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성 강화에 대한 덕윤리적 비판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7 No.1

        첨단과학기술이 지향하는 강화(enhancement)가 인간의 도덕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주장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도덕적 행위주체(moral agent)의 자율성과 그 주체가 펼쳐낼 수 있는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이다. 신경기술을 통한 도덕성 강화가 인간의 도덕적 행위능력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도전에 대한 확실한 비판은 어떤 이론적 틀거리와 내용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가? 이 글은 그 비판의 출처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과 매킨타이어의 덕윤리를 선택할 것이다. 우선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 6권에서 밝힌 ‘사유적 욕구’ 혹은 ‘욕구적 지성’이라는 핵심 개념에 주목하여, 도덕판단에서 감정의 중요성과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신경과학 연구의 동향이 일면적 주장임을 논증할 것이다. 나아가 정서주의에 대한 매킨타이어의 핵심 비판을 적용하여 신경기술을 통한 도덕성 강화의 핵심전제, 이른바 인간의 감정에 대한 완벽한 조작가능성의 한계가 무엇인지 찾아볼 것이다.첨단 과학기술은 인간의 도덕성보다 더 큰 진전을 이루고 있다. 치료와 강화의 경계선이 불분명한 상황에서 특히 신경과학기술의 활용과 관련하여 윤리적 한계 설정은 그만큼 중요해지고 있다. 인간의 도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정한 방식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교한 접근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도덕성 강화 기획이 진정한 의미에서 인간의 도덕적 행위능력을 고양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결국 포스트휴머니즘이 설정하는 인간, 사회 변화에 대한 보다 정교한 철학적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ethical implications raised by the current and emerging forms of moral enhancement by neurotechnologi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alls in question the legitimacy of moral enhancement project. This project suggests the possibility to control human behavior through technological means. Neural moral enhancement emphasize the central role of emotions over reasoning as a source of moral enhancement. But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moral enhancement by neurotechnologies is not entirely comprehensive of the nature of morality and the capability of moral agent.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the role of emotions and reason in moral philosophy based upon aristotelian analysis on virtues of thought. Moral emotions and reasoning are two different mental processes during moral judgement. They work in synergy and reciprocally influence each other. Phronesis(Practical wisdom) requires deliberation. To deliberate on moral questions demands a particular vision of human flourshing based on the autonomy of the moral agent. Thus, the control and manipulation of moral emotions by technological means reduce and threaten the essence of moral agency, that is autonomy.The second section summarize MacIntyre``s critique of emotivism and show its relevance to an assessment of neural moral enhancement. The transhumanist hope to achieve a total manipulation of emotions, and an improvement of human character implies moral neutrality. Accoding to MacIntyre, this neurality is illusionary. Each individual orders his life according to a set of practices that implies particular ends or goods within a social order. The morality always presupposes rationality situated in a particular social enviornmen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s a moral agent, each individual goes through a process of learning, making mistakes, correcting those mistakes and so moving towords the achievement of excellence.The conclusion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Moral agents are not engineered but train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vision of the good life and an understanding of human flourishing. Thus, moral enhancement by neurotechnologies is a one-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of moral agency that does not reflect the fullness of human morality.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이론적 토대 탐색

        이경원(Lee, Gyeong-Won),박영주(Park, Young-Ju),김완수(Kim, Wan-su),강희원(Kang, Hee-w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7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이론적 배경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전개될 작업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총론 차원에서 ‘이해 중심의 교육과정’의 창조적 역량의 함양을 전면에 드러내어 강조하고 있다. 이에 초등도덕과 교육과정의 시안 개발도 총론의 지침을 반영하면서도, 도덕과의 전통적인 논의를 반영하여, ‘학습자 주도성 강화’와 ‘역량 강화 실효적 도덕함’, ‘도덕성의 다중중첩’을 분석 기준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 밑그림이 된 이론적 배경들의 도입 과정을 3차원 내용체계 구성원리를 중심으로 소개하면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추구하는 인간상, 도덕함의 실효성 강화, 도덕성함양의 다중중첩의 접근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이 논의는 교육과정 개발의 후속 연구 과정에서 학계와 현장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도 의의가 있겠지만, 향후 교육과정해설서와 교과용 도서 개발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논의가 되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paper analyzed the theoretical base stones of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hich is now loading on the site for hearing from critics. In this paper, we found out from the draft, that it was consists of three pillars as basic theoretic base. One of them is the multi level and dimensional approach for building of morality. It’s the reasonable way to develop it by the understanding by design. we can call it as the realization of understanding by design for the new one. Next, we analyzed the ideal goal of teaching for students as harmonizing between moral students and fair citizens. It means the citizenship education is also so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of the new curriculum. Lastly, in this paper, from the draft we were analyzed that doing moral was so important for advancing the moral capability. we are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some guidelines of understanding the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ing the moral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교수·학습 탐색

        이경원,박영주,김완수,강희원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6

        This research paper is a result of the adventurous group study about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Recently we are developing it, so we try to report to the journal for advancing it. We strongly hope for the active discusion and productive comments through this paper.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teaching-learning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as three categories, the teaching-learning for student-agency, the teaching-learning for doing moral, the teaching-learning for multi-integrative moral building. We found a lots of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 and methods in it. Clearly we analyzed them into three big categories. First of all, in this new revised curriculum student-agency is very important, naturally so emphasized. Student-agency is one of the student-centered approach on the teaching-learning. For developing the student’s moral capabilities, the student must do for themselves, not by teacher, so called student-agency just like tour agency that ogarnise the schedules for the tourists. Secondly, it is the teaching-learning for doing moral. Doing moral is just like a googling that is using the search engine for getting information through computers and smart phones. Doing moral is stressed on the doing moral action by students themselves, not by teachers and others. In this context, students must make questions about the moral issues and inquire them. Its the teaching-learning for doing moral. Lastly, we emphasized in this paper on the multi-integrative moral building. Until now at the moral associations in Korea, moral building leans on the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approach. But it is not the cover the new curriculum basic principles. it can not illuminate the cross traits. For example, emphathy is not only in the affective domain at the new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w revised curriculum, understandings are inclusive the emphasizing other people, so old traditional model for moral building can not catch this cross traits, we need the new model, it is the multi-integrative moral building model. Anyway we studied hard for this paper. we hope for the advancing our idea through many comments for this paper and getting more research with our efforts.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개된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교수․학습의 방향과 방법에 대한 탐구를 통해 학계와 현장의 관심을 불러일으켜 발전적 논의를 이끌려는 데 있다. 본 논의에서 소개된 교수․학습의 방향과 방법은 ‘포용성과 창의성을 주도하는 사람’을 지향하여 내용 구성의 원리 및 성격과 목표 등을 구성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제안하는 3차원 내용 구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학습자 주도성이 강화되는 교수․학습’, 도덕과의 교수․학습 실천 원리인 ‘도덕함’과 역량 형성이 상보적으로 강화된 점을 고찰하는 ‘역량강화 실효적 도덕함 중심의 교수․학습’, 마지막으로 학습자 개성과 개인차를 고려한 ‘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중첩의 교수․학습’으로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교수․학습 특징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