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싱가포르 노인 재가돌봄서비스의 동향과 특성

        황인매 한국사회서비스학회 2016 사회서비스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싱가포르의 노인 재가돌봄서비스에 대한 동향과 특성을 살펴보 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적영역의 지역사회기반 돌봄서비스 (HCBs)와 사적영역의 가족기반돌봄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싱가포르 의 재가돌봄서비스는 사적영역중심의 가족기반 돌봄서비스가 주를 이루며 공 적영역에서의 존재감과 비중은 상당히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정 구성 및 지원방식은 주로 정부보조금과 CPF내 의료저축계좌, 기부금 그리고 본인부담금을 통해 지급된다. 대부분 비영리 복지조직이 재가돌봄서비스의 90%를 제공하고 있고 민간영리 조직도 일부 참여하고 있으나 그 규모가 크 지 않다. 싱가포르의 돌봄 정책에 대한 최근의 흐름은 가정에서 노인돌봄을 목적으로 외국인가사도우미를 고용하도록 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고, 지역사 회기반서비스(HCBs)를 강화하고 확대하고자 추진 중에 있으며 그 비중을 점 진적으로 늘리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각 부처별 파편적이며 소극적으로 운 영되어 온 돌봄서비스영역에 대해 상호 부처별 전략적 제휴의 시도들이 조금 씩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재가돌봄서비스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서구의 모델을 주로 소개하고 있는 반면 싱가포르 사례는 아시아전통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발전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들을 소개하는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is taking a look at the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apore elderly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HCBs). For the above, this study has concentrated on the home care in public sector and family-based care services in private sector in Singapore. Financial structure and the way of support are mainly given through government subsidies, medisave accounts within the CPF, contributions and co-payments. 90% of community care services are mostly provided by non-profit welfare organizations while private profit organizations also do it but not that great amount. Singapore employs foreign domestic workers for the purpose of the elderly care, and try to promote the expansion of community-based services(HCBs) of which trend is gradually increasing. In addition, strategic partnership attempt in mutual-ministry about the area of care services which have been operated partially and passively in each department is slowly and gradually seen. Whereas the existing advanced studies are mainly introducing the Western models, the case studies of Singapore are meaningful for showing the variety in a context of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in traditional Asia.

      • KCI등재

        노인 재가돌봄 상황에서 공식돌봄서비스는 어떻게 활용되나?: 가족주돌봄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차승은(Cha, Seung-Eun)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이 노인재가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현재 공식돌봄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량은 어떤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와 활용시간을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을 시도하였다. 2018년 한국 노인 및 아동돌봄 가족조사 자료의 499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여부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노인의 기능제한, 주돌봄자의 돌봄기간과 돌봄선호시간량,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도움과, 다른 가족원의 돌봄분담 기여도이었다. 공식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에서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돌봄자가 여성인 경우, 나이가 어린 경우, 그리고 주돌봄자의 실제돌봄시간이 길수록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이 짧았다. 즉 가구의 돌봄가용력이 존재할 경우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이 제한되는 상황이다. 그에 비해, 다른 가족원의 경제적 돌봄지원이 존재하면 공식돌봄서비스 활용시간은 길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이 공식돌봄서비스와 공조하고 있는 가족의 맥락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가족에 의한 비공식적인 돌봄이 공식돌봄과 조율되는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nd when families decide to utilize formal care services. This study used data of 499 family caregivers employed from 2018 Korean Elderly and Child Care Family Survey. Based o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elderly’s bad health status, the longer duration of caregiving, and the shorter hours of the preferred time of the main caregive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using formal care service and the amount of hours used for paid servi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lderly recipients’ LTCI grade, duration of care, preferred amount of care time, other family memeber’s financial and intstrumental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ormal care service utility. Tobit analysis revealed that caregiver’s sex, age, and the amount of actual care hours ar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ormal care service utility. If the caregiver was female, relatively young, and spent longer care hours, care service hours were short. However, the hours of use of care services were long if there was financial help from other family members. Results ma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context of coordinating formal care with informal family care.

      • KCI등재

        노인의 재가노인돌봄서비스 이용의사 영향요인 연구 : 경기도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김재희(Jaehee Kim),김희연(Heeyeon Kim) 경인행정학회 2020 한국정책연구 Vol.20 No.3

        최근 지역사회 통합돌봄이 노인복지의 주요한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노인의 재가노인돌봄서비스 이용의사를 살펴보고, 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8년 경기도 지역주민복지욕구조사의 65세 이상 노인 9,811가구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재가노인돌봄서비스는 장기요양서비스와 노인맞춤돌봄서비스로 구분하여 이용의사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Anderson과 Newman(1973)의 서비스행동모델에 근거한 선행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재가노인돌봄서비스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재가노인돌봄서비스 이용의사는 장기요양서비스 중 방문요양 이용의사가 54.4%로 가장 높았고, 방문간호 52.8%, 방문목욕 44.4%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의사가 48.1%,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이용의사가 46.9%로 나타났다. 둘째, 재가노인돌봄서비스 이용의사 영향요인은 서비스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서비스유형별 영향요인 결과를 종합하면, 선행요인의 ‘교육수준’, 가능성요인의 ‘소득계층’, 욕구요인의 ‘진단질환 수’, ‘일상생활유지’ 변인이 공통적으로 모든 장기요양서비스 및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쳤다. 그 외 장기요양서비스이용의사에는 가능성요인 중 ‘서비스인지수준’ 및 ‘거주지역’ 변인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의사에는 가능성요인 중 ‘동거가족 수’, ‘주관적 경제수준’, ‘지역 내 자립도움정도’ 및 ‘의료시설 접근성’ 변인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노인돌봄서비스의 보편적 서비스로의 확대, 재가노인돌봄서비스 내 건강관리 도모 프로그램 강화, 지역사회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노인돌봄계획 및 정책 수립의 필요성 강조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이 주요한 정책과제로 부각되는 시점에 노인돌봄서비스의 보편적인 확대를 위한 발전 방안을 Aging in Place 관점을 반영하여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lderly s use inten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 (CCS) and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nalysis, it used 9,811 elderly cases from the data of the 2018 Community Residents Survey. The CCS variable was measured into the Long-Term Care Service (LCS) and Elderly Care Service (ECS). Moreover, the factors selected from the model of Anderson and Newman(1973), predisposing elements, enabling elements, and need elem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n CCS s use inten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CS use intention showed a different level in each service type. Among the LCS s types, the willingness to use home-based care was highest with 54.4%, followed by visiting nursing 52.8%, visiting bathing 44.4%, and so on. In the ECS s types, 48.1% of the elderly were willing to us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46.9% of the elderly were hoping to use care service for the blind zone of long-term care system. Second, the different factors were influencing the LCS and ECS use intention by service types. Notably, education, income class, number of illnesses, and difficulty in daily lif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all service intention types. In LCS, the service perception and region factors had a strong effect on service use intention than other variables. In ECS, family members number, subjective economic status, neighborhood help for independence, and access to medical center factors significantly impacted on service use intention than other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extending elderly care services for universal and enhancing the CCS system s health program to protect the elders declining health. Also, it presented the ways of activating community-center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study had an implication of discussing CCS policy focused on aging in place perspective.

      • 노인돌봄서비스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노인돌봄종합서비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황지영(Hwang, Ji, Young) 한국복지실천학회 2021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2020년 1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에 관해 이 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해보며, 여러 가지 노인의 욕구에 맞는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의 운영실태를 분석해보고, 서비스 대상자인 노인의 자립적 생활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수행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의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의 시행과정과 관련제도를 검토해 본다. 둘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의 운영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본다. 셋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과 노인돌봄종합서비스사업의 차이점을 분석 한다. 넷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의 개선방안을 알아본다. 위의 네 가지 연구수행 내용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의 중요한 문제점과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대상자인 노인들에게 서비스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제도의 본 취지에 부합되는 발전을 이루고자 전문가적 자질을 갖추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노인맞춤돌봄서비스사업에 대한 운영실태의 개선방안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수행인력에 대한 처우개선과 직무교육 등이 필요하다. 둘째, 대상자에게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대상자 발굴을 위한 서비스의 체계구축 및 자원의 연계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is project, identify problems, and seek policy improvement measures tailored to the needs of various elderly people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and to present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the independent living ability of the elderly who are eligible for the service as follows. First, we will review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related systems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 project for the elderly in Korea. Second, through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 projec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mplement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 project are examined.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 project and the elderly care comprehensive service project is analyzed. Fourth, let s find out how to improve the customized care service project for the elderly. The above four research contents will be the basis for preparing alternatives to increase service satisfaction and achieve development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system by analyzing the important problems and status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contents of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 project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reatment and job training for performing personnel.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to the sub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of services and link resources to discover subjects.

      • 노인돌봄서비스체계의 변화 <노인장기요양제도 시행 후>

        이수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1 No.-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돌봄서비스는 보편주의 체계를 따르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서 건강이 중등증 이상인 자는 등급자로 장기요양보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등급외자(A,B)는 지자체 중심의 노인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인돌봄종합서비스는 선별주의적 사회서비스로 장기요양보험의 등급 외 등급(A나 B)이 필요하고, 전국가구 평균소득 150%이하 이어야 하며, 65세 이상으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정도의 건강상태를 가지고 있어야 가능한 서비스이다. 특히 차상위 계층인 경우 경제적인 생활고를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장기요양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되어버리기 때문에 곧바로 돌봄 사각지대로 전락하고 만다. 노인돌봄서비스에서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근본 원인은 돌봄서비스 재정이 열악하고, 돌봄서비스 이용 자격 수준이 너무 높아 돌봄서비스 대상자 급여 확대를 할 수 없다는 것에 있다. 돌봄체계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지자체의 재정 자립도를 높이거나 국가의 지원을 확대하고, 소득기준에 따른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 자격제한을 완화시킴으로써 돌봄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며, 파편적인 돌봄서비스 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것이 될 것이다. Currently, Korea's Elderly Care Services i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for the elderly which complies with universal system. And people who are in middle and worst health situations can us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and other people in Class A, B are able to benefit the Elderly Care Service from local government. Elderly full-Care Service is selective social service and other ratings besides rating of long-term care insurance(A or B) are required. To benefit from this service, applicant must be less than 150% of the whole household average income. And applicant must be over the 65 years old and have health conditions which depends on other’s help.Particularly, people in next higher level degenerate into the blind spots in a situation not getting out of the economical hardships of life because they are excluded from the list of long-term care services. The primary causes of the blind spots arising from Elderly Care Services are the poor finance of Care services. Also because the standard of qualification is too much high, the person's benefits for Care Services can not be expanded.The best way to resolve the blind spots for care system is to raise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 to increase national support,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care services by easing the restriction of qualifications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to organically connect the separated system for Care service

      • KCI등재

        가정내보육서비스의 정합성 제고를 위한 탐색: 아이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유해미 한국사회정책학회 2021 한국사회정책 Vol.28 No.2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stitutional coherence is required for family daycare and facility childcare in terms of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hildcare services. The supply of child care services within a limited budget should be set by carefully reflecting the expansion of the care infrastructure that affects the demand. To this end, 2,076 people using child care services were asked if they would stop using child care services if the accessibility of the caring infrastructure was improved, and they identified who would continue to use the service. Consistence diagnosis of in-home childcare servic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demand. 1) Infant care facilities and full-day infant care services, 2) Infant care and education facilities, and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3) After-school care facilities and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 strategy for supplying child care services was suggested in terms of institutional consistence. Specifically, compared to part-time care, the share of the supply of full-day infant care services is increased, and part-time child care services, in particular, reduce the proportion of infants' supply first. It was suggested that support for low-income households should be increased overall, and service supply should be increased in the early morning and late afternoon hours in terms of service provision time. 이 연구는 아동돌봄서비스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가정내보육서비스는 시설보육과의 정합성이 요구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최근 공적 부문의 아이돌봄지원사업이 그 수요조차 명확하지 않은 채 예산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유관 서비스와의 정합성을 진단해보았다. 즉, 아이돌봄서비스는 시설 기반의 돌봄서비스의 대체 또는 보완적 성격을 지니므로 해당 돌봄 인프라의 확충 등을 면밀하게 반영하여 지원대상 및 공급 방식을 설정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 중인 2,076 가구에게 유관 돌봄 인프라의 접근성이 보장될 경우 아이돌봄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질문하여 고유한 수요를 파악하였다. 가정내보육서비스의 정합성 진단은 1) 영아보육시설(어린이집)과 영아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2) 영유아 돌봄 인프라와 시간제 아이돌봄서비스, 3) 초등방과후 돌봄시설과 시간제 아이돌봄서비스로 구분하여 시도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설보육과의 정합성 제고를 위한 아이돌봄서비스의 공급 방향을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는 시간제 돌봄에 비해 영아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의 공급 비중을 확대하고, 지원대상으로는 어린이집의 종일제보육 만으로 그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되는 ‘가’형 가구의 지원 비중을 늘리며, 이른 오전과 늦은 오후 시간대의 서비스 공급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돌봄교실 서비스 수요 유형과 돌봄 서비스 만족도 차이 분석

        박성준(Park, Seong-J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돌봄교실 서비스 수요에 따른 잠재집단의 특성을 분석하고, 각 집단별 돌봄 서비스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요자 특성에 맞는 초등돌봄교실의 기능 강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초등돌봄교실 서비스 수요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경기도 용인시에서 수행한 초등돌봄교실 이용자 대상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돌봄 서비스 수요를 바탕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기적 돌봄 선호 집단’, ‘안전한 일시보호 선호 집단’, ‘비정기적 돌봄 선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아동의 연령과 유사 자원의 인지여부에 따라 돌봄 서비스 수요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서비스 수요 유형에 따른 집단 간 돌봄 서비스 만족 수준에 차이를 보였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하였다. 첫째, 초등돌봄교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아동 및 보호자의 서비스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아동 및 보호자의 특성에 따라 돌봄 서비스의 초점을 다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이상의 결과는 초등돌봄교실의 기능강화와 특성화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demand for child care service and to compare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Care Class. The data from the survey on child care service by Yongin City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groups(group1: prefer regular care programs, group2: prefer safe temporary protection, group3: prefer irregular care programs) were classified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Second, the type of care service deman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household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provided by Elementary Care Class according to the type of care service demand.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s provided by Elementary Care Class should be flexibly provided reflecting the needs of children and parents for care services. Second, the focus of care services should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parents.

      • KCI등재

        주요 국가의 사회적 돌봄서비스 정책 현황과 특성

        김은정(Kim Eunje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최근 주요 국가들의 돌봄서비스 정책의 변화방향을 고려할 때 서비스 이용자들의 개별적 수요에 부응하는 재택파견식의 돌봄서비스 욕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혼 여성들의 근무형태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아동돌봄서비스 지원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선호가 다원화되고 있기 때문에, 아동돌봄영역에서도 노인이나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서비스 영역과 유사하게 재택돌봄서비스 수요가 증가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택아동돌봄서비스의 정책적 틀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 중요한 정책적 과제라고 보고, 주요 국가의 사회적 돌봄서비스 정책의 현황과 특성에 대한 전반적 검토를 기반으로 재택아동돌봄서비스 정책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재택아동돌봄서비스 정책 설계 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돌봄서비스 전반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정책대상이 보편화되고 전달주체가 다원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정지원방식과 급여형태도 변화하면서 바우처나 직불방식과 같은 서비스 이용자 재정지원방식 등이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변화들은 돌봄서비스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사회정책적 개입을 더욱 증가시키는 결과로 이어져 서비스 제공인력에 대한 관리를 포함하여 서비스 품질관리의 중요성을 더욱 확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아동돌봄서비스의 경우 전반적인 사회적 돌봄서비스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나, 정책대상자의 보편화 정도, 서비스 품질관리 방식이나 가능성 등에서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재택아동돌봄서비스 정책대상자 선정이나 서비스 품질관리체계 구축과 관련된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review public policies on social care services and to investigate in detail in-home childcare policies among several Western countries. In order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public policies on social care service and in-home childcare services, this study utilizes the framework of policy product analysis proposed by Gilbert and Terrell(2005).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of allocation are increasingly universalized for social care services, but the eligibility for in-home childcare is still somewhat selective. Second, the delivery systems of both social care services and in-home childcare services are more pluralized with numbers of profit organization increased. Third, diverse types of benefits are immersing, and especially direct payment or voucher systems are much more utilized for social service beneficiaries. Fourth,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is gradually escalated for social service in general and in-home childcare service in particular.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several policy issues that this research proposes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of allocation should be cautiously and systematically set considering children's age and the existing childcare policy system. Second, the commercialization among social care service providers should be checked by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Establishing the public management system for service providers' qualification and national minimum standards are the most important.

      • 재한중국동포여성의 노인돌봄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우춘순(Chun-Soon Woo)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인간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다문화현상 중에서 국제이주 현상이 젠더화 되고 있는 경향성에 주목하여, 중국동포여성들이 한국에 유입되고 있는 배경과 그들이 종사하고 있는 직업군인 ‘노인돌봄서비스’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밝히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고의 이론적 배경은 첫째, 재한중국동포여성의 국내 이주를 ‘이주의 젠더화’라는 국제이주현상의 관점. 둘째, 재한중국동포여성의 국내 이주가 가능하게 된 국내의 제도적 관점. 셋째, 노인돌봄서비스의 제도화 과정을 살피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대구광역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이곳에서 노인돌봄서비스에 종사하는 중국동포여성과 요양병원 관리자 및 노인돌봄서비스 대상자, 그리고 요양보호사 교육 관련 종사자 등 15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중국동포여성이 한국으로 유입되는 과정과 그 제도에 관해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헌연구를 진행하며, 문헌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내용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대구광역시에서 노인돌봄서비스에 종사하는 중국 동포 및 관련자들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재한중국동포여성의 실제 노인돌봄서비스의 현장인 대구광역시 노인전문요양병원에서 노인돌봄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재한중국동포여성이 한국 노인돌봄서비스시장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교육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문제점, 함께 근무하고 있는 내국인 요양보호사와의 관계에서 오는 문제점, 서비스 수혜자인 어르신들과 보호자들의 문제점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개선점을 본고에서는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ing on the tendency that the international migration has been becoming gender-specific in Korean multiculturalism, investigates the circumstances where Korean-Chinese women immigrate into Korea and the elderly care service provided by them, in order to suggest some improvement plans for the service. In theory, this study focuses on three aspects: 1) the immigration of Korean-Chinese women to Korea has been becoming more gender-specific, 2) the institutional support has helped them immigrate to Korea, and 3) the elderly care service has been institutionalized by the government. Confining its research area with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with the group of 15 people who are Korean-Chinese women working in the elderly care service, managers of nursing hospital, the elders being given the care service, and those who educate the care assistants.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reexamined with regard to the process and the system for the immigration of Korean-Chinese women, the reality of which then have been checked by interviews on the people working in the elderly care servi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main part of the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elderly care service provided in nursing hospita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rying to find out any problem with the service. Having pointed out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training in the process where Korean-Chinese women are employed for the elderly care service, the cultural gap, the relational issues between the immigrated workers and the domestic assistants, and inconveniences experienced by the beneficiaries of the service and their guardians, this study suggests four improvement plans.

      • KCI등재

        노인의 가족유형별 돌봄서비스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김은정(Kim Eun-Jeong),이신영(Lee Shin-Young) 한국가족학회 2010 가족과 문화 Vol.22 No.2

        본 논문은 노인의 가족유형에 따라 돌봄서비스에 대한 향후 이용의항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의 유형을 노인독거가족, 노인부부가족 자녀동거가족으로 분류하였으며 돌봄서비스의 경우도 생활시설서비스, 이용시설서비스, 재택서비스로 유형화하였다 .2008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노인의 가족유형이 다른 관련요인들이 고려된 상태에서도 돌봄서비스 이용의향 여부에 영항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로지스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가족유형은 모든 종류의 돌봄서비스 이용의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노인독거가족이 노인부부가족이나 자녀동거가족에 비해 높은 수준의 돌봄서비스 이용의향을 보였다 돌봄서비스 이용의항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서비스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추후 서비스 이용의향 조사연구에서는 생활시설을 통한 돌봄서비스, 지역사회 이용시설 돌봄서비스, 그리고 재택돌봄서비스를 구분하여 그 영향요민들을 파악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세 가지돌봄서비스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 경제상황 만족도, 서비스인지여부였으며 특히 서비스 인지여부의 영향은 매우 컸다 This study tries to find authen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s family types and their intentions to using long-term care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goal,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family types on the intention to using long term care services after controlling major factors such as attribute factors, resource factors, and need factors. Also, this study systematically categorizes long term care services into three types: institutional care services, community care services, and in-home care servic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2008 National Data on the Elderly."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family types significantly affect their preferences for long term care services even after controlling major factors.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use diverse care services than those living with their spouses or children.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preferences for care service utiliza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care services. Third, among related factors, a recognition of services has ver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references for care service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