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위니즘의 관점에서 본 바바라 킹솔버의 『성하』와 『포이즌우드 바이블』 비교 연구

        이영애(Yi, Young-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1

        본 논문은 미국의 여성 생태주의 작가인 바바라 킹솔버의 두 작품인 『성하』와 『포이즌우드 바이블』에 등장하는 남성 등장인물들을 다윈의 진화론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다위니즘은 종의 생존을 목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을 진화의 개념으로 풀어낸다. 유전적인 변이와 자연선택이 그 핵심으로 특히 자연선택은 종의 다양성을 주로 근거로 한다. 종의 다양성에는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신성하고, 개개의 생명체는 다른 생명체와 공존해야 함을 포함한다. 미국의 에코페미니스트 작가인 바바라 킹솔버는 인간과 자연세계의 공존을 이야기한다. 『포이즌우드 바이블』에서 미국인 본질주의자이자 목사인 네이선 프라이스는 콩고에서 외로이 종교적인 삶을 끝낸다. 유일하게 목소리가 주어지지 않은 네이선은 콩고인들을 이해하지 않은 채 개종하기를 원했고, 결국 그들과 공감하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한다. 『성하』에서 코요테 사냥꾼인 에디 본도는 환경문제를 충분히 인식하는데 실패하고, 코요테를 없애야한다는 그의 주장은 디아나로 하여금 그와의 관계를 끝내게 만든다. 미국토종 밤나무의 부활을 꿈꾸는 가넷 워커는 내니와의 편지를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해 공감한다. 킹솔버는 다위니즘을 이용하여 복잡하지만 상호 연결되어져있는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wo novels, Prodigal Summer and The Poisonwood Bible, from the perspective of Darwinism. Darwinism mainly discusses the survivals of species whose purpose aims at diversity. Every single living thing has innate divinity, which implies not isolation but connectivity. Barbara Kingsover, an American eco-feministic writer, depicts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al world. In The Poisonwood Bible, Nathan Price, an American essentialist and reverend, ends his missionary life in the Congo alone. Nathan whose voice is not given wants to convert Congolese people without understanding them. In Prodigal Summer, Eddie Bondo, a coyote hunter, doesn’t have enough intelligent commitment to environmental issues. His consistent coyote eradication made Deanna end their relationship. Garnett Walker who wants to resurrect American old chestnuts empathizes Nannie’s environmental concerns through letter writing. Kingsolver successfully shows complex interdependent ecosystem using Darwinis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문화질서의 상대성과 다위니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연구

        김경식 ( Kyeong Sik Kim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1 근대 영미소설 Vol.18 No.3

        This essay tries to explain how Alice in Wonderland represents the logic of cultural order seemingly permanent and absolute as relative and arbitrary. The plot of the book is framed by a form of culture contact between the culture of a Victorian girl and that of Wonderland. Alice continues her adventure underground to get over the above-ground assumptions and disclose the relative and arbitrary nature of above-ground cultural order. Alice`s adventure is characterized by the sudden changes of her size symbolizing profound instability and changes in identity. Realism dominant in 18th and 19th centuries is not prone to admit of the possible existence of partial or multiple aspects of identity, which is a Victorian middle class ideological concept. Alice in Wonderland explores the subversion of the ideology and the concept of unified and stable identity, which also shows the above-ground cultural order as relative and arbitrary. The book presents Darwinian natural order as an alternative to the arbitrary cultural order. Darwininan order fundamentally undermines the ideology of natural hierarchies frequently invoked in Victorian cultural order. The story argues that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 beings are deep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humanities are also governed by the wider order, namely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반실재론적 진화 윤리학에 대한 대안

        박정희(Jeong hee Park)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8

        플라톤 이래 서양의 전통 철학은 이성이나 양심에서 혹은 언어사용이나 문화 형성 능력에서 인간의 본질을 찾는다. 그러나 다윈은 공동 조상으로부터 생명체들이 자연 선택을 통해 지금의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종들에게 그들만의 고유한 본질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간에 대한 반본질주의적 해석은 진화 윤리학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인간의 행동이나 품성과 관련된 도덕성도 생명의 진화와 마찬가지로 자연선택을 통한 적응 결과다. 이러한 진화론을 기초로 해석되는 인간의 행위 원리는 단지 유용성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보편타당하고 객관적인 도덕적 행위의 기준에 대한 인류의 열망과는 갈등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진화론은 개념상 도덕 실재론과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이러한 과감한 추정들에 따라 진화론은 대체로 반실재론적 입장의 윤리학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말 그대로 과감한 추정일지도 모른다. 필자는 진화론이 자연주의 도덕 실재론과 양립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는 과학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세계 그림 안으로 도덕성을 들여오는 자연주의 프로젝트이며 도덕적 회의론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1, 2, 3장에서는 자연주의와 비자연주의, 실재론과 반실재론, 인지주의 비인지주의의와 관련한 논쟁들을 통해 현대 윤리학의 기본 아이디어들을 파악함과 동시에 자연주의 도덕 실재론을 옹호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4장에서는 흄-다윈주의자들의 두 흐름을 통해 진화론 내에서의 실재론과 반 실재론이 어떤 맥락으로 형성되어 있는지 그 지형을 그려보고, 진화론이 단지 반실재론을 지지하지는 않음을 보여줄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 도입되는 플라너겐의 심리적 실재론은 그 자체로 도덕법칙이나 원리의 실재를 옹호하는 종류의 실재론이 아니라 도덕 실재론을 위한 기초로서 제시되는 심리적 실재론이다. 전반적으로 이 논문의 목적은 진화론을 기초로 도덕 실재론을 옹호하는 것이지만, 마지막 부분에 플라너겐의 심리적 실재론을 도입하는 이유는 그것이 현대 윤리학에서 대립하고 있는 실재론 반실재론, 인지주의 비인지주의, 감성과 이성, 과학과 윤리학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의 문제점을 보여줄 뿐 아니라 좀 더 자연주의적인 탐구방식을 통해 도덕 실재론을 옹호하는 건전한 방법을 적절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것이 환경에 따라 진화한다 해서 단순하게 그것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회의론으로 기우는 것은 문제를 너무나 쉽게 해결하는 것이다. 도덕이 실재한다는 의미가 매우 이해하기 어렵지만 그것을 자연주의적인 방식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건전해 보이며 또한 도덕 철학의 발전에 의미 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Western traditional philosophers since Plato have found human essence in Reason, Conscience, language or cultural faculty and so on. But Darwin proposed common descent and natural selection theses, and these have been interpreted as the claim that there is no essence in every living thing including human being. This anti-essentialism has led to the idea in ethics that morality is the product of the adaptation through natural selection and evolution and its criterion is utility, which seems to be in conflict with the hope for our universal and objective criterion or principle. As a result, evolutionary theory appears not to be harmonious with moral realism. According to this line of suggestions, evolutionary theory has been understood to support moral antirealism or non-cognitivism. But this sort of conjecture can be a literal conjecture. I will show moral realism has the compatibility with evolutionary theory in the light of contemporary ethical debates and Flanagan’s psychological realism. This is the naturalist project which attempts to bring morality into the world which can be investigated empirically and also the product of the effort to overcome moral skepticism.

      • KCI등재
      • KCI등재

        동물, 그리고 믿음

        최예정(Yejung Choi)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23 영미문학교육 Vol.27 No.3

        This paper explore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Yann Martel’s novel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role of animals and the theme of belief in his works Life of Pi and The High Mountains of Portugal. The analysis delves into Martel’s unconventional views on belief, which deviate from traditional religious perspectives. The study investigates Martel’s underlying motivations for consistently employing animals as vehicles for conveying his perspectives on belief. This paper argues that Martel employs animals as potent vehicles to underscore the limitations of rationality and objectivity emphasizing the role of belief in human existence. In Life of Pi, the protagonist’s survival with a Bengal tiger in a lifeboat prompts a deeper inquiry into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of belief. Blurring the lines between realism and fantasy, Martel proposes a new idea of faith that transcends traditional institutional frameworks of religion. In The High Mountains of Portugal, Martel appropriates Christian narratives to depict the three stages of human belief. Animals are employed as symbols of the protagonists’ spiritual states. They also serve as guides in their spiritual journey, driving the protagonists toward belief Overall, Martel’s exploration of belief employing animals illustrates human need for belief 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beliefs and stories.

      • KCI등재

        사회 계급 개념의 중국적 수용에 나타나는 특징

        홍지순 ( Jee Soon Hong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4 東亞 硏究 Vol.33 No.2

        이 논문은 20세기 초 중국 사회계급에 관한 지식인, 대중 담론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아울러 일본과 한국에서의 계급이라는 한자어 사용에 대하여 조사하며 사회계급 개념의 중국적 수용 과정의 특색과 사회정치적 맥락을 연구한다. 특히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 1949년에 이르는 초기 수용과정에 초점을 맞춰 천뚜시우, 리다자오, 쑨원, 청팡우, 궈모뤄, 마오쩌둥 등 대표적 논자들의 계급관련 논문들에 나타난 서로 다른 접근을 논의하며 근현대 중국 계급 담론에 대한 역동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근현대 중국에서 사회계급 담론은 결코 혁명과 전쟁의 정치적 소용돌이로부터 동떨어져 발전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또한 현대 중국 계급 담론이 중국의 현대적 주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어떻게 작동하였는지를 탐구하기 위하여 계급 개념을 자아, 사회, 국가, 제국주의 등 개념과의 관계 속에서 접근한다. Based on a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intellectual and popular discourses on social class in early twentieth century China and also a trans-regional survey of the Korean and Japanese usages of the Chinese-character word, this paper explores the sociopolitic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appropriation of “social class” (jieji ). This study focuses on the early period of its appropriation, that is,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efore 1949. This article examines representative writings on social class by Chen Duxiu, Li Dazhao, Sun Yat-sen, Cheng Fangwu, Guo Moruo and Mao Zedong. By illuminating their different approaches to the concept, it tries to present a dynamic understanding of the class discourses in modern China and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the class discourse contributed to the particular way of constructing the modern subject in China.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ancient political ideal of “great harmony” (Datong ) was replaced by “competition” and “survival” of the social evolution theory and then yielded to “contradiction” and “struggle” of the Marxist class theory. The modern Chinese discourses of social class were never detached from political turmoil of revolution and war. As seen in Mao’s historic article of “Analysis of the Classes in Chinese Society” (1925), the urgent task of separating “enemy” from “friends” and “us” at the battlefront, or more practically that of deciding whether to form the united front with the KMT, dominated the social class discourses. Confronting imperialist invasions, Chinese intellectuals/activists also applied the notion of “classes” to the international context and Mao’s “New Democracy” (1940) almost finalized such an approach. This study also approaches the “social class” in relation to the relevant notions of the modern times such as “self,” “society,” “nation” and “imperialis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