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악의 공연예술화, 그리고 전통으로의 회항

        최민호(Cui, Min-ha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한반도에서 기원한 농악은 조선인의 중국이민과 더불어 간헐적으로 동북3성에 유입되다가 1930년대 중후반 일제의 ‘집단부락’건설을 계기로 중국 땅에 정착하게 된다. 초기에는 한반도의 거의 모든 농악이 유입되었으나 각지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이 서로 뒤섞여 살았던 관계로 지역적 특징이 선명하지 못했다. 1951년 8월, 조득현에 의해 무대예술화한 『농악무』가 탄생하면서 조선족농악은 한반도와 전혀 다른 길을 걷기 시작했다. 사회주의체제와 시대정신을 반영한 농악무는 문화관-농촌구락부-아마추어극단으로 이어지는 행정라인을 통해 신속하게 연변 각지로 전파되었고, 이와 동시에 연변예술학교 · 연변가무단 · 연변군중예술관 등 문화기관을 통해 연변은 물론 전 동북지역에 광범위하게 보급되었다. 획일화된 보급과정을 통해 전통농악은 점차 연변의 농악무로 대체되고, ‘문화대혁명’을 거치면서 꽹과리를 포함한 타악기마저 농악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개혁개방이후 무대예술화한 농악무가 끊임없이 창작되는 동시에 광장농악무라는 새로운 장르가 탄생하여 21세기에 이르면 ‘천인농악무’까지 만들어지게 된다. 2005년 시행되기 시작한 무형문화유산정책은 조선족농악무를 조선족의 상징, 위대한 예술로 승화시켰고, 이와 동시에 전통으로의 회항이라는 새로운 사명을 부여했다. 일부 학자들은 상모춤 중심의 농악무가 자칫 민족고유의 장단과 즉흥적인 정서를 묵살할 수 있다고 보면서, 농악무가 아닌 농악의 차원에서 전승 ·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렇다고 중국조선족농악이 전부 농악무화 된 것은 아니다. 근래 안도농악의 궐기는 중국에서 전통농악이 아직까지 사라지지 않았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Korean traditional farmers’ music (nongak), which originated in the Korean peninsula, entered the Three Provinces of northeast China in stages, with various waves of Korean immigrants. It established itself in China in the midand late 1930s,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immigrants’ collective villages. Although nongak drew on folk music traditions from all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t lacked distinctive regional feature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blended nature of the Korean immigrant communities. In August 1951, with the creation of a farmers’ dance (nongakmu) by Zhao De-Xian, Korean-Chinese folk music began to diverge from the nongak of the Korean peninsula. Reflecting the social system and the spirit of the age, nongakmu quickly spread through the Yanbian area. It was disseminated through the administrative line from Cultural Center to rural clubs and finally to amateur troupes. Concurrently, through cultural institutions like Yanbian artschool, Yanbian Dance Company, Yanbian Public Arts and Culture Center, nongakmu spread widely around the Northeast area as well as Yanbian. Traditional Korean nong-ak was gradually replaced by Yanbian nongakmu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standardized processes. Through the Cultural Revolution, percussion disappeared from nongak. Even the kkwaenggwari, a small flat brass gong, fell out of use. The nongakmu movement maintained its creativity, through the Cultural Revolution and reform, and a new genre of dance performance emerged, called ‘Gwangjang nongakmu’. ‘Cheonin nongakmu’, another, was created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introduction of 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in 2005, nongakmu was formally recognized as great art, becoming a symbol of the ethnic Korean community in China. At the same time, it was given a new mission of returning to tradition. Some scholars have argued the need to preserve traditions at the level of nongak rather than nongakmu. They suggest that the latter, focusing on the Sangmo dance, can ignore ethnic rhythm and improvisation. This does not mean, however, that the whole of the Chinese Korean nongak tradition was absorbed by nongakmu. As the recent rise of Antu Nongak demonstrates, traditional nongak has not yet disappeared completely in China.

      • KCI등재

        유네스코 등재 이후 조선족 농악무의 변화양상 고찰

        권봉관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9

        이 연구는 중국 조선족에 의해 전승된 농악무와 한국의 농악을 비교하여 농악무 연행의 변화양상과 그 현재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무대공연을 목적으로 창작되어 전승해온 농악무가 최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이후 ‘원생태 농악무’의 출현 또는 “전통으로의 회귀”라고 일컬어지는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변화가 중국 내 농악무의 지역성 혹은 원형에 기반한 것인지, 아니면 한국의 농악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입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농악무의 변화 양상을 판단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자료를 참조하는 한편, 최근 중국 농악무의 연행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제3회 중국조선족농악무대회’ 동영상 자료를 적극 이용했다. 비교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중국과 한국이라는 시공간의 차이를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한 동영상 자료의 분석은 농악무의 변화양상을 확인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선행연구에서 이미 확인했던 것처럼 중국 내 농악무에는 많은 변화가 수반되고 있었으며, 가장 극적인 변화는 사라진 농악반주가 재등장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농악반주의 재등장은 농악무의 연행구조까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악과 춤 이외에 농기와 잡색 등 다른 전통적인 요소가 농악무에 도입되고 있었다. 농기의 일반화와 한국식 상모의 도입은 농악무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던 부분으로, 농악무가 유네스크 등재 이후 상당한 변화를 겪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이상의 변화를 토대로 농악무의 전통적인 요소들이 어디서 오고 있느냐를 판단하는 것은 향후 농악무의 변화 방향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였다. 농악무 연행에 수반된 이와 같은 변화가 중국 내 농악무의 지역성과 원형에 기반한 것인지, 아니면 한국 농악의 콘텐츠를 수입한 것인지는 현재까지 분명하게 단언할 수 없지만,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다면 전자와 후자의 방식이 모두 차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디아스포라로서 한국이라는 모국의 문화가 모두 조선족의 문화로 차용될 수 있다는 특성과 함께 농악무가 전승된 지역성과 다층적 원형의 문제를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서, 향후 이 두 갈래 방향에서 농악무의 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Nongakmu and their current meaning by the comparing of the Nongak of Korea and Nongakmu of China. It is because of the Nongakmu which has been handed down and created for the purpose of stage performance showed the change pattern called “the return of the tradition” or the appearance of the “natural Nongakmu” after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ed. Analyzing whether these changes are based on the locality or prototype of the Nongakmu in china, or whether it is changing the direction by means of importing contents from Korea will help to judge the change pattern of future Nongakmu. For research, we refer to the previous research data and actively used the video to confirm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Nongakmu. In the comparative study of Nongak and Nongakmu, it was difficult to overcome the differences of time and space between China and Korea. The analysis of video data was used appropriately to confirm the change pattern of Nongakmu practices. As a result of the study, as already confirmed in previous research,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Nongakmu in China, and the most dramatic change is the reappearance of the disappeared music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appearance of music performance was affecting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Nongakmu. Also, other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Maeulgi(Korean traditiong village flag) and Japsaek are being introduced to Nongakmu. Based on these changes, judging from wher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Nongakmu are coming was an important clue to the future direction of Nongakmu. It is unclear at this time whether the changes that company the performance of Nongakmu are based on the locality and archetype of Nongakmu in China or the import of contents of Korean Nongak. Howev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both methods seem to be borrowed. These resul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jok as a Korean diaspora, which can be borrowed all Korean culture as a their own, and also reflects the problems of Locality and multi-layered archetypes inherited from Nongakmu. The change in Nongakmu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se two directions.

      • KCI등재

        ‘내향적 정교화’(Involution)의 두 얼굴

        권봉관(Kwon, Bong-Kwa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4

        이 글은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여러 무형문화유산 가운데서 농악과 농악무를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최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놓고 공통의 문화유산을 소유한 국가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나, 정작 문화유산의 소유권을 둘러싼 갈등에는 국가주의 혹은 민족주의에 근간한 서로의 당위성만을 주장할 뿐 학술적 연구와 이해는 결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비교 과정에서는 농악과 농악무가 어떤 전승과정을 겪어왔고, 그 결과 현재의 모습은 어떠한가를 문화론적으로 살펴봤다. 이 과정에서 ‘내향적 정교화’(Involution)라는 개념을 활용했다. 이 개념은 ‘기존에 확립된 문화현상이 새로운 환경 혹은 문화적 충격 속에서 전승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텍스트와 콘텍스트 또는 그 의미가 지속적으로 변용되는 과정이자 결과’을 지시한다. 연구 결과, 농악과 농악무는 분명하게 다른 내향적 정교화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악의 경우에는 ‘지역성’과 ‘원형성’을 바탕으로 전승맥락(Context)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었으며, 농악무는 ‘민족성’을 바탕으로 한 작품(Text)의 지속적인 변용이라는 과정에 있었다. 이러한 내향적 정교화의 차이는 양국의 사회문화적 차이와 정책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서, 이러한 내용을 통해 농악과 농악무가 완연히 다른 길을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Nongak and Nongakmu(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 It is because some nations which owns common cultural heritage were conflict to make their own list as the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ty lately. But their claims were only based on nationalism, there was no scientific research and 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is not only focused on transmission but also current state of the nongak and nongakmu. In this process, the notion of “involution” is utilized to compare nongak and nongakmu. As a result of study, It is clear that nongak and nongakmu had transformed as a process of involution in the different country. Nongak has been creating the context continually based on the region and archetype. Also, nongakmu has been appropriating the text to make new text based on nationalism. These differences of the involution is caused by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 of korea and china. And through these difference, we can know they each have go their separate ways.

      • KCI등재

        한국 풍물굿과 조선족 농악무의 전승양상과 영향관계 비교연구

        조정현(Cho, Jung-Hyu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5

        이 글에서는 한국 풍물굿과 중국 조선족 농악무의 전승양상을 비교하여 살피고, 이것이 어떠한 맥락과 영향관계 속에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지를 주목하는 가운데, 향후 이 두 지역의 민족예술이 어떻게 함께 발전해갈 수 있을 것인지를 전망해보고자 하였다. 한국 풍물굿과 관련하여 민속학계와 전승주체들 사이에서는 이상적인 전근대사회의 민중 문화 전통이 단절과 복원을 거치면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해왔다고 인식해 왔으며, 이를 하루빨리 ‘발굴’하고 ‘보존’하려는 데 관심을 기울여왔다. 이러한 인식이 문화재 정책과 맞물리면서 문화재 지정을 둘러싼 다양한 갈등과 대립이 상존했던 것 역시 사실이다. 한국과 달리 조선족의 농악무는 ‘지역’과 ‘원형성’이 중요시되지 않았다. 애초에 조선족 농악은 충청도와 경상도, 전라도, 경기도 등 지역의 농악이 뒤섞여 있었기 때문에 반드시 어느 곳의 농악이라 정의하기 어려웠으며, 모국의 지역, 혹은 이주 지역을 경계로 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반드시 지키고 유지해야 할 형태의 ‘원형성’을 담보한 농악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중국의 농악무는 조선족 예술전통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공연종목화되면서 개별종목들로 분산되었지만 우리 민족의 전통적 예술로부터 풍물굿을 기반으로 연행되었던 다양한 예술전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 풍물굿과 중국 조선족 농악무는 분명하게 구분되는 경계가 있는데, 바로 전통과 원형을 중시하는 구심적 전승과 재창조와 개발을 중시하는 원심적 전승이라는 것이다. 한국의 풍물굿에서는 민족적 정체성과 함께 지역적 차이에 기반한 원형성이 더욱 중요하였고, 중국에서는 조선족 집단의 지역적 특수성보다는 민족적 정체성이라는 통합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따라서 중국의 농악무는 민족적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변용이 이뤄졌던 것이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compare Korea ‘Pungmul-gut’ with ‘Nongakmu’(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 It is because some nations which owns common cultural heritage were conflict to make their own list as the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ty lately. But their claims were only based on nationalism, there was no scientific research and understanding. A transmission of Pungmulgut has two methods of practical way. One is centripetal transmission, the other is centrifugal transmission. A centripetal transmission focus in traditional aspects and try to preserve the archi-type. While a centrifugal transmission focus in developmental aspects and try to recreate new version. The subject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should focus and try to practice all ways. And The subject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should guarantee economic independent. If they are financially independent, they are free from the policy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are not interfered a press of outside power as governors, scholars, and so on. It is clear that Pungmul-gut and nongakmu had transformed as a process of settling in the different country. Pungmul-gut has been creating the context continually based on the region and archetype. Also, nongakmu has been appropriating the text to make new text based on nationalism. These differences of the settling is caused by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 of Korea and China. And through these difference, we can know they each have go their separate ways.

      • KCI등재

        ‘내향적 정교화’(Involution)의 두 얼굴-현 시대 한국의 농악과 중국의 농악무-

        권봉관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4

        This article was written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Nongak and Nongakmu(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 It is because some nations which owns common cultural heritage were conflict to make their own list as the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ty lately. But their claims were only based on nationalism, there was no scientific research and 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is not only focused on transmission but also current state of the nongak and nongakmu. In this process, the notion of "involution" is utilized to compare nongak and nongakmu. As a result of study, It is clear that nongak and nongakmu had transformed as a process of involution in the different country. Nongak has been creating the context continually based on the region and archetype. Also, nongakmu has been appropriating the text to make new text based on nationalism. These differences of the involution is caused by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 of korea and china. And through these difference, we can know they each have go their separate ways. 이 글은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여러 무형문화유산 가운데서 농악과 농악무를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최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놓고 공통의 문화유산을 소유한 국가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나, 정작 문화유산의 소유권을 둘러싼 갈등에는 국가주의 혹은 민족주의에 근간한 서로의 당위성만을 주장할 뿐 학술적 연구와 이해는 결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비교 과정에서는 농악과 농악무가 어떤 전승과정을 겪어왔고, 그 결과 현재의 모습은 어떠한가를 문화론적으로 살펴봤다. 이 과정에서 ‘내향적 정교화’(Involution)라는 개념을 활용했다. 이 개념은 ‘기존에 확립된 문화현상이 새로운 환경 혹은 문화적 충격 속에서 전승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텍스트와 콘텍스트 또는 그 의미가 지속적으로 변용되는 과정이자 결과’을 지시한다. 연구 결과, 농악과 농악무는 분명하게 다른 내향적 정교화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악의 경우에는 ‘지역성’과 ‘원형성’을 바탕으로 전승맥락(Context)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었으며, 농악무는 ‘민족성’을 바탕으로 한 작품(Text)의 지속적인 변용이라는 과정에 있었다. 이러한 내향적 정교화의 차이는 양국의 사회문화적 차이와 정책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서, 이러한 내용을 통해 농악과 농악무가 완연히 다른 길을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북한 민속무용 ‘농악무’의 고찰

        전미애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남북한 통일 준비를 위한 일환으로 북한 문화예술을 이해하고향후 그들과 함께 공존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농악에 대한이해와 함께 북한 ‘농악무’를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악무악기와 소품 구성이 남한과 같은 형식이다. 둘째, 농악무 과정에서 타악기 연주자들의특수한 기량을 보였다. 셋째, 농악무과정이 규격화된 무대 위의 예술 보다는 일반 북한주민들과 함께 어울리며 공유하였다. 넷째, 장끼동작 등의 용어와 내용이 남한과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다섯째, 고유한 우리민족 장단을 변형시키지 않고 보존하고 있었으며 평민 복에 삼색 띠를 두른 의상도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결론: 후속 연구는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와 비교분석하여 원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 할 것이다.

      • KCI등재

        놀이와 춤:연변 농악의 두 가지 전통

        최민호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7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 연변농악의 변천과정을 살피고 그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연변농악의 뿌리는 분명히 한반도에 있다. 그러나 지난 백여 년간 연변이라는 또 다른 인문자연환경 속에서 연변농악은 한반도와 전혀 다른 양상으로 변화발전을 거듭해왔는데, 왕청농악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변농악의 대표주자인 안도농악과 왕청농악을 예로 그 차이점을 살피고 연변농악의 지역적 특수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입초기 연변농악의 가장 큰 특징은 지역적 특수성이 결여되어 있었다는 점, 즉 여러 지역의 농악요소들이 서로 뒤섞여 그 특징을 식별할 수 없었다. 이 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농악형식을 그대로 이어 받아 악․희․무가 조화를 이룬 마을단위의 종합놀이라는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물론 안도의 신촌농악은 상대적으로 고립된 인문환경 속에서 그 전통을 고스란히 이어 갔으나, 왕청을 포함한 기타 지역의 농악은 그렇지 않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한 뒤 연변농악은 일대 변혁을 거치게 된다. 1951년 조득현과 하태일에 의해 당시 정치상황을 반영한 새로운 장르의 농악무가 탄생하고 곧바로 대중문화운동을 통해 전 연변지역에 확산된다. 그리고 문화대혁명이라는 단절기를 거친 뒤에는 농악무가 완전히 연변농악의 대명사로 각인되면서 그 위치를 더욱 굳건히 했다. 전통농악과 비교해 볼 때, 중국조선족농악무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현실정치를 충실하게 반영한다는 점, 타악기가 자취를 감추고 관현악반주가 등장한다는 점, 마을단위의 종합놀이에서 상모춤 위주의 무대공연으로 바뀌었다는 점 등이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더 이상 놀이가 아닌 순수 예술의 길을 걷고 있다는 점이다. 한 때 연변농악의 양대 주자였던 안도농악은 이미 쇠락의 길을 걷고 있고, 반면 왕청농악은 농악무를 전적으로 수용하면서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는 등 큰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농악의 교육적 활용방안 : 왕청현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강춘화 ( Jiang Chunhua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연변의 여러 지역 중에서 가장 먼저 농악이 행해지고 현재 연변에서 농악의 전승과 발전을 위해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왕청현의 농악을 중심으로 농악무의 전승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아울러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농악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방법과 농악의 교육적 활용방안은 첫째, 현재 왕청현 농악의 전승과 발전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둘째, 이러한 전승과 발전과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악의 구성형식, 편성, 복색, 장단에 대한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연변지역의 조선족어린이들로부터 우리의 전통음악을 더 깊이 이해하고 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research is focus on Nongak of Wangqing county in which among several districts of YanBian. Where is the earliest carry out Nongak meanwhile lively active for inheriting and developing it. To look into actual condition of its inheritance and to promote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of Nongak. It turn in the direction of primary school students. Along the research method and application plan is as following. Firstly, figuring out issues during inherita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Wangqing Nongak. Secondly, for compensating the upper issues to regard primary school students as object to promote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which is concern with constitution form, formation, dress and beat. Such research have a significance of making Korean-Chinese children of YanBian district to much recognize traditional music and inherit it.

      • KCI등재후보

        풍물굿에서 춤의 기능과 미학적 작용 -필봉농악 실제를 중심으로-

        양옥경 한국무용사학회 2011 한국무용사학 Vol.0 No.12

        The diverse functions of Dance elements performed in Pungmulgut. This component(Dance elements) makes a Pungmulfut be more artistic qualit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in many ways. Itself as a ‘marker’ and ‘aestheticism’ and ‘express’ is a representation scheme, including music, often combined with other artistic elements, and ‘persuasion’ and ‘action’' and ‘communication’ should act as a mediator. And, ultimately, collective spirits' to finish it, it comes to the manifestation of spirits is also the main source. Pungmulgut dance, which by appointment or improvised unfold without interruption, both performers and spectators to the coexistence of the universal sense of beauty and fantasy will ever experience. In addition, lovely choreography and excellent dancing skills, mottling of the free-spirited dance to dominate the attention of the spectators. As a result, the viewer is immersed in the show is being equated with the desire to co-occur. And finally, viewers their own will be dancing along the stage's go. Thus, Pungmulgut dance in the minds of the spectators are responsible for eliminating the boundary. This dialectical bond - the ‘ordinary’ and ‘deviant’, ‘norms’ and ‘autonomy’,‘normal’ and ‘unusual’ combination of - and of course - repeat, accumulation,circulation process - often intersect in the show, being repeated As a result, collective Sinnmyeong[catharsis] is completed. This dialectical bond - the ‘ordinary’ and ‘deviant’, ‘norms’ and ‘autonomy’,‘normal’ and ‘unusual’ combination of - and courses - repeat, accumulation,circulation process -are often intersect in the show. As the result, the performance is filled with collective spirits. If Pungmulgut genre’s pinnacle of aesthetics' is collective catharsis', the dream is completed with ‘dance’ and a combination of artistic elements'can be considered. Resercher think that dance in Pungmulgut has an important feature to increase of Pungmulgut artistry. In the body of this article evolved that the expression system of dance, categories and types, and also its functional effects and aesthetics. As a result, Resercher think that dance in Pungmulgut has an important feature to increase of Pungmulgut artistry. In the body of this article evolved that the expression system of dance, categories and types, and also its functional effects and aesthetics. 이 글은 풍물굿에서 춤이 타 예술요소(음악·극·문학 등)들과 상호 조응·결합하며 통합장르로서의 예술미학을 심화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보며, 그표현체계 및 범주와 유형을 밝히고 나아가 풍물굿에서 춤이 가진 기능과 미학적 작용에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풍물굿 춤의 표현체계 및 범주, 유형에 관한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풍물굿에서 지각되는 춤 표현체계는 ‘윗놀음[머리사위·상체놀음]’·‘발놀음[下體놀음]’·‘全身놀음’ 등의 개인 신체구조적 표현체계와, 개인이 개체[點]가 되어 하나의 집체(集體)를 완성하는 회화(繪畵)적 표현체계가 있다. 이 두 표현체계를 통해 본래 춤이그러하듯 음악과 밀착력 있게 조화를 꾀한 몸의 움직임을 구현하되, 풍물굿을 구성하는제요소들과의 ‘상호관계’와 ‘균형’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동시에 탐미적 세계를 구축하는 것이 풍물굿춤이 가지는 표현의 범주라고 볼 수 있겠다. 풍물굿춤의 유형에는 인원과 구성형태에 의해 가시적으로 구분이 가능한 군무와 독무, 내용과 표현 방법에 의한 표식무·놀이무·의식무 등이 있다. 유형을 기준으로 크게 영역을 나누었으나, 구분된 각각의 틀에는 그에 속하는 다양한 하위개체의 춤들이 있다. 다음으로, 춤의 기능과 미학적 작용에 관한 논의의 요약이다. 풍물굿에서 춤은 그 자체로 ‘표식’과 ‘탐미’와 ‘표출’의 표현체계이자, 음악을 비롯한 타예술요소들과 결합하여 ‘설득’과 ‘유도’와 ‘소통’의 매개체로도 기능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집단적 신명’을 완성하는 구성인자이며, 또 신명의 표출에 있어서는 주된 수단이기도 하다. 풍물굿판에서 약속에 의해서, 또는 즉흥적으로 쉼 없이 펼쳐지는 춤은 공연자와 청관중이 다함께 보편적 미의식과 판타지의 공존을 경험토록 한다. 또한 뛰어난 춤 재능기와일사 분란한 군무의 장중미, 잡색들의 허튼춤은 청관중의 시선을 지배하고 마음을 앗아,그들로 하여금 공연자와 동일시되고 싶은 욕망을 품게 하고, 그들이 마침내 욕망을 표출할 수 있도록 자신감을 부여하고, 경계를 허무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이런 변증법적결합과 그 과정들-‘일상’과 ‘일탈’, ‘규범’과 ‘자율’, ‘일반’과 ‘비범’의 결합과 반복·축적·순환 과정-은 굿판 속에서 수시로 교차, 반복되어지며 집단적 신명을 불러온다. 풍물굿 장르 미학의 정점이 바로 이 ‘집단적 카타르시스’라면, 그 꿈을 구현하는 존재는바로 ‘춤’, 정확히는 ‘음악과 춤, 제요소들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이 풍물굿에서춤이 가진 기능이자 그 심미세계라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