司大班的地位像是奴才一樣。 英國商業資本家要購買中國的茶葉和生絲, 運到本國, 以獲得經濟利益, 因此不得不像主子一樣對待帶有中國貿易獨占權的行商。但是東印度公司作爲當時英國最大的貿易公司, 具備巨大的資本, 行商則作爲缺乏資本的牙行的存在, 且一直受困于政府的掠奪。因此行商爲該公司調拔茶葉和生絲時, 因缺乏資本而要從該公司得到預收款。爲了擴大營業規模竝適應淸朝權力的捐款要求, 行商被迫走到從該公司貸款的地步。而且該公司有方針, 卽行商只有領取非市場性的毛織品, 該公司能勾買茶葉和生絲, 行商不得不服從這一方針。公行是爲掌握進出口貨物的價格而組織的, 可遭到該公司的攻勢就瓦解了。 行商以爲利用回國的公司大班的貨物, 以能勾得到利益, 這是行商的錯誤的判斷和荒唐的貪心, 這反而增加了債務的 規模。 一些行商因無法承擔債務而破産。行商爲生存得到該公司的幇助, 倂且甘願處于該公司的附庸狀態。有些行商受到該公司的監督及爲其工作。 由此, 行商的地位與此前不同, 淪落爲東印度公司或者外商諂媚討好的可悲的境地。至19世紀, 由于官僚的掠奪和對外商的債務, 行商就面臨破産的危機, 該公司采取扶植行商的方針。但這些方針不是爲了實現眞正的共存, 而是從追求商業資本的利潤出發的。19世紀後期, 在知識分子看來, 是弱肉强食、適者生存的時代, 展開貿易戰爭就是‘商戰’的時期。 在這種狀況中, 能存在着眞正的共存嗎?

      • KCI등재

        18세기 중반 영 제국의 구조 변화와 영국 사회의 반응 -클라이브 스캔들을 중심으로-

        이창민 영국사학회 2022 영국연구 Vol.47 No.-

        This paper examines the Clive Scandal in the 18th Century East India Company and the reaction of British society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empire. In particular, this paper explained how the East India Company’s acquisition of territory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mpany’s acquisition attracted many people’s attention and developed into a famous scandal. In addition,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the scandal by discovering the causes of the Clive scandal from the difference in imperial views during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British Empire. The division of the British political-economic view into Tories and Whigs after the revolution of 1688 was the start of the Clive Scandal. Whigs warned that Clive’s way of governing could lead British empire to despotic and corrupt way. At the same time, Tories supported Clive, saying that if he did not strengthen the military and administrative power of the company, the British Empire could have lost the hegemony during the 7 years’ war. As a result, Clive faced severe criticism, but in India, the British Empire and East India Company expanded their power in the New Tory way, as Clive had envisioned. This paper demonstrates the meaning of the controversy caused by the symbolic figure of East India Company, Lord Clive, amid the complicated internal problems of the East India Company and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British Empire. 본 논문은 18세기 영국 동인도회사에서 발생한 클라이브 스캔들과 영국 사회의 반응을 제국의 구조 변화라는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특히 공론장의 확대 속에서 동인도회사의 영토 획득과 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이 어떻게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서 스캔들으로 발전했는지를 확인했다. 또한 본 논문은 클라이브 스캔들의 본질을 당시 영 제국의 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한 제국관의 차이에서 발견해 스캔들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클라이브 스캔들의 기저에는 1688년 혁명 이후 토리와 휘그로 나뉜 영국인들의 정치경제관이 있었다. 휘그주의자들은 클라이브의 통치 방식이 전제적으로 변할 수 있다고 경고했고, 토리주의자들은 클라이브의 방식처럼 군사력과 행정력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프랑스와의 패권 다툼에서 패배할 수 있다며 클라이브를 지지했다. 그 결과 클라이브는 엄청난 비판에 직면했지만, 인도에서 영 제국은 그가 구상했던 바와 같이 신토리적인 방식으로 세력을 확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복잡하게 얽혀있는 동인도회사의 내부 문제와 영 제국의 구조 변화 속에서 클라이브라는 상징적 인물이 일으킨 논란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이해하고자 했다.

      • KCI등재후보

        청대 도자 중서(中西)교류의 전개와 확장-광채(廣彩)와 이슬람 세계-

        김은경 ( Kim¸ Eun-kyoung ) 동양미술사학회 2021 동양미술사학 Vol.13 No.-

        광채는 태생부터가 유럽시장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생산된 자기이지만, 18세기 후반 이후 이슬람 세계로의 소비정황이 확인되고, 19세기에 이르면 본격적인 이슬람 시장으로의 수출이 이루어져 광채자기의 생산과 수출과정에 모종의 변화가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18세기의 대표적 예로 무굴제국에 유입된 광채 식기세트가 있으나 소량에 불과하다. 이는 아마도 당시 동인도회사가 중서무역에 절대적 우위를 선점하는 가운데, 영국 동인도회사령의 무굴제국에서 아시아 간 역내무역 형태로 소량 주문되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 아시아 역내무역의 주요 축이었던 인도 무굴제국과 중국과의 소규모 거래에 의한 것으로, 수출된 광채자기의 장식이 유럽 도기에서 주로 사용된 ‘백색 위의 백색(Bianco Sopra Bianco)’ 기법이 상용된 것으로 보아 특정 계층을 위한 소량의 주문품으로 보인다. 다만 이때 광주의 요업계 역시 동인도회사를 통한 유럽으로의 대규모의 수출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이슬람 세계는 핵심 시장이 아니었다. 그러다가 1840년대 광동의 일항 체제가 종식되면서, 광채의 수출에도 드디어 변화가 감지된다. 19세기의 중국 요업계는 주요 고객을 잃으면서 새로운 시장으로의 개척이 필요했고, 광채 생산업계는 때마침 1840년대 난징조약에 의한 對중국의 자유무역이 활발해지면서 페르시아 카자르 왕조ㆍ이집트ㆍ오스만 제국 등 이슬람 세계에 의한 직접적 주문과 함께 이슬람 세계로의 본격적 수출이 이루어 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슬람 세계로 적지 않은 수량이 수출되면서, 카자르 왕조에서 생산된 채회도기의 다수가 광채 양식을 그대로 답습하기도 하였다. 즉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의 광채 수입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확인할 수 있다. Guangcai(廣彩) is a ceramics produced from birth to meet the demand of the European market, but after the late 18th century, the consumption situation to the Islamic world was confirmed and exported to the Islamic market in earnest in the 19th century. In other wor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has been some kind of change in the production and export process of the radiant ceramics. A typical example of the 18th century is the Guangcai Tableware set introduced into the Mughal Empire, but only in small quantities. Perhaps, with the East India Company gaining an absolute advantage in Chinese and Western trade at the time, it is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in small quantities in the form of trade between Asia from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s Mughal Empire. Thi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the East India Company had an absolute advantage in trade between China and the West at the time, and imported only a small amount in the form of trade between Asia from the Mughal Empire dominated by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This was due to small-scale deals with India's Mughal Empire and China, which were the main pillars of trade between Asia at the time. Given the use of the ‘Bianco Sopra Bianco’ technique, which is mainly used in European pottery, only a small amount must have been ordered for a particular class. However, the Islamic world was not a key market because Gwangju the ceramic industry at the time also focused on large-scale exports to Europe through the East India Company. Then, with the end of one port system in Canton in the 1840s, a change in the export of Guangcai is finally detected. In the 19th century, China's pottery industry lost its main customers and had to open new markets, and China's free trade was boosted by the Treaty of Nanjing in the 1840s. At this time, the Islamic world, including the Persian Qazar dynasty, Egypt, and the Ottoman Empire, placed orders directly, and it is believed that exports to the Islamic world were made in earnest. As a result, exports to the Islamic world increased, and in fact, colored pottery produced by Qajar Dynasty followed the style of these radianc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import of Guangcai in the Islamic world reached a significant level at that time.

      • KCI등재

        유형원(柳馨遠)과 동인도회사(VOC)―근대성의 개념에 대한 단상(斷想)―

        ( Boudewijn Walraven )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만약 일본이 난학(蘭學. 네덜란드의 지식을 좇아 배움)을 통해 성취했던 것처럼 한국 역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와 접촉했던 기회를 이용하여 서구에 대해 습득했더라면, 아마도 좀더 빨리 근대화를 이루어내고 일본의 식민 지배도 막을 수 있지 않았겠는가 하는 의견이 때때로 있어 왔다. 17세기 제주도 해안에 난파되어 그 후로 13-15년 가량을 조선에서 살았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소속 고용인들은 바로 그러한 기회를 제공하였다. 『磻溪隨錄』에 나타난 짧은 한 구절 덕분에, 우리는 반계 유형원이 이 네덜란드인들 중 일부를 만났으며 그들과 함께 동전의 사용에 관해 진지한 대화를 나누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그 외 가능성있는 토론의 주제들에 대해서는 어떤 상세한 정보도 찾을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인과 서구의 이 짧은 만남은 조선이 서구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었을지에 관한 의문에 대해 고찰하게끔 해준다. 당시 동인도회사 직원들로 대표되는 서구 문화의 특성을 살펴보면, 그들의 상업적 통찰력만큼이나 군사적인 폭력과 대규모 노예화에 의존했던 회사가 대변하는 “근대성”이 우리가 지향하는 바람직한 목표는 아니라고 여길 만한 충분한 이유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것은 근대성을 단순히 진보와 등치시키는 습관적인 假定을 무력화한다. It has sometimes been suggested that Korea would have been able to modernize more quickly and avoid colonization if, like the Japanese did through Rangaku (the pursuit of Dutch knowledge), Koreans too had made use of the opportunity contacts with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afforded to learn about the West. In the seventeenth century a group of employees of the East India Company who had been shipwrecked off the coast of Cheju-do and thereafter lived in Korea for 13 to 15 years offered such an opportunity. Thanks to a brief passage in Pan’gye surok we know that Yu Hyŏngwŏn met some of these Dutchmen and had a serious conversation with them about the use of coins. Unfortunately, we do not have any detailed information about possible other topics of discussion. Nevertheless, this brief Korean encounter with the West prompts us to reflect on the question of what there would have been to learn from the West. If we examine the nature of Western culture as represented by the employees of the East India Company, there are good reasons to believe that the kind of “modernity” represented by the Company, which relied as much on military violence and massive enslavement as on commercial acumen, cannot be regarded as having been a desirable goal to strive for. This undercuts the assumption that is habitually made that modernity simply equals pro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