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한국불교에서 ‘세계종교’ 및 ‘종교의 본질’ 담론 - 1910~1940년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틸레, 슐라이어마허,그리고 “지·정·의” 범주 -

        송현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64

        이 글은 근대 한국불교계에 등장한 ‘종교의 본질’과 ‘세계종교’ 담론에 코르넬리우스 틸레의 종교이론, 일본을 통해 전해온 “지·정·의” 담론, 그리고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이 주요한 이론적 근거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틸레의 종교이론은 열등종교와 고등종교라는 진화론적 분류체계와 ‘세계종교(보편적 종교)’ 범주의 창안을 특징으로 한다. “지·정·의” 담론은 근대 일본에서 문학·과학·철학 등의 분과 형성과 더불어 종교의 영역을 정립하는 데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던 것으로, 근대 한국불교계에서도 종교가 “지·정·의”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이 때 개신교 자유주의신학의 정립자로 불리는 슐라이어마허의 종교론이 종교가 지·정·의 범주 가운데 “정”의 영역에 귀속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종교담론들은, 한국 불교계가 근대문화의 유입으로 종교의 영역이 새롭게 설정되고 있음을 자각하고 불교를 그 영역 안에 배치하기 위한 여러 논리를 개발했음을 의미한다. 논의의 핵심에는 종교의 본질, 종교에서 불교의 위치, 불교와 종교 범주와의 관계가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서양의 불교학과 종교학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물론, 이 담론들의 준거점이 되고 있다. 불교학과 종교학이라는 비교적 역사가 길지 않고 그 역시 근대의 산물이기도 한 이들 학문에 따라 근대불교계는 전근대의 불교세계와 다른 풍경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들로 인해 한국불교에서도 근대적 사고가 가능해졌으며 모더니티를 부여받게 되었다. 1910년대부터 불교잡지에 등장한 근대적 의미의 학술적 종교담론들은 주로 일본에 유학했던 유학생들을 통해 빠르게 한국으로 유입된 것이었다. 그 결과 한국불교계는 근대 유럽의 ‘종교’ 담론의 자장 속에 포섭되었고, 근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종교관의 형성에 동참하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ree major theories of religion that provided foundational frameworks for discussions on ‘the essence of religion’ and ‘world religion’ in modern Korean Buddhism: first, Cornelius Tiele’s religious theory; second, the discourse on “knowing, feeling, and willing” transmitted through Japan; and lastly, Friedrich Schleiermacher’s theory of religion. Tiele’s theory is notable for its evolutionary classification of religions into inferior and higher types and its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world religion (universal religion).’ The “knowing, feeling, and willing” discourse, prominent in modern Japan, helped define the boundaries of religion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science, and philosophy. Korean Buddhists actively engaged with this framework to understand how religion fit within these categories. Schleiermacher’s theory, a significant influence in Protestant liberal theolog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igion within the realm of “feeling.” These discourses reflect how modern cultural influences reshaped the concept of religion, prompting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o develop arguments that positioned Buddhism within this new framework. Central themes included defining the essence of religion, Buddhism’s place within the broader religious landscap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wider category of religion. The influence of Western Buddhist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was crucial in this process, providing key reference points that helped distinguish the modern Korean Buddhist experience from its pre-modern past. As relatively new fields and products of the modern era, Western Buddhist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facilitated the adoption of contemporary perspectives within Korean Buddhism, enabling Korean Buddhists to embrace modernity. The academic religious discourses in the modern sense that appeared in Korean Buddhist magazines from the 1910s were quickly introduced to Korea, mainly through students who had studied abroad in Japan. As a result, modern Korean Buddhism was absorbed into the broader sphere of ‘religious’ discourses shaped by modern European thought, contributing to the emergence of a new religious perspective that had not existed before the modern era.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김봉곤(金?坤)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6 No.-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은 국권이 피탈된 일제 치하에서, 민족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1900년대 일제의 침략이 가속화되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종교가 정치적으로 이용되거나 탄압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교분리를 선언하였다. 그리하여 교리가 심화되고 교단이 체계적으로 정비되는 등 근대종교로서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 그러나 1910년대 일제의 정치적 탄압과 함께 삶의 구조가 왜곡되고 종교행위마저 자유롭지 않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국권을 되찾으려는 운동에 적극 나서게 되었다. 더욱이 1917년 러시아혁명과 1918년 미국 윌슨 대통령에 의해 민족자결주의가 제창되자, 근대 한국종교에서는 민족운동의 사상적 기반으로 적극 수용하였다. 이에 근대 한국 종교에서는 1919년 일제의 식민지적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천도교 측에서는 비폭력 만세시위 운동을 전개하였고., 대종교 측에서는 무장투쟁을 선언하였으며, 보천교는 천제와 같은 비밀스런 종교적 행위를 통해 독립을 쟁취하려고 하였다. 3.1운동을 전후하여 근대 한국종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대종교인들은 1911년 이래 상해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될 때 많은 인물이 참여하였다. 천도교도 한성정부와 노령정부가 통합된 1919년 9월 이후 본격적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보천교도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벽 세상을 연다는 포교론의 실현과 독립운동을 통한 외연의 확장을 위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적극 지원하였다. 다만 1921년 이후 천도교가 이승만의 위임통치론 등에 반발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불신하였고, 보천교도 일제의 회유공작에 넘어감으로써 임시정부와 이들 종교와의 관계가 점차 소원해지게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at determining the efforts of modern Korean religion to build a new nation and investigating the desire or ideology for a new nation in modern Korean religion based on the activities of religious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or Manchuria military government. Publicness of modern Korean national religion strongly appeared in the process of active movement on the colonial condition where national sovereignty was robbed. As Japanese invasion was accelerated in 1900s, modern Korean religion proclaimed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o prevent pro-Japanese or suppression of religion due to political activity. There, deepening and systematization of religious dogma was prepared and the religious body was organized, however as Japan intensified suppression in 1910s, modern Korean National religion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o regain national sovereignty. However, with the political repression of Japan in the 1910s, when the structure of life was distorted and the religious activities were not free, the modern Korean religion became active in the movement to regain national rights. Furthermore, when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and the national self - determinationism of President Wilson of the United States were put forward in 1918, it was accepted as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modern Korean religion. In modern Korean religion, in order to escape from colonialism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19, the Cheondogyo side developed nonviolent demonstration campaign, the Daejonggyo side declared armed struggle, and Bocheongyo tried to win independence through secret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modern Korean religions sought to establis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Daejonggy have been carrying out independence movements in Shanghai since 1911, took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Cheondogyo in respect of building an independent natio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ince September, 1919, when Hanseong government and Noryeong government were unified. Also, Bocheongyo, modern Korean religion, also supported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order to expand its outreach through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pagand of new civilization outside Japan"s domination. However, after 1921, by Chondogyo rebeling against Rhee Syng-man"s mandate ruling and distrus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nd Bocheongyo moving on to a conciliatory measure of the Japane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se religions became increasingly deserted.

      • KCI등재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

        원영상(Won, Yong-S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본 논문은 근대 한국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을 논한 것이다. 최근 공공철학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종교에 대한 공공성 연구로도 확산되고 있다. 공공성 연구는 종교, 국가, 기업, 학계 등을 망라한 시각에서, 한국사회는 물론 지구 전체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 전환을 촉구하는 지적 활동이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은 연구의 연대 속에서 이를 주도하고 있다. 제국주의의 고통을 극복하고자 했던 한국의 종교들은 이러한 점에서 공공성 연구의 적절한 영역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 연구의 범주를 설정하여 보았다. 근대 한국종교의 활동 영역은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시민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민족주의, 반자본주의, 계몽운동, 공동체, 이념의 공존, 시민적 자유의식, 사회참여, 사회적 다양성의 조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자본주의에 대한 대응, 공공적 시민의식 운동, 독립운동 및 국권회복, 신문화운동의 네 가지 측면에서 공공성 연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어 이러한 연구 범주에 기반, 한 세기 동안 원불교가 어떠한 공공성의 역사를 구현해왔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종합적으로 공공종교로서의 구체적인 자기규정을 해가는 개혁불교의 이념 차원과, 실천적 차원의 민중구제의 역사를 정리하고 있다. 전자는 백지혈인(白指血印)의 법인(法認), 박중빈의 『조선불교혁신론』과『불교정전』편찬을, 후자는 저축조합운동과 영산방언역사, 전재동포구호사업, 항일운동, 송규의 「건국론」 발표를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불교의 종교적 공공성의 성격을 대승정신의 계승과 참여불교의 정신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고 있다. 전자는 제생의세론 및 회통사상으로 보고 각각, 개벽사상 및 보편윤리와 연동되고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원불교는 아시아의 근현대 개혁불교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대 한국종교의 정신적 축인 개벽사상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참여불교의 입장에서 회통정신의 구현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교의로써 확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방 후, 원불교 공공성 발현의 한 측면인 종교연대운동을 부기했다. 결국, 원불교는 스스로 천명한 세계평화운동, 평등한 질서 건립, 세계적 정신운동 실천, 국제적 종교연합기구의 구현에 매진함으로써 공공종교로서의 객관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as a religion and the publicness of Won-Buddhism, one of the modern Korean religions. Recently while the public philosophy i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discussion is expanding to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The research of publicness is an intellectual to urg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bout the solution to the whole global issues as well as Korean society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s covering religion, state, enterprise, and academies. Especially in East Asia Korea and Japan is leading a research among solidarity of these researches. The Korean religions which had tried to overcome sufferings from imperialism are appropriate aspects for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from these points. To do it, first, I tried to set a categories of publicness research into modern Korean religions. The activity scope of modern Korean religions covers variety of scope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and civil movement, and it took as core tasks nationalism, anticapitalism, enlightenment movement, community, coexistence of ideology, civil awareness for freedom, social engagement, and harmony of social diversity. From these perspectives,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ublicness research through four aspects such as response to the capitalism, public movement of civil awareness, independence struggle and recovery of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new culture movement. Continuously, I studied how Won-Buddhism realized the history of public concern during it’s first century. Comprehensively, I arranged the ideological aspect of reformed Buddhism in which it define itself concretely as a public religion, and arranged it’s history of delivering people from the aspect of practice. I arranged the former’s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dharma authentication of ‘the seal of blood from bare fingers,’ Park Jung-bin’s compilation of The Reformation Theory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Chosŏn pulgyo hyŏksin non) an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Pulgyo chŏngjŏn), and arranged the latter’s through movement of the savings union, levee project at Yeongsan, anti-Japan movement, Song Gyu’s declaration of On Founding a State (Kŏn’guk non). Based on the history, I treate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as a religion from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Mahayana spirit and the spirit of engaged Buddhism. I saw the former as the theory of delivering sentient beings and curing the world, and the thought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and examined they are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and universal ethics respectively. Won-Buddhism shares the context with modern reformed Buddhism in Asia, and it succeeded to the bodhisattvas spirit in Mahayana Buddhism. And it also accepted the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which was a spiritual axis in modern Korean religions. Won-Buddhism, as an engaged Buddhism, established as its doctrine the universal values that modern society require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thought. Last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 added a solidarity movement of religions as one aspect of realizing the public concern by Won-Buddhism. After all, I saw Won-Buddhism can secure objectivity as a public religion by reflecting how it could realize in daily life the religious spirit through the world peace movement, establishment of equal order, practice of globalized spiritual movement and glob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Religions that it declared itself.

      • KCI등재

        한국의 근대와 종교 개념, 그리고 연구 방향 모색을 위한 하나의 사례

        장석만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This paper discusses the contextual process of the emergence and the changes of “the concept of the religion” in Modern Korea. The conceptual issues of the religion raise the series of the questions which are closely connected; what the religion is, how to study the religion, and how to evaluate the study of religion etc. Based on my previous studies, I describe the basic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position of religion in Korea, and propose eight possible categories of questions for the future up-coming studies on the subject of “the religion”. The contents of the paper are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issues; the period-division of "modern/ modernity"(chapter 2), the "modern /modernity" in Korea (chapter 3), and the conceptual significance of religion in Modern Korea (chapter 4). Subsequently, the outline of a recent study of the “ontological turn” in anthropology is illustrated for the further discussions in the field of “the religious studies” in Korea. 종교 연구자에게 종교 개념은 가장 기본적인 성찰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이를통해 “종교가 무엇인가?”, “어떤 관점에서 종교를 파악해야 하는가?”, “종교를 연구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등의 일련의 물음이 제기된다. 종교 개념에는 한국의 근대라는 특정한 역사적 맥락이 함축되어 있다. 이 논문은 한국 근대에서 종교 개념에 관해 그동안 필자가 던져 온 질문과 그 맥락을 살피면서, 8가지의 의미 있는 질문을 던지면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논문의 구성도 우선 근대라는 것이 무엇인지 묻고, 이어서 한국 근대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한국 근대에서 종교라는 것이 가진 위치와 그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어서 최근 인류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존재론적 전환”의 연구를 살펴보았는데, 인류학의 이 연구가 한국에서 종교학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 미덕은 실체화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그동안 간과되었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과 연구 방법 자체에 대해 제기하는 근본적 물음은 한국 종교학의 방향 모색에 필수적이다.

      • KCI등재

        한국 개벽종교와 토착적 근대

        허남진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8 종교문화연구 Vol.- No.30

        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the way of indigenous modernity and indigenous modern religions pursued by Korean Gaebyeok religions through a counter discourse against the oppression of colonial pow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Joseon government during the opening of ports. In particular, it aims to examing the ways of ‘indigenous modernity’ and ‘indigenous modern religion’ which the modern Korean religion sought. Also, the article did try to reveal how Korean Gaebyeok religions established identity as a indigenous modern religion in the process. The reason why I chose this view is that the Korean Gaebyeok religions is definitely a production of the modern age and searched for a quite different way from the western modernity.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ndigenous modernity or native modernity through discussions of ‘Alternative modernity’, ‘Multilayered modernities’ and ‘Indigenous modernity’ which are recently raised in critical discourse on western modernity. Based on this analysis, I examined ‘Gaebyeok’ as an idea for seeking a subjective modernization rather than the concept of the frequency of revolution. Also, the article did try to reveal how Korean Gaebyeok religions established identity as a Indigenous modern religions. The Korean Gaebyeok religions, which is not entirely accepted through acceptance and resistance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such as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has been transformed into ‘indigenous modern religions’ 본 연구는 개항기 조선 정부와 일제 강점기 식민권력의 탄압에 대한 한국 개벽종교의 대항 담론을 통해 한국 개벽종교가 추구했던 ‘토착적 근대’와 ‘토착적 근대종교’의 길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관점을 택하게 된 이유는 근대 한국 개벽종교는 분명 근대의 산물이며, 서구적 근대와 다른 길을 모색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서구적 근대에 대한 비판 담론에서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대안적 근대’, ‘중층적 근대’, ‘토착적 근대’의 논의를 통해 토착적 근대 혹은 자생적 근대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개벽’을 운도론적 대망사상이 아닌 주체적 근대의 모색을 위한 사상으로 위치시키고, 개항기 위정척사파, 개화파와 다른 한국 개벽종교가 지향했던 주체적 근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한국 개벽종교는 정교분리 등 서구 근대문명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주체적 수용을 통해 서구적 근대종교가 아닌 민중과 민족이 요구하는 당시의 시대적 과제까지 결집한 ‘토착적 근대종교’로서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근대시기 "종교" 인식과 한국불교의 정체성 논의

        양정연 ( Jeong Yeon Y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2 No.-

        본 연구는 근대시기 기독교의 유입과 외부세계와의 교류 속에서 한국 불교계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보여줬던 인식과 대응을 고찰하는데 있다. 근대시기 기독교의 유입은 불교계에 있어서 위협이면서도 자성의 기회를 마련해주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불교의 근대화는 교육, 포교, 인재양성의 방향으로 설정되었으나 불교계 조직체계의 근대화가 아닌 인물위주의 변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전개되었다. 왜냐하면 불교계는 조선시대가 끝나면서 곧바로 일본불교와 일제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자주적으로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대화에 따른 불교계의 존립문제는 개인의 변화를 통해 해결되어야 했다. 근대시기 한국불교계의 변화노력은 재가자가 배제된 채 출가승 주도로 이뤄졌다. 출가승들은 종교로서의 불교를 대(對) 사회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였으며 근대화된 사회와 교류하기 위해서 자신이 먼저 근대문명의 소양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대중을 위한 활동에 출가승으로서의 계(戒)가 장애가 된다면 그 계는 바뀔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계는 종교수행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별해탈계(別解脫戒)는 가장 청정한 행이 된다. 계는 깨달음을 이루기까지 철저하게 수지되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계를 버린다는 것은 결국 불교수행자가 아닌 것이 된다. 따라서 파계(破戒)의 문제는 근대성 인식의 범주 내에서만 논의될 수 있는 것이다. 근대시기 출가승들에게 종교수행의 완성과 종교의 대 사회적 역할은 절충의 문제가 아닌 선택의 문제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그 당시 계율을 지키면서 자신의 수행을 추구하는 모습은 오히려 대중을 여읜 것으로 간주되었고 대승 보살의 정신을 상실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들은 스스로 근대인이 됨으로써 종교인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것이 대승의 가르침을 이루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perception and countermeasure against the influx of Protestantism and the contact with the outer world, which Korean Buddhist world took in the process of constituting its identity. The introduction of Protestantism was a threat to Korean Buddhism and also gave an impetus to the Buddhist self-examination in modern Korea. Education, propagation and nurturing talent were the targets for modernizing Buddhism but the change was made for discovering talented people not for modernizing the system of Korean Buddhism. The Buddhist world could not have the chance to establish its organization autonomously because it was directly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and Japanese Imperialism right after the fall of Joseon. So the problem of the existence of Buddhism should be solved by the individual change. Buddhist monks led the efforts to change the Buddhist world in modern Korea and lay practitioners were excluded. Monks looked at Buddhism from a social perspective and thought that they should be well grounded in modern culture to communicate with the modern society. So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change the precepts which hindered their activities for people. The precepts are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s for religious practice and Pratimoksa is the most pure practice. Precepts should be kept thoroughly until practitioners attain the enlightenment so those who discard the precepts are not Buddhist practitioners any more. Thus, renouncing the precepts could be reviewed only for understanding modernity. Buddhist monks in modern Korea considered that the accomplishment of religious practices and its social roles were issues of choice, not comprise. Therefore, those who would keep their precepts and hold their religious practices were considered as Buddhist practitioners who would leave human beings and discard Bodhisattva ideal. They tried to perform roles of religion in society as religious practitioners by becoming modern people and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accomplish Mahayana teachings by doing that.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김석근(金錫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이 글에서는 19세기 후반 이후 한반도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새로운 종교(신종교)들[구체적으로는 동학, 그 보다 조금 늦게 등장한 증산교(甑山敎), 대종교(大倧敎), 그리고 원불교(圓佛敎)]에 대해서, 종교나 교리 내용 그 자체 보다는 그들이 지녔던 사회적, 정치적 함의와 위상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했다. 19세기 전환기에 등장한 그들 종교가 ‘민족’, ‘민중’, ‘민족주의’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가, 특히 근대적 의미의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이란 맥락에서 그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당시 국제사회에서 시급한 과제는 ‘국가적 독립’[대외적인 문제]과 대내적으로 계급(과 계층)을 넘어서는 ‘대내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것이었다. 이른바 근대적인 Nation의 문제라 할 수 있겠다. 거기서 국가적 독립과 대내적인 통합은 서로 이어지게 된다. 이른바 근대국가 형성 과정이라 해도 좋겠다. 근대적인 국민국가 형성이란 측면에서 그들을 바라볼 경우, 시대와 활동 무대 등과 맞물려서 다양한 편차가 있었다. 이들 종교에서는 ‘반외세’[대외]와 ‘반봉건’[대내] 요소가 동시적으로 그리고 종교에 따라 어느 한 쪽에 중점을 두면서 존재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대외적으로 국가적 독립, 그리고 대내적으로 국민적 통일이라는 Nation 개념의 두 가지 측면의 ‘가능성’을 읽어낼 수는 있었지만, 실제로 다다른 것은 아니었다. 특히 식민지 시대라는 특성상, 국내에서 활동할 경우 많은 제약이 있었다.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펼쳤던 대종교의 경우 ‘단군’을 내세움으로써 한민족의 정체성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측면을 보여주었다. 이 글은 근대 한국종교에 대해서 주권을 가진 근대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논평해본 것일 뿐이며, 그들 종교의 모든 것은 아니다. 근대, 국민국가, 그리고 내셔널리즘을 넘어서고자 하는 탈근대적인 전망 하에서는, 그들이 보여준 다양한 종교적 상상력은 ‘근대’와 ‘탈근대’를 아울러 같이 생각해보는 데에 아주 유용한 사상적, 철학적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analyzes how new religions—Donghak, Jeungsangyo, Daejonggyo, and Won Buddhism—impacted Chosu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Particularly,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social statu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each religion rather than the religion and its doctrine itself.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se religions define and view the concepts of “Nation[Minjok, 民族]”, “People[Minjung, 民衆]”, and nationalism. The urgent matter at the time was internal and external integration of the state. Externally, nations wanted liberation and internally, they were trying to break the existing social classes. In this context, national independence and social integration are connected. This could be labeled a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ate. Each religion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modern state. They all shared the concept of “Anti-foreign-power” and “Anti-feudal” but differed in what concept they specifically focused on. Furthermore, due to the nature of the colonial period, new religions had various restrictions to the scope of activities that they could conduct. One notable case is the religion Daejonggyo, which rigorously engaged in independence movements abroad by invoking a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by using the concept “Dangun”. This paper reviews modern Korean religions in the perspective of modern nation state formation. Their beliefs provide a new philosophical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modern” and “postmodern.”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과 관련해서

        김석근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This paper analyzes how new religions—Donghak, Jeungsangyo, Daejonggyo, and Won Buddhism—impacted Chosu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Particularly,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social statu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each religion rather than the religion and its doctrine itself.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se religions define and view the concepts of “Nation[Minjok, 民族]”, “People[Minjung, 民衆]”, and nationalism. The urgent matter at the time was internal and external integration of the state. Externally, nations wanted liberation and internally, they were trying to break the existing social classes. In this context, national independence and social integration are connected. This could be labeled a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ate. Each religion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modern state. They all shared the concept of “Anti-foreign-power” and “Anti-feudal” but differed in what concept they specifically focused on. Furthermore, due to the nature of the colonial period, new religions had various restrictions to the scope of activities that they could conduct. One notable case is the religion Daejonggyo, which rigorously engaged in independence movements abroad by invoking a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by using the concept “Dangun”. This paper reviews modern Korean religions in the perspective of modern nation state formation. Their beliefs provide a new philosophical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modern” and “postmodern.” 이 글에서는 19세기 후반 이후 한반도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새로운 종교(신종교)들[구체적으로는 동학, 그 보다 조금 늦게 등장한 증산교(甑山敎), 대종교(大 倧敎), 그리고 원불교(圓佛敎)]에 대해서, 종교나 교리 내용 그 자체 보다는 그들이 지녔던 사회적, 정치적 함의와 위상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했다. 19세기 전환기에 등장한 그들 종교가 ‘민족’, ‘민중’, ‘민족주의’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가, 특히 근대적 의미의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Nationalism이란 맥락에서 그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당시 국제사회에서 시급한 과제는 ‘국가적 독립’[대외적인 문제]과 대내적으로 계급(과 계층)을 넘어서는 ‘대내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것이었다. 이른바 근대적인Nation의 문제라 할 수 있겠다. 거기서 국가적 독립과 대내적인 통합은 서로이어지게 된다. 이른바 근대국가 형성 과정이라 해도 좋겠다. 근대적인 국민국가 형성이란 측면에서 그들을 바라볼 경우, 시대와 활동 무대 등과 맞물려서 다양한 편차가 있었다. 이들 종교에서는 ‘반외세’[대외]와 ‘반봉건’[대내] 요소가 동시적으로 그리고 종교에 따라 어느 한 쪽에 중점을 두면서 존재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대외적으로 국가적 독립, 그리고 대내적으로국민적 통일이라는 Nation 개념의 두 가지 측면의 ‘가능성’을 읽어낼 수는 있었지만, 실제로 다다른 것은 아니었다. 특히 식민지 시대라는 특성상, 국내에서활동할 경우 많은 제약이 있었다.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펼쳤던 대종교의 경우 ‘단군’을 내세움으로써 한민족의 정체성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측면을 보여주었다. 이 글은 근대 한국종교에 대해서 주권을 가진 근대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논평해본 것일 뿐이며, 그들 종교의 모든 것은 아니다. 근대, 국민국가, 그리고 내셔널리즘을 넘어서고자 하는 탈근대적인 전망 하에서는, 그들이 보여준 다양한 종교적 상상력은 ‘근대’와 ‘탈근대’를 아울러 같이 생각해보는 데에 아주 유용한 사상적, 철학적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과학과 종교의 이합집산: 개념사의 관점에서 본 과학과 종교

        장석만 ( Jang Suk Ma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이 글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이라는 역사적인 조건의 한국에서 과학과 종교라는 개념이 어떻게 등장하며, 서로 어떤 관계를 설정해 가는지에 관해 논의한다. 과학과 종교의 개념이 등장하였다는 것은 각각 구별되는 영역이 설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두 영역 사이에 여러 가지 다양한 관계가 상정될 수 있다. 즉 종교와 과학의 개념 및 각 영역 설정은 양자(兩者) 사이의 이합집산(離合集散)을 함축한 것이다. 때로는 이산하고, 때로는 합집한다. 서로 떨어지거나 붙고, 헤어졌다가 서로 모인다. 이 산(離散)하면서 서로 대립할 수도 있고, 아니면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각자도생(各自圖生) 할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역사적 문헌의 사례를 통해 각자도생과 합집의 두 가지, 모두 3가지 관계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핀다. 한국의 상황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이 글은 우회적인 절차를 취한다. 우선 서구에서 science와 religion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고, 상호의 성격이 규정되는지 살펴본다(2장). 여기서 과학과 종교의 갈등 관계가 부각되거나, 양립 가능하다는 관점이 역사적 변화와 함께 부침한다는 것, 그리고 이런 관점의 변동은 과학과 종교의 개념 네트워크과 연동(聯動)된 권력 다툼에 이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결국 질문의 초점은 과학과 종교의 경계선에 관한 것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3장은 “과학과 종교의 경계선이 도대체 왜 만들어지게 되었는가?”의 질문과 관련이 있다. 인도와 중국에서 과학과 종교의 경계선이 어째서 당초에 만들어질 필요가 없었는지, 왜 그것을 “결핍”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부적절한지의 문제에 관해 논의한다. 4장은 일본과 중국에서 과학과 종교의 개념이 어떻게 등장하여 서로의 관계가 만들어졌는지 검토한다. 19세기 후반 과 20세기 초반의 상황을 공유하는 중국과 일본의 경우를 비교의 준거로 삼아서, 한국 의 경우가 지닌 특성이 보다 잘 드러나도록 준비한다. 일본의 국가신도 정책, 그리고 중국의 지방 사원 공격으로 시작된 미신타파 운동을 특징적인 면모로 부각시키면서, 한국의 경우를 논의하는 부분으로 이어진다. 한국의 경우를 다루는 부분은 두 가지로 나누어 논의한다. 하나는 당시의 사전에 나타난 과학과 종교의 용어를 살펴봄으로써 서구어 science와 religion에 대응하는 번역어로서 자리 잡는 모습을 추적하는 것(5장)이고, 다른 하나는 20세기 초의 한국에서 과학과 종교가 맺는 관계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 사례를 관련 문헌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6장). 종교와 과학의 관계를 거론하는 작업에서 개념사적 연구는 선행적인 위치를 갖는다. 이 부분이 제대로 연구되지 않을 경우, 자칫하면 시대착오적인 논의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한국에서 종교와 과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위한 하나의 선행 작업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ual emergence of `science` and `religion`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of Korea. The introduction of new concepts presupposes their distinctive conceptual space which makes a room for their various relationships. Sometimes they come together, and sometimes they part company and keep a distance. In this paper, three types of their conceptual relationships are discussed: 1) separation, 2) integration under the dominance of `religion` 3) integration under the dominance of `science`. This study starts with the discussion about the both emerging and changing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Western context, and shows the close connection of their conceptual network with the related power regime. The need to focus on the question of boundary-making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s recognized (chap 2). In chapter 3, the following question is presupposed as the hidden agenda; why and how the boundary-making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was made from the start. The discussion shows that because of the different frameworks of both Indian and Chinese cosmology, the two concepts and their boundary were not needed in India and China. It is out of context to consider the unnecessary as the lack. In chapter 4, I turn to focus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wo concep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East Asian countries. In particular, the Japanese policy of State Shinto and the Chinese suppression of superstition (mixin, 迷信) are examined. The next two chapters deals with the Korean case of two concepts. Chapter 5 analyses the dictionaries which have the items about `science` and `religio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ncluding several bilingual dictionaries. It indicates that the two terms got the secured position in the 1920s of Korea. In chapter 6, I explore three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examining the printed materials of colonial Korea. One of the benefits of studying conceptual history is to keep from the anachronistic point of view. This paper provides the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the historical dynamics of the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 KCI등재

        근대 한국의 ‘종교’ 인식 ―개화파와 개벽파를 중심으로―

        허남진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연구 Vol.- No.32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theory of civilization through the religious cognition in modern Korea, focusing on the GaeHwa-Pa(開化派) and GaeByeok-Pa(開闢派). In other words, I want to analyze the discussion on new civilizational transition of modern Korea, focusing on religious cognition and civilization discourse. Both GaeHwa-Pa and GaeByeok-Pa recognized religion as the power of people’s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But this base of religious cognition is intertwined with theory of civilization. The Chuksa-pa(斥邪派) advocated a Confucianism-centered Junghwa(中華) civilization, while the GaeHwa-Pa equated civilization with Christianity and actively aimed at Western modern. Unlike the Chuksa-Pa and the Gaehwa Pa, GaeByeok-Pa that emphasized Gaebyeok also responded to Western civilization and suggested a new view of civilization. The GaeByeok-Pa sought a new modern path by mutual penetrating Western ideas as well as traditional ideas between Chuksa-Pa and GaeHwa-Pa, and sought to creation a new civilization through harmony between East and West, including material, spiritual and East-West ideas. It can be summarized as a ‘Civilization of Harmonious Union’ that integrates religious thought and civilizational models of both East and West. At that time, the GaeByeok-Pa’s movement was a religious movement and social reform movement to build a world of human dignity and equality by Min(民) who took the responsibility. In this regard, the GaeByeok-Pa provided the ideological(思想的) assets that could lead to the Min’s subjectivity, Public-common(公共) and historical participation. 본 논문은 개화파와 개벽파를 중심으로 근대한국 종교인식을 통해 문명담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화파와 개벽파 모두 종교를 인민교화, 문명의 힘으로 인식했다. 하지만 이러한 종교인식의 기층에는 문명론이 얽혀 있다. 척사파는 유교중심의 중화주의적 문명을 주장했고, 개화파는 문명과 기독교를 동일시하며 기독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등 서구적 근대를 지향했다. 개벽파는 척사파와 개화파의 사이에서 전통사상뿐만 아니라 서구 종교사상을 융합·회통시켜 시대화를 통해 새로운 근대의 길을 모색했고 물질과 정신, 동서의 사상 등 동서의 조화를 통한 새문명 창조를 지향했다. 개벽파는 전통의 시선으로 서구 근대를 응시했고, 다시 서구 근대의 시선으로 전통을 조명했다. 이를 통해 서구문명의 한계를 직시하고 나아가 그 극복과 대안을 마련하여 새로운 문명의 길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