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작문

        노명완(Noh Myeong-w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약 100여 년 전에 심리학자 후에이는 독서과정의 완전한 분석은 심리학자들의 꿈의 성취와 같다고 말하였다. 독서가 얼마나 정교하고 복잡한 심리 과정인가를 강조한 말이다. 그런데 작문은 독서보다 훨씬 더 높은 지적작용이다. 독서가 2차적 지식 생산 과정이라고 한다면, 작문은 1차적 지식생산 과정이기 때문이다. 여러 수준의 작문 중에서, 대학작문은 가장 복잡하고 다양하고 수준이 높은 작문이다. 대학작문은 여러 측면의 특성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 대학작문은 고등학교 작문의 후속적 연계이면서 수준은 더 높아야 하고, 교양적이어야 하고, 대학 내의 여러 전공으로 나아가는 학문성도 띄어야하고, 사회의 다양한 직업적 요구도 맞추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대학작문은 이런 여러 특성을 갖추지도 못하였고, 필요나 요구에 부응하지도 못하고 있다. 어쩌면 고등학교 작문보다 그 수준이 더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연유한다고 본다. 하나는 대학에 대학작문 과정이 개설되어 있기는 하나, 그에 적합한 전공자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이는 첫 번째보다 더 심각한 문제로, 대학작문을 담당하는 강사나 교재 편찬 위원들이 대부분 작문 전공자가 아닌 어학이나 문학 전공자들이라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 대부분 대학의 대학작문 교재가 언어학적 규칙을 가르치거나, 문학적 또는 수사학적 글쓰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학작문의 개선이 시급히 요청된다. 우선 대학작문을 담당하는 교수나 강사들을 모두 작문 또는 대학작문 전공자들로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최신의 대학작문 이론들을 도입하여 그 교재의 내용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About one hundred years ago, famous psychologist Huey said that the complete analysis of reading process would almost be the acme of a psychologist’s dream. His words were to emphasize how much complex the reading process would be. But it has for a long time been agreed among the psychologists that writing would be higher than reading in the complexity of cognitive processes. It would not be unreasonable to say that writing is the primary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while reading is the secondary. Among all kinds of writing, college composition/writing would be the most complex and intricate workings of cognition in human mind. College composition has many characteristics in its position, nature, and needs. In its educational position, college composition comes after the high school composition. That is, college composition would be theoretically and educationally more difficult than the compositions at other levels. In the college, college composition is positioned at the gate of entering into various technical fields, that is, into the liberal arts field, social science field, and natural science field. College composition is also expected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job-related writings in the society. College composition has many-sided aspects in its nature. But unfortunately, the current actual conditions of college composition in this country is far away from all these aspects; position, nature, and needs. An analysis betrayed that college composition textbooks fell far behind the high school composition textbooks in both writing theories and the teaching contents. Two very critical main reasons are assumed. The first is because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college composition. Many scholars who are engaged in teaching or textbook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ollege composition still understand that the college composition is academically an applied area of linguistics and literature, and so they emphasize the teaching of grammar and textual rhetoric(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xt types) in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rather than the writer’s cognitive strategies in the writing processes. The second is because of the unqualified professors/lecturers of the college composition courses. Most professors and/or lecturers of the college composition courses are those who acquired their doctoral degrees in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or literature. Many paradigmatic changes in the field of composition/writing have occurred in the last few decades : From linguistics and literature to cognitive psychology in the theories and academic fields; From text itself to writer’s cognitive strategies in the teaching and researching focus. Innovative change are needed in college composition.

      • KCI등재

        대학작문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연구

        서수현(Seo Soo-Hyu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이 연구에서는 대학작문 교육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영역을 대학작문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 대학작문 교육과정 개발, 대학작문 교육과정 운영, 대학작문 교육과정 성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교과 관련 변인과 관련하여 대학작문 고유의 학문적 성과를 교육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준거를 설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대학작문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에 대한 평가 준거로는 학문적 적절성, 교육목표의 타당성을 설정하였으며, 대학작문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평가 준거로는 절차의 타당성, 내용 선정, 내용 조직을 설정하였다. 또한, 대학작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 준거로는 내용의 적절성, 내용의 실현가능성, 내용의 구체성을, 대학작문 교육과정 성과에 대한 평가 준거로는 내용의 유용성과 내용의 충실성을 설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 evaluation strands and criteria. These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evaluation strands have four evaluation categories, needs assess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develop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and achievement assess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Especially, this study focus on college composi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Needs assess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nclude appropriateness of the academic discipline and validity of the lesson goals. Develop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nclude validity of the development process,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nclud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practicality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concreteness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achievement assessment of college composition curriculum include utility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fidelity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대학 쓰기교육의 이해와 발전 전략

        노명완(Noh Myeong-W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대학작문 교육은 여러 갈등적 요인들을 안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학작문교육이 안고 있는 어려움을 가능한 한 이론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동시에 그런 이론적 갈등 속에서도 대학작문 교육이 취하여야 할 기본적인 방향을 찾아보고 있다. 대학작문 그리고 작문이 갖고 있는 큰 어려움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작문이 필자와 독자 사이의 소통의 수단인데, 필자와 독자가 같지 않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문이 어려운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작문의 과정이 내용을 다루는 과정과 이 내용의 언어적 표현을 다루는 매우 상이한 두 과정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문은 본래부터 어려운 일이다. ‘대학작문 교육’에는 최소한 세 가지의 개념들이 들어 있다. 작문교육의 대상이 ‘대학생’이라는 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내용이 ‘작문’이라는 점, 그리고 대학생에게 작문을 ‘교육’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 세 내용들은 이론적, 실제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때로는 상호 갈등적인 측면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작문교육의 대상이 대학에 새로 입학한 1학년 학생이다. 대학 1학년은 고등학교 교육의 뒤에 이어지며 대학 교육의 처음이라는 위치에 있다. 그런데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 대학에서의 교육은 추구하는 이상이나 구체적인 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 점이 대학작문 교육을 어렵게 만드는 한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대학은 4학년까지 있고, 대학 공부에서 작문이 더 필요한 것은 고학년에서인데, 대학에서 실제 작문을 가르치는 대상은 신입생인 1학년 학생들이다. 그래서 현재의 대학작문 교육이 대학이라는 전체 기간 속에서 제 위치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대학교육은 대학 졸업 후 사회에서의 생활과 직장에서의 직무수행과도 긴밀히 이어져야 한다. 그런데 오직 1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작문 교육은 대학교육 후에 이어지는 이런 사회나 직장의 요구에 맞출 수 없는 실정이다. 둘째, 작문 이론이 수사학에 기초한 종래의 선조적(linear) 모형에서 인지심리학에 기초한 최근의 회귀적(recursive) 모형으로 바뀌었다. 선조적 모형은 글을 중심으로 하는 모형이며, 회귀적 모형은 글을 쓰는 사람의 정신 과정을 모형화한 것이다. 회귀적 모형의 대표적 학자인 Flower는 작문 과정에서 필자가 하는 작문의 계획, 내용의 생성, 글 및 내용의 구조와 조직, 그리고 고쳐쓰기 및 편집, 이 네 가지가 포착할 수 없을 정도로 회귀적으로 일어난다는 보고 있다. 이는 작문 과정이 근본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정신적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귀적 모형이 얘기할 수 있는 내용은 작문 과정이 구체성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불확정적’이라는 말 한 마디뿐이다. 그런 점에서 회귀적 모형은 모형화할 수 없는 것을 모형화한 모형이다. 바로 이점이 작문교육을 어렵게 만드는 근본 원인이 되는 것이다. 셋째, 작문의 정신 과정을 포착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그래서 교육하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문은 교육되어야 한다. 그런데 교육의 과정이나 절차는 작문의 정신 과정과는 판이하게 시간과 공간 속에서 진행된다. 강좌라는 이름으로 구체적인 학기 내에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나 교재로, 매주 수업 시간에 강사의 지도하에 교육이 이루어지는 매우 실제적인 것이 바로 교육이다. 이 같은 구체적 시간성과 공간성의 교육 이론은 비시간적이고 비공간적인 정신 이론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이 점이 또한 대학작문 교육을 어렵게 만들어 주고 있다. 대학작문 교육이 갖고 있는 ‘대학’과 ‘작문’과 ‘교육’은 서로 각기 이질적이다. 이 세 가지 중에서 대학작문 교육이 취하여야 할 구체적인 방안은 ‘교육’측면이라 생각한다.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 속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대학작문 교육의 발전적 지향점이라 생각한다. Teaching writing at college undertakes many complex and theoretically disagreeable components in itself.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ttempt to find some theoretical factors that make the teaching writing at college level so difficult in actuality. Teaching writing is in itself a very difficult task. Two main reasons are at hand. One is the gaps of knowledge, attitude, and needs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The second is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writing processes, that is, the process of generating/organizing content, an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content in words. Teaching writing at college includes at least three heterogeneous conceptual components. These are, as we can see in the words of the ‘college teaching writing’, ‘college’, ‘teaching’, and ‘writing’. The very reason of the difficulty of teaching writing at college is because of the conceptual unmatchness among these three conceptual components. Firstly,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of college writing are college students, mainly freshmen who entered college or university in that year. College freshmen are those who have graduated highschool just before, and are beginning to learn academic contents at college level. But learning at highschool and learning at college are quite different in many aspects; for say, the purpose of learning, the teaching method,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attitudes of students. These differences ar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make the teaching college writing difficult. Moreover the fact that, while writing is necessary more and more as students go up higher grades at four-year college, the students receive only one-year writing class when they are freshman, is another factor. Nextly, college students should be taught and prepared for the job-related writing when they are at college. But they receive writing class almost only when they are at the first year of college, which is far away in time from the job-related works in the society. To say in short, the teaching of college writing at present is unable to meet the practical needs and conditions of writing at college level. Secondly, the writing theory has been changed from the rhetoric-based linear model to cognition-based recursive model. The linear model of writing is text-based, while the recursive model is human(writer)-based. Text-based linear model of writing takes the four procedures of writing as planing, generating, designing, and editing in their order. But writer-based recursive model of writing takes the mental processes in which the four procedures are very recursive in the mental processes of writing. It could be said that the recursive model models the mental processes of writing which can not be modeled. The only thing the recursive model could say is that, the writing processes are so complex and recursive in their nature, they can not be captured in any models. This is the main reason that makes the teaching writing at college level so difficult in reality. Thirdly, even though the processes of writing in cognition is too complex to model it, writing should be taught in the class. This educational condition leads 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curriculum and programs. Activities in mental ocesses are recursive beyond the time and space boundary. But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teaching writing should be under the conditions of time and space. Teaching college writing should be realized in the lecture, under the guidance of the lecturer, using any textbook/materials, by the students in real classroom. These educational conditions are another factor that makes the teaching of college writing difficult.

      • KCI등재

        외국 대학작문교육 실태 조사 연구

        옥현진(Ok Hyoun-ji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이 연구의 목적은 U.S. News & World Report가 2011년 미국 내 우수대학작문 프로그램(Best colleges : Writing in the disciplines)으로 선정한 23개 대학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의 대학작문교육 설계와 실천에 참조할 만한 요소들을 조사하는 데 있다. 조사는 인터넷을 통하여 간접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사 결과 작문 센터, 작문 멘토, 학문별 작문, 진단 평가와 수준별 작문교육,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작문 프로그램, 새로운 작문 능력을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조화, 학생들의 작문 활동 참여 장려 등의 측면에서 참조할 만한 요소들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미국 대학들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우리 대학에서 작문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대학 구성원들에게 대학작문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노력이 가장 시급해 보인다. 또한 학회 차원에서나 각 대학 차원에서 외국의 주요 대학들과 자주 교류 하면서 대학작문교육과 관련이 있는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외국 대학들의 작문교육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우리의 연구 성과도 외국에 적극적으로 소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riting programs of 23 American colleges nominated as the best by U.S. News & World Reports in 2011 in order to find useful information in designing infrastructure and support system of writing programs in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highlighted writing center, writing mentor, writing in the disciplines, placement test and differential writing courses, writing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reconstruction of writing curriculum based on the research on new literacies, and incentives to encourage students’ writing practices. Recommended firstly is, based on the findings, the efforts of college composition community to inform college community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in the discipline in order to get their agreement on the investment for writing center, placement test, writing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so on. Collaboration with foreign universities and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s are also necessary.

      • KCI등재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한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 -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의 연계를 중심으로 -

        김규훈,고희성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college writing considering a factor of learning writers. Especially this study has a focus on connections the engineering design and the writing principles for the engineering college learning writ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a study of the college writing must concern factors of the learner because the college writing’s aim is to get the conventions of scholastic community. Particularly the engineering design which are emphasized in the engineering college, could connect with the writing principles. So this study closely connects the each elements of the designing and writing process. As a result, this study makes the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the engineering design,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Capstone design and the principles of writing as a process of the problem solving. Concretely, the writing activities are suggested as per “the integration step of the design and writing” following below: <Define the problem> → <Generate Ideas and Choose solution by evaluation ⇄ Organize the idea> ⇄ <Draft collaboratively> ⇄ <Prototype and Test solution> ⇄ <Revise and Text Producing> And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this model is examined by practicing it in a college writing class. 이 연구는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하여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공과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학적 설계(engineering design)’와 ‘작문 원리’의 연계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작문은 학문 공동체의 관습을 체득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므로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과대학에서 중시하는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가 연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 과정과 작문 과정을 비교하여 설계와 작문의 제 요소가 긴밀히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그 결과 캡스톤 디자인의 교육적 적용 모형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의 작문 원리를 비교하여, 공학적 설계 기반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 확인하기> → <아이디어 탐색 및 평가를 통한 해결책 결정하기 ⇄ 아이디어 조직하기> ⇄ <협력적 초고쓰기> ⇄ <문제 해결 및 검증하기> ⇄ <고쳐쓰기 및 글 완성>’의 ‘설계-작문 통합 단계’를 제안하였고 각 단계별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따른 대학 작문의 수업 사례를 통해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작문 교육의 현실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선행 연구의 흐름과 실태 분석을 통한 표준 교육과정을 제안하며-

        허재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1

        This study aims to review previous research on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I think that the college education takes on historicity but the various advanced researches are interested in the need of actualities recently. But the identity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contains the complex problems. These problems involve three tasks. So I call these tasks as three preconditions. The college writing has been influenced by a total college curriculum. The college curriculum consists of specialty and general arts. The writing subjects belong to general arts. So I examined the college curriculum, general arts and college writing subjects. I discuss that the college writing has many-side aspects. Specially, I focus on the management system. The majority of the general arts or writing education system are not independent. And the purpos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re not established. So I suggest the need of standard college writing curriculum. 이 글은 대학 작문 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고, 대학 작문 교육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 글이다. 대학 작문 교육의 위상 정립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고찰되어야 할 문제가 많다. 거시적 안목에서 대학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 전공 교육과정과 교양 교육과정의 상관성, 교양 교육과정 내에서 다른 교과와 대학 작문 교과와의 관련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찰되지 않으면 대학 작문 교육의 위상을 정립하거나 정체성을 찾는 일은 불가능해 보인다. 이 글에서 논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적 안목에서 (1) 대학의 기능과 대학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 (2) 대학 교육과정에서 교양 교육의 위상, (3) 대학 교양 교육에서 작문 교육의 역할 등을 통해 대학 작문 교과의 정체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둘째, 기초 조사와 선행 연구를 종합하여 대학 작문 교과 운영 방식과 문제점을 살피고자 하였다. 셋째, 대학 작문 교과 내적인 문제를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 방법’, ‘평가’의 차원에서 살피고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갖춘 표준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대학작문교육의 위상과 실행 요건 연구

        장은섭(Jang Eun-seob),최승식(Choe Seung-sik)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우리 사회가 본격적인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면서 많은 대학들은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대학 교육을 개혁하고 있는데 이때, 중요한 부분이 교육과정에 대한 개혁이다. 특히 교양교육은 전공 분야의 경계를 뛰어넘어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운영하는 과정으로 범교과적이고 유용한 교과목으로 구성되는데, 대부분의 대학에서 빠짐없이 개설되고 또 강조하고 있는 과목이 대학작문이다. 작문교육의 강화 배경에는 작문 고유의 성격과 학문 발달 외에도 시대와 사회 그리고 대학의 요구가 반영되어 있다. 즉, 새로운 지식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사고를 표현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주목받으면서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으로 분류할 수 있는 간학문간, 통섭의 인식들이 구체화된 대학작문이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핵심과목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대학작문은 대학 전체 교육과정의 근간이 되는 ‘이해와 표현’을 다루고 다른 학문과의 소통을 이루는 과목으로서, 전 학년에 걸쳐 고르게 이수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받아야 하는 과목으로 그 위상이 정립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그에 따른 실행조건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전체 대학교육과정을 이끌어 나가는 과목으로서 대학작문교육이 차지하는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둘째, 글쓰기 교육을 전체적인 틀 아래에서 조정하고 지도할 대학 내 통합기구가 필요하다. 셋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작문교육을 통해서 도달하고자 하는 글쓰기 하위영역의 성취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넷째, 인적 자원 면에서, 작문교육을 전공한, 대학작문교육을 담당할 전임 교수의 부족은 시급히 해결해야 될 문제이다. 작문교육은 전공을 공부하기 위한 기초 지식뿐만 아니라 대학 졸업 이후에도 사회 활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균형 잡힌 인간형으로 육성해 주는 교육이다. 이상의 논의처럼, 현재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 과목으로서 요구받고 있는 대학작문교육의 체계적인 실행을 위해 위상에 대한 관점과 조직, 내용, 구성에 대하여 획기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As we enter a knowledge-based society, many colleges are trying to change their curricula to follow the rapid changes in people’s needs. The focus lies on the revolution of education and curricula. One of the most commonly college requirements or non-major curriculum and most emphasized is ‘college composi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courses that the students should take. Enforcement of college composition is not only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itself, but the requirements of both college and society. Furthermore, concepts of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ce have become important. Thus, composition is considered to be the center of college courses. Composition is no longer limited to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what is related to the major courses, but extends to integration of all subjects. Therefore, composition must be adjusted as a course that requires systematic instruction. This article suggests four conditions to adjust composition as a systematic instructed course. Firstly, placement of the composition should be reconsidered as it leads the entire college courses. Secondly, centralized and integrated organization for composition is needed. Thirdly,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ubcategory must be clearly presented within subject context. Fourthly, trained and qualified instructors are needed to teach this course. Composition not only provides foundation for studying in college, but also educates one to become individual who can engage in social interactions. As described above, college composition education requires epoch-making changes.

      • KCI등재후보

        은유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필자의 ‘협동 작문’에 대한 인식 연구

        서수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8

        This study explored college student writer‘s awareness on cooperative writing by conducting metaphor analysis. To discover how college student writer constitute concepts of cooperative writing, this study employed metaphor analysis as methodology. Of 37 metaphorical expressions, 6 patterns were induced. These patterns were “collaboration, accountability about each of the roles, experience of positive feeling, process of goal achievement, confusion or difficulty, foot-dragging.” Based on such a college student writer‘s awareness, I expect to operate a more effective college writing curriculum if we form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empirical study of the college writing classes of college student writer’s awareness, and it has provided a way for research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research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은유 분석을 활용하여 대학생 필자의 협동 작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필자를 대상으로 협동 작문 과제를 수행하게 한 다음, 협동 작문에 대한 은유 표현과 은유 표현의 이유를 쓴 기술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 필자들의 협동 작문에 대한 인식은 ‘협력’, ‘각자의 역할에 대한 책무성’, ‘긍정적 감정의 경험’, ‘목표 수행의 과정’, ‘혼란 또는 어려움’, ‘더딤’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이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유형은 ‘협력’으로 확인되었다. 협동 작문에 대한 대학생 필자의 은유 분석을 통해 대학생 필자는 협동 작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집단의 책무성인 ‘협력’과 개인의 몫인 ‘구성원의 책무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학생 필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협동 작문의 교육 내용을 구성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대학 작문 강좌를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대학생 필자가 경험하고 있는 작문 수업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 은유 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 작문 교육 연구에 새롭게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교양 필수 작문의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작문 수업을 중심으로

        유경수 ( Kyoung Soo Yu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본고에서는 충남대학교 작문 강의를 통해 현 대학 글쓰기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강의 환경의 문제에 있어서는 강좌별로 박사 과정 학생으로 구성된 첨삭 조교를 배치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교수자와 학생의 면대면 상담을 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학교에서 제공하고 전공별 글쓰기를 할 수 있는 강좌를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다음으로 학교의 제도적 지원 문제에서는 단계별 글쓰기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점진적인 단계별 글쓰기 교육에 대해 제안하고 현재 교양 필수 2학점으로 되어 있는 글쓰기 강좌를 8학점으로 늘려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외국인 학생과 한국인 학생들의 작문 강좌를 분리하고 외국인 학생의 경우 학점을 절대평가로 매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어국문학과 내부에 글쓰기 전문 기관을 설립해서 글쓰기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제도를 정비한다면 보다 체계적인 작문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수자의 문제에서는 교수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박사 과정에서 글쓰기 강의를 위한 교과목을 이수하게 하고 교수자가 된 후에도 전임교원과 시간 강사 사이에 다양한 세미나의 필요성에 대해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기관인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세미나를 진행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제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 또한 교수자가 다양한 교수법 강연을 듣게 해서 글쓰기 및 강의 전반에 대한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대학에서 배우는 작문 강좌를 통해 단기간에 학생의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기는 어렵다. 하지만 현대는 글쓰기 능력을 필요로 하는 시대이므로 글쓰기 능력은 대학교 때 반드시 갖추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인적인 노력도 필요하겠지만 학교 차원의 제도가 기본적으로 마련되어야 그 기틀 위에서 학생들의 실력을 기를 수 있다. 오늘날 각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미 있는 노력을 하고 있다. 충남대학교에서도 글로벌 시대의 인재 육성을 위해 보다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In this research I stated the problems, suggested solutions of present Korean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and then proposed specific ways to improve writ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course of Korean Composition I, offer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rist of all, as for the lecture environment, I suggested arranging assistant professors for correction made up of doctoral students for each course. Furthermore, I proposed that school authorities should provide time and space for face-to-face counseling to professors and students and also organize writing lectures for different majors. Secondly, as for the school’s institutional support, I pointed out that step-by-step writing education is necessary, proposed gradual and phased writing programs from freshman to senior. Then I insisted they should increase composition courses from the present 2 to 8 credits in the liberal arts requirement. In addition, I suggested the existent composition courses should be divided for Korea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an absolute grading scale. I expect that if we set up a professional institute for writing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arrange the overall system of writing education, we will be able to perform more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Lastly, as for professors, I announced it is necessary that school should have doctoral students take required courses for writing lectures and a variety of workshops held between full-time lectures and part-time lecturers even after giving lectures in order to improve professionality. For this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e academic organization, should offer the space for workshops and give institutional support. Also, I emphasized that we need to pave the way to train experts of overall lecturing as well as writing by encouraging professors to take lectures of various teaching methods In fact, it is not easy to improve a student’s writing ability in a short period through a composition lecture at a university. Still, this is an era requiring writing ability, so students must possess the writing ability in college. For this individual effort will be necessary but students could cultivate their ability better when school basically prepares a program for it. Nowadays, every university is making significant efforts to improve students’ writing abilit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hould also find more practical ways in order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in this global era.

      • KCI등재

        기획주제:핵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 발전 방안; 대학 작문 교육과 학술적 글쓰기의 특성

        정희모 ( Hee Mo Chong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1

        이 연구는 국내 대학 작문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쟁점을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먼저 국내 대학 작문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 중심 교육으로 등장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학 작문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 교육과 관련하여 고려해 보아야 할 다양한 쟁점들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쟁점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학자들이 합의할 수 있는 단일한 학술공동체 개념을 만들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대학은 다양한 학술공동체가 모여 집합체를 형성하고 있어 단일한 학술적 글쓰기 장르를 찾기가 어렵다. 둘째, 대학 작문 교육에서 수행되는 여러 작업들이 특정한 수사적 목적과 맥락의 구체성 속에 있기 때문에 보편성과 일반성을 가진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셋째, 학술적 글쓰기가 비학술적 글쓰기를 억압하는 현상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대학 작문 교육에서 학술적 글쓰기와 비학술적 글쓰기의 대립은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학술적 쟁점들에 대한 상세한 논의를 검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쟁점은 신입생 작문 교육의 학습 전이의 문제이다. 많은 학자들은 신입생 작문 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장르들이 실제 개별 전공 영역에서 다루는 장르들과 차이가 있다고 보고 있다. 또 개별 전공 영역의 특정한 수사적 목적과 맥락이 수반되지 않는 학습 전략들과 방법들은 다른 학습영역으로 전이가 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신입생 작문 교육에서 학습 전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어떤 교수 학습 전략이나 방법이든 목적과 맥락의 구체성 속에서 생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various issues about academic writing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These issu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a single academic community with every scholars` agreeing with each other. because a university is an aggregation that consists of many different academic communities.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llege writing don`t have a common universality and generality because tha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have a Particular rhetorical purpose and context. Third, non-academic writing gets suppressed by academic writing. Finally, this article deals with the learning transfer of freshman writing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etting. Many scholars assent that learning strategies and methods that do not exist in the particular rhetorical purpose and context of one major are difficult to transfer into another situ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way of learning transfer in freshman writing education is to make constant use of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methods in the context and the purpose of particular rhetorical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