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자들의 상담경력 및 1차 기질에 따른 도형심리검사 인식 차이 분석

        정다혜,문명희,윤희상,최승회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psychology and to grasp the perception of the geometric psychology of the geometric psychology inspec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3 people who are working as geometric psycholog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13 people who are working as geometric psychologists. The research method us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5 question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lassification of schematic psychology consisting of a seven-point scale.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the survey. The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mary substrate of the geometric psychology and the consultation experience.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d of shapes were simplicity, inclusiveness, and efficienc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ink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d of geometric shapes according to the primary temperament. However, counselo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and less than six years of experience had higher positive thoughts on the efficiency of geometric shape-shifting than counselor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Depending on the primary temperament and blood typ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ttitude of the clinical psychotherapist to the geometric psychology. The bile was more volumetric expressive than the other substrates, and the depression was lower in the measurement of the potential for morphology than the other substrates. 본 연구는 도형심리 특성을 파악하고 도형심리검사자들의 도형심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도형심리검사자로 활동하고 있는 113명이다. 연구방법은 7점 척도로 구성된 도형심리의 특성과 심리 분류에 대하여 1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후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새롭게 정의된 변수가 도형심리의 1차 기질과 상담 경력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형심리의 특징은 간편성, 포괄성, 효율성이었다. 1차 기질과 혈액형에 따라 도형심리에 대한 임상심리상담가들의 자세가 차이가 있었다. 1차 기질에 따라 도형심리의 특징에 대한 생각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경력이 3년 이상이며 6년 이하인 상담사들이 경력이 1년 이하인 상담사보다 도형심리의 효율성에 대하여 높은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담즙질은 다른 기질보다 도형심리 표현성이 높았고, 우울질은 다른 기질보다 도형심리 잠재능력의 측정 부분이 낮았다. 1차 기질에 따라 도형심리의 특징에 대한 생각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경력이 3년 이상이며 6년 이하인 상담사들이 경력이 1년 이하인 상담사보다 도형심리의 효율성에 대하여 높은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1차 기질과 혈액형에 따라 도형심리에 대한 임상심리상담가의 자세가 차이가 있었다. 담즙질은 다른 기질보다 도형심리 표현성이 높았고, 우울질은 다른 기질보다 도형심리 잠재능력의 측정 부분이 낮았다.

      • KCI등재

        3, 4, 5세 유아의 도형인식능력에 관한 연구

        고선아 ( Sun Ah Ko ),박선영 ( Seon Young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 4, 5세 유아들의 기본 도형 인식 능력을 밝히고 유아들이 도형을 인식하는 기준은 무엇이며 이는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함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만 3, 4, 5세 유아 90명이고 유아들과의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들은 원 과제의 성취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사각형이며, 삼각형 과제에서 가장 어려움을 보였으나 도형인식에 대한 연령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형화된 모양의 기본도형에 비해 수학적으로 관련 없는 특성들에 변화를 준 비정형화된 모양의 도형 변별에 더 큰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유아들은 도형을 변별하는 기준에 있어서 대부분 시각적 반응을 보였으나, 속성에 근거한 반응 또한 나타났으며 이는 연령이 증가함께 따라 증가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ree- to five-year-old pre-schooler` recognition of basic geometric shapes, the criteria they use to distinguish members of a shape class and whether or not those criteria change in relation to age. Participants were 90 children aged three to five. Data were gather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pre-school children are easily able to recognize of circle, square but fail to distinguish triang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recognition of geometric shapes among the age groups but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were relatively more successful in classifying the typical examples of the triangle, square and circle, than the atypical examples containing non-defining attributes. Second, when children were asked to give reasons for their selections in the three classification tasks, most gave a visual response. However, the property responses were also showed and the number of the property responses increased as age increased.

      • KCI등재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

        박은률,백석윤 대한수학교육학회 2010 수학교육학연구 Vol.20 No.3

        The epistemological obstacles in the area learning of plane figure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at is closely related to an attribute of measurement and is strongly connected with unit square. First, reasons for the obstacle related to an attribute of measurement are that 'area' is in conflict with 'length' and the definition of 'plane figure' is not accordance with that of 'measu- rement'. Second, the causes of epistemological obstacles related to unit square are that unit square is not a basic unit to students and students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ion of the two dimensions. Thus, To overcome the obstacle related to an attribute of measurement, students must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area' and 'length' throu- gh a variety of measurement activities. And, the definition of area needs to be redefined with the conception of measurement. Also, the textbook should make it possible to help students to induce the formula with the conception of 'array' and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formula in an inte- grated way. Meanwhile, To overcome obsta- cles related to unit square, authentic subject matter of real life and the various shapes of area need to be introduced in order for students to practice sufficient activities of each measure stage. Furthermore, teachers should seek for the pedagogical ways such as concrete manipulable activities to help them to grasp the continuous feature of the conception of area. Finally, it must be study on epistemo- logical obstacles for good understanding. As present the cause and the teaching implication of epistemological obstacles through the rese- arch of epistemological obstacles, it must be solved.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의 유형은 크게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의 원인은 길이와 넓이 개념 사이의 혼동, 도형 영역과 측정 영역에서 정의하는 방법상의 혼동 때문이며; 둘째,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의 원인은 학생들에게 단위정사각형이 넓이의 기본단위로 인식이 잘 안되기 때문이며, 2차원적 평면의 개념이 불완전하게 정착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넓이에 대한 측정의 속성과 관련된 장애 현상의 교정적 지도 방안은 두 속성간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고, 측정의 개념으로 넓이를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정렬(array)'의 개념으로 넓이공식을 유도하고, 통합적으로 공식을 적용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단위정사각형 개념과 관련된 장애 현상의 지도방안은 각 단계를 충분히 활동할 수 있도록 넓이를 구하고자하는 도형의 소재 및 형태를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넓이에 대한 연속량적 개념을 인식하도록 교수학적 방안을 구안해야 한다.

      • KCI등재

        사용자주도형 상황인식서비스

        박정규 ( Jeongkyu Park ),이긍해 ( Keung Hae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4

        상황인식은 컴퓨터가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기술이다. 상황인식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일방적으로 개발자가 제공하는 상황인식서비스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발자주도형 모델을 따르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스스로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이 일부 제안되기도 했으나 대체로 사용하기 어렵거나 매우 단순한 형태의 서비스 구현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개인의 필요에 맞춘 상황인식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스마트홈 환경에서 사용자가 직접 실세계의 장치나 인터넷의 정보를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도비(Dobby)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문에서는 도비 모델을 상세히 설명하고 일반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정의 방법으로 Program by selection을 제안한다. 가상 스마트홈 기반의 테스트베드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도비의 서비스 개발방법이 기존의 사용자주도형 방법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보다 표현력과 사용의 편의성 면에서 우수함을 주장한다. Context-awareness is a computing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delivers useful services to users based on their situation. Most previous studies on context-awareness adopted the view that the user simply is a consumer of what the developer creates. Few studies addressed catering to the need of personalized services for the user. They are either too complex for the user to grasp or unable to express many useful services due to their weak expressive power. To address these issues, we propose Dobby as a new model and architecture for user-driven context-aware service development. Dobby enables the user to create services that are more suited to his personal preferences. We argue that Dobby offers an enhanced method for defining personalized context-aware services over existing methods.

      • KCI등재

        사각형 유닛 기반의 다각형패턴 인식 입체타일 개발에 관한 연구

        하봉수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corative cubic tile which can get out of visual monotony borne by constant pattern of single unit, although it has square structure with excellent constructability in tiling, in other words, decorative cubic tile which can be visually recognized as polygonal pattern in spite of its square structure. Based on theoretic study related to the issue of split of figure, this study arranges the plan of surface imagery that can recognize diverse forms in constant pattern, develops 122 kinds of cubic tile models by using 3D printer, selects 27 representative models out of them and verifies visual effect. Evaluating the impression, it is found that most cubic tiles are felt as polygonal pattern. Especially, checking the case where the impression of polygonal pattern is strong, it is judged that the cases are summarized into the case where the original polygon is naturally recognized by combination of split cell and the case where unit having variant cell besides symmetry operation is spread and unit that segments cubic stage of cell is spread and such modes represent specific forms in abstract pattern to help people understand as polygonal pattern. Although design method confirmed by developing cubic tile is quite simple, diverse cubic patterns are possible by utilizing it. Thus, it is expected that design suggestion related to split & cubic form of figure can provide many persons with opportunity of quest and can be the base that makes new result. 본 연구는 타일링에 있어 시공성이 우수한 사각형 구조를 가지면서도 단일유닛의 연속패턴이 갖는 시각적 단순성에서 벗어 날 수 있는, 다시 말해 구조는 사각형이지만 시각적으로는 다각형패턴처럼 인식될 수 있는 장식용 입체타일 개발을 목적으 로 했다. 연구는 도형의 분할문제와 관련된 이론연구를 토대로 연속패턴 속에서 다양한 형태를 인식할 수 있는 표면 형상 화 계획을 마련하고, 이어 3D프린터를 이용해 총 122가지의 입체타일 모형을 개발한 다음 그 중 27가지의 대표적인 모형 을 선정해 시각적 효과를 검증했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입체타일은 대부분 다각형패턴으로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각형패턴의 인상이 강한 사례를 요약하면, 분할된 셀의 조합에 의해 자연스럽게 본래의 다각형이 인식되는 경우와 대칭조작을 비롯해 이형(異形)의 셀을 가진 유닛의 전개, 그리고 셀의 입체화 단계를 세분화시킨 유닛의 전개 등으로써 이러한 방식들이 추상적인 패턴 속에서 특정한 형태를 표상해 사람들이 다각형패턴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입체타일 개발을 통해 확인된 디자인수법은 매우 단순하지만, 이를 활용하면 다양한 입체적 패턴의 표현이 가능하다 는 것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도형의 분할과 입체화와 관련된 디자인적 제안은 다양한 사람들에게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평면도형의 둘레 문제 해결에 관한 제언

        노은환 ( Roh Eunhwan ),정상태 ( Jeong Sangtae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6 初等 數學敎育 Vol.19 No.4

        <div style="display:none">fiogf49gjkf0d</div><div style="display:none">fiogf49gjkf0d</div><div style="display:none">fiogf49gjkf0d</div><div style="display:none">fiogf49gjkf0d</div><div style="display:none">fiogf49gjkf0d</div><div style="display:none">fiogf49gjkf0d</div><div style="display:none">fiogf49gjkf0d</div> Researcher was interested in circumference of plane figure problem. Meanwhile, researcher found some difficulty in solving circumference problem with stair like plane figure. In this phenomenon, researcher felt to find the teaching method to help students with circumference of plane figure. For this, researcher analyzed many students` recording paper and had interview with few students. As a result researcher found that students had some difficulty in recognizing essential information and prior knowledge base was not made up. From these responses, this paper proposed teaching method for helping students about circumference related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