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登記原因證書의 公證에 관한 小考

        황정수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11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7 No.-

        현행 부동산등기법은 부실등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유권의 등기명의인 이 등기의무자로서 서면(또는 e-form)에 의한 등기를 신청할 때에는 인감 증명서와 등기의무자의 권리에 관한 등기필증제출(또는 등기필정보 입력), 등기권리자와 등기의무자의 공동신청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나, 그 제도상 또는 운영상의 불비점으로 진정한 권리관계와 등기가 불일치하는 부실등 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하여 종래 부실등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등기신청에 대한 등기관의 실질적 심사주의 채택, 등기부와 대장의 일원 화, 인감증명서제도의 강화 등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어 왔으나, 그 중 의 하나가 등기원인증서에 대한 공증제도의 도입 논의이다. 부동산등기제 도의 이상이 진실한 권리관계를 공시하는데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이라고 볼 때, 등기원인의 성립을 증명하는 서면인 등기원인증서에 대한 공증제도의 도입은 무엇보다도 부실등기를 방지하여 부동산거래의 안전을 도모하는 데 있으므로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의 필요성은 새삼스럽게 강조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공증에 의하여 모든 폐단이 일거에 해결되는 것 은 아닐 것이고, 나아가 공증에 따른 비용과 시간, 그리고 불필요한 절차 의 부담, 그리고 우리나라에 어떤 유형의 부실등기가 얼마만큼 존재하고 또 등기원인증서를 공증함으로써 어떤 유형의 부실등기가 얼마만큼 감소 할 것인가를 실증적으로 고찰한 정확한 원인분석 내지 통계적인 자료도 별로 보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은 신중히 고려하여 검 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하여 우리나라에서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제도 도입의 제약에 대 하여 부동산물권변동의 양태상의 문제, 우리나라 공증제도의 미비 특히, 공증의 주체 및 대상의 불명확 등을 살펴보고(Ⅲ. 우리나라의 登記原因證 書 公證制 導入의 制約), 현실적으로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이 어렵다면 등 기원인증서의 공증제 대안 방안으로서 등기원인증서의 인증제(Ⅳ.登記原 因證書의 公證制 代案 方案)에 고찰한다. In order to prevent cases of unreliable registration, current law governing registration for real estate elects a policy of joint registration by registrant and registration verifier by requiring submission of a certificate of personal seal (impression) and registration certificate by the registrant when applying for registration in writing (or using an e-form). However, failures at both systemic and operational levels may result in cases of inconsistent registration between the actual legal relationship and registration content. Various proposals have been discussed for preventing unreliable registration, such as examination of the application by an authorized official in charge of registration, integration of registries, and enforcement of the certificate of personal seal. Another such proposal involves a system for notarizing registration motive statements. Because the goal of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is the posting of actual legal relationships, the notarization system for registrationmotive statements, which requires the registrant to prove his motive for registering, is an undeniable necessity for ensuring the safety of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preventing cases of unreliable registration. Even so, notarization cannot prevent all cases of fraudulent registration, and the additional expense, time and paperwork burden are causes for concern. Because no precise causal analysis or statistical studies exist to verify thetypes of unreliable (fraudulent) registration in Korea, or determine to what extent notarization will help to decrease their occurrence, the notarization of registration motive statements remains a question calling for in-depth investigation. On the limitations of introducing such a system in Korea, problems such as fluctuations in real rights of real estate, inadequacies in Korea’s notarization system, especially uncertainties regarding subject and object of the notarization, (see Ⅲ. Limitations to Introducing Notarization System for Registration Motive Statements in Korea.)On a certification system for registration motive statements as an alternative plan needs to be considered in case the notarization system proves impracticable. (see IV. Alternative Plan for the Notarization Statements).

      • KCI등재후보

        문학 : 기원(祈願)의 고전문학사적 전개 양상과 인문학적 의의 시론

        이복규 ( Bok Kyu Lee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6

        한국고전문학사에 전개된 기원의 양상과 인문학적 의의에 대하여 논술해 보았다. 주로 개인적인 기원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탐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원(祈願)’은 한국문학사의 전 시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난 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최초의 작품이라 할 수 있는 <단군신화> 또는 <광개토대왕릉비문>에서부터 삼국, 남북국, 고려, 조선,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달리 표현하자면 고대로부터 중세를 거쳐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와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느 시기도 거르는 일 없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둘째, 기원 모티프를 통해 통관해 보건대, 天(천), 上帝(상제), 神(신)등으로 표상되는바, 초월적인 존재에 대한 기원은 고려시대까지 드러나게 존재하다가, 성리학의 나라인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수면 아래로 내려가고, 고인을 추모하는 제문(祭文) 일색으로 변화한다. 문집에 실린 허다한 제문들이 이를 보여준다. 그렇다고 해서 조선시대에 초월자에 대한 기원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 사실을 최부와 이문건, 박인로 등의 사례가 잘 보여준다. 시조, 민중의 주된 수용층이었던 고소설작품에서 보이는 기원도 마찬가지다. 표면적인 잠재화, 이면적인 지속 이라고나 할까? 사대부나 민중은 물론, 왕실에서 왕조 초기부터 말기까지 초월적인 존재에게 기원하는 의식을 계속했다는 사실은 이미 잘알려진 바이기도 하다. 기원하지 않고는 살 수 없는 게 인간이라는 사실을 일깨운다 하겠다. 기원 대상 또는 목적도 개인이나 집단의 욕망을 성취하기 위한 기도만 나타나다가 나중에는 이타적인 기도도 등장 함으로써, 우리의 가치관이나 인생관이 보편성을 확보해 갔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하겠다. 셋째, 인간을 여러 가지로 표현하지만, 우리 문학사상의 근거를 보면, “호모 오란스(homo orans)”, 기원(기도)하는 사람(존재)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게 밝혀졌다. 원시와 고대 시기부터 근대, 아니 지금에 이르기까지 기원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대에 따라 그 기원 대상에 대한 명칭이나 기원 내용과 형식 등에서 변이가 보이며, 문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차이가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통시적으로 기원이 있어 왔으며 있다는 사실은, 인간을 이해하는 데 기원이 중요한 키워드임을 확인하게 한다. As presented above, it was the essay describing about the humanistic significance of the prayer of wishes which have been unfolded in Korean literary history. In summary,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onfirmed the fact that the "wishes“ continued to appear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It was found that the prayer of wishes emerged throughout all the periods, ranging from <Tangun myth>, which can be called the first example and < Gravestone of Gwanggaeto daewang (king the great) tomb > to the Three Kingdoms, North South States, Goryeo Dynasty, Yi (Joseon) Dynasty, the modern and the contemporary, in other words without skipping any period,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 the transitional period reaching the modern times through the Middle Ages and the contemporary times. Second, when looking into the origin motif through, they were represented as the symbols such as the sky (天), supreme emperor(上帝) or god(神) and the origins of the supernatural beings were presented openly until the Goryeo Dynasty, however they submerged under the surface transforming to the tributes to the deceased in Confucian Yi (Joseon) Dynasty period without exception. A multitude of tributes inserted in many a anthology verifies this. This does not mean the disappearance of the origins in a form of Transcendentalers in the Joseon Dynasty. This fact is evidenced well in the practices such as those of Choe Bu, Yi Mun-Geon and Bak In-Ro. Besides, you may find the same example of the origins in the Sijo works and the old-style novels which belonged to the main receptive works for the people. Being superficially latent or the duration in hiding of the origins, shall I express? It was already a well-known fact that, not to mention of the gentry and peoples, the royal family continued to hold the ceremony to pray for transcendent beings since the early times until the end of the dynasty. It might be said that it awakens to the fact that the mankind can not live without praying wishes. It will also be identified that our view of values and outlook on life have evolved to secure the universality as the destination or objects of wishes even for the altruistic purposes also came out later after only the prayer of wishing to fulfill the desires of an individual or group prevailed in the earlier stage. Third, the human beings can be represented in many ways, but, on the basis of our literary history, it turned out that we can call the mankind "Homo Orans“, the mankind(existence) praying for wishes. This is because the practises of praying for wishes have been continuing since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no even until now. Depending on the age,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names of the objects, the content and format of the praying for wishes and the variation of the proportion of appear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diachronic practises of praying for wishes confirms that it is an important keyword to understanding the humans.

      • 도시기원 관점에서의 문명, 농업, 국가 기원의 이론적 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6 地理敎育論集 Vol.60 No.-

        본 연구는 도시기원과 고대도시 발달의 관점에서 문명의 기원, 농업의 기원, 국가의 기원에 대한 논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시기원과 고대도시의 발달은 인류문명의 발달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또한 농업의 기원과 발달은 도시기원과 경제 기반을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대문명에서 도시와 국가는 크게 기능, 형태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국가기원 논의가 도시기원과 고대도시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문명의 발달에 따라 사회는 단계별로 발전하면서 도시와 국가가 기원하였다. 농업기원에 대한 논의도 오아시스이론, 다핵지역이론, 주변부지역이론, 광역스펙트럼혁명이론, 공동진화이론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가기원의 논의도 생태적 접근, 수문농업 접근, 인구압력 접근, 제약이론 접근, 복합접근을 검토함으로써 도시기원과 고대도시를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heoretically review the discussions on origins of civilization, agriculture, and states in the perspective of urban origin, and development of ancient cities. Urban origin and development of ancient cities were review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e played the key role on the origin of city and its organization of economic basement. In addition, in ancient tim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ities and states in terms of functions and forms, and the discussions on the origins of states contribu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c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cient societies evolved through a series of stages, which led to the origins of cities and states. In terms of origin of agriculture, five theories were reviewed; oasis theory, nuclear zone theory, marginal zone theory, broad spectrum theory, and coevolution theory. Further, the discussions on origin of states included ecological approach, hydrological agricultural approach, population pressure approach, circumscription approach, and complex approach, which were useful to understand the urban origins.

      • KCI등재

        한국어 기원동사 범주의 인지언어문화적 함의

        이연희,한용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6

        This paper aims to define a category of verbs in modern Korean language which linguistically describes and expresses wishes. A wish is a verbal expression of one’s desire or hopes. In every language, linguistic formats to convey wishes are realized in various ways. In Korean, wish verbs are in the form of word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completing the sentence to which they belong. As they can be regarded as among the most direct linguistic methods to express and reveal the content of wishes, it is important to conduct a systematic research on wish verbs in Korean. Wishing is an abstract deed that occurs inside someone’s consciousness. In this regard, wish verbs have been categorized in prior research as a sub-category of psychological verbs as they describe an internal deed. Some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content of a wish is found as a state in a complementation clause, discussing wish verbs in studies of prepositional verbs or complementation. However, as those approaches have a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ish verbs, this paper aims to define a category of wish verbs in Korean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ing differences from other verb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 of wish verbs as verbs that directly describe a behavior of agent who inwardly waits for an object. Based on the definition, this research establishes a criterion for defining wish verb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gent, object, and inward deed.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a list of wish verbs from entry words introduc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본고에서는 ‘기원(祈願, wish)’을 언어적으로 서술하여 표현하는 현대 한국어 기원동사의 범주를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원’은 ‘바람(wish)’의 언어적 표현으로 이러한 ‘바람(wish)’을 표현하는 언어적 형식이 모든 언어에서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다양하게 이루어지지만, 어휘 형태인 한국어 기원동사는 이 중에서 문장을 이루는 핵심요소로 가장 직접적으로 기원의 내용을 표현하고 밝히는 언어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기원동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기원’은 마음속에서 의식적으로 일어나는 추상적인 행위이므로, 기원동사에 대한 연구는 ‘내적 행위’를 서술한다는 점에서 심리동사의 하위 부류나 기원의 내용이 하나의 사태로 보문절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명제동사나 보문 연구에서 다루어졌으나 기원동사 자체로서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기원동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여타 동사들과 구별되는 한국어 기원동사의 범주를 규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원’의 의미 영역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원동사의 개념을 ‘기원 주체가 기원 대상을 마음속으로 기다리는 행위를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동사’로 정의하였고, 이를 토대로 하여 기원동사가 서술하는 내용인 ‘기원 주체’와 ‘기원 대상’, 그리고 ‘내적 행위’의 특성을 분석하여 기원동사의 판정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표준국어대사전」의 표제어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기원동사의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탈춤 기원론의 쟁점과 상고시대 탈춤문화의 뿌리

        임재해(Lim Jae-Hae)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이 논의는 크게 두 가닥으로 전개된다. 하나는 전래설의 한계를 비판하고, 둘은 탈춤의 기원과 역사를 굿문화 속에서 찾아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크게 전래설의 4 가지 문제점을 다루고, 굿문화 기원설을 3 가지 방법으로 밝힌다. 1) 전래설의 한계를 지적하기 위해 전래설이 마치 교류론과 기원론인 것처럼 여기는 문제를 비판한다. 전래설은 탈춤의 기원을 다른 지역으로 미루는 까닭에 결과적으로 기원을 밝히지 않는 것이며, 교류론은 선후와 우열을 전제로 한 기원론과 무관하게 두 문화의 양방향 소통을 대등하게 다루는 것이다. 그러므로 탈춤 전래설은 기원론이나 교류론이 아니며 일원발생설에 따른 자문화 폄하의 종속적 전파론에 해당된다. 2) 전래설을 입증하는 준거인 전파주의 이론을 제대로 알지 못한 문제를 비판한다. Graebner가 말하는 형태의 준거, 양적 준거, 계속의 준거 외에, 상징의 준거, 생태학적 준거 등을 두루 갖추어야 전파론을 펼 수 있다. 그저 비슷한 점만 들어서 전래설을 편 것이다. 탈춤 전래설은 전파론의 이론에 맞지 않아서 설득력이 없다. 3) 전래설을 입증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의 제시가 뒤따라야 한다. 전래설을 펴면서도 영향을 주었다고 하는 몽골의 탈춤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몽골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지만, 구체적으로 몽골의 어떤 탈춤이 본산대놀이에 영향을 준 것인지 보기를 들지 못한다. 몽골에는 탈과 탈문화가 아주 빈약해서 그럴 만한 자료조차 없기 때문이다. 4) 몽골 반인(泮人) 기원설은 성균관에 속해 있는 ‘반인’의 정체, 관련 자료의 재해석, 몽골탈과 탈춤의 내용, 탈 관련 몽골어 등을 고려할 때, 받아들일 근거가 부족하다. 그러나 전래설의 문제를 비판한다고 자생설이 입증되는 것은 아니다. 탈춤의 자생적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밝히고 공시적 자료 속에서 그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고고학적 유물과 역사적 전승 자료, 탈춤의 연행현장 구조 등 세 가지 방법으로 굿문화 기원설을 밝힌다. 첫째, 탈은 구석기시대 한반도의 고고학적 발굴유물에서 발견된다. 신석기 시대 암각화의 탈 그림에서 농경문화를 배경으로 한 풍농굿의 탈춤이 있었다. 고조선 지역인 홍산문화에 옥과 뼈로 만든 탈 유물은 한층 구체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홍산문화의 옥탈이나 뼈탈을 보면, 고조선 건국 이전시키부터 이미 구체적인 제의탈이 존재했으며, 제의와 관련하여 탈굿과 탈놀이, 탈춤이 연행되었을 것이다. 둘째, 황창탈춤과 어무상심, 처용탈춤 등은 신라 때부터 형성된 것으로서 오랫동안 세간과 궁중에서 전승되었다. 어무상심은 남산 신굿이며 처용탈춤도 병굿의 일환으로 벽사의 기능을 지닌다. 특히 처용탈춤은 신라 경주에서, 고려 개성, 조선 한양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통시성과 지리적 분포를 볼 때 궁중탈춤의 역사성을 부인할 수 없다. 세간에는 고려시대부터 하회별신굿의 탈춤이 전승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 탈춤의 형성은 굿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탈춤은 굿문화의 일환으로 형성되고 전승된 사실이 연행현장에서 잘 드러난다. 탈춤 구조를 분석해 보면 ‘굿판 → 앞놀이 → 춤대목 → 극대목 → 춤대목 → 뒷놀이→ 굿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회탈춤이 별신굿의 일환으로 형성되었듯이, 모든 탈춤은 굿에서 시작하여 굿으로 끝이 난다. 그러므로 탈춤은 마을굿과 고을굿, 나라굿 등 공동체의 굿문화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된 것으로 추론된다. This discussion of Korean mask dance is conducted in two directions: criticism of limitation of import hypothesis, and identification of the origin and history of mask dance in Gut(exorcism) culture. Thus, this discussion covers 4 issues on import hypothesis and identifies the hypothesis of Gut culture origin in 3 methods: 1) To indicate the limitation of import hypothesis, the discussion criticizes the problem of considering import hypothesis as exchange hypothesis or origin hypothesis. Import hypothesis, which attributes the origin of mask dance to other region, is a hypothesis which is reluctant to identify the origin, and exchange hypothesis is one that handles the bi-lateral communications of the two culture on equal footing apart from origin hypothesis that assumes priority and superiority of either one. Therefore, mask dance import hypothesis falls within the category of dependent diffusion hypothesis by the single source development hypothesis. 2) This discussion will criticize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properly catch diffusion theory, the ground to prove import hypothesis. Diffusion theory may stand only if symbolic ground and ecological ground etc are widely secured in addition to morphological ground, quantitative ground and continuation ground that Graebner mentions. Import hypothesis is advocated only on the support of similarities. Mask dance import hypothesis is not suitable based on the theory of diffusion, and thus does not make sense. 3) Proposition of positive data that can prove import hypothesis should follow. Though import hypothesis is maintained, there is no proposition of Mongolian mask dance which is said to have affected it. Although it is said to have been affected by Mongolia, no specific example is given which mask dance of Mongolia affected Bonsandae mask dance. That is because Mongolia has very few elements of mask and mask culture, and thus has barely any material for that. 4) Considering the identify of ‘Pan’ people, interpretation of relevant data, the contents of Mongolian mask and mask dance, and mask related Mongolian language etc, Mongolian Pan people origin theory has feeble ground to accept. Nevertheless, criticism of the problem of import hypothesis does not necessarily prove native origin hypothesis. Historical identification of native formation of mask dance and confirmation of the contents from the chronological data are necessary. The hypothesis of exorcism culture origin is clarified in three channels like archaeological remains, historical legend data and the structure of mask dance performing field etc. First off, masks are discovered in archaeological excavation remains of Korean peninsula of paleolithic age. The mask picture in the rock engraved figure of neolithic era included mask dance of invoking fruitful harvest with farming culture as background. The mask relic made of jade and bones from Hongsan culture, the area of ancient Gojoseon kingdom may be a further specific example. Thus jade mask or bone mask of Hongsan culture indicate specific existence of ritual mask already before establishment of ancient Gojoseon kingdom, and mask exorcism, mask play and mask dance might be performed with regard to rituals. Second, Hwangchang mask dance, Eomusangshim dance and Cheoyong mask dance etc, which were formed from Shilla dynasty, were performed for long time among common folks and in the palace. Both Eomusangshim dance which is Namsan shin exorcism, and Cheoyong mask dance are performed as exorcism to drive away diseases. In particular, Cheoyong mask dance cannot but indicate the historic tradition of palatial mask dance in view of its historic legacy from Gyeongju of Shilla dynasty to Gaeseong of Goryo dynasty and Hanyang of Joseon dynasty. Among common folks, the mask dance of Hahoe Byeolshin exorcism is handed down from Goryo dynasty. Therefore, our mask dance may be deemed originated from exorcism culture. Third, the fact that mask

      • KCI등재

        갈라디아서 6:16의 평강기원의 수혜자들은 누구인가?

        주기철(Ki Cheol Joo)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6 신약연구 Vol.15 No.4

        갈라디아서 6:16의 평강 기원은 몇 가지 점에서 아직도 학자들 간에 논쟁이 되는 구절이다. 논쟁의 이유는 이 기원문이 타 바울서신의 그것과는 다른 형태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보편적인 평강 기원은 그 명칭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평강’(εἰρήνη) 만을 기원하지만 갈라디아서 6:16에서는 평강에 ‘긍흏’(έλεος) 이라는 표현이 추가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이 기원의 수혜자들은 ‘너희’(μετἀ πάντων ὑμων 또는 ὑμῑν) 로 표현되지만 여기서는 이와 동일한 표현을 쓰지 않고 완전히 다른 두 표현이 쓰였기 때문이다. 이런 독특한 용어들이 쓰였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자들이 많은 제안을 하였다. 특히 이슈가 되는 것은 이 기원의 개수의 문제와 수혜자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이다. 즉, 바울은 여기서 평강과 긍휼의 두가지 기원을 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과 이 기원문의 수혜자들의 정체성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많은 학자들이 노력을 하였지만, 여전히 서신의 상황과 문맥에 근거한 만족할 만한 해석을 내놓고 있지 못하는 것 같아 보인다. 2010년에 나름대로의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이응봉이 구문론적, 의미론적 해석을 통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대안으로 제시된 이 시도 또한 갈라디아서의 서신적 특성과 앞뒤 문맥을 고려해 볼 때 그리 만족할 만한 대안이 되지 못하는 것 같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먼저 이응봉이 제시한 대안의 결론과 그 결론이 가지고 있는 약점을 먼저 언급하였다. 이어서 갈라디아서 6:16 의 바로 앞의 문맥이 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갈라디아서 6:12-15에서 바울은 자신의 동기와 거짓 교사들의 궁극적인 동기가 무엇인지에 대해 밝히면서, 어떤 것을 따라야 할 것인지에 대한 두 가지 예를 제시한다. 갈라디아서 6:16이 앞의 부분과 καί로 연결되기 때문에 갈라디아서 6:16은 앞부분과 연결 지어 해석을 해야 하고, 갈라디아서 6:12-15은 갈라디아서 6:16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근거가 된다. 갈라디아서 6:16을 해석하기 위해서 그것이 가진 구별된 표현들에 대해서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바울은 ‘이 규례를 킬 자들’에게라는 표현을 썼는데, 이는 바울의 평강기원이 그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거나 혹은 따를 자들을 위한다는 의미이다. 둘째, 평강기원의 수혜자들을 위해서 2인칭 복수 대명사를 쓰는 대신에 바울은 αὐτούς와 τὸν ’Iσραὴλ τοῡ θεοῡ를 쓰는데, 이는 하나님의 복 안에 모든 믿는 (혹은 다시 돌아오거나, 잠재적으로 믿을)자들을 포함시 키기 위함이다. 셋째, 갈라디아서 6:16 의 평강(εἰρήνη) 기원에 긍휼(έλεος)이라는 표현을 첨가한 이유는 갈라디아서의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즉, 갈라디아인틀은 거짓 교사들로부터 압박을 받으면서 다른 두 복음 사이에서 갈등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을 격려하기 위해서 긍휼이라는 표현을 첨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갈라디아서 6:16의 평강 기원의 독특성은 갈라디아 교인들이 처한 상황에 기인한 것이고, 그 서신적 특징과 문맥을 고려해서 살펴보았을 때 그것이 가지는 독특성과 의미를 바로 파악해 낼 수 있다. In this article, the special features of the peace benediction in Galatians 6:16 is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Pauline letters. Paul invokes God s blessing upon those who walk by this rule, which means that Paul s blessing is conditional. In addition, Paul does not simply use the second person plural pronouns for the beneficiaries of blessing as he usually does in the peace benedictions in his other letters. There is another unusual feature in 6:16. Paul uses both the terms peace? (εἰρήνη) and mercy (έλεος); whereas, only eivrh,nh is used in other peace benedictions. For this reason, scholars have attempted to answer the question as to why Paul composed the peace benediction differently. However, the debate is still ongoing and it seems that satisfying answers have not yet been given in relation to the immediately preceding context. Although Eung Bong Lee attempted to interpret Galatians 6:16 in a different way in the perspective of syntax and semantics in 2010, his conclusion also does not seem to reflect sufficiently the feature of Galatians as an epistle nor the immediate context of Galatians 6:16. For this reason, I comment first on the weakness of Lee s conclusion summarizing his concluding part. Afterward, I briefly look at what the immediate context of Galatians 6:16 is saying. In Galatians 6:12-15, Paul reveals the ultimate motives of the false teachers and his own. By revealing these, Paul suggests two models of believing in Jesus Christ. One is of the false teachers and the other is that of Paul himself; the former sets a bad example that should not be followed and the latter sets a good example to follow. Since Galatians 6:16 is connected to the preceding verse with kai,, this verse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previous verses; Galatians 6:12-15 is the interpretive ground for Galatians 6:16. In order to understand Galatians 6:16, I have looked at the special features of the peace benediction in this verse in three ways. First, Paul uses those who walk by this rule in order to bless all those who are following or will follow Paul s teaching and example. Second, instead of using second person plural pronouns for the beneficiaries, Paul adopts αὐτοὐς and τὸν ’Iσραὴλ τοῡ θεοῡ. This is because Paul wants to include all the believers (returning or potential believers) in the blessing. Third, in Paul s invocation of blessing, the unusual term έλεος is added; probably because he is considering the Galatian context. Since the Galatians were struggling with a different gospel and with pressure from the false teachers to accept circumcision, Paul added the extra term έλεος alongside the usual term εἰρήνη in the peace benediction.

      • KCI등재

        <탈춤>과 <경극>의 형성 배경 비교 고찰

        손대환(Dae-Hwan Son),정염방(Yeom-Bang Je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6

        <탈춤>과 <경극>에 대한 연구는 개별 주제와 방법으로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탈춤>과 <경극>에 대한 비교 논의는 미비하다. 본고는 <탈춤>과 <경극>의‘형성 배경’을 비교 분석하여 韓·中 문화 학술 교류를 통하여 상호 연희문화 활성화와 문화 콘텐츠 개발에 그 목적을 두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탈춤>과 <경극>의 전반적인 비교분석에 앞서 먼저 기원과 발생·발전과정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탈춤>의 기원에 대하여는 伎樂起源說(기악기원설), 마을굿·무당굿·농악굿起源說, 祭儀起源說(제의기원설), 山臺都監起源說(산대도감기원설) 등으로 기존연구논의를 시대흐름에 따라 재분석했다. 특히 伎樂起源說(기악기원설)에 대해서 백제 사람 味摩之(미마지)가 吳(오)나라에서 전교했다는 기존 주장은 시대적 흐름에 어긋나며 당시의 吳(오)나라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로 새로운 주장을 제기했다. 따라서 연구논의 결과 이와 같은 기원 속에서 연행되던 극 형태들이 가면극을 거쳐 조선 후기에 새롭게 형성된 극 형태로 변모한 연희가 <탈춤>이라는 것과 지방에 따라 특색 있는 형태로 연행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문화적인 면에서는 관 행사에서 점차 서민들에게 이양되어 서민과 중인을 중심으로 창작, 연행되었다는 연구와 당대의 사회·문화 현상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탈춤>은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부조리한 사회현상을 풍자하는‘사회적 공기’의 역할을 주도하였다는 분석이다. 그리고 경제적인 면에서 상업과 농업의 발달로 인한 서민경제의 향상과 상인들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탈춤>이 성행하였다는 점으로 <탈춤> 연행이 서민 속으로 이동되어 서민문화의‘꽃’으로 정착하였다는 것에 주목했다. <경극>의 기원과 유래에서는 揚州(양주)의 徽劇(휘극)이 연극화되어 연행되었고 이후 淸 나라 시대의 乾隆皇帝(건륭황제)의 적극적인 관심 아래 <경극>의 연행이 성장하여 현재까지 중국을 대표하는 연극으로 구축되었다. <경극>은 사회·문화적 면에서 18, 19세기의 지식인들이 중국 고유문화예술을 활성화 한다는 차원 아래에 당시 과거시험에서 벗어나 <경극>연행의 대중화를 위하여 노력해왔고 이로 인하여 일반 서민들과 북경사회의 모든 계층의 지지를 받아 <경극>의 연행이 성행하였다는 연구결과이다. 반면 주요 차이점으로는 <탈춤>은 관 행사에서 벗어난 이후 연행 주체 성격상 王과 官의 지원 없이 서민들의 주체적 노력으로 연행되고 발전하였다는 점과 <경극>은 당시 皇帝(황제)와 貴族(귀족)들의 적극적 관심 아래 서민들 모두와 함께 하는 공동체적 <경극>으로 성장하였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historical origin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of <Talchum - the traditional Korean masked dance> and <Peking Opera> as performances. To do this, the paper makes its focus the comparison between what kind of processes these two performances practice. So far, many other predecessors in the field have discussed separately the backgrounds in performing these traditional dances with a wide variety of subjects, and it will be continuously studied. There is, however, no discussion on the comparison of the two Talchum and Peking Opera. Accordingly, the paper intends to compare ‘the backgrounds of the performances’ and suggest its findings. In drawing a parallel between the two dances, existing researchers’ analyses of their origins, occurrences, and processes of development are all assembl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the following assertions can be derived. First of all, the origin theory of <Talchum> undergoes such transitions as Sandaedogam-hypothesis, Giack-hypothesis, a Village Gut-hypothesis (a Shaman Gut), a Nongak Gut-hypothesis and finally comes to be transformed into the <Talchum> through a form of a masked d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nique features of each region. Next, in the sociocultural viewpoint, <Talchum> can be viewed as playing an important ‘societal empty space for relieving distress in that it is largely created and performed by the common and working classes. At last, in the economic aspect, it is noteworthy that ’Talchum - Mask(ed) dance’ was prevalent with the active help of rich merchants having emerged from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agriculture. In the case of <Pecking Opera>, it can be analyzed that various comedies were dramatized and then performed in Ancient China, its performance was improved under much attention of Emperor Geollyung during the Quing Dynasty, and finally came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theater style of China. Meanwhile, another finding in the aspect of a sociocultural viewpoint is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trived to make it popular to perform <Pecking Opera> in order to vitalize indigenous cultural arts rather than just focus o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 KCI등재

        지리학 관점에서 도시기원 이론의 비판적 고찰

        신정엽,김감영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ritically the urban origins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history and urban geography. There is a variety of approaches for urban origins, and this research categorized them into agricultural-based, economic,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e agriculture-based perspective consists of agricultural surplus and hydraulic theories. The agricultural surplus theory argued that the city originated from the agricultural surplus, and the hydraulic theory argued the urban origin from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for managing water resources. The trade theory representing the economic perspective argued that the city originated based on trade and market, not being based on agricultural surplus. Finally,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explained the urban origins and process of first cities from the socio-institutional, religious, and martial and defense approaches. These approaches are very useful in that they explained the reasons and factors for the urban origins and the development of ancient cities, and will be more valuable for explanation if more approaches are considered, not a single one. Th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in that the discussions of these urban origins have great impact on the research subjects for urban history and urban geography. 본 연구는 도시역사와 도시지리학 관점에서 도시기원에 대한 논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시기원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론이 존재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이론을 농업적 관점, 경제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범주화하여 살펴보았다. 농업적 관점은 농업잉여이론과 수력이론으로 구성된다. 농업잉여이론은 농업의 기원과 농업적 잉여 발생을 토대로 도시가 기원하였다는 주장이며, 수력이론은 수자원의 관리를 위한 제도적 발전을 토대로 도시가 기원하였다는 주장이다. 반면 경제적 관점을 대표하는 교역이론은 농업에 기반하지 않고, 교역과 시장을 기반으로 도시가 기원하였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관점은 사회제도, 종교, 전쟁과 방어 측면에서 도시기원의 원인을 찾으며 그 과정을 설명한다. 이러한 도시기원 논의들은 다양한 맥락에서 도시의 기원과 고대도시 문명의 발달을 설명하는데 유용하지만, 도시의 기원을 하나의 이론만으로 모두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도시기원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논의를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도시기원의 논의는 도시역사와 도시지리학의 주요 주제들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는 측면에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에서의 `바람(wish)` 개념의 실현 방책과 범주에 대하여

        도재학 ( Doh Jae Hak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바람` 개념의 다양한 실현 방책을 확인하고 그 범주를 규정해 보고자 하였다. 문장, 어휘적 어사, 문법적 어사와 관련된 일곱 가지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명령문의 기원적 해석, ②청유문의 기원적 해석, ③기원문 표지 `-소서`의 사용, ④연결어미 `-면`이 이끄는 반사 실적 조건절의 기원적 해석, ⑤기원을 나타내는 동사를 서술어로 사용, ⑥희구를 나타내는 우언적 구성의 사용, ⑦`제발, 꼭, 부디, 아무쪼록` 등을 ①-⑥의 경우와 함께 사용, 등이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문법 범주를 규정하고자 하였다. ①,②의 경우는 문법 범주로서의 문장유형으로 `명령문`과 `청유문`을 설정하였다. 화자가 원하는 사태가수행주의 통제 가능성 밖에 있을 때 기원의 의미가 해석된다. ③의 경우는 기원문 표지 `-소서`를 설정하고 이것이 사용된 문장 유형 `기원문`을 설정 하였다. 문말 서법으로서는 간접인용절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명령법`으로 보았다. ④의 경우는 조건의 연결어미 `-면`이 이끄는 반사실적 조건절을 `부사절`로 규정하였고, 의미 특성을 강조한다면 `조건 부사절`로 부를 수 있다고 보았다. ⑤의 경우는 기원이라는 의미를 공유하는 `기원 동사`를 설정하였다. ⑥의 경우는 문법적 양태로 규정할 수 있고, 의미를 특정한다면 `희구의 동적 양태`로 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⑦의 경우는`양태 부사`이고 의미 특성을 강조하면 `기원 양태 부사`로 설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간 종합적으로 논의 된 바 없는 다섯 가지 우언적 구성들을 대상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various strategies for expressing a concept of `wish` and designating individual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m. The biggest reason for this discussion is that `wish` was little treated conceptual category in Korean linguistics. There are seven ways that could mean `wish`; ①optative interpretation of imperative sentence, ②optative interpretation of hortative sentence, ③use of optative sentence marker `-soseo`, ④optative interpretation of counterfactual conditional clause led by connective ending `-myeon`, ⑤predicative use of verbs denoting `wish`, ⑥use of periphrastic construction denoting `wish`, ⑦use of optative modality adverb `jebal, budi, amujjorog, etc.` with the strategies ①-⑥ .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①-⑦ are as follows. ① and ② are imperative sentence and hortative sentence as grammatical sentence type. These are interpreted as optative when a situation desired by the speaker is out of controllability of the agent. `-soseo` ③ of is an optative sentence marker, and the whole sentence is optative sentence. In this case, it is imperative mood in terms of a property that is expressed by `-(eu)ra` in the indirect quotation clause. `-myeon` of ④ is connective ending, and the clause led by it is a conditional adverbial clause. In ⑤ and ⑦, verbs and modality adverb of `wish` could be set up as a kind of lexical classes. And ⑥ is desiderative (grammatical) modality that is not necessary and have nothing to do with any speech-act. Finally, it is examined t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ive periphrastic constructions.

      • KCI등재

        인간 죽음의 기원, 그 신화적 전개양상

        권태효(Kwon Tae-Hyo)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3 No.-

        이 글은 〈차사본풀이〉에 있는 ‘인간 죽음의 기원’ 대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죽음기원신화의 양상과 성격을 검토하고, 동일한 자료적 면모를 보이는 중국, 아프리카 등지의 죽음기원신화와 비교를 시도한 글이다. 〈차사본풀이〉는 제주도 지역에서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차사신의 좌정내력담으로, 차사신의 행적을 보여주는 끝 부분에 ‘인간 죽음의 기원’ 대목이 부차적으로 첨부된 양상을 보여준다. 이 대목과 유사한 성격의 자료가 중국 이족의 창세서사시와 J.Frazer가 소개하고 있는 아프리카 등지의 죽음기원신화에도 나타나고 있어 우리 신화와 비교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의 핵심은 “죽음이 왜 생겨났는가”와 “인간 죽음에 왜 순서가 없게 되었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 외국의 신화 자료와 비교해 우리 죽음기원신화의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인간에게 죽음이 생긴 까닭보다는 인간의 죽음에 순서가 없게 된 까닭에 초점을 두는 형태라는 점, 둘째, 죽음에 이은 재생의 관념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셋째, 죽음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동물이 까마귀로 나타나 재생보다는 죽음 그 자체의 상징성을 담은 동물로 설정된다는 점, 넷째, 인간 죽음의 기원을 현실적인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This paper tries to examin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yths originated the death with reference of a part of 'the origin of the human death’ from 〈Chasabonpuri〉 and to compare Chinese and African myths originated the death which seem to be from the same root. 〈Chasabonpuri〉 is a shamanic epic book to describe procedures in guiding the deceased spirits to the afterlife in Jeju island and has a special part to introduce ‘the origin of the human death’ as additional text at the end of Chasa god’s journey. This part can be compared with China’s Genesis myth of Yi tribe and African myths introduced by J. Frazer. The main common questions of these myths are: “why does the death occur in human history?” and “Why does the death come to human beings without any order?” Compared to mythic resources from other countries, Korean myths originated the death are: firstly, it focuses not on the reason why human come to die but on the reason why the death come to human beings without any order; secondly, there are little sense of returning to life; thridly, the crow plays a role as a messenger of the death and symbolises not returning to life but the death itself; and finally, the origin of the human death seems to be based on pretty realistic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