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금융허브 육성 전략에 대한 고찰

        정재웅 ( Jae Woong Jung ),안세륭 ( Seryoong Ahn ) 글로벌금융학회 2023 글로벌금융리뷰 Vol.4 No.2

        우리나라 금융허브 육성 정책의 시초는 2003년 재정경제부의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이후 20여 년간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기도 했으나, 금융허브의 핵심인 금융규제나 감독시스템 개혁 등에서는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렇게 지난 20여 년간 추진됐던 우리나라 정부 중심의 금융허브 육성 전략을 살펴보고, 이 전략의 성과 및 향후 필요한 정책 방향성에 대해 논한다. 2003년부터 정부가 추진한 글로벌 금융허브 육성 전략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대침체, 2010년부터 2011년까지의 유럽국가부채 위기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급변으로 인해 금융시장 안정화에 중점을 둔 정책으로 변화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한국은 산업 수준과 경제 수준은 발전했지만, 금융산업은 그에 상응하는 발전 정도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한국이 경제 규모에 상응하는 금융허브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에서 활발하게 다른 허브와 교류하는 동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정부, 금융공기업, 금융기업, 그리고 연기금 모두의 통합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The origins of South Korea's financial hub development policy can be traced back to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s Northeast Asia Financial Hub Promotion Strategy in 2003. 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ve been some concrete achievements, but there have been no clear results in areas such as financial regulation and supervisory system reform, which are the core of financial hub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government-led financial hub development strategy that has been pursu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and discuss the achievements of this strategy and the policy directions that are needed in the future. The global financial hub development strategy that the government has pursued since 2003 has also changed to a policy that focuses on financial market stability due to the sudden changes in the global financial markets, such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recession in 2008, and the European sovereign debt crisis from 2010 to 2011. As a result, South Korea has developed in terms of industrial and economic levels, but the financial industry has not shown a corresponding level of development. In order for South Korea to grow into a financial hub that corresponds to its economic scale,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rehensive and pension funds, while actively exchanging with other hubs in the global effort by the government, financial public enterprises, financial companies, financial network and playing a key role.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금융허브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최규진,고경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3 경영컨설팅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금융위기 및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 등으로 인한 금융위험성 재인식을 통해 초래된 금융산업에 대 한 부정적 견지에서 벗어나 금융당국의 금융허브 논의를 심도있게 도출해 낼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금융허브의 유형 정리와 주요국 금융환경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동북아 금융허브로의 추진 로드맵 을 진단하고, 금융허브관련 기존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적합한 한국형 금융허브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시경쟁력이 뛰어난 서울을 금융중심지로 발전시킬 수 있다면 국력 상승 및 금융환경 개 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그 발판이 될 수 있는 금융허브 구축방안을 실질적으로 접근해 봄으로써 금융선진국과의 격차를 해소하고 동북아시아권역에서의 경쟁구도에서 주도권을 내주지 않고 오히 려 금융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선박금융 특화된 글로벌 금융도시화 전략 : BIFC가 나아가야할 방향 (B⋅U⋅S⋅A⋅N 전략)

        조임제,송남경,최아름,정무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5 경영컨설팅연구 Vol.15 No.4

        부산이 금융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만든 BIFC가 완공 된지 상당한 기간이 지났으나 금융허브 관련 진전이 느린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자는 본 연구에서 부산이 금융허브로서의 많은 역할 중 선박금융이 가장 큰 성장성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일명 B・U・S・A・N 전략을 제시하려 한다. 먼저 부산을 SWOT으로 분석했다. 지리적 위치, 경쟁력 있는 항만 인프라, 동북아시아 및 북방경제 성장 등 강점과 기회들로 부산의 선박금융허브 역할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정부의 규제와 민간투자부족 등 약점과 위협들도 존재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약점과 위협들을 해결할 방안으로 주변국의 성공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아시아 최대 금융허브국가로서 비약적인 성장을 한 싱가포르에서 투자제도, 규제완화 부분과 조선클러스터와 선박금융에 신성장을 이룬 일본의 중소도시 이마바리에서 지방은행과의 협력, 시당국과 시민의 참여 부분을 주목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해외사례 분석과 SWOT 분석을 토대로 1) Bifc의 활성화(명확한 기능제시) 2) University 연계 3) Syndicate 장려 4) Anchor(거점) 기업 유치 5) NO restriction 전략 등을 의미하는 소위 B·U·S·A·N전략을 제시했다.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보완한 본 연구의 B·U·S·A·N전략이 잘 활용되어 하루 빨리 부산이 동북아 선박금융 중심지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Busan made 'BIFC' to grow as global financial hub. The government and communities have presented many policy by their respective interests. However there is not so much progress toward the financial hub. That's why we need an inclusive and detailed policies now. Finance for shipping has big growth potential. Therefore we present 'B․U․S․A․N' strategies to make this potential come true. First, we analyse location advantages of Busan using SWOT model. There are many strengths and opportunities-geograpical location, competitive port infrastructure, economic growth of northeast asia. There are also many weaknesses and threats -government regulation, lack of private investment and so on. Second, we find two success cases of neighboring countries. Singapore grew up as Asia's largest financial hub through system of investment and deregulation. Imabari, Japan developed shipping finance and shipbuilding cluster by cooperation with regional bank, city government and civic participation. Finally, we derive BUSAN strategies that are 1)activation of BIFC 2)cooperation with University 3)encouraging Syndicate 4)Attracting anchor company 5)No restriction. By these strategies, Busan is looking forward to become shipping finance hub in Northeast Asia.

      • 동북아 금융중심지 조성을 위한 법·제도적 과제 : 금융규제법적 측면을 중심으로

        최승필 은행법학회 2008 은행법연구 Vol.1 No.1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성장과 금융자금의 조성 등으로 인하여 최근 런던, 뉴욕 등이 아닌 아시아 지역 특히 동북아 지역에 서의 금융중심지(허브)의 조성 및 유치가 동북아 국가들간에 관심으로 등장하였 다. 본래의 의미로서 허브란 원모양의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뻗어나가는 모양을하는 원 구조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오늘날 금융분야에서는 중심지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이 소위‘금융허브’로 불리는 금융중심지는 세계 각지의 자금을 유치하고 이를 운용하여 수익을 냄으로써 제조업에 비해 월등한 부가가치 창출 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국내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 고용창출, 안정적 조세기반의 창출, 투자유치를 통한 성장동력의 제고라는 점 등 많은 이점을 가 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 금융허브인 홍콩, 싱가포르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금 융중심지 육성 및 조성 정책을 국가전략 차원에서 펼쳐나가고 있다. 금융중심지 육성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두 가지 면이 존재한다. 하나는 국내 적인 파이를 키워 외국의 금융기관과 경쟁할 수 있는 규모를 만들고 대형화된 이들 금융회사들이 수행하는 투자업무들이 선순환을 통해 더 큰 국제금융중심지 를 만들어 내는 측면이며 다른 하나는 외국금융회사들이 손쉽게 국내에 지점 혹 은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진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해외자본이 유치 되고 이를 운용할 수 있는 각종 인프라들이 구축됨으로써 국제금융시장이 조성 되는 측면이다. 그러나 종국적으로는 양자 역시 상호의존적으로 기승(騎乘)작용 을 일으켜야만이 진정한 의미의 국제금융의 중심지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중심지 추진전략은 이 두 가지 양면에서 접근해야 할 사안이다. 우리나라의 금융중심지 조성 전략은 지난 2004년부터 3단계의 추진 로드 맵 하에 추진되고 있으며, 지금은 2단계가 시작하는 시점으로 그동안 미진한 과 제도 있었지만, 달성한 과제 역시 상당수 있어 달성과제에 대한 평가와 미진과 제에 대한 법적 과제를 일견해 보는 기회를 갖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 한다.1)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금융중심지 추진전략을 이행 및 향후 과 제에 대해 금융규제법적 측면을 중심으로 법제도적 문제점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한국 디지털 금융허브 전략의 필요성 및 과제

        이효섭 ( Hyoseob Lee ) 글로벌금융학회 2023 글로벌금융리뷰 Vol.4 No.2

        생성형 AI, 블록체인, 빅데이터 기술 혁신의 영향으로 금융산업은 디지털금융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할 것이다. 한국은 금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을 추진해왔으나 법인세율·소득세율 완화, 고용 및 금융규제 개선, 영어 사용 보편화 및 주거비 부담 완화 등 금융인프라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지 않고는 싱가포르, 홍콩, 상해 등과 비교하여 우수한 금융허브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 따라서 미래 금융산업 변화에 대응하고, 한국이 가진 장점을 살리기 위해 기존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 대신 ‘디지털 금융허브 전략’으로 금융산업 발전 전략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금융허브 전략의 세부과제로 다음 제안을 제시한다. 첫째, 국내 핀테크 기업 및 금융회사의 해외 진출을 돕고 디지털금융 관련 ICT 인프라의 수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둘째, 서울, 부산 등 주요 거점 도시에 디지털금융 특구를 선정하고, 세제 완화, 창업 및 보육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거점 도시에 디지털금융 창업 허브를 설립하고, 디지털금융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지정을 통해 디지털금융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금융환경 변화에 맞추어 기존 금융업 규제 체계를 네거티브(Negative) 방식과 원칙(Principle)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 The Financial Industry will rapidly shift toward digital finance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generative AI, Blockchain, and BigData. South Korea has been promoting the ‘Northeast Asia Financial Hub Strategy’ to improv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financial industry, but it is difficult to become an excellent financial hub compared to Singapore, Hong Kong, and Shanghai without easing corporate and income tax rates, improving employment and financial regulation, and universalizing the use of English.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inancial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to a ‘Digital Financial Hub Strategy’ instead of ‘Northeast Asia Financial Hub Strateg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asks for a digital financial hub strategy. First, South Korea government should actively support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fintech and financial companies and the export of ICT infrastructure related to digital finance. Second, we should nominate digital finance special zones with a lot of incentives such as tax benefits, startup and incubation support. Third, digital finance startup hubs should be established in major cities, and digital finance talent should be cultivated by designating digital finance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Fourth, the existing financial regulatory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a negative and principle-based manner in line with changes in the digital finance environment.

      • KCI등재

        금융화와 한국자본주의: 특성과 전망

        유철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8 동향과 전망 Vol.- No.73

        This paper tries to provide a tentative way of thinking to understand the latent differences between the typical financialization process in the western economies and that of Korean economy. Investigating the relevance of the notion of “financialization” to the economic changes in Korea after the 1997 crisi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rocess should be understood as outcome of policies.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large industrial conglomerates, the new government plans to use their resources for financial developments. It is also forecasted that the finance capital and the industry capital will be cross-dominated by each other or be under the unified private control power in Korea. Public pension funds has been allowed to dramatically increase their portfolio investment in the stock market and the share of stock investment in the households assets has been also increased. The more people find their economic interests in the financial markets, the more risk they should take for their economic life. We can expect that pro-shareholder psychology and at the same time the resistance to protect wage earners’ rights within the firm and economy at large will proliferate following the deepening of financialization. 이 글의 목적은 금융부문 육성 및 그것과 관련된 변화들이 초래할 수 있는 한국자본주의의 구조적 변화 혹은 자본축적상의 성격변화를 어떤 측면에서 어떻게 파악하고 전망할 것인가를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자본주의에서 아직 부분적이고 파편적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논란의 여지가 많은 금융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관점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로 미국의 경험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기존 정치경제학 연구들의 금융화 개념과 그 내용적 함의들을 한국경제에 적용하려고 할 때, 발견되는 부적절한 부분들을 짚어 보고자 했다. 금산분리완화를 수단으로 해서 금융산업을 육성하려는 정부정책 때문에 한국의 금융화는 독립된 금융자본에 의한 산업자본의 지배라는 형태로 나타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산업자본의 금융활동 확대를 추진력으로 해서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이 동일한 주체의 지배 하에 묶이면서 양자 간에 특별한 형태의 융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금융화 개념이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대안적 개념으로 ‘금융적 수단을 통한 자본의 유연화’(flexibility)를 제안한다. 둘째, 신정부 하에서 속도를 더할 것으로 보이는 금융화 과정은 명백히 정책의 결과물로 나타나고 있다. 자본축적의 진행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를 훨씬 뛰어 넘는 수준으로 추진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2007년에 목격된 주식시장의 급격한 팽창은 외환위기이후 등장한 외국투자자와는 구별되는 기관투자가의 성장을 가져왔다. 이들 기관투자가의 성장 이면에는 가계자산구성의 변화를 유도하는 정책적 노력과 비금융기업(군)의 금융자산 투자 확대, 그리고 연기금의 획기적인 주식투자 확대정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주식시장이 안정적 지속적으로 커지면서 정부의 금융산업 육성전략에 부합하게 될지는 불확실하다. 금융규제완화가 초래할 경제변수들의 변동성 증가와 기업이윤의 증대가 의미하는 노동소득 분배율의 악화에서 발생할 사회경제적 불안정 등이 정부의 금융화 정책과 상충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산업자본이 금융적 이득을 확대할수록 산업적 경쟁력과 고용능력은 약화될 수 있다.

      • KCI등재

        세계금융 중심도시 네트워크의 국제정치경제:『동북아 금융허브 추진계획』비판

        이왕휘 세종연구소 2006 국가전략 Vol.12 No.4

        이 글은 국제정치경제학적 시각에서 지구화와 디지털화가 국제금융질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지구화와 디지털화는 권력의 원천으로서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을 증가시켰을 뿐 아니라 다양한 비국가적 행위자들의 활동 공간과 기회를 확대시킴으로써 권력이 행사되는 방식도 변화시키고 있다 그 결과 주권 원칙하에 영토적으로 분절된 민족국가 체제에 바탕을 둔 국제금융질서는 세계금융 중심도시들의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세계금융질서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변환은 민족국가의 소멸이 아니라 민족국가가 가지고 있는 금융에 대한 독점권의 종언을 의미할 뿐이다. 참여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략』에는 금융의 지구화와 디지털화라는 세계금융질서의 구조적 변화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추진 전략』은 금융의 지구화 시대에 민족국가의 역할을 어떻게 재조정할 것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추진 전략』은 다른 국가들에서 이미 추진했던 외국인 투자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정책들을 단순히 나열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단기적으로 동북아 금융허브, 장기적으로 세계금융 중심도시로 서울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단점인 폐쇄적 금융제도를 개선하는 것을 물론 장점인 세계 수준의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analyses the impact of globalisation and digitalization o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order from a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Globalisation and digitalization hav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a source of power. This brings about a shift from the international financial order where the legitimate authority is separated along national borders to a global financial order where nation-state’s monopoly over finance within its border is no longer taken for granted. The ‘Northeast Asian Financial Hub Initiative’ pursued by the Rho Muhyun administration does not seriously take this structural transformation into consideration. This is why the initiative merely suggests a string of liberalisation and deregulation policies that had already been employed by other countries such as Singapore and Hong Kong. In terms of globalisation, South Korea lags behind its rivals, but its digital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is not comparable in the region. To give Seoul an edge over its rivals, the initiative should take advantage of its state-of-art digitalization while implementing regulatory reforms.

      • 런던 금융시장의 역사적 교훈과 금융허브 전략

        구형건 ( Hyeng Keun Koo ) 글로벌금융학회 2023 글로벌금융리뷰 Vol.4 No.2

        우리는 이 논문에서 런던 금융시장에서 중요한 두 시기의 역사를 살펴보고, 현재를 위한 교훈을 유도한다. 수출시장 축소와 국제정치적인 갈등 상황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금융허브를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유도한다. 금융 허브전략으로서 국제적인 정보 네트워크의 형성과 금융인 유입을 위한 신이민정책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we study two time periods in the history of the London capital market. We draw the following lesson: developing a financial hub in a country can make it easy to enhance competitve advantage of a nation or a company in the face of shrinking export markets and geopolitical risk. We propose two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a financial hub, 1) encouraging formation of an international information network centered at the hub, and 2) a new immigration policy to induce inflows of foreigners with financial expertise.

      • KCI등재

        North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and Strategy for the Business and Financial Hub in Korea

        Young-Man Yoon(윤용만),Taek-Dong Yeo(여택동) 한국경제통상학회 2006 경제연구 Vol.24 No.3

          As the most rapidly growing region in the world, Northeast Asia has been drawing increasing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wadays. In spite of impressive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the Northeast Asian pillar of the world economy is relatively weak, beset with many challenges. Therefore, there is much to be done multilaterally as well as bilaterally in the efforts to improv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Virtually, the three countries can and will make economic cooperation on the various issues.<BR>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has recently gained momentum in establishing business and logistics hub within Korea. Evidently, Korea can be a possible candidate for business hub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addition, the recent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has given rise to the need for huge volumes of investment funds. This has, in turn, increa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financial center to serve as a conduit to facilitate the capital inflow into the region.<BR>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paper briefly describe economic relations and cooperation among China, Japan, and Korea in the Northeast Asia and then discuss the strategies for realizing business and financial hub in Korea. First of all, this paper studies the features of trade and foreign investment among the three countries and the recent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Fin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ecessary tasks and strategies for the realization of business and financial hub within Korea in Northeast Asia.   최근 동북아 지역이 국제사회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지난 30 여년 동안의 분부신 경제성장과 개발에도 불구하고 글로벌경제가 동북아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상대적으로 미약하고 수많은 문제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동북아의 지역경제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양자간 또는 다자 차원에서 해야 할 일이 많다. 실제로 동북아 3국은 여러가지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고 협력할 것이다.<BR>  동북아지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라 최근 한국 내에 비즈니스 및 물류허브를 구축해야 한다는 논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명백히 한국은 동북아지역의 비즈니스허브의 좋은 후보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정부도 동북아 비즈니스허브(중심)로 발돋움 하기 위하여 인천, 부산, 광양지역에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고 고부가가치 서비스 및 R&D산업을 유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또한 부산과 광양항만을 경쟁력있는 양항체제로 육성하고 인천공항을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변환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동북아지역의 경제협력의 진전은 엄청난 투자자금을 요구하고 있다. 결국 이것은 자본흐름을 동북아지역 내로 유치하기 위하여 국제금융센터의 발전을 필요로 한다.<BR>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 3국의 무역투자 측면의 경제관계를 간단히 살펴보고, 지역경제협력 현황 및 전망을 논의한 이후, 한국 내에 동북아 비즈니스-금융허브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와 전략을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보험회사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서대교 ( Dai Gyo Seo ),신종협 ( Jong Hyup Shin ) 보험연구원 2009 보험금융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험회사의 해외진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국내요인, 기업요인, 해외요인 등으로 분류한 후, 이들 요인이 국내 보험회사의 해외진출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생명보험 산업은 선진 금융기법 습득,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자사 브랜드 홍보 등의 이유로 금융허브와 같은 금융선진지역에 진출하려는 성향이 강한 반면, 손해보험 산업은 기존 고객과의 관계지속 및 거래강화 등을 위한 목적으로 국내 기업들의 해외진출에 따른 동반진출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회사의 해외진출을 지점과 현지법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다항 로짓 모형에서도 이항 로짓 모형과 유사한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손해보험 산업은 이항 로짓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금융서비스 변수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험산업 전체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금융서비스 변수가 유의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생명보험산업의 해외진출 결정요인 중 금융서비스가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 of the patterns of Korean insurer`s foreign investment using a set of home country characteristics, foreign country characteristics and insurer-specific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veals tha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whether Korean insurers participate in a given foreign country depend on the type of insurers. Financial services are more likely to attract life insurers, which implies that life insurers tend to expand toward financial markets of developed countries. In the case of non-life insurers, the bilateral trade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factors. It implies that non-life insurers are more likely to expand to the countries in which their domestic corporate clients choose to invest so as to be able to offer them the services they need. The result also suggests that insurers with a larger scale of per capita assets would tend to more expand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