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적론적 기호작용에서의 한정과 건축적 함의

        황영삼 ( Hwang Young-sam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2 No.-

        퍼스 기호학은 의미해석을 위한 기호작용의 원리이다. 기호작용은 기호를 통해 대상에 접근하기 위한 일련의 형식적 탐구 과정이다. 한정은 기호작용의 일부분으로 작동하여 기호작용이 생산하는 지향성 효과의 일부분을 이룬다. 한정은 대상으로부터 유래할 수도 있고 기호작용의 목적과 의도로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퍼스 기호학의 기호작용에 포함되어 있는 한정 요인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그 요인들이 의미생산을 위한 기호작용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등의 질문에 대한 탐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호 내에서는 대상의 형식과 내재적 속성들이 기호를 한정하고 기호가 해석체를 한정하는 방식이다. 둘째, 법칙기호와 개별기호 간에는 체현 관계에 의한 한정을 통하여 법칙기호에서 포괄성이 실존 세계의 개별기호에서 구체화된다. 셋째, 상징법칙기호에서는 세 기호들의 협력 작업을 통하여 수행되는 삼원적 기호작용에서, 상징법칙기호의 표상체의 한정적 기호 역할과 개별기호의 재현체에 대한 상징기호에 의하여 목적론적 기호작용이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확장유형론은 중간유형론이 기호작용의 다양성에 관련되는 다양한 한정요인들이 반영되지 못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호 내외부의 폭넓은 한정요인들을 모델 내로 흡수하기 위한 동적 모델이다. Peirce's semiotics presents the principle for semiosis, which is a formal approach to access an object by a sign. The determination, as part of semiosis, works for semiotic effects produced by sign. The determination orginates from either object, or purposefulness and intentionality of subje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at determination elements are in semiosis, and how it imcorporates with other elements in semiosis. The results can be summorized as follow: firstly, object's form and its internal attributes determine the form of sign, which determines the form of interpretant; secondly, sinsign is determined by legisign and come into existence, and thirdly, symbolic legisign incorporates legisign and sinsign through its representamen; finally, the expanded sign typology brings many determinant of semiosis appeared in mid-sign typology, and succeeds in overcoming its limitations. The implications to architectural desig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miotic nature of achitectural design can be examined further in semiotic principle and determinant. Those semiotic approach can be adapted into architectural domain so that the architectural meanings may be reorganzied by semiotic and determining principles in terms of semiotic effects, which give a new perpective for modern complex design world.

      • KCI등재

        비주얼 컬처를 위한 기호학 방법론 고찰 : 포스트모던 예술과 시각기호학

        심지영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5 No.-

        This paper examin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semiotics is appropriate as a method of analysing still images of contemporary culture,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of visual semiotics. We firstly looked into the logocentrism of Barthesian thinking about the image (for example, the text on the advertising Panzani) and iconology of Panofsky. The tradition of mimetic representation based on the metaphysics of presence, which is found in the theories of Barthes and Panofsky, was criticized by the thought of the screen, a concept proposed by Christin, as did Derrida during the controversy over Gogh's painting.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iconicity and plasticity, it was always the former who won even in the analysis of Floch from Greimasian school on non-figurative painting of Kandinsky. This more or less deficient visual semiotics was complemented by the attempt of the Group μ that seeks to develop rhetoric of image, with more elaborate theory of a plastic point of view. Despite the diverse semiotic proposal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images, we have met the challenge of adapting semiotics to the examples of postmodern art: the insufficiency of this methodology comes from the lack of the study on the process of creation (sender side) or o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reception (receiver side). In other words, the elements outside of traditional semiotics such as the 'poïétique' and social semiotics proposed by Gottdiener might be more crucial for reading postmodern images. 본 연구는 현대 비주얼 컬처의 고정 이미지를 분석함에 있어서 기호학이 적절한 방법론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며, ‘시각기호학’이라고 불리는 여러 분석 이론들의 한계와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시각기호학에 대한 대표적인 텍스트라 할 수 있는 롤랑 바르트의 광고 이미지 분석방법론과 미술사적 분석에서 가장 대표적인 에르빈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는데, 이 두 방법에서는 공통적으로 이미지에 비해 언어에 우위를 두는 로고스중심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방적인 재현이 이미지의 본질이라 생각하는 이와 같은 전통에 대해, 안느-마리 크리스탱은 이미지가 무엇을 재현하는지(형태)를 먼저 보기보다는 이미지가 어디에 표현되었는지(바탕)를 먼저 보는 ‘면’에 대한 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고흐의 구두 그림에 대해 하이데거와 샤피로가 벌인 논쟁에서 데리다가 취한 입장과 궤를 같이한다. 이렇듯, 대부분의 전통적인 이미지에 대한 담론들은 도상성과 조형성의 대결 구도에서 늘 도상성에 우위를 두었는데, 이는 그레마스 학파의 장-마리 플로슈가 칸딘스키의 비구상적 회화를 분석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이와 같은 시각기호학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 그룹 뮤(Group μ)의 시도였으며, 이미지의 수사학을 정립하기 위해 조형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미지의 의미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살펴본 오늘날의 포스트모던 이미지들의 경우, 여전히 기호학은 분석의 방법론으로서 충분한 해답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두 가지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기존의 방법론들이 적극적으로 포괄하지 못하는 영역은 전통적인 기호학의 개념에서 메시지의 발신자와 관련이 있는 ‘포이에틱’(작품의 창작 원리에 대한 연구)의 영역과 수신자와 관련이 있는 수용자의 사회 문화적 조건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포스트모던 기호학의 수용자와 관련한 부분에서는 마크 같디너의 사회학적 기호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였는데, 포스트모던 이미지에 대한 분석이 단순히 텍스트의 내적인 분석이나 재현 형태에 대한 분석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의미는 시니피앙의 자유로운 놀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호와 기호 사용자간의 관계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保育施設의 外裝色彩嗜好에 관한 實驗的硏究

        장순익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9 No.1

        This study is to experiment the effects of the color for exterior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the esthetic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d psychophysical realms. This experiment was given to young people, youths, middle aged people, advanced aged people. The total numbers of 850 respondents were divided equal into these four age groups and experts. Each person was asked to choose 3 colors out of an available 110 from a hue chart. These 110 colors had been classified into ten colors in ten shades and also into five colors in twenty shades by the Munsell color system. According to the statistics gleaned from the study, each building had three most preference colors by both the experts and the general populou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some general statements could be made as to peoples color preference.

      • KCI등재후보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통합적 교수법 개발 연구 ―조선대학교 <사고와 표현2>(미술계열)를 중심으로―

        신정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4 리터러시 연구 Vol.- No.9

        This thesis presented an integrated class model with visual semiotics applied targeting these art students attending a class called <Thinking and Presentation2> at Chosun University. The integrated class model discussed in the thesis is considered to include this class model with iconology applied and another class model with media properties of photographs applied. After all, the model in the thesis has been designed based on a theory of visual semiotics that sees not only verbal signs, the most fundamental way to a communication, but also art pieces as some individual signs. The idea of how visual semiotics understands visual images as signs that deal with the communication systems in human life basically makes the study itself as this study to investigate ‘ways of communications’, and in the light of how those ‘ways of communications’ reflect aspects of human life as they are, visual semiotics, after all, is considered a study to explore the essence of human life. Such primitive properties of visual semiotics could be applied as a core theoretical basis that would either connect these written texts that include every single original sign system (news articles, columns, literature) to other text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films, theaters, photographs, cartoons and others or simply cover all those different texts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one key word, ‘communication’. Based on what has been mentioned above, as for the integrated class model with visual semiotics applied, the study focused on following details and designed the model with iconology and the media properties of the photographs applied. First, the art students understood the greatest value of thi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visual signs, and as being well aware of such fact, the thesis applied all these different media (written texts and art pieces) that possessed their own original sign systems as the texts in the class. Second, the model was designed rather to lead individual students to naturally learn or acquire knowledge as they consider ‘alone’ or ‘with others’ or have discussions together through various individual or group tasks given after the class or after school than to let an instructor deliver a lecture all alone in relation to the properties of the sign systems of all the media or how to use the systems. Third, the thesis first understood taro cards, news articles, photographs and others which could be considered separate visual signs as media for ‘communications’ among social members, and based on its understanding, the thesis designed the class model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practice efficient ways of communications through all those media as they tried to convert what these images on the taro cards would try to say (messages of the cards) into words (the verbal signs) and, again, what symbolic signs of the photographs would try to say (message of the photographs) into other words (the verbal sings). As described so far, the teaching method with visual semiotics applied in this thesis is perceived as a class model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s in general as the teaching method gives the art students chances to understand the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media and to practice the communication methods in real-life situations. However,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any educational effects will not be achieved unless both texts interesting enough to promote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s in the class and other integrated class models with various visual texts applied are developed in advance. 이 논문에서는 조선대학교 <사고와 표현2>를 수강하고 있는 미술계열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통합적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통합적 수업 모형은 도상해석학을 활용한 수업 모형과 사진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한 수업 모형이다. 이 두 모형은 가장 기본적인 소통수단으로 볼 수 있는 문자기호뿐만 아니라 예술작품들도 하나의 기호로서 간주하는 시각기호학 이론을 토대로 설계된 것이다. 시각기호학은 시각적 이미지를 인간 삶의 소통의 체제를 담고 있는 기호로 본다는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소통의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이러한 ‘소통의 방식’은 인간 삶의 양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시각기호학은 결국 인간 삶의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각기호학의 근원적 특성은 각기 고유한 기호체계를 지니고 있는 문자 텍스트(신문기사, 칼럼, 문학작품)와 회화, 조각, 영화, 연극, 사진, 만화 등의 텍스트들을 ‘소통’이라는 키워드로 연결시킬 수 있는, 또는 포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통합적 수업 모형으로서 제시된 도상해석학을 활용한 수업 모형과 사진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한 수업 모형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설계되었다. 첫째, 미술계열 학생들은 다양한 시각적 기호를 통해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기 고유한 기호체계를 지닌 다양한 매체(문자 텍스트 및 예술작품들)들을 수업의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둘째, 교수자가 각 매체별 기호체계의 특성과 활용방식에 대해 강의(전달)하기보다는 수업 시간과 방과 이후에 부여되는 다양한 개별 또는 조별 과제를 학생 개개인이 ‘혼자’, 또는 ‘함께’ 생각해 보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셋째, 각기 상이한 시각적 기호로 볼 수 있는 타로카드, 신문기사, 사진 등을 사회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위한 매체로 간주하고, 학생들이 타로카드의 그림이 전달하는 내용(메시지)을 글(문자기호)로, 그리고 사진의 상징적 기호가 전달하는 내용(메시지)을 글(문자기호)로 전환시켜 보는 과정을 통해서 각 매체별 효과적인 소통방식을 실습(연습)해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이 시각기호학을 활용한 교수법은 미술계열 학생들이 다양한 표현 매체의 소통방식을 이해하고, 실제로 이를 연습해 보는 과정을 통해서 종합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방식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기의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흥미로운 텍스트의 개발과 다양한 시각적 텍스트를 활용한 통합적인 수업 모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호학의 주체 문제에 관한 고찰

        황영삼 ( Young Sam Hwang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3 No.-

        주체와 객체 간 관계가 기호체계로 들어가면 주체로서의 인간, 객체로서의 외부세계, 그리고 양자 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기호 등 세 기호활동 참여자들의 망으로 이루어진 것이 된다. 즉 주체-기호-객체의 구도가 형성된다. 이것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는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주의에서 기호학의 ‘체계’ 이론에서 ‘주체’가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에 대하여, 이들 사상에 사유의 토양을 제공한 학문으로서의 기호학이 이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의 논의이다. 본 연구의 접근방법은 주체성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인간 주체, 기호, 외부세계 간 위상학적 구도를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먼저 기존 기호학 모델에서 주체 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고찰하고, 기호체계에서 주체-기호-객체의 구도를 결정하는 세 가지 요인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들 요인들에 따라 네 가지의 구도의 경우를 설정하였다. 연구 후반부에는 이들 네 가지 구도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주의의 이론과 개념 네 가지를 선정하여 이들 구도에 위치시켜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네 가지 기호학적 주체 개념을 퍼스 기호학과 접목할 수있는 가능성과 생성기호학 원리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In semiotic world, with a medium of sign, subject and object, constitute a semiotic system, where subject corresponds to humans, object to external world. Sign plays the role of medium by which humans as semiotic subject understand, create and manipulate the external world. Looking into the semiotic history, the dyadic model by Saussure and triadic models by Peirce have been reconsidered by leading semioticians like Barthes, Benvenistem, in terms of subjectivity. The same issue of subjectivity has also been dealt with in other academic and idelogical areas, structuralism and poststructralism. Criticizing semiotics for lack of subjectivity in semiotic relativism, they substituted it with their discouse and event respectively. However considering the position of semiotics as foundation of these two ideological trends, it is worthy that semiotics is reviewed in terms of determinants of semiotic subjectivity. This research works on the considerations of relative configuration by three constituents: human, sign, and external world. Postulating three viewpoints as determining subjectivity in semiotic system. Combining them, four diffenent configurations have been proposed, for each of which ego-gazing, internal sign projecting, external sign reflective, and nondeterministic subjects correspond. Four structuralistic and poststructuralistic theories have been selected to seek their position in the configurative subjects. It is discussed this research puts forward the perspectives for creative semiotics.

      • KCI등재

        기호의 사각형과 기호학적 사고에 관한 연구

        김휘택(Kim, Huiteak)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36 No.-

        본 논문은 기호의 사각형을 중심으로 기호학적 사고가 전개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장마리 플로슈의 논의와 이론을 주목하였다. 플로슈 이론의 장점은 기호학의 기본 개념들을 지금 주체들의 삶을 가장 예민하게 조건 짓는 경제, 정치, 사회, 문화라는 주제들에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그레마스의 기질 범주 개념을 통해 가치의 문제도 살펴보았다. 가치의 분화는 기호 사각형의 위치를 정당화하는 가장 중요한 근거로 사용되며, 이를 통해 기호의 사각형이 주체의 문제와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치체계로 구성되는 기호 사각형의 각 항은 직관적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인간의 다양한 경험들이 조사되고, 종합되며, 그 변화의 역사가 대조된다. 이에 대한 연구는 기호의 사각형이 서사 기호학이라는 거대한 맥락 속에서 한 부분으로 위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현상들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독자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semiotic thinking focused on the semiotic square.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makes use of Jean-Marie Floch"s theories and discussions. The appeal of Floch"s theory is that it applies the basic concepts of semiotics relative to the topics of the economy,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It delves most sensitively into the conditions within the lives of subjects. In this paper, the issue of value was also examined through the concept of thymic category, as proposed by A. J. Greimas. The differentiation of values is made use of as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justify the theoretical status of the semiotic square, it is evident that square is close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subject. Each of the terms within the semiotic square are considered as a value system and are not ideologically constructed. Various human experiences are investigated, synthesized, and the histories of their changes are contrasted. These studies show that not only can the semiotic square be positioned as a part in the grand context of narrative semiotics, but it can also be an independent method to analyze various phenomena in a semiotic fashion.

      • 기호학적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공간진화 양태

        한정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2

        본 연구는 소쉬르의 언어 기호적 시스템이 공간에 직?간접적으로 적용된 시대별 사례를 퍼스의 기호이론과 모리스의 기호응용으로 분석하였다. 기호학은 언어기호론 정립, 논리적 차원에서 현상학 바탕을 마련, 기호의 실용주의적 효과적용이라는 특성으로 연구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언어기호학의 패러다임은 구조, 의미, 시간에 대한 도전이다. 이것은 소쉬르 언어구조체계 이론을 바탕으로 모던공간의 하부구조를 구축 하는 구조의 시대, 소쉬르 이론에 반향한 후기구조주의 기호학자에 의한 비언어기호체계로 공간의 복합성과 대립성이라는 조형적 형태를 형성하며 의미의 시대로 진화하였다. 그러나 공간은 구조적 문제와 형태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가치를 지향한다. 총체적 ‘무한기호작용‘을 토대로 관계의 디자인, 시간의 디자인, 장소의 표상이라는 가치를 지닌 공간으로서 새로운 진화적 양태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investigation analyzed historical cases that applied directly and indirectly Ferdinand Sausaure's language semiotics to the space with C.S. Peirce's semiotics and Charles Morris' pragmatics. Semiotics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setup of language semiotics, making the foundation of phenomenology under the logical dimens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effectiveness of sign, is being expanded the fields of the investigation. The paradigm of semiotics is a challenge to structure, sense, and time. This evolved to the structure age when established the substructure of modern space based on Suassure;s theory of language structural system and also to the meaning age which is a non-language semiotics that completed the systematic structure of composition and opposition of the space by the post-structural demotists who opposed to Saussure's theory. But space, jumping over the structural problems and physical meaning, points to new spatial value. On the basis of total 'semiosis infinitum' this proposed new evolutional aspects of the space with the value of connection design, time design, and space mark.

      • KCI등재

        기호학과 기독교교육 -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해와 성서교수학적 성찰 -

        고원석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This investigation is a semiotic reflection on the contemporary religious didactic model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three-dimensional semiotic theory of the American philosopher Charles Sanders Peirce. It is recognized worldwide that Peir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unders of modern semiotics and that his theory of sign still plays a fundamental role in today’s semiotic work. According to Peirce, every thought is a sign. All the world around humans consists of sign systems, so that peo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sign. In particular, he sees characters in a triadic structure between representamen, object and interpretant and in relation to the infinite semiotic process of three. In this semiotic process are pairs of forces, or centrifugal and centripetal force of the semiotic process. In their centrifugal and centripetal process, religious communication activates itself as well as distances itself from the false extremization tendency of our communication. Reflecting on the three religious educational models of the twentie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proclamative model, the hermeneutical model and the empirical model in terms of the triadic semiotic theory, I find out that each of them has been reduced to a distinct two-dimensional structure of representamen and object, object and interpretant, or representamen and interpretant. In the religious didactical reduction of the representamen and object of the sign, a fundamentalist and authoritarian didactic form emerges, in which the grammatical perspective of the sign is overemphasized. When it is reduced to the religious didactical aspect of the object and interpretant of the sign, an abstracted semantic form emerges that loses the dynamics of concrete signs. In the didactical reduction of representamen and interpretant of the sign without reference to its object, a functionalized didactical form emerges, which is mainly about the pluralistic and pragmatic character of the sign and therefore the areas of tension of the question of truth are marginalized. It will be noted that the triadic semiotic process can offer an important measure or perspective for religious didactics. 본 연구는 현대 기호학의 설립자 중 한 사람인 찰스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해의 관점에서 독일 기독교교육의 대표적인 성서교수학 모델을 성찰함으로써 퍼스의 기호학이 현대 기독교교육의 학문적 성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먼저 퍼스의 기호이론을 삼중적 기호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퍼스에 따르면, 모든 인간의 사유 행위는 기호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현실 세계는 기호체계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인간은 어떤 사물이나 대상을 직접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언제나 기호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인식한다. 인간은 기호로 지각하고, 생각하고, 말하는 존재다. 특별히 퍼스는 기호를 삼중적 관계구조로 이해한다. 즉, 퍼스는 주체-객체, 또는 인식자와 인식대상이라고 하는 인식의 이중구조를 넘어서 표상체-대상체-해석체의 삼중적 구조로 기호를 바라본다. 모든 사고의 의미는, 대상을 규정하는 기호로써 사고를 해석하는 삼중적 관계에 의해서 확립되는 것이다. 이어서 본 연구는 이중적으로 환원된 기호이해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퍼스의 기호이해가 현대 학문을 위한 반성의 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퍼스 기호학의 삼중적 구조는 의미생산의 원심력과 구심력의 조화를 추구한다고 할 수 있으며, 진리의 소통과 확장을 지향하면서도 진리의 본질을 진지하게 생각한다그리고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해에 근거하여 20세기에 있었던 독일의 대표적인 성서교수학 모델, 즉 선포모델, 해석모델, 경험모델을 살펴보고 그 모델들이 기호학적 측면에서 이중적으로 환원된 기호이해에 근거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첫째, 기호가 표상체와 대상체의 관계로 환원될 때, 기호의 문법적 기능이 강조되어 교조적이고 일방적인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둘째, 기호의 대상체와 해석체의 관계로 환원될 때, 기호는 의미론적 측면으로 강화되고 구체성을 상실한 일반화된 의미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칠 수 있다. 셋째, 기호가 표상체와 해석체의 관계로 환원될 때, 기호는 화용론적 측면으로 강화되고 보편성에 대한 부분이 약화되면서 다원적, 실용적 측면으로 도구화되는 양상을 띠게 된다. 결국 각 성서교수학 모델의 문제점은 간과된 기호측면에 주목할 때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론은 기독교교육 이론의 정립을 위한 성찰의 틀걸이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호학적 지시의 지각론적 확장

        황영삼 ( Hwang Young-sam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9 No.-

        지시 문제는 기호학, 언어 철학을 관통하는 문제이며 의미의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지시 문제는 언어, 기호 또는 텍스트를 통해서 우리에게 전해오는 메시지의 의미를 이해하는 원리와 방식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시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무엇을 지시한다는 것인가, 그리고 지시 기호와 지시 대상 간 관계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호 기능론에 정초한 기능 생성론에서 제시하는 지시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기호학적 지시 문제에 대한 연구 방향을 찾는다. 연구 결과 기호 생성론의 지시 이론은 기호학적 지시를 구현하는 원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에는 기호학적 지시 이론과 실천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issue of reference is one of the main issues through semiotics and linguistic philosophy. In this paper the following questions are raised: what is reference, what is the one referred to, and how they can be extended perceptually. To access these questions two preliminary semiotic theories are selected, and studied in the points above. That ultimate purpose of the work is to comprehend the messages coming to us from many ways. The two semiotic theories selected are the sign function theory by Hjelmslev and the sign production theory by U. Eco. These are persistently on the same structural ground in relationships between form and contents. Eco`s theory has been found providing a methodology for linking a sign and a perceptual concept as a referent, by employing the way for merging the latter with the first by converting the latter to semiotic object and putting the object to semiotic process. Future works for developing semiotic reference theory have been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