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빙성 없는 서술과 내적 초점화

        정현숙 ( Hyun Sook Ch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신빙성 없는 화자의 개념을 제시한 부스는 3인칭 소설의 내적 초점자를 화자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후 신빙성 없는 서술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에서 내적 초점자로 인한 신빙성 없음은 제외되었고, 따라서 신빙성 없는 서술에 관한 논의는 1인칭 소설에 집중되었다. 이 논문은 내적 초점화와 신빙성 없는 서술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빙성 없는 서술은 말하는 주체인 화자가 아니라 보는 주체인 초점자에서 비롯된 서술 현상임을, 신빙성 없음은 이야기 세계에 대한 지각과 인식의 문제이지 서술의 문제가 아님을, 내적 초점화 상황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이 드러남을 밝히고자 한다. 내적 초점자는 이야기 세계 속 인물이라는 존재 조건으로 인하여 그 위상이 외적 초점자와 다르다. 이야기 세계 외부의 초점자인 외적 초점자의 해석이나 판단이 내포작가의 규범과 다르지 않은 데 비해 내적 초점자의 그것은 내포작가의 규범에 어긋날 수 있다. 내적 초점자는 신빙성 없는 초점자가 될 가능성을 안고 있다. 그의 지각과 인식은 ``현재, 여기``의 한계에 매여 있기 때문이다. 3인칭 소설의 외적 초점자는 화자이고 내적 초점자는 인물이다. 내적 초점화 상황에서 초점자 인물의 특성으로 인해 그의 지각과 인식이 내포작가의 그것과 거리가 있는 경우 3인칭 소설에서도 신빙성 없는 서술이 드러날 수 있다. 1인칭 소설에서 경험자아와 서술자아가 구분되지 않으면 내적 초점화로 일관되며 초점자의 특성에 따라 신빙성 없는 서술이 드러날 수 있다. 화자 ``나``가 인물 ``나``에 대해 메타적 지위를 가질 때 1인칭 소설에서도 외적 초점화가 드러나지만, 그 경우에도 경험자아를 초점자로 삼는 내적 초점화 상황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이 드러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at the problem in unreliable narration is not of narration but of focalization, which is a narrative phenomenon caused by the character rather than the narrator. Most researchers have considered the narrator as the root of unreliability. Consequently most studies about this are limited on the first-person narrative. But unreliable narration is a narrative phenomenon caused not by a narrator but a internal focaliz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internal focalizer is an unreliable focalizer, Because an internal focalizer who is inside the represented world is limited to the ``here and now``. Unreliable focalization is mainly showed in the situation of the internal focalization where the narrator reduces its role and the character focalizer`s perception and cognition are maximized.

      • KCI등재후보

        다중서술의 변화와 영혼서술자의 등장

        장노현 대중서사학회 2007 대중서사연구 Vol.- No.17

        본 논문은 다중서술과 영혼서술자를 다룬다. 다중서술은 여러 명의 서술자가 필요한 서술 형식이다. 서술자들은 각자의 관점에서 사건 서술에 참여한다. 다중서술은 크게 다층적 다중서술과 다원적 다중서술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다층적 다중서술은 겉이야기와 속이야기를 복수의 서술자가 각자의 시선과 관점에서 서술한다. 겉이야기와 속이야기가 서로 다른 서술자에 의해 서술될 뿐 아니라 각자 충분하고도 독립적인 서사적 세계를 그려내야 한다. 다원적 다중서술은 복수의 서술자가 동일한 대상이나 사건을 두고 그 전체를 각자의 관점에서 서술하거나, 혹은 각자가 대상이나 사건의 일부분만을 담당하여 서술해 나가는 방식이다. 최근 서사물에서는 다원적 다중서술의 출현빈도가 높아서, 다중서술이 다층적 양식에서 다원적 양식으로 그 선호가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중서술은 인식과 재현의 가능성을 불신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을 서사 전략으로 구체화한다. 다중서술의 서술자는 거대 서사의 가능성을 불신하고 작은 서사를 지향하면서, 타자의 시각에 의한 타자의 서사를 수긍하고 그와의 공존을 인정한다. 또한 다중서술의 서술자는 세계 내 존재로서 자신이 서술하는 세계에 어떤 식으로든 연루되어 있는 서사내적 서술자이다.영혼서술자는 전통적인 서술자에게 덧입혀졌던 복잡한 서사적 장치와 구속을 벗어버리고 홀가분한 상태에서 이야기하는 죽은 몸의 서술자이다. 그들은 살아있는 사람(것들)의 입장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데서 벗어나 죽은자, 즉 삶의 저편에 서서 이쪽을 바라보고자 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러한 죽은 서술자는 영상서사물인 영화와 드라마, 그리고 문자 서사물인 소설 등에서 두루 나타난다. 영혼서술자는 공간 요인이나 시간 요인과 같은 어떤 특정한 구속 상태에 놓이지 않으며, 전지적인 외적 초점을 견지하기도 하고 내적 초점의 위치를 견지하기도 한다. 그는 거대 서사를 거부하고 작고 단편적인 이야기들의 세계를 추구한다. 즉 영혼서술자는, 다중서술의 서사 전략과 비슷하게, 거대서사를 불신하고 작은 서사를 지향한다. 따라서 전지적 입장의 서술자처럼 보이더라도 언제나 구체적 삶의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루된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주제어다중서술, 영혼서술자, 시각과 관점의 다양화, 초점화자, 권위적인 서술자. 서사외적 서술, 서사내적 서술, 죽은자, 초점화 국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내 이름은 빨강

      • KCI등재

        영화 ‘視點’의 水準과 適用

        주창윤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point of view is applied to film. Though narratology has developed a wide range of components of narrative, such as story, discourse, narration and the point of view, it has been limited on the application of these concepts to film. It is mainly because they has been intricately employed. This study tries to redefine clearly the concept of the point of view to apply it to film analysis, criticizing previous discussion about the point of view in narratology. Based on narrator’s perspective and figural perspective, four levels of the point of view are suggested such as ‘the internal character’s point of view’, ‘the external character’s point of view’, the author-observer’s point of view’ and ‘the bird eyes’ point of view’.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se point of view have been used <The Great Gatsby>(2013) as an exploratory analysis. This study argues that the point of view should contribute to not only extend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and to but also explore the production of meaning. 주창윤, 2020, 영화 ‘시점’의 수준과 적용, 어문연구, 187 : 149~172 이 연구는 서사학의 시점 개념을 ‘인물의 관점’과 ‘서술자의 관점’을 기본 축으로 영화분석에 적용하기 위한 탐색적 시도다. 인물의 관점에서 ‘내적 화자 시점’은 제한적 정보를 지닌 인물이 갖는 심리적 정서적 서술이지만, ‘외적 화자 시점’은 인물의 태도, 행동, 외양을 그려내는 방식이다. 서술자의 관점으로부터 ‘작가–관찰자 시점’은 현실의 한 부분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주제적으로 중요한 요소를 관객하게 유도하는 표현방식이며, ‘조감자 시점’은 관찰자의 입장에서 시공간의 묘사다. 이 연구는 위의 네 가지 시점을 영화 <위대한 개츠비>(2013)에 적용했다. 작가–관찰자 시점은 개츠비의 낭만적 사랑묘사, 1920년대 플래퍼로 불리는 속물적 여성표현, 자본주의의 타락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외적 화자 시점은 톰 뷰캐넌의 이중성과 편향, 데이지의 속물성을 그려내는 데 활용되었다. 내적 화자 시점은 닉 캐러웨이의 심리적 갈등을 중심으로 역순행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조감자 시점은 공간묘사를 통해서 주제의식을 전경화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 KCI등재

        서사학적 관점에서 본 영화의 초점화 양상 연구

        김종완(Jong-W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2

        영화의 소통 방식은 ‘말하기’가 아니라 ‘보여주기’이다. 이 과정에서 대상 재현의 주체를 대행할 카메라가 개입한다. 즉, 시점의 개념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의 시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체, 카메라, 초점대상에 대한 분석적 접근이 필요하다. 소설에서와는 달리 영화는 감독을 대행하여 카메라가 대상을 서술하기 때문에 이 카메라의 매개로 인하여 초점화의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초점화 이론을 통해 영화를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과 주체, 그리고 그 대상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단지 화면에 나타나는 모습만으로 시점을 분류하는 방식에 비해 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또, 초점화 이론을 이용하면 영화를 조망하는 주체의 층위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으며 초점화의 변화에 따른 효과 역시 기존 시점 이론에 비해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영화에서의 초점화 이론은 기존 시점 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접근으로서 유형화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본고는 이 문제를 주로 상정하여 영화분석을 위한 틀을 제시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Film is a visual art. A process of film totally depends on our sense of sight. It indicates that a way of delivering narrative in the film is “showing”, not “telling”. There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theories about “who sees” and “who tells” in narratology. It explains who the narrator is and how the narrator delivers in literary works which is represented in terms of “Point-of View”. Therefore the study contents construct internal formal elements of the narrator and point of view into 2 individual researches, and the result can be summed up as below. From a narratological perspective, the narrator has roles and deeds as a narrative mediator who mediates the story and leads the story as presenting the origin with images and voices in the text extra and intra world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narrative inferred. To eliminate ambiguousness the term point-of view, this article applies focalization theory to analyze narrative structure of film.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three focalizers in film; director, protagonist-character and camera. And aspects of film can be varied by distance of each focalizer. These distances between focalizers limit amount of visual information.

      • KCI등재

        디지털 게임에서의 초점화 양상 연구

        류철균(Lyou Chul-gyun),조성희(Cho Sung-hee)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5

        Digital game is a visual art. A process of digital game play totally depends on our sense of sight. It indicates that a way of delivering narrative in the digital game play is “showing”, not “telling”. There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theories about “who sees” and “who tells” in narratology. It explains who the narrator is and how the narrator delivers in literary works which is represented in terms of “Point-of View”. Many digital game researchers consider there are two “point-of view” in a digital game; First-Person Point of View and Third-Person Point of View.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 is originated from FPS(First-Person Shooting) game, however, researchers also use this term without question. The problem of “Point-of View” theory on digital game is there are no discrimination between who tells and who sees. To solve this problem, Gerard Genette suggests “focalization” theory. It is only focused on who sees in the narrative situation, which can be separated from traditional narrator in literature. Though this Genette’s theory is valid for visual arts, digital game researchers still consider that digital games can be classified by “point-of view”. To eliminate ambiguousness the term “point-of view”, this article applies “focalization” theory to analyze narrative structure of digital gam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three focalizers in digital games; player, avatar and virtual camera. And aspects of game play can be varied by distance of each focalizer. These distances between focalizers limit amount of visual information.

      • KCI등재

        영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원작소설과의 미적 거리 연구

        김종완(Jong-W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최근 서사학자들의 주된 논의는 ‘누가, 무엇을, 어떻게 이야기하느냐’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아직도 ‘시학’이라는 대전제 하에 서사학 분야의 논의선상에 놓여있는 일부 학파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본고는 주로 이런 서사학적 논점을 다루기보다는 소설과 영화와의 서사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 화자, 초점화자, 시점에 주목한다. 본고에서 다루게 될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1인칭 소설이다. 감독은 화자의 논평적 서술이 많은 유사 자전적 소설을 영화 텍스트로 재현하기 위해 voice-over를 통한 서사자아와 경험자아를 구분하여 자신만의 이데올로기를 보여준다. 즉, 소설 속 서술자아와 경험자아의 미적 거리를 드러내기 위해 화면 내 공간과 voice-over 공간으로 구분하여 대상 간의 미적 거리를 관객에게 제시한다. 과거의 장면에서 voice-over는 주제를 설명하거나 장면을 전환하는 기능을 주로 하지만, 성인이 된 현재 병태의 voice-over는 독백의 기능을 함으로써 과거 자신의 경험자아를 관조한다. 이 과정에서 ‘거리화’ 즉, 감독의 해석 가능성이 발생한다. 이 ‘거리화’를 밝히고자 하는 논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mechanism that how can be shown the aesthetic distances of novel in the film. At discussion of the view point, novel can be told by two factors which are ‘who is teller’ and ‘who is watcher’ but in the film, novel’s narration is divided into visual point and auditive point. And I will consider the phenomenon on the part of this difference. Next, I will argue about difference between novel and film from the Park Jongwon’s aesthetic distances which interpreted Lee Munyeol’s work. This thesis is going to observe that how the film adapted three types of view point and how that related the subject of the original novel. For this thesis, I tried to track ‘the distances’ between figure and identity, and reader and author. Also I did approach that how can be accepted the problem of ‘aesthetic distance according to identity’ based on this novel in the film and novel’s text by reader. This study make a proposal or analysis to the differences between novels and films in terms of narrative point of view. Although it is shown by dividing into each chapter in novel and on connectivity in film, this paper finds out that both film and novel are shown the subject of reader’s difference of the view point about ‘author and director’s ident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