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일본 소규모 주택의 동선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실험적 도시 단독주택의 공간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류주희,유윤지,김형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역이 여러 형태의 재개발을 거쳐 대규모 단지형 아파트로 전환되고 있는 국내에 반하여 도시의 성장과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함께하며 지속적으로 개발되어가는 일본 단독 주택문화의 특성과 배경을 이해하고, 시대적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다양한 공간들을 만들어가는 현대 일본건축가들의 실험적 주거공간의 동선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12개의 일본 현대 단독주택의 사례에서 나타난 동선에 대한 유형과 그 특성 그리고 그 유형에서 생겨나는 공간적 개방성에 대한 고찰에 들어간다. 좁은 필지의 단독주택의 수직적 형태상 선형 동선이 두드러지고 그 선형 동선과 부채형, 순환형의 동선으로 나뉜다. 역사적으로 주택의 동선은 르네상스시대의 순환형에서 19세기이후의 복도를 매개로한 부채형으로 프라이버시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해 왔으나 사례들에서는 개방적인 선형방식을 주로 사용하며 부채형 동선에 있어서도 다른 장치를 통하여 개방성을 확보하는 예들을 보여준다. 그 개방성의 방법으로서는 수직적 개방성으로 보이드 공간의 적극적 활용과 라움플랜의 사용에 따른 슬래브 간극으로의 열린 시선활용이 있으며 수평적 개방성의 방식으로는 방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영역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방법과 실과 실 사이의 벽에 창을 둠으로써 동선은 차단되나 시선은 열려있는 개방의 방법 등이 있다.

      • KCI등재

        장면연기 코칭 방안 연구 - 《시련(The Crucible)》 2막의 시선(視線)과 동선(動線)을 중심으로 -

        김동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학생배우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장면연기를 코칭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이다. 연기의 코칭 이 권위주의적이거나 결과지향적으로 이루어지면 이를 수용하는 학생배우의 입장에서는 바람직한 학습 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그들이 이해 가능하고 스스로 길을 찾아갈 수 있는 방향으로 연기코칭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연기코치가 미리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 학생배우들이 스스로 해결책 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질문법을 사용하려고 한다. 다양한 연기의 분야 가운데에서 시선과 동선의 지도에 초점을 두어 스스로 그들이 연기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 연기코칭의 방식을 연구한다. 그간 동 선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있었으나 시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시피 했다. 시선은 마음의 방향 을 따라가게 되어 있고, 그 욕구가 더욱 커지면 동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시선과 동선은 때로는 다른 방 향을 향할 수도 있으며 시선이 짧은 순간에 변화하여 의미를 창출할 수도 있다. 시선과 동선을 발견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품 분석과 장면 분석은 단락분석이나 비트분석까지 세밀화 할 필요가 있는데, 각 단위 에서 지위의 변화 양상, 이끌어가는 인물이 누구인지, 내적 갈등, 그리고 주어진 환경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시련의 2막 초반을 먼저, 네 개의 단락으로 나누고, 각 단락마다의 제목을 정하였 다. 단락마다 지위거래가 이루어지는 방식이 시선의 방향과 가지는 연관성을 고찰한 후, 단락마다 리딩 캐릭터가 누구인가와 관련하여 변화하는 시선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내적갈등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 시선과 동선의 방향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주어진 환경을 드러내는 시선의 사용방법을 연구하면서 인물의 심리를 고려함과 동시에 대본의 전후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필요성도 논하였다. 시선과 동선에 대한 연구와 연기코칭을 위한 질문법의 사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his study is about how to coach student actors scene study efficiently. When acting coaching goes in a brutal way or with result-oriented direction, student-actors tend to fail to get effective learning. thus, acting coaching should be developed through a comprehensible and self-learning way. I selected question and answer method for student actors to find creative way by themselves. I focus on gaze and blocking using question and answer method of teaching so that student actors can find creative direction on their own. There are nearly none of former studies on actor’s gaze, while there are some on blocking. Gaze tend to follow person’s mind and as his impulse accumulates, gaze can be turned to blocking. Sometimes gaze and blocking may go towards diverse directions and gaze can be changed in a short moment to reveal clear meaning of the play. It is necessary to analyze not only whole play, but also scene, unit and bit, so that we can discover proper gaze and blocking for each moment. Moreover, we need to analyse many aspects of play including status change, leading character and led character, inner conflict and given circumstance, for those concepts can be strongly related to the direction of gaze and blocking. I examine the direction of gaze and blocking of <the Crucible> act 2 regarding status change, leading character and led character, inner conflict and given circumstance. I devide for units from first scene of act 2 and named each units. And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us and gaze and blocking and leading character and gaze and blocking. Next, I tested the possibility of complex the direction of gaze and blocking to reveal inner conflict and character’s inner circumstance.

      • KCI등재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관한 연구

        박항섭,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안도 다다오는 초기 주거건축에서부터 그의 건축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한 주택작품으로 건축가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안도는 건축의 시작부터 일본의 전통성과 합리적 모더니즘을 동시에 내포하는 건축을 시도하였으며, 안도 건축의 특징으로는 노출콘크리트, 기하학 구성, 자연의 도입 등을 언급한다. 안도의 주택에는 보편적으로 모더니즘, 노출 콘크리트, 간결한 소재사용과 단순 기하학 구성, 중정과 자연의 도입, 비움과 풍요로움, 비연속적인 동선, 지역성과 인간의 삶, 일본 전통성의 접목, 낭비함이 없는 치밀한 디자인 등이 반영된 안도만의 건축 언어를 내재시키고 있다. 안도의 주거건축에는 건축적인 사고가 투영되어 있으며, 연출적인 공간구성과 동선을 관계시킨다. 본 연구는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역할을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의 연구 및 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을 조사 분석하여 그에 대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안도의 주거를 선별하여 문헌적인 고찰과 다양한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특이성을 제시하려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거는 안도의 대표되는 주거작품을 단독주택으로 한정하여 연대별과 공간구성의 특이성으로 평가된 주택을 선별하였으며, 그 대상의 주택으로는 스미요시 나가야 주택(Sumiyoshi-Azuma House, 1975-1976), 기도사키 주택(Kidosaki House, 1982-1985), 나카야마 주택(Nakayama House, 1983-1985), 고시노 주택(Koshino House, 1983-1984), 이씨 주택(Lee House, 1991-1992), 히라노 주택(Hirano House, 1995-1996)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의 진행은 첫째, 안도의 주거에 대한 사고를 고찰하고 둘째, 안도의 전반적인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조사와 특징을 제시하며 셋째, 선별된 각 주거별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끝으로 이러한 과정으로 추출되어진 내용들을 정리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6개의 주택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고, 사례분석에서 추출한 내용들을 공간구성과 동선체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에워쌈과 내부 중심적 공간, 형태성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하였으며, 동선체계는 외벽과 출입동선,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주택을 공간구성의 특징, 동선의 특징, 주거의 형태성 등으로 구분하여 표로서 종합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징으로 추출한 결론은 첫째, 에워쌈과 개방적 내부공간 연출이고 둘째, 내부 중심적 공간구성이며 셋째, 빛과 공간구성이며 넷째,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삽입이며 다섯째, 외벽과 출입동선의 유도이며 여섯째, 주거건축에 가구의 적극적 도입 등이다.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의 주거공간에 건축적 신념과 공간의 연출과 의도, 자연 등이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 연구 및 설계에 실무적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ndo Tadao became famous by build things based on architectural concepts he learned from early housing construction. From the beginning, Ando attempted to create architecture that simultaneously incorporated Japanese traditions and rational modernism, as well as features of relief architecture, including exposed concrete, geometry and the introduction of nature. Ando’s housing embodies his architectural language of modernism, exposed concrete, simple ingredients, and simple geometry, the introduction of nature, the opacity of poverty, the richness of human nature, the ga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refinement of Japanese heritage. The work of Ando has an architectural mindset that directly relates to spatial composition and transfer.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ousing architecture, and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Method) Based on research into and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mposition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propo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housing based on research into various materials and research. Houses were screened for housing projects that were designated as single residences, based on detached dwelling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housing and spatial composition, and the homes of the residents of SumiyoshI-Zuuma House, 1975 and 1985 (Kidosaki House, 1982-1985), the Archaeological Site of Nakayama (Republic of Korea), and the Gosino were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was to examine the dwelling, and to presen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overall residence of Ando, to derive the overall outcome of the housing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overall housing of the screened out housing according to the screening and analysis of each derived dwelling. (Results)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analyzed, and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ase analysi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System. The spatial organization was reclassified as bounded by surrounding areas, and was reclassified as the outer area, and the Circulation System was reclassified to the outer walls, the entrance lines,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and the vertical circulation.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se contents, the classification of houses was organiz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 the morphology of the dwelling, etc. (Conclusions)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identified. Seco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interior was identified. Third, the vertical circulation was identified. Fourth, the entrance to the interior of the hous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urniture was done. The study focuses on how to incorporate architectural beliefs and intentions into the residential space of Ando Tadao's residential space, and the ideas and intentions. I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be practical for the study and for designing residential buildings.

      • KCI등재

        축제 문화콘텐츠에서 스토리텔링과 관람객 동선의 중요성

        송은아,임준묵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7 No.1

        지역축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지역사회의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관람객 만족이 매우 중요하다. 축제방문에 만족한 관람객은 지속적인 방문과 구전으로 축제를 발전시켜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더욱 가치 있는 축제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축제현장을 관람하는 관람객 중심으로 축제현장을 바라보고, 관람객들의 만족을 고려한 동선에 관한 연구는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성공적인 축제는 관람객의 만족을 통해서 가능하다. 관람객은 축제 콘텐츠에서 만족감의 대상을 발견하지만, 해당 콘텐츠를 구현하는 방법에도 관심을 둔다. 축제의 성공은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를 통한 공간의 재구성 과 그것을 통한 관람객 동선의 참신성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과 같이 폐쇄된 실내공 간에 한정된 동선연구가 광장과 같이 개방된 축제공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실내 공간 중심의 관람객 동선연구 중에서 중심공간의 발견, 사인 시스템을 통한 동선의 유도, 길 찾기 이론에 의한 동선유도장치의 개발, 그리고 관람동선의 분류 등을 축제공간의 동선에 적용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축제의 공간을 스토리텔링에 맞춰서 엄격하게 분할하고 중심공간을 통해 이어지는 다양한 주 변공간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적절한 사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안내 -유도-정점 순서로 목표 공간을 찾기 쉽게 하고, 각각의 공간으로 관람객을 분산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 다. 마지막으로 스토리와 내러티브가 있는 다양한 동선을 통해서 매년 동일한 콘텐츠라 할지라도 새로운 공간경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축제공간의 설계에서 축제 관람객 동선연구가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축제의 다양한 이론들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 축제를 준비하는 입장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축제의 준비과정에서 공간분할, 동선유도장치, 스토리와 내러티브에 대한 중 요성과 준비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둔다. Visitor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for local festivals to continue to grow and to become a local brand. Visitors who are satisfied with the festival are more likely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develop more valuable festivals through continuous visits and word-of-mout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festival site centered on the audience who visit there and to study the visitor’s movement considering their satisfaction. Successful festivals are possible through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Visitors find the object of satisfaction in the festival contents, but they are also interested in how to implement the content. The success of the festival can be found in the reconstruction of space through storytelling and narrative, and the novelty of the audience's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study of visitor’s movement limited to indoor spaces such as buildings can be applied to open festival spaces such as plazas. Among the researches on the movement of spectators in the indoor space, the discovery of the central space, the derivation of the movement through the sign system, the development of the induction system using the path finding theory,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view line were applied to the movement of the festival space. In this study, the space of the festival is strictly divided according to the storytelling, and various design schemes for the surrounding spaces are proposed. Also, by using the appropriate sign system connecting the space and the space, it was easy to find the target space in the order of guide-induced-vertex and presented the method of distributing the audience to each space.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the various lines with stories and narratives, new spatial experiences can be made possible even with the same contents every y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festival visitors' movement research in the design of festival spaces.

      • KCI등재

        종합병원 외부동선 계획에 관한 연구 : 최근건립된 종합병원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김동재,김하진,양내원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1999 의료·복지 건축 Vol.5 No.8

        Because of the recent enlargement of the faculties due to the more specialized and subdivided medical field and the need for more diverse services, the easy wayfinding is necessary on the diverse approach and usage in general hospitals. The users' pattern and the architectural correspondence affected by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design.

      • KCI등재

        논문(論文) : 「운영전(雲英傳)」과 「동선기(洞仙記)」 속 악인(惡人) 탄생의 의미

        김정숙 ( Jeong Sur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10 漢文古典硏究 Vol.21 No.1

        일반적으로 고전소설에 대해 선악의 상투적 대립을 지적하지만, 고전소설에서 선악의 대립이 일반화된 것은 주로 18세기 이후 한글 통속소설에 와서의 일이다. 傳奇小說에서 갈등은 단순히 선악의 대립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금오신화 나 몽유록에서 현실이라는 추상적 惡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이후의 일이다. 17세기 전기소설은 장편화, 통속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 속에서 등장인물이 증가하고 공간도 확대되며 인물간의 갈등도 구체화되어 이 시기 전기소설에 악인이 구체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그 시발점에 「운영전」과 「동선기」가 자리한다. 「운영전」에서 안평대군으로 상징되는 질서를 天理라고 한다면 이에 대항하는 운영의 욕망은 성리학적 이념에 위배된다. 바로 이 지점, 개인적 가치와 공동체적 가치 안의 대립과 주저, 개인적 삶을 공동체적 삶보다 선한 것으로 인식하려는 욕망이 싹텄으나 결국 공동체의 가치를 넘지 못하고 실패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이 「운영전」이다. 그런데 안평대군조차도 정치적으로 소외된 인물이기에 그의 소설적 기능은 악인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허물을 특(特)이라는 악인에게 돌리고 하늘이 벌을 내려 악인을 벌하는 완결된 구성을 갖추었고, 운영과 김진사가 천상에서 해후한다는 보상을 설정하기도 하였지만 「운영전」전체의 비감미는 사라지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운영전」에서 선과 악의 대립은 있으나 그 경계가 모호하며 악인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통속소설적 악인의 모습과는 다르다. 「동선기」에는 안기와 호손달희라는 두 명의 악인이 등장한다. 이들은 동선의 열녀적 면모를 부각시키는 존재로 끝날 뿐 더 이상의 소설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운영전」과 달리 동선의 사랑은 공동체의 가치에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작품 속 두 악인은 동선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의 가치를 훼손하는 존재이다. 다만 한문소설인 「동선기」에서는 한글통속소설과 달리 권선징악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 이는 한글본 「동선기」에서 동선과 유씨 부인은 갖은 고생 끝에 서문적을 구한 뒤 충렬부인과 숙부인에 가자(加資)되고 서문적은 항주 자사가 되어 부귀영화를 누리는 결말과 구분된다. 즉 신구서림판 「동선기」는 한문본 「동선기」에서 훨씬 더 통속소설로 진행한 것이다. 「운영전」과 「동선기」두 작품에서 악인은 고유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기보다 대안으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작품을 통해 고전소설이 통속화되는 과정에서 한문소설 속에 선과 악의 대립을 통한 갈등이 시작되었으나 아직은 악인이 완벽한 존재감을 갖지 못하거나 그 조차도 소외된 인물로 묘사되면서 선악의 대립이 모호해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작품에서 조선후기 본격적 통속소설로의 이행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The cliche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s generally pointed out when discussing classical novels, but it is with the Hangul popular novels after the 18th century that the good-evil confrontation became general in classical novels. The conflicts in Cheongi-soseol cannot be simply explained with the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It was after the 17th century that the abstract evil called reality began to manifest itself specifically in Geumo-sinhwa and Mongyurok. The Cheongi-soseol in the 17th century can be characterized by the tendency toward a longer and popular story, in which the number of characters increased, the space got expanded, and conflicts among characters became concrete. It is those days that villains started to appear in specific forms in Cheongi-sosel, and there were Unyoungjeon and Dongsungi at the forefront. While the order represented by Anpyeongdaegun in Unyoungjeon, Unyoung`s desire against it violates the Neo-Confucianist ideology. It was at this point that the desire grew to see confrontations and hesitations between personal and community values and regard individual life as something of more good than community life. However, the desire failed, not getting over the community values, which is depicted in Unyoungjeon. Even Anpyeongdaegun was a politically alienated figure, which means his function in the novel was not a villain. Thus the composition was completed in a way that the villain called Teuk was blamed for all the faults and punished by Heaven and that Unyoung and Kim Jinsa met in Heaven as part of the reward. Despite the composition, however, the overall sense of sorrow of Unyoungjeon does not go away. There are confrontations between good and evil in Unyoungjeon, but the boundary is blurry and the villain is different from that of a popular novel. There are two villains named Angi and Hosondalhee in Dongsungi. Their mere function is to highlight the aspects of Dongsun as a virtuous woman, and they claim no further significance in the novel. Unlike in Unyoungjeon, Dongsun`s love does not violate the community values, which means the two villains harm the community values rather than the personal values of Dongsun. It is noteworthy that the goal of Dongsungi, a novel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was not to reward good and punish evil like a Hangul popular novel, which is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 Hangul Dongsungi ends the story with the happy ending and reward for Dongsun and Seo Mun-jeok unlike its Chinese language counterpart. In the two works, the villains functioned as an alternative instead of playing the unique roles of a villain. However, given the discussions above, they can be regarded as the prehistory of villain characters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popular ones.

      • KCI우수등재

        복합건축의 수직동선 이용자별 효율적인 제3동선의 설정

        이진경,김찬주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ive methodology of composition and connection for the third pedestrian routes in mixed-use building by case studies. The study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of all, pedestrian routes are classified into malling route, evacuation route, and the Third route. Secondly, case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irdly, it is investigated about the composition and connection of the malling and the Third pedestrian route. The investigation is focused on gate, path, central area, vertical circulation(EV and escalator) and the four circulation elements. Finally, the effective methodology is extracted for setting the Third route in mixed-use building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enhancement of consistency and connection between the main route and the Third route is important for providing convenient paths especially to users who needs shortcut, EV/ES users. Additionally, the connections between EV and gate, between shortcut and EV/ES should be increased to enable users choosing their path as needed.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건축 사례조사를 통하여 효율적인 제3 동선의 구성과 연결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선을 일상과 비일상동선, 그리고 제3의 동선으로 분류하여 이것에 대한 개념을 알아본다. 둘째,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일상과 제3 동선의 구성과 연결방식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것은 출입구, 통로, 중심공간, 수직동선, 4개 동선요소를 중심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넷째, 사례 복합건축에서 효율적인 제3의 동선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 양주별산대놀이 연행공간과 동선에 관한 연구

        황지선(Ji Sun Hwang) 민족미학회 2014 민족미학 Vol.13 No.2

        본 논문은 양주별산대놀이의 동선과 연행공간을 형태심리학적으로, 음양오행적으로, 팔괘의 의미로 대입하여 해석하여 탈춤의 공간적 의미를 해석해보는 것이다. 원형은 가장 짧은 둘레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형태를 만들어 주고 관객은 서로를 바라볼 수 있어 즉각적이면서 공동체적 감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관객과 연희자의 시선에 따라 공간이 달라지고 확장되며 연희자의 동작의 방향성의 전환으로도 다양한 공간이 생성되게 되며 관객들의 시선이 중첩됨으로써 새로운 공간으로 이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원형공간으로 인해서 동선의 패턴도 결정되게 된다. 양주별산대놀이의 주요동선은 반시계방향의 원형동선, 나선형, 반원형, 남북방향의 종렬형태의 동선, 동서방향의 횡렬형태의 동선, 시선축의 변화로 요약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패철의 팔괘의 각각의 상징적 성질들은 등장인물의 위치와 동선의 이동의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주고 의미성을 부여하여 등장인물과 갈등구조로 인한 위치와 동선의 당위적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동양적 사상이 녹아있는 추상적 공간과 공간의 흐름인 동선을 양주별산대놀이의 분석을 통해 형태심리학적으로, 음양오행사상으로 해석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본 논문에서 살펴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the spatial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mask dance through substituting the symbolic meaning of the Eight trigrams an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to the blocking lines and performance space of Yangju Byulsandae Dancing with being lighted by Gestalt psychology. The circular form can extend most with the shortest outline and provide the audience with sentiment of a community for their looking at each other. The space gets to enlarge and change according to the views of a performer and audience and be various according to the gestures and direction changes of a performer and have possibility to go into a new space through the overlapped view of the audience. Main blocking lines of Yangju Byulsandae Dancing can be narrowed to counter clockwise line, spiral line, half circle line, column line stretching south and north, and rank line stretching east and west. Each symbol of the Eight trigrams shows the cause and effect of changes of blocking lines and locations of a character which can get some meaning through symbols for they shows the reason of changes of blocking lines and locations that reflect the conflict between characters. This thesis may open the possibility that Yansju Byulsandae Dancing that has abstract space and blocking lines as the flow of a space in which oriental ideologies melt can be interpreted by Gestalt psychology and 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진찬(進饌) 왕, 왕세자, 왕세손의 동선(動線) 및 공간 사용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석진영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3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lines, the center is the location of the king, the center is the location of the king, the eastside is the king, the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 and the royal family, and the west side is the seat of the subjects. The detailedhierarchical division between each position was divided between the king and the successor,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between the kingand subject.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line are summarized as gates, Jeongmun is the movement line of the king and hissuccessors. The east-west side gat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ll were used by the royal family and ministers, and thehierarchy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subjects was also divided into gate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jinchan by external and internalcircumstance, the king waits in the outer cour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gate, and finally ascends to the ceremonial hall of theceremonial hall. The crown prince mainly used the east gate of the main gate and performed the ceremonies in the eastern position, and thecrown prince's son was located below and behind the crown prince in the eastern area. In the inner palace, the king's movement becomesconcise, and in the daily meeting led by the crown prince, a central movement line appears in which the crown prince passes through themiddle gate of the front gate. In the inner court, the movement of the king becomes concise, and in the following day's meeting led by thecrown prince, the pattern of the movement of the center appears as the crown prince passes through the central gate. The crown prince'smovement shows a complex movement and a mixed pattern of the center and the east to perform various ceremonies appropriate to theprocedure at the banquet. The location of the crown prince was divided into the east,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king's straight line ofmovement, and royal women such as the crown princess mainly used the west area. From the external and internal courts during the reignof King Sunjo,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king and crown prince can give a glimpse of the kingship that was passed on to thesuccessor who had actual authority,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ill of King Sunjo's gyejisul is being passed on to Crown PrinceHyomyeong. In other words, in the inner circle, the middle, straight line is the king's hierarchy, the east is the hierarchy of the successorwho inherits the kingship, and the complex aspect of the center and the east is the hierarchy of the successor who carries out the kingshipby proxy. 進饌을 중심으로 왕과 왕실 정통성을 이을 후계자의 位次와 動線을 정리해보면 조선전기 규범화된 의례는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며 진찬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변화되었다. 位次에서 中央, 즉 중심은 왕, 東은 왕, 왕세자, 왕세손, 종친 등의 왕실을 의미하였고 西는 신하를 의미했다. 신분 간의 세밀한 위계 구분은 上과 下와 前과 後로 왕·왕실간·군신간의 위계를 向으로 구별하였다. 殿閣의 正門은 왕, 왕세자, 왕세손이 이동하는 국본의 동선이었고, 세부적으로 왕은 中央門 왕세자, 왕세손의 후계자는 東門으로 구분하였다. 동서 편문은 종친과 대신의 동선으로 왕실과 군신간의 위계를 門으로 구분하였다. 動線에서 외연에서 왕은 정문을 중앙문을 통하여 마지막에 正殿의 御座에 오르는 일직선 동선이다. 왕세자는 주로 동문을 이용하며 동쪽의 영역에서 하례의 예를 행했으며, 순조시기 일부 위차와 동선이 中央으로 이동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왕세자의 동선은 연회에서 절차에 맞는 다양한 의례를 행하기 위해 복합적 동선과 중앙과 동쪽의 혼합 양상이 나타났다. 內宴에서 왕의 동선은 간결해지고 왕세자 주도의 翌日會酌에서 왕세자가 正門의 中央門을 통과하는 中心 동선의 양상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동선체계 변경 시 유효한 피난계획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김희교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1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입구를 통제하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이 되었다. 이 연구는 현재의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으로 인하여 건축물내 동선체계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효과적인 피난계획을 수립 하기 위한 연구이다. 만일 다중이용시설의 분석을 통하여 건축물의 동선체계의 변화에 대한 사항을 미리 고려하여 건축계획을 한다면 재난의 발생 시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동패턴의 특성과 다중이용건축물의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시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한 임시적인 동선체계의 변경에 유효한 피난계획의 수립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It is a common situation to limit entrance to the multi-use buildings for efficient control and prevention of the spread of COVID-19. This study chiefly aims to find out efficient methods to establish evacuation plans when temporary changes of the building circulation system occurs. If architectural design were done with the pre-consideration for the changes of building circulation systems,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use buildings, it is expected to we can prevent the spread of disasters when they happen. This study is geared to establish efficient evacuation plan for the temporary circulation plan when disaster happen,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use buildings for architectural planning as well as the human behavioral patt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