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형 부정문을 형성하는 ‘안’의 문법 범주에 관하여

        박재희,박정규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1 No.-

        단형 부정문을 형성하는 부정소 ‘안’의 문법 범주를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부사 또는 기능구인 NegP의 핵으로 처리하여 왔다. 이는 곧 부정소 ‘안’을 독립된 단어로 인정하고, 부정소 ‘안’과 용언이 통사적으로 결합하여 단형 부정문을 형성한다는 것을 전제로 삼아 논의를 진행해 왔 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많은 수의 용언들이 부정소 ‘안’과 결합하여 단형 부정문을 형성하지 못하는 사실에서 우리는 단형 부정문의 형성이 단순 히 통사적으로 형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부정소 ‘안’의 문법 범주를 부사나 NegP의 핵이 아닌 접사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 함을 제안하였다. 즉, 단형 부정문은 통사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접사 ‘안’과 어기의 결합이라는 단어 형성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 음을 확인한 것이다. 부정소 ‘안’이 접사라는 사실을 본고에서는 (i) 유형 론의 관점에서, 부정소 ‘안’의 위치, (ii) 단형 부정문을 형성하지 못하는 용언들의 특성, (iii) 본용언-보조 용언 구성에서 부정소 ‘안’의 실현 양상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 KCI등재

        부정문의 중의성 문제 재고 -작용역과 정보구조의 상호작용-

        박철우 ( Park Chul-woo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8 No.-

        이 글에서는 부정문이 다중적 해석 양상을 보이는 현상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을 시도한다. 기존에는 양화사와 부정소 사이의 작용역 차이에 의한 구조적 중의성이 단형과 장형 부정문과 관련하여 동일한지 여부가 논란이 되었었고, 특정 성분에 초점 강세가 주어질 때 그 부분만이 부정의 작용역이 된다는 설명이 특정한 이론적 체계를 갖추지 못한 상태로 제기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정보구조의 틀을 수용하여, 부정소의 작용역과 정보구조에 의한 초점의 작용역은 서로 분리되어야 하는 현상이라는 가정 속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부정의 작용역은, 부정소가 명제의 진위를 바꾸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명제 단위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초점의 작용역은 하나의 성분으로부터 성분들의 조합 혹은 문장 전체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맥락 상정과 함께 제시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은 소위 장형 부정문과 단형 부정문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장형 부정문과 단형 부정문의 차이가 드러난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단형 부정문에 양화사나, 절이나 성분을 공히 수식할 수 있는 부사어의 수식 범위에 따른 중의적 해석에 대해서도 정보구조와 연관된 해석 가능성을 추가함으로써 설명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고, 장형 부정문에 나타나는 ‘-지’와 ‘하다’의 기능에 대한 설명 가능성을 함께 엿볼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explain the phenomena that each negative sentence in Korean has multiple interpretations, systematically. In the former debates, the scope difference between the quantifier and the negative item in negative sentences was considered as a source of the ambiguity, but some argued that this ambiguity goes for only so-called long-form negation, and the other insisted that it goes for both longand short-form negations. Furthermore, there has been an observation that negative sentences in Korean can have interpretations as many as the number of constituents in the sentence if the constituent goes with a focal stress. We firstly point out that a negative item has a scope not on a constituent, but a proposition itself. So all the multiple interpretations can not be treated simply as scope negations. Therefore we assume a frame of information structure(focus-presupposition articulation) and, to prove that this perspective can also be applied to negative sentences, we present a near full set of probable interpretations of a long-form negative sentence and then do the same to a short-form negative sentence. As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we could find the genuine difference between two different forms of negation. Nevertheless, it doesn't mean that the scopes of negation and other scope-having items make no meaning separation. But, the point is that all the multiple interpretations can be disambiguated on the ground of informational mechanism.

      • KCI등재

        부정소 ‘안’의 문법 단위 설정에 대한 소고- 접사적 성격을 지닌 의존형태소인 부정소 ‘안’ -

        박재희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The goal of this study enlightened the fact that the grammatical unit ofthe negation particle ‘an’ in Korean, which builds “short-form negationconstruction” is not an “independent morpheme” but a “dependent morpheme”. Up until now, previous studies including many grammar textbooks ordictionaries have define ‘an’ as a word and so it belongs to the part-of-speech“adverbs” in Korean.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not explain (i)the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n’ and (ii)the reason whycertain verbs cannot combine with ‘an’ and cannot create short-form negationconstruction. Thus, this study pointed out the main reason why previousstudies cannot explain these two things is that they categorized ‘an’ as anindependent word and regarded it as an adverb in Korean. This study intendedto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an’ as a dependent morpheme. Firstly, inmodern Korean, ‘an’ behaves differently from an adverb ‘ani’ which isregarded as the original form of ‘an’. Secondly, some characteristics of ‘an’does not match with those of adverbs in Korean. Based on the fact that ‘an’is an independent morpheme in Korean,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thebase of ‘an’ and finally found that the base of ‘an’ was “verbal root”. As thefact that ‘an’ is an independent morpheme and its base is a verbal root, thestudy can explain why many verbs cannot combine with ‘an’ and cannot buildthe short-form negation construction in Korean. 본 논문은 단형 부정문을 형성하는 부정소 ‘안’의 문법 단위가 자립 형태소인 단어가아니라 접사적 성격을 지닌 의존 형태소임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부정소 ‘안’이의존 형태소임을 밝혀 부정소 ‘안’을 부사로 설정함으로써 그 동안 설명되지 못했던 (i)부정소 ‘안’의 형태-통사적 특징들과 (ii)단형 부정문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제약을적극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부정소 ‘안’을 부사 ‘아니’의 준말로서부사로 분류하고 부사인 ‘안’이 용언 앞에 통사적으로 위치하여 단형 부정문이 형성된다고 설명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i)부사 ‘아니’와 부정소 ‘안’의 역할의 차이와 (ii)자립형태소와는 차별화되는 부정소 ‘안’의 형태-통사적 성격을 들어 부정소 ‘안’의 문법 단위를 자립 형태소인 단어가 아니라 접사적 성격을 지닌 의존 형태소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와 함께 의존 형태소인 부정소 ‘안’과 결합하는 어기가 용언형어근이라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부정소 ‘안’이 용언형 어근인 어기와 결합하는 접사적성격이 강한 의존형태소라는 사실을 통해 선행 연구에서 해명하지 못했던 단형 부정문의 형성 제약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15세기 국어 부정문 연구 - "아니" 부정문과 "몯" 부정문을 중심으로-

        박형우 ( Hyeong Woo Park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7

        본고는 15세기의 국어 자료에서 부정문을 분류하여 유형과 그 비율, 서술어의 형태론적 특징에 따라 정밀하게 고찰하고, 그 변화의 양상과 원인에 대해서 살펴본다. 전반적으로 15세기 국어 부정문이 갖는 특징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니’ 부정문과 ‘몯’ 부정문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15세기에 이미 장형부정문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단형부정문과 장형부정문의 비율을 고려하면 15세기 자료에서는 ‘몯’ 부정문보다도 ‘아니’ 부정문의 경우 장형부정문화의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15세기 부정문에서는 ‘아니’ 부정문과 ‘몯’ 부정문에 관계없이, 서술어에 고유어나 한자어 어근이 포함된 경우 전형적인 단형부정문을 형성한 용례는 극히 적으며, 대부분 삽입형의 단형부정문이나 장형부정문을 형성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아니’, ‘몯’ 부정문 모두 서술어의 형태적 조건에 따라 ‘파생어>합성어>단일어’ 순으로 장형부정문의 비율이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characteristics about Korean negative sentences in the 15th century Korean literatures. The method of this paperis to classify and collect statistics of negative sentences in the 15th century Korean literatures, then to reclassify according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dicates. This paper explain the feature and reason of the change of Korean negative sentences in the 15th century by these methods.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 Firstly, there was the tendency of the long forms in ‘ani’ and ‘mot’ negative sentences in 15th century. Secondly, considered the rate of short and long form of negative sentences, the tendency of the long forms advanced stronger in ‘ani’ negative sentences than ‘mot’ negative sentences. Thirdly, regardless of ‘ani’ and ‘mot’ negative sentences, the tendency of the long forms and type of ‘noun root+ani(mot)+ha-’ was increased in the predicate had the noun of Korean and Sino-Korean. Finally, the tendency of long forms was concerned with the morphologic construction of predicates in negative sentences. A degree of the tendency was as follow. “derivative words > compound words > single words”.

      • KCI우수등재

        자토석독구결의 부사 위치 고정과 단형 부정의 제약 현상

        김지오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91

        자토석독구결 자료는 어순의 측면에서 두 가지 특징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하나는, 한국어는 부사의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운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자토석독구결의 타동사문에서는 ‘부사+목적어+타동사’로 어순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피수식어 바로 앞 위치를 선호하는 ‘정도 부사’가 구결문 번역에서는 매우 부자연스러운 위치에 나타난다. 다른 하나는 부정문 구성에서 부정사를 피수식어 앞에 두는 어순(단형 부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향가 자료에서는 용언 부정이 부정사를 피수식어 앞에 두는(단형 부정) 방식으로 나타나는 데 비해, 자토석독구결 자료에서는 부정사를 피수식어 뒤에 두는 부정문(장형 부정)으로 대부분 나타난다. 이 때문에 부정법의 변천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부정문이 단형 부정문으로부터 출발해 고려시대로 넘어오면서 장형 부정문으로 그 형식이 변화한 것으로 기술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현상은 당시의 언어 현상이나 언어 변화와는 무관하게 자토석독구결의 좌토(左吐)와 우토(右吐)의 방향 규칙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자토석독구결은 한문의 오른쪽과 왼쪽 양쪽에 모두 구결을 기입할 수 있는데, 이때 연속되는 오른쪽 토는 위에서 아래로, 연속되는 왼쪽 토는 아래에서 위로 상향으로 현토(해석)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자토석독구결의 타동사문에서는 부사의 위치가 목적어 앞으로 고정될 수밖에 없고, 이와 더불어 장형 부정문밖에는 만들어질 수 없다는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자토석독 자료에서 부사의 어순이 고정되는 현상과 단형 부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현상은 현토 방식으로 인한 특수한 현상일 뿐, 당시 고려시대의 언어 현실을 반영한 사실이 아님을 구명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부정문 습득에 관한 종단 연구

        김지숙(Kim, Ji-suk)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아동은 이미 습득한 어휘 부정의 대조, 반대 개념을 바탕으로 부정문에 대한 인지가 나타났는데 ‘안’ 부정문 습득 초기에는 ‘안(아)+서술어’의 형태와 ‘서술어+안’의 형태를 함께 사용하였다. 부정소 ‘안’은 일반적으로 ‘안’이 올 수 없는 환경에서도 나타나는 과잉일반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부사어가 결합된 문장에서도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구(舊)정보의 사용으로 신(新)정보산출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아동은 발화 차시가 늘수록 ‘안+서술어’의 구성으로 어순을 고정하였고 점차 성인과 동일한 문장을 산출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아동의 발화에서는 ‘안’ 장형부정문을 찾아보기가 힘들었고 이에 반해 ‘안’ 단형부정문은 과잉된 사용을 보이고 있었는데 단형부정문의 명확한 의미 전달과 발화 길이의 편이성으로 인한 효율적인 의사소통으로 그 쓰임이 적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못’ 부정문은 ‘안’ 부정문보다 늦게 나타났다. ‘못’ 부정문은 이미 습득한 ‘안’ 부정문으로 부정문의 문장 구성을 인지했기 때문에 부정소 배치 오류는 없었지만 이미 습득한 ‘안’ 부정문으로 인해 ‘안, 못’이 함께 나타나는 부정소 혼재가 나타났다. 또한 능력부정과 의도부정을 구분하지 못하는 의미 오류가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이를 통해 ‘안’ 부정문과는 다른 의미상의 문제로 인한 부정소 선택의 오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못’ 장형부정문은 모든 연령의 아동에서 대부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점 또한 ‘안’ 부정문의 명확하고 효율적인 의미 전달성으로 인한 결과로 파악할 수 있었다. Korean children used both the forms ‘Ahn (Ah) + predicate’ and ‘predicate+Ahn’ for negative sentences in their early acquisition period. These forms of negative sentence resulted from their recognition of nega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comparison and contrariety for the negation of previously-acquired vocabulary. The negative element ‘Ahn’ was overgeneralized beyond appropriate limits because it lessened the burden of producing new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old information. This phenomenon was shown equally in sentences connected by adverbial phrases. However, as the sessions of utterance increased, the word order became fixed in the structure ‘Ahn+predicate.’ In addition, children began to produce the same types of sentence as adults. On the other hand, long-form negative sentences were rare in children’s utterances for two reasons : first, the ability to convey meaning clearly, and, secondly, the ease of utterance length for short-form negative sentence.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use of the ‘Ah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The ‘Mot’ negative sentence appeared later than the ‘Ahn’ negative sentence. In the case of ‘Mot’ negative sentences,children recognized the negative sentence structures by the use of ‘Ahn,’ which they had acquired previously. They did not make a placement error with the negative element. However, in the case of ‘Mot’ negative sentences, they were unable to select a single negative element and made an error whereby ‘Ahn, Mot’ appeared together, as a result of previous acquisition of the ‘Ahn’ negative sentence. In addition, they made a semantic error in not distinguishing ability negation from negation of an intention by which an aspect of err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Ahn’ negative sentence could be identified. The ‘Mot’ long-form negative sentence did not appear in the utterances of all age-groups, as a result of the ability to communicate clearly and effectively using the ‘Ahn’ negative sentence.

      • KCI등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의 "안" 부정법

        정연주 ( Yeon Ju Jeong ),정경재 ( Kyeong Jae Chung ),홍종선 ( Jong Seon Hong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5

        이 논문은 20세기 전기의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당시의 ‘안’ 계열 부정문이 보이는 형태적·분포적·기능적 특성을 살핀 것이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구형인 ‘아니’형이 동시기의 문어 자료에 비해 뚜렷하게 적은 비율로 실현되고 있다는 것, 또 ‘아니’형이 단형 부정보다 장형 부정에서 덜 쓰이고 있으며 장형 부정문에서 ‘아니’형이 쓰인 예 중 의문 어미가 이어지는 경우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 또장형 부정의 ‘아니’는 동사보다 형용사에서 덜 쓰이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분포적 특성으로는 동사에 비해 형용사에서 단형 부정이 극도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 또 부정부사의 어근 분리 현상이 동시기 문어 자료에 비해 아주 드물게 보인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부정적 전제 확인 기능이 장형 부정 형식으로 실현된 비율이 오늘날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This thesis analyze the morphological, distribu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n`` type negative sentences in the first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based on the spoken language data. The data shows that morphologically, the old form ``ani`` was noticeably less frequently realized, compared its usage in the written language data of the era. Moreover, ``ani`` is less frequently used in the long-form negation than in the short-form negation. When ``ani`` is used in sentences with the long-form negation, it is not followed by interrogative endings and ``ani`` in sentences with the long-form negation are less frequently used in adjectival verbs than in action verbs. In terms of distribu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short-form negations are rarely used in adjectival verbs in comparison to action verbs and that root-separation of the negative adverb is seldom found in spoken language, when compared to written data. This study further shows that the confirmative function of the negative presupposition is realized more frequently through the long-form negation.

      • KCI등재

        국어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과 통사 구조의 해석

        구종남(Jong-nam, Koo)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2 No.-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에 관한 논의에서는 절 경계를 분석하는 것과 단형과 장형의 부정 방식에서 기인하는 부정 영역의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다. 그러나 이전의 논의에서는 이들 문제에 대한 면밀한 고려가 없거나 부족했다. 그 결과 접속문과 내포문에서 부정극어의 허가 영역이 제대로 규명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전의 논의에서 국어 부정극어 허가 영역과 관련하여 동일절 조건이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가 있으나 본고의 입장은 이와 다르다. 또한 그간의 논의에서 부정극어 허가 영역과 관련하여 직관상의 문제와 관련된 문제가 있었으며, 부정극어의 다양한 복문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도 미흡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 부정문의 부정 방식과 부정 영역에 기초하여 접속문, 명사절 내포문, 보조동사 구문, 장형 사동문, 부정 상승 구문, 명사구 부가어절을 가진 계사 구문, 비명시적 부정극어 허가자 구문 등 여러 가지 복문 구성에서 부정극어 허가 영역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국어의 다양한 복문 구조에서 모두 동일절 조건을 준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면상 상이한 절에 속하는 부정어가 다른 절에 속하는 부정극어를 허가하는 것으로 보이나 부정의 영역을 고려하여 문장 구조를 분석하면 동일절 조건으로 분석되며 절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구문의 경우 부정어와 부정극어가 상이한 절에 속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때도 상위절 본동사와 하위절 동사가 한 단위로 재구조화되어 부정극어를 허가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동일절 조건을 준수한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explore the scope in which NPIs(negative polarity items) are licensed in Korean bi-clausal structures. It is well known that NPI must be licensed only by a negative element in the same clause. There are two types of negation, short form and long form in Korea. The long form is different from the short one in that the former has ambiguity and affirmative presupposition. Therefore we must discuss the licensing scope of NPIs through the long form negation.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licensing scope of NPIs of various bi-clausal sentences. In conjoined sentences, even though the NPI and negative exist in different clauses on the surface, the sentences are grammatical. It is due to the negation method of long form. It shows the wide scope of negation in these cases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NPI and negative are in the same clause. So the clause-mate condition is observed. And I examined the licensing scope of NPI in complex sentences which has embedded NP-clause, VP-clauses and in negative raising sentences, auxiliary verb sentences, negative copula sentences, and in sentences which has unexplicit NPI licensor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lmost all the complex sentences keep the clause-mate condition. It appears that some sentence types do not observe this condition. But in these cases, the preceding and accompanying verbs are reconstructed and function as a verb. I concluded that in Korean all the NPIs must be placed in the clause in which the negative exists.

      • KCI등재

        부정문의 중의성과 동의성 양상에 대한 연구

        박형우 ( Hyeong Woo Park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7 청람어문교육 Vol.35 No.-

        본고에서는 국어 부정문에서 나타나는 중의성과 동의성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부정문에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는 것은 국어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데 이 두 부정문의 의미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논의되어 온 문제 중의 하나가 바로 두 유형의 중의성과 동의성에 대한 것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밝힌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두 부정문은 의미 측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다. 즉 동의성을 갖는다. ② 두 부정문은 중의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아도 차이가 없다. ③ 수량사가 포함된 부정문의 경우 두 유형 모두 전체 부정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다. ④ 부정의 대상에 대한 인식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두 유형에 관계 없이 더 민감하다. ⑤ 두 부정문의 의미적 차이는 부정의 인식 차이 정도이며, 이는 종속절이 포함된 문장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aspect of ambiguity and synonymy in Korean negative sentences by the use of questionnaire. The fact that Korean negative sentences have two types(short Negation and long Neg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Korean language. Although ambiguity and synonymy of two types has been an object of study for a long time, there is little agree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s analyzing statistical data ①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semantic relation of two types. Two types are synonymy relation. ② Two types have no difference in terms of ambiguity. ③ Two types have a tendency to being recognized total-negation in case of negative sentences that have ``quantifier`` ④ women are more sensitive than men in cognition on the object of negation ⑤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is only a degree of cognition about negation. This difference become the most clear in case of negative sentences that have a subordinate clause

      • KCI등재

        새로운 부정(문) 유형 분류와 그 언어학적 함의

        김건희 ( Kim Keon-hee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99 No.0

        본고에서는 대표적인 국어 문법서를 중심으로 국어 부정(문) 유형 분류를 검토하여 두 논제를 설정하였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 번째 논제, ‘말다’ 부정문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범언어적인 관점의 부정 명령문에 대해 고찰하였고, 두 번째 논제, 통사적 부정(문)과 어휘적 부정(문)에 관련된 ‘부정문 성립 여부의 검증’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새로운 부정문 유형 분류 및 그 세부 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 ‘통사적 부정(문)’보다는 부정 어휘로 형성되는 ‘어휘적 부정(문)’에 대응되는 ‘문법적 부정(문)’이라는 분류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장형 부정과 단형 부정의 경우 폐기하기보다는 2차적 하위부류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문법적 부정도 부정소 종류에 따른 부류와 문장 유형에 따른 부류로 세부적으로 구별하였다. 넷째, 통사적 부정문 유형 분류는 부정극어와의 호응 여부보다는 부정소 결합 여부를 중심으로 준거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다섯째, 공시적, 범언어적인 특성도 고려하여 ‘아니다’를 통사적 부정(문)보다는 어휘적 부정(문)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lassification terms of Korean negative types in the recent grammar references and exhibit two topics, (1) the negation of imperatives from the language-universal viewpoints as to examine the status of ‘malta’ negation, (2) the verification of negatives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type of syntactic negation and lexical negation. Based on the examinations of these topics, the new classification of Korean negative types are proposed like these. First, instead of syntactic negation, the grammatical negation is suggested, which includes syntactic and morphological elements and reasonably corresponds to lexical negation. Second, the short form and long form negation are established in the secondary classification type of Korean negation, rather than eliminated. Third, grammatical negations are sub-classified according to the kinds of negator and sentence types. Fourth, the classification of syntactic negation must be decided by the combination of negator, not co-occurrence with negative polarity item. Fifth, the ‘anita’ must be classified as lexical negation, not syntactic negation from the synchronic and language-universal view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